KR20030044219A - 로터리형 푸쉬스위치 - Google Patents

로터리형 푸쉬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4219A
KR20030044219A KR1020010074901A KR20010074901A KR20030044219A KR 20030044219 A KR20030044219 A KR 20030044219A KR 1020010074901 A KR1020010074901 A KR 1020010074901A KR 20010074901 A KR20010074901 A KR 20010074901A KR 20030044219 A KR20030044219 A KR 20030044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assembled
actuator
push switch
mov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5858B1 (ko
Inventor
유철상
Original Assignee
유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상 filed Critical 유철상
Priority to KR10-2001-0074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858B1/ko
Publication of KR20030044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8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01H13/5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with contact-driving member rotated step-wise in one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1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electrical connections to external device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등에 주로 사용되는 로터리형 푸쉬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하부 하우징(10)(20)을 상호 조립하되, 상부하우징(10)에는 푸쉬버튼(30)과 함께 엑튜에이터(40), 복귀스프링(50), 가동단자(60)를 케리어(70)에 삽입한 상태로 조립하여, 상기 푸쉬버튼(30)의 누름작동에 따라 엑튜에이터(40)가 캠작동하여 케리어(70)와 가동단자(60)를 간헐 회전작동하도록 하고, 하부하우징(20)에는 복수의 고정단자(81)(82)(83)가 조립되어, 상기 가동단자(60)의 회전에 따라 접지상태를 온, 오프 작동하도록 된 푸쉬스위치에 있어서, 상부하우징(10)과; 푸쉬버튼(30), 복귀스프링(50), 엑튜에이터(40)를 기 조립한 케리어(70), 가동단자(60) 및 복수의 고정단자(81)(82)(83)를 일체로 성형 제작한 하부하우징(20)으로 부품의 수효를 최소화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상,하부하우징(10)(20)은 로크홈부(12)와 로크돌기(22)에 의해 상호 조립식으로 조립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엑튜에이터(40)는 내부 삽입공의 입구부에 사각 테이퍼(43)를 형성하여 케리어(70)를 일정하게 삽입 안내하게 하고, 상기 가동단자(60)는 복수의 접점을 갖는 접지부(61)(62)를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게 대향 형성하여 앞, 뒤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하며, 상기 하부케이싱(20)의 저면에는 고정단자(81)(82)(83)의 위치로 연통되게 땜질용홀(25)(25')(25")을 형성하여 터미널은 물론 땜질에 의해 전선연결을 선택적으로 행하도록 하는 푸쉬스위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각 부품을 부분적으로 일체 형성하거나 조립체를 구성하므로서 전체적인 조립을 위한 부품의 수효를 단순화하고 간략화함은 물론 각 부품 상호간의 조립방식을 간편하게 개선하므로서, 조립작업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하게 되고,
또한, 배선에 있어서도 터미널에 의한 방식은 물론 땜질에 의해 전선을 연결하도록 하므로서, 배선의 연결방식 다양하게 제공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로터리형 푸쉬스위치{ROTARY PUSH SWITCH FOR A CAR ROOM LAMP}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등에 주로 사용되는 로터리형 푸쉬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각 부품의 조립방식을 간편화하여 조립작업성, 생산성을 극대화하면서도 그 확실한 접지력을 제공함은 물론, 배선의 다양한 연결방식을 제공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로터리형 푸쉬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푸쉬스위치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사이로 푸쉬버튼, 엑튜에이터, 가동단자, 캐리어 및 복수의 고정단자를 조립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푸쉬스위치는 상기 푸쉬버튼을 한 번 가압하였다가 원위치하는 작동을 행할때마다 그 하부의 엑튜에이터가 캠작동함에 의해 캐리어가 가동단자와 함께 간헐적으로 회전하면서 하부의 복수의 고정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면서 온, 오프 작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푸쉬스위치는 다수의 형태로 알려진바, 미국특허 제4,891,476호,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8345호, 제207503호 등이 있다.
상기한 푸쉬스위치의 조립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하우징의가이드홈을 형성하는 조립공으로 푸쉬버튼, 엑튜에이터, 복귀스프링, 가동단자, 케리어를 차례로 조립하되, 상기 푸쉬버튼과 엑튜에이터는 그 외주연의 슬라이딩돌기가 상기 조립공의 가이드홈에 삽입됨과 함께 톱니 형상의 구동캠과 연동캠이 상호 당접되어 캠작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엑튜에이터에는 다수의 접점을 갖는 가동단자와 복귀스프링이 조립된 케리어가 푸쉬버튼의 누름작동에 따라 동시에 간헐 회전작동하도록 조립된다.
