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992Y1 - 크레인 - Google Patents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992Y1
KR200338992Y1 KR20-2003-0034736U KR20030034736U KR200338992Y1 KR 200338992 Y1 KR200338992 Y1 KR 200338992Y1 KR 20030034736 U KR20030034736 U KR 20030034736U KR 200338992 Y1 KR200338992 Y1 KR 200338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boom
rotated
r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도
Original Assignee
최재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도 filed Critical 최재도
Priority to KR20-2003-0034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9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9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66C23/53Floating cranes including counterweight or means to compensate for list, trim, or skew of the vessel or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4Slings with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2Luffing gear
    • B66C23/821Bracing equipment for booms
    • B66C23/823Bracing equipment acting in vertic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4Slewing gear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작업자가 이동가능하도록 계단이 형성되며,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조정장치를 구비한 작업실을 포함하며, 그 하방에는 단면이 원형인 원형부를 가지는 프레임부재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부재에 결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하중을 지지하도록 트러스 구조를 가지며, 물체를 걸 수 있는 제1고리를 가지는 붐부재와,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이격된 고정점에 그 일단이 고정되며, 그 타단은 상기 붐부재의 끝단과 결합되어 상기 붐부재가 회동된 위치에서 그 붐부재를 고정시키는 케이블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방에 마련되며, 그 프레임부재를 360 도 선회시키는 선회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1고리에 걸리는 하중과 대응하는 무게를 갖게 하여 상기 프레임부재를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하는 무게추를 포함하여, 선박의 갑판 위에서도 고 하중의 물체를 들어올리는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재가 360 도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60톤의 고 하중을 들어올릴 수 있으며, 배 위에서도 360 도 선회가 가능하며, 물체를 들어올리는 고리를 두 개 형성하여 두 개의 물체를 동시에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크레인{Crane}
본 고안은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의 선상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는 기계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크레인은 고정된 크레인과 이동식의 크레인 등이 있다.
또한, 그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서, 육지에서 사용되는 것과 선박 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크레인 중에서 선박의 갑판 위에서 사용되는 크레인의 경우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식 크레인이어서 사용하기에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즉, 그 위치가 고정된 크레인을 사용하는 경우는 이동되어야 할 물체를 크레인이 위치된 곳까지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시켜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선박 위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크레인은 통상적으로 적은 하중 만을 들어올릴 수 있는 크레인뿐이어서 그 사용에 또한 불편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크레인은 물체를 들어올리는 고리가 하나만 형성되어 있어 두 개의 물체를 동시에 들어올릴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선박 위에서 작업이 가능하며, 360 도 선회가 가능하며, 60 톤의 고하중을 들어올릴 수 있으며, 고리가 두 개 형성되어 두 개의 물체를 동시에 들어올릴 수 있는 크레인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붐부재의 회동각도에 따라 들어올릴 수 있는 하중이 다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선회부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부재 20. 붐부재
30. 케이블부재 40. 선회부재
50. 무게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은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작업자가 이동가능하도록 계단이 형성되며,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조정장치를 구비한 작업실을 포함하며, 그 하방에는 단면이 원형인 원형부를 가지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하중을 지지하도록 트러스 구조를 가지며, 물체를 걸 수 있는 제1고리를 가지는 붐부재와,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이격된 고정점에 그 일단이 고정되며, 그 타단은 상기 붐부재의 끝단과 결합되어 상기 붐부재가 회동된 위치에서 그 붐부재를 고정시키는 케이블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방에 마련되며, 그 프레임부재를 360 도 선회시키는 선회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1고리에 걸리는 하중과 대응하는 무게를 갖게 하여 상기 프레임부재를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하는 무게추를 포함하여, 선박의 갑판 위에서도 고 하중의 물체를 들어올리는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재가 360 도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에는 상기 붐부재의 끝단에 상기 제1고리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1고리에 걸리는 물체보다 작은 하중을 가지는 물체를 걸 수 있도록 마련된 제2고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의 상기 선회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원형부의 내주에 마련된 제1기어와, 상기 원형부에 내장되며, 상기 제1기어와 기어 결합된 제2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제2기어가 모터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기어가 회전되어 상기 프레임부재가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의 상기 케이블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고정되며, 줄을 감을 수 있는 윈치부와, 상기 고정점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도르레와, 그 일단은 상기 도르레와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붐부재의 끝단에 고정되며, 그 길이는 일정한 제1줄과, 그 일단은 상기 도르레에 감아걸리며, 그 타단은 상기 윈치부에 감아걸린 제2줄을 구비하여, 상기 붐부재가 회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2줄의 길이가 변화되어 상기 붐부재를 지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사시도를,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붐부재의 회동각도에 따라 들어올릴 수 있는 하중이 다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선회부재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100)은 프레임부재(10)와, 붐부재(20)와, 케이블부재(30)와, 선회부재(40)와, 무게추(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부재(10)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작업자가 이동 가능하도록 계단(11)이 형성되며,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조정장치를 구비한 작업실(13)을 포함하며, 그 하방에는 단면이 원형인 원형부(15)를 가진다. 즉, 상기 프레임부재(10)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100)의 골격을 이루는 부분인 것이다.