또한, 하부하우징에는 상기 다수의 접점을 갖는 가동단자 하부로 복수의 고정단자가 조립된 기판이 조립되어, 상기 가동단자의 회전에 따라 가동단자의 복수의 접점이 복수의 고정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지되면서 온, 오프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 하우징은 일측 하우징의 조립봉을 타측 하우징의 조립공에 삽입한 상태에서 조립봉의 단부를 열융착하여 상호 고정하게 된다.
한편, 미국특허 제4,996,401호, 본 출원인에 의해 선 발명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28963호, 제126988호 등에서는 전술한 형태와 비교할 때, 단지 가동단자와 고정단자의 형태를 달리하는 것으로서, 고정단자를 하부하우징의 내측벽에 삽입설치하여 가동단자가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단자에 접지되거나 이탈되도면서 온,오프 작동하는 것으로서, 그 기본적인 작동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게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다양한 형태의 푸쉬스위치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갖고 있었다.
첫째, 상부 하우징의 조립공으로 푸쉬버튼, 엑튜에이터, 복귀스프링, 가동단자, 케리어를 차례로 조립하기 때문에, 다수의 부품을 동시에 조립함에 따른 조립작업성이 매우 불편함은 물론 이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다수의 부품이 조립되어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또 다른 나머지 부품에 조립하여야하기 때문에 그 작업은 더욱 불편하였다.
둘째, 상기 상,하부 하우징은 일측 하우징의 조립핀을 타측 하우징의 조립공에 삽입한 상태로 그 끝단을 열융착하여 고정하게 되기 때문에, 조립과 열융착의 복수의 과정을 거쳐 상호 고정하게 되므로 이 또한 작업성이 매우 저하되었다.
특히, 상기 열융착에 의한 조립방법은 조립의 숙력성을 요하므로 조립불량이 다수 발생함은 물론이고 조립후 다시 분리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하부하우징에 조립되는 복수(3개)의 고정단자는 각각 분리된 상태로 각각 조립되므로 그 조립작업성도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이를 개선하고자, 별도의 기판에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를 리벳팅 결합한 상태로 하부하우징에 삽입하여 조립하였으나, 이 또한 상기 고정단자를 별도의 기판에 조립하는 작업의 추가로 요구되어 그 조립작업성은 매우 불편하였다.
넷째, 상기 고정단자에는 전선을 배선시에 일측 연결부에 핀타입의 터미널을 꽂아 연결하는 단일의 연결방식으로만 사용되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 연결부가 고정단자의 단부를 감아서 구멍형태로 형성하고, 이에 터미널을 억지 끼움으로 삽입하여 연결하기 때문에 그 조립작업이 매우 불편하였고, 특히 상기 터미널과의 사이즈가 조금이라도 다를 경우에 그 조립이 곤란함은 물론 반대로 잘 이탈될 우려를 갖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각 부품의 조립방식을 간편화하여 조립작업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선의 연결방식을 다양화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부 하우징을 상호 조립하되, 상부하우징에는 푸쉬버튼과 함께 엑튜에이터, 복귀스프링 및 가동단자를 케리어에 삽입한 상태로 조립하여, 상기 푸쉬버튼의 누름작동에 따라 엑튜에이터가 캠작동하여 케리어와 가동단자를 간헐 회전작동하도록 하고, 하부하우징에는 복수의 고정단자가 조립되어, 상기 가동단자의 회전에 따라 접지상태를 온, 오프 작동하도록 된 푸쉬스위치에 있어서, 상부하우징과; 푸쉬버튼, 복귀스프링, 엑튜에이터 및 가동단자를 기 조립한 케리어; 및 복수의 고정단자를 일체로 성형 제작한 하부하우징으로 부품의 조립 수효를 최소화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상,하부하우징은 로크홈부와 로크돌기에 의해 상호 조립식으로 조립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엑튜에이터는 내부 삽입공의 입구부에 사각 테이퍼를 형성하여 케리어에 일정하게 삽입 안내하도록 하고, 상기 가동단자는 복수의 접점을 갖는 접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게 대향 형성하여 앞, 뒤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하며, 상기 하부케이싱의 저면에는 고정단자의 위치로 연통되게 땜질용홀을 형성하여 터미널은 물론 땜질에 의해 전선연결을 선택적으로 행하도록하는 푸쉬스위치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a,b,c는 본 발명의 하부하우징 성형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5a는 고정단자의 사시도,
도 5b는 고정단자가 인서트되게 성형된 하부하우징의 평면도,
도 5c는 성형 완료된 하부하우징의 측면도,
도 6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a는 하부하우징의 저면도,
도 6b는 하부하우징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하우징 11: 조립공
12: 로크홈부 20: 하부하우징
22: 로크돌기 25,25',25": 땜질용 홀
30: 푸쉬버튼 40: 엑튜에이터
43: 사각 테이퍼 50: 복귀스프링
60: 가동단자 70: 케리어
72: 걸림턱 81,82,83: 고정단자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하우징(10)(20)을 상호 열 융착에 의해 조립하되, 상부하우징(10)의 조립공(11)에는 푸쉬버튼(30)과 함께 엑튜에이터(40), 복귀스프링(50) 및 가동단자(60)를 케리어(70)에 삽입한 상태로 조립하여, 상기 푸쉬버튼(30)의 누름작동에 따라 엑튜에이터(40)가 캠작동하여 케리어(70)와 가동단자(60)를 간헐 회전작동하도록 하고, 하부하우징(20)에는 복수의 고정단자(81)(82)(83)가 조립되어, 상기 가동단자(60)의 회전에 따라 접지상태를 온, 오프 작동하도록 된 푸쉬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81)(82)(83)는 절곡된 상하 탄지편(84)(84')에 의한 연결부(85)와, 수지물의 충진을 위한 수지공(86)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수지공(86)으로 수지물이 유입되는 형태로 하부하우징(10)과 일체로 성형제작하고,
상기 케리어(70)의 상부에는 상단 외주연의 걸림턱(71)과, 상단 중앙에서 일정 길이까지 절결된 탄발홈부(72)를 형성하여, 복귀스프링(50), 엑튜에이터(40)를 상기 걸림턱(71)에 걸려 지지되게 삽입하고, 하부에는 가동단자(60)를 삽입하여 조립하도록 하며,
상기 상,하부 하우징(10)(20)은 외측면을 따라 복수의 로크홈부(12)와 로크돌기(22)를 대응 형성하여 상기 로크돌기(22)가 로크홈부(12)에 탄발적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상호 조립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엑튜에이터(40)는 내부에 사각의 단면형태로 된 케리어(70)가 삽입되도록 삽입공(42)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공(42)의 입구부는 사각 테이퍼(43)로 형성하여 케리어(70)를 일정하게 삽입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동단자(60)는 동일 원주상에 복수의 접점을 갖는 접지부(61)(62)를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는 형태로 대향되게 돌출 형성하여 케리어(70)상에 앞, 뒤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접지부(61)(62)는 도면상에는 네개씩 형성하였으나, 이는 3개 또는 그 밖의 복수의 수효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리 실시할 수 있는바, 이는 상기 하부케이싱(20)의 저면에 상기 고정단자(81)(82)(83)의 위치로 연통되게 땜질용홀(25)(25')(25")을 형성하여 터미널은 물론 땜질에 의한 전선연결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로서, 23은 하부하우징(20)에 형성된 케리어(70)의 조립홈부, 90은 터미널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하부하우징(20)을 복수의 고정단자(81)(82)(83)와 일체로 성형 제작하므로서, 부품의 수효를 단순화하였는데,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타발, 절곡성형한 고정단자(81)(82)(83)와 하부하우징(20)을 일체로 성형하되, 상기 고정단자의 각 수지공(86)으로 수지가 유입되어 일체로 고정되게 성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단자(81)(82)(83)는 고정단자 상호간을 일체로 유지하도록 연결하는 스크랩부분(87)을 절단하여 제거하므로서 고정단자(81)(82)(83)가 일체로 성형된 하부하우징(20)을 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단자(81)(82)(83)가 일체로 성형된 하부하우징(20)과, 나머지 각 부품을 상호 조립하게 된다.
즉, 상부하우징(10)에 푸쉬버튼(30), 엑튜에이터(40), 복쉬스프링(50) 및 케리어(70)를 차례로 상호 조립하되, 상기 엑튜에이터(40), 복귀스프링(50)은 상기 케리어(70)에 미리 조립한 조립체 상태로 상부하우징(10)에 조립을 행하게 된다.