상기 붐부재(20)는 상기 프레임부재(10)에 결합된 힌지축(18)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을 지지하도록 트러스 구조를 가지며, 물체를 걸 수 있는 제1고리(21)를 가진다.
상기 붐부재(20)의 상기 제1고리(21)에 걸릴 수 있는 최대의 하중은 60 톤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2고리(23)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고리(23)는 상기 붐부재(20)의 끝단에 상기 제1고리(21)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1고리(21)에 걸리는 물체보다 작은 하중을 가지는 물체를 걸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케이블부재(30)는 상기 힌지축(18)으로부터 이격된 고정점(39)에 그 일단이 고정되며, 그 타단은 상기 붐부재(20)의 끝단과 결합되어 상기 붐부재(20)가 회동된 위치에서 그 붐부재(2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부재(30)는 윈치부(31)와, 도르레(33)와, 제1줄(35)과, 제2줄(3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윈치부(31)는 상기 프레임부재(10)에 고정되며,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줄을 감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도르레(33)는 상기 고정점(39)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제1줄(35)은 그 일단은 상기 도르레(33)와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붐부재(20)의 끝단에 고정되며, 그 길이는 일정하다.
상기 제2줄(37)은 그 일단은 상기 도르레(33)에 감아걸리며, 그 타단은 상기 윈치부(31)에 감아걸려 있다.
따라서, 상기 붐부재(20)가 회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2줄(37)의 길이가 변화되어 상기 붐부재(20)를 지탱하는 것이다.
상기 선회부재(40)는 상기 프레임부재(10)의 하방에 마련되며, 그 프레임부재(10)를 360 도 선회시키는 것으로, 제1기어(41)와 제2기어(4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기어(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원형부(15)의 내주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기어(43)는 상기 원형부(15)에 내장되며, 상기 제1기어(41)와 기어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제2기어(43)가 모터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기어(41)가 회전되어 상기 프레임부재(10)가 선회되는 것이다.
상기 무게추(50)는 상기 프레임부재(10)에 마련되며, 상기 제1고리(21)에 걸리는 하중과 대응하는 무게를 갖게 하여 상기 프레임부재(10)를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하는 것이다 .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기 크레인(100)은 60 톤의 하중을 들어 올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리(23)에 다른 물체를 걸어서 들어올릴 수도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제2고리(23)에는 약 10 톤의 무게를 들어올릴 수 있다.
이렇게, 60 톤의 하중을 들어 올릴 수 있는 상기 붐부재(20)의 각도는 수평방향에 대해서 약 63 도 내지 83 도 범위 내이다.
이어서, 작은 하중을 들어올릴 경우는 상기 크레인(100)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오게 한다. 즉, 상기 제2줄(37)을 상기 윈치부(31)로부터 풀려나오게 하면 상기 붐부재(20)가 상기 도 3과 같이 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는 약 30 톤의 하중을 들어올릴 수 있으며, 상기 붐부재(20)의 수평방향에 대한 각도는 약 34 도 정도이다.