이는, 상기 복귀스프링(50), 엑튜에이터(40)를 상기 케리어(70)에 삽입하되, 상단의 걸림턱(71)에 걸려 지지되게 삽입한 상태로 조립하므로서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리어(70)의 하부로는 가동단자(60)가 삽입되어 조립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제적인 조립작업에 있어서, 상부하우징(10)과, 푸쉬버튼(30)과, 엑튜에이터(40), 복쉬스프링(50), 케리어(70)의 조립체, 가동단자(60) 및 하부하우징(20)의 다섯부분의 부품만을 조립하면 되므로 조립이 단순화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엑튜에이터(40), 복쉬스프링(50), 케리어(70)를 조립체 형태로 상부하우징(10)에 조립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다수의 부품을 조립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립하는 것에 비해 그 조립작업은 매우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구성부품간의 조립에 있어서도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가동단자(60)의 경우에는 복수의 접점을 갖는 접지부(61)(62)를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는 형태로 대향 돌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가동단자(60)를 케리어(70)상에 앞, 뒤로 조립하여도 무관하다.
즉, 앞으로 조립하면 접지부(61)를 사용할 수 있고, 뒤집어서 조립하면 반대편의 접지부(62)에 의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엑튜에이터(40)의 경우에는 내부 삽입공(42)의 입구부에 사각 테이퍼(43)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사각단면 형태의 케리어(70)를 삽입시에 삽입공(42)에 단순히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사각 테이퍼(43)에 의해 삽입공(42)에 삽입, 조립되도록 안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부 하우징(10)(20)의 경우에는 상부하우징(1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로크홈부(12)에 이에 대응되는 위치로 형성된 하부하우징(20)의 로크돌기(22)를 탄발적으로 삽입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호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조립되는 각 구성부품의 수효를 최소화함은 물론 각 부품 상호간의 조립성을 편리하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은 상기 고정단자(81)(82)(83)의 연결부(85)를 통해 터미널(90)을 삽입하여 전원을 연결하도록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부(85)는 상하로 탄발작동하는 탄지편(84)(84')에 의해 터미널(90)을삽입, 이탈 시키는 작동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의 배선작업에 있어서도, 상기한 고정단자(81)(82)(83)에 터미널(90)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방법외에, 하부하우징(20)의 저면에 형성된 땜질용 홀(25)(25')(25")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단자(81)(82)(83)의 연결부(85)에 전선을 직접 삽입한 상태로 땜질을 하여 전원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터미널에 의하거나 땜질에 의한 다양한 방법으로 배선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부 하우징(10)(20)이 종래와 같이 열 융착에 의한 상호 조립이 아닌 로크돌기(22)와 로크홈부(12)에 의한 조립방식을 채택하기 때문에 상기 내부 부품의 문제가 있는 경우에, 상하부 하우징(10)(20)을 분리하여 그 손상된 부분품만을 교체할 수 있는 경제성도 부수적으로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주로 고정단자(81)(82)(83)와 가동단자(60)가 상하방향에서 당접되게 접지되는 형태만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러한 단자의 접지방식은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나, 상하 방향에서의 접지방식에 의한 접지력이 가장 우수하므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자(60)가 도면에서와 같이 케리어(70)의 하부에만 설치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케리어(70)에 삽입되는 복귀스프링(50)의 하단에 당접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며, 이러한 단순 구조의 변경정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의 푸쉬스위치는 각 부품을 부분적으로 일체 형성하거나 조립체 형태로 구성하므로서, 전체적인 조립을 위한 부품의 수효를 단순화하고 간략화함은 물론 각 부품 상호간의 조립방식을 간편하게 개선하므로서, 조립작업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하게 되고,
또한, 배선에 있어서도 터미널에 의한 방식은 물론 땜질에 의해 전선을 연결하도록 하므로서, 배선의 연결방식을 다양하게 제공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상,하부 하우징(10)(20)을 상호 열 융착에 의해 조립하되,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조립공(11)에는 푸쉬버튼(30)과 함께 엑튜에이터(40), 복귀스프링(50) 및 가동단자(60)를 케리어(70)에 삽입한 상태로 조립하여, 상기 푸쉬버튼(30)의 누름작동에 따라 엑튜에이터(40)가 캠작동하여 케리어(70)와 가동단자(60)를 간헐 회전작동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하우징(20)에는 복수의 고정단자(81)(82)(83)가 조립되어, 상기 가동단자(60)의 회전에 따라 접지상태를 온, 오프 작동하도록 된 푸쉬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81)(82)(83)는 절곡된 상하 탄지편(84)(84')에 의한 연결부(85)와, 수지물의 충진을 위한 수지공(86)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수지공(86)으로 수지물이 유입되는 형태로 하부하우징(10)과 일체로 성형제작하고,
    상기 케리어(70)의 상부에는 상단 외주연의 걸림턱(71)과, 상단 중앙에서 일정 길이까지 절결된 탄발홈부(72)를 형성하여, 복귀스프링(50), 엑튜에이터(40)를 상기 걸림턱(71)에 걸려 지지되게 삽입하고, 하부에는 가동단자(60)를 삽입하여 조립하도록 하며,