이어서, 상기 크레인(100)을 선회시킬 필요가 있을 시에는 상기 선회부재(40)의 제2기어(43)를 모터(미도시)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기어(43)와 기어 결합된 제1기어(41)가 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원형부(15)와 프레임부재(10) 전체가 서서히 선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물체가 놓여진 곳으로 상기 크레인(100)이 선회되어 작업을 할 수가 있으므로, 물체를 크레인(100)이 위치된 방향으로 별도의 이동장치를 사용하여 이동시킬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에 의하면, 선박 위에서 작업이 가능하며, 360 도 선회가 가능하며, 60 톤의 고하중을 들어올릴 수 있으며, 고리가 두 개 형성되어 두 개의 물체를 동시에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작업자가 이동가능하도록 계단이 형성되며,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조정장치를 구비한 작업실을 포함하며, 그 하방에는 단면이 원형인 원형부를 가지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하중을 지지하도록 트러스 구조를 가지며, 물체를 걸 수 있는 제1고리를 가지는 붐부재;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이격된 고정점에 그 일단이 고정되며, 그 타단은 상기 붐부재의 끝단과 결합되어 상기 붐부재가 회동된 위치에서 그 붐부재를 고정시키는 케이블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방에 마련되며, 그 프레임부재를 360 도 선회시키는 선회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1고리에 걸리는 하중과 대응하는 무게를 갖게 하여 상기 프레임부재를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하는 무게추;를 포함하여,
    선박의 갑판 위에서도 고 하중의 물체를 들어올리는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재가 360 도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붐부재의 끝단에 상기 제1고리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1고리에 걸리는 물체보다 작은 하중을 가지는 물체를 걸 수 있도록 마련된 제2고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원형부의 내주에 마련된 제1기어와,
    상기 원형부에 내장되며, 상기 제1기어와 기어 결합된 제2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제2기어가 모터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기어가 회전되어 상기 프레임부재가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고정되며, 줄을 감을 수 있는 윈치부와,
    상기 고정점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도르레와,
    그 일단은 상기 도르레와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붐부재의 끝단에 고정되며, 그 길이는 일정한 제1줄과,
    그 일단은 상기 도르레에 감아걸리며, 그 타단은 상기 윈치부에 감아걸린 제2줄을 구비하여,
    상기 붐부재가 회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2줄의 길이가 변화되어 상기 붐부재를 지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KR20-2003-0034736U 2003-11-06 2003-11-06 크레인 KR200338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736U KR200338992Y1 (ko) 2003-11-06 2003-11-06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736U KR200338992Y1 (ko) 2003-11-06 2003-11-06 크레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667A Division KR20030086546A (ko) 2003-10-22 2003-10-22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992Y1 true KR200338992Y1 (ko) 2004-01-24

Family

ID=49422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736U KR200338992Y1 (ko) 2003-11-06 2003-11-06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9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030B1 (ko) * 2009-03-20 2012-03-14 박실룡 지브크레인
KR101875870B1 (ko) * 2016-12-30 2018-07-06 금원엔지니어링(주) 로프평형식 수평인입 크레인의 와이어리빙 설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030B1 (ko) * 2009-03-20 2012-03-14 박실룡 지브크레인
KR101875870B1 (ko) * 2016-12-30 2018-07-06 금원엔지니어링(주) 로프평형식 수평인입 크레인의 와이어리빙 설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4764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rane, and crane
KR20220016031A (ko) 풍력 터빈 부품을 인양하기 위한 크레인 시스템
KR200338992Y1 (ko) 크레인
JP4541678B2 (ja) 搭載艇揚降装置
US3148778A (en) Stiff leg derrick
US4183440A (en) Extensible boom
US6669038B1 (en) Self-propelled crane
KR20030086546A (ko) 크레인
KR20180111123A (ko) 크레인
KR20120019836A (ko) 선박 인양용 크레인
US4572383A (en) Crane
JPH06345377A (ja) クレーン用吊荷装置
JP4669692B2 (ja) クライミング型ジブクレーン
JPH0848489A (ja) ジブクレーンに於けるリヤポスト支持ケーブルの組付け方法
JP2012091877A (ja) 搭載艇揚降装置
JPS5943797A (ja) 旋回デリツク
JP2008007278A (ja) クレーン
JP2547044B2 (ja) クレーンにおけるジブの装脱方法及び装置
JPS6348798B2 (ko)
CN117049393B (zh) 一种吊装预制小箱梁的调节装置
KR101920181B1 (ko) 출몰형 브랜치붐을 구비한 붐대장치
JPH0324556Y2 (ko)
JP2004224520A (ja) 自走式タワークレーン
JPS6216914B2 (ko)
SU642809A1 (ru) Подъемно-мач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