    상기 상,하부 하우징(10)(20)은 외측면을 따라 복수의 로크홈부(12)와 로크돌기(22)를 대응 형성하여 상기 로크돌기(22)가 로크홈부(12)에 탄발적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상호 조립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형 푸쉬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튜에이터(40)는 내부에 사각의 단면형태로 된 케리어(70)가 삽입되도록 삽입공(42)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공(42)의 입구부는 사각 테이퍼(43)로 형성하여 케리어(70)를 일정하게 삽입 안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형 푸쉬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자(60)는 동일 원주상에 복수의 접점을 갖는 접지부(61)(62)를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는 형태로 대향되게 돌출 형성하여 케리어(70)상에 앞, 뒤로 조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형 푸쉬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싱(20)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단자(81)(82)(83)의 위치로 연통되게 땜질용홀(25)(25')(25")을 형성하여 터미널은 물론 땜질에 의한 전선연결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로터리형 푸쉬스위치.
KR10-2001-0074901A 2001-11-29 2001-11-29 로터리형 푸쉬스위치 KR100455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901A KR100455858B1 (ko) 2001-11-29 2001-11-29 로터리형 푸쉬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901A KR100455858B1 (ko) 2001-11-29 2001-11-29 로터리형 푸쉬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219A true KR20030044219A (ko) 2003-06-09
KR100455858B1 KR100455858B1 (ko) 2004-11-06

Family

ID=2957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901A KR100455858B1 (ko) 2001-11-29 2001-11-29 로터리형 푸쉬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58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320B1 (ko) * 2003-07-16 2010-10-1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기 조화 장치용 로타리 스위치 조립체
CN107887213A (zh) * 2016-09-29 2018-04-06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具有机械式开关的按键结构及机械式开关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5708A (ko) 2015-07-06 2017-01-16 유철상 로터리형 푸쉬 스위치의 고정단자 구조
KR101789925B1 (ko) * 2016-06-05 2017-10-25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2293143B1 (ko) 2020-10-15 2021-08-25 주식회사 호수산업 조립식 관람석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7015A (en) * 1979-11-30 1982-02-23 Horace J. Buttner Multi-circuit switch assembly
JPH09161604A (ja) * 1995-11-30 1997-06-20 Yazaki Corp スイッチ装置
KR200222486Y1 (ko) * 1998-12-14 2001-07-19 이문성 회전식 푸쉬스위치용 단자구조_
KR200247001Y1 (ko) * 2001-06-07 2001-10-29 유철상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케이스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320B1 (ko) * 2003-07-16 2010-10-1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기 조화 장치용 로타리 스위치 조립체
CN107887213A (zh) * 2016-09-29 2018-04-06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具有机械式开关的按键结构及机械式开关
CN107887213B (zh) * 2016-09-29 2020-08-18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具有机械式开关的按键结构及机械式开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5858B1 (ko) 200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2752B2 (e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lamp
US7294022B1 (en) Vehicle power plug with a control switch
US6927512B2 (en)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a power tool
EP0622817B1 (en) Pushbutton switch with adjustable pretravel
US4665290A (en) Trigger operated portable electric tool switch
KR100455858B1 (ko) 로터리형 푸쉬스위치
GB2375657A (en) Multiple switched socket outlet
US6706987B1 (en) Rotary push switch
EP2752865B1 (en) Push switch
JP2006331888A (ja) スイッチ付きコンセント
US4200781A (en) Manual switch for portable tools
KR100295232B1 (ko) 스위치를갖는시프트노브의구조
US5436421A (en) Progressive switch
US5844184A (en) Swi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4496802A (en) Single in-line package switch
KR20190000633A (ko) 푸시 스위치 유닛
JPH10188736A (ja) シーソースイッチ
KR100298507B1 (ko) 스위치
US6808425B2 (en) Lamp socket
JPH0329221A (ja) ターミナルの製造方法
JP5054504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JPH0245949Y2 (ko)
JP2001143571A (ja) スイッチ装置
US20010012721A1 (en) Press-connecting connector
JPH021526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