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781Y1 - 집단시설용 우산꽂이 - Google Patents

집단시설용 우산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781Y1
KR200337781Y1 KR20-2003-0032418U KR20030032418U KR200337781Y1 KR 200337781 Y1 KR200337781 Y1 KR 200337781Y1 KR 20030032418 U KR20030032418 U KR 20030032418U KR 200337781 Y1 KR200337781 Y1 KR 200337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umbrella
present
drip tray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영일이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영일이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영일이이시스템
Priority to KR20-2003-0032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7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7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단시설용 우산꽂이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의 길이에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우산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이 편리하고, 비가 오지 않는 기간에는 화분받침대로 활용하거나 그외 기타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용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고안은 4개의 지지봉체(11)에 지지되어 하부 받침대(12)에 상면이 개방된 물받이(13)가 놓여지고, 상기 물받이(13) 상에 촘촘한 지지그물망(14)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봉체(11) 상단의 상부 테두리(15) 내측으로는 복수의 가로봉체(16) 및 세로봉체(17)에 의해 사각형상의 꽂이부(19)가 다수 형성된 상부 격자망(18)을 구성하고, 상기 상부 테두리(15)와 약간 이격된 하부 테두리(20) 내측으로는 상기 상부 격자망(18)과 동일한 크기의 단위 격자를 가지는 1차망(21)과 그 아래에 상기 1차망(21)의 단위 격자 안에 포함되는 단위 격자를 가지도록 가로봉체(16')와 세로봉체(17')가 구비되어 2차망(22)으로 이루어진 하부 격자망(23)을 구성한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은 우산의 길이에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우산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이 편리하고, 비가 오지 않는 기간에는 화분받침대로 활용함을 비롯해 기타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실용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집단시설용 우산꽂이{The umbrella stand for group buildings}
본 고안은 집단시설용 우산꽂이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의 길이에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우산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이 편리하고, 비가 오지 않는 기간에는 화분받침대로 활용하거나 그외 기타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용성을 높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기업체, 금융기관, 행정기관의 민원실 등 많은 사람들이 출입하며 공용으로 사용하게 되는 건물의 출입구에는 비가 오는 날 사용된 우산을 수용하기 위한 우산꽂이를 비치하게 되며, 종래의 우산꽂이는 통상 물이 새지 않도록 바닥이 밀폐된 플라스틱통에 무작위로 우산을 꽂을 수 있도록 된 바, 플라스틱통 내의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크고 작은 많은 우산들이 서로 엉키어짐에 따라 타인의 우산에 의해 우산 내부로 물이 스며들어 젖게 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며, 우산을 다시 빼내 가져 갈 때 다른 우산과 함께 플라스틱통으로부터 빠져나와 주변이 물과 우산들로 어지럽혀지는 것이고, 우산을 꽂았다 빼는 일이 반복될수록 이러한 폐단이 심화되어 플라스틱통 자체가 넘어져 우산꽂이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며, 우산이 부러지는 손상을 입기도 하고, 한꺼번에 마구잡이로 꽂혀진 우산들 중에서 자신의 우산을 식별하여 찾아내기가 어려워 남의 우산과 바뀐 채 들고 가게 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보다 개선된 우산꽂이로서, 철제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구획된 칸마다 우산을 꽂을 수 있게 된 것이 제공되었으나, 이의 경우, 손잡이가 고리 형태로 되고 길이가 긴 우산에 한해서 용이하게 꽂아 고정할 수 있는 한계가 있었으며, 우산이 꽂혀진 상태에서 다시 빼어 낼 때 상부가 펼쳐져 걸림됨에 따라 쉽게 빠지지 않는 등의 문제로 인해 우산을 꽂기 전에 꼭 말아서 잠궈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는 것이었다.
한편, 백화점 등과 같은 곳에서는 비가 올 때 출입구에 각자가 우산을 넣을 수 있도록 크기에 맞는 비닐팩을 구비하여 사용케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많은 사람이 일시에 모일 경우 출입구의 혼잡을 초래하고, 일회용의 비닐팩이 낭비되어 경제적으로 손실을 유발케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우산꽂이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우산의 길이에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우산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이 편리하고, 비가 오지 않는 기간에는 화분받침대로 활용하거나, 그외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실용성을 높임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하부 격자망 평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지지봉체 11' : 하부 받침구 11" : 마감캡
12 : 받침대 13 : 물받이 14 : 지지그물망
15 : 상부 테두리 16,16' : 가로봉체 17,17' : 세로봉체
18 : 상부 격자망 19 : 꽂이부 20 : 하부 테두리
21 : 1차망 22 : 2차망 23 : 하부 격자망
본 고안은 집단시설용 우산꽂이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의 길이에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우산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이 편리하고, 비가 오지않는 기간에는 화분받침대로 활용하는 등의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실용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고안은 4개의 지지봉체에 지지되어 하부에는 상면이 개방된 물받이가 구비되고, 상부로는 상, 하부 테두리 내에 꽂이부를 형성한 격자망을 일체로 형성 구비하여, 격자망의 각 구획된 꽂이부 칸마다 하나의 우산을 꽂을 수 있도록 구성하되, 길이가 길고 짧은 모든 종류의 우산이 꽂아 사용할 수 있으며, 비가 오지 않을 때에는 화분 받침대로 활용하거나, 기타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하부 격자망 평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이며, 이하 자세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각 모서리에 입설되는 4개의 지지봉체(11), 상기 지지봉체(11)에 지지되어 하부 내측으로 받침대(12)에 지지되어 상부면이 개방된 형태의 물받이(13), 그 상측으로는 구비되는 같은 크기의 상, 하부 테두리(15)(20), 상기 상부 테두리(15) 내측에 가로 및 세로봉체(16)(17)에 의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다수의 꽂이부(19)를 갖는 상부 격자망(18), 상기 하부 테두리(20) 내측으로는상단으로 큰 격자형의 1차망(21)과 하단으로 상기 1차망(21)보다 작은 크기가 되도록 2차망(22)을 구비하여 된 하부 격자망(23)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봉체(11)는 스텐레스를 재질로 하여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봉체로, 하단부에는 고무재질의 하부 받침구(11')가 구비되고, 상단부로는 마감캡(11")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봉체(11)의 하부 내측에는 촘촘한 지지그물망(14)이 구비되고, 그 아래로 상부면이 개방되고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된 넓은 물받이(13)가 받침대(12)상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체(11)의 상부로는 상기 물받이(13)와 같은 크기로 상부 테두리(15)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테두리(15)의 내측으로는 가로봉체(16)와 세로봉체(17)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서로 격자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구획된 사각형상의 꽂이부(19)를 다수 형성하여 상부 격자망(18)을 구성하고, 이와 약간 이격되어 하부 테두리(20)가 구비되며, 하부 테두리(20) 내측으로는 하부 격자망(23)을 구비하되, 상단측에 상기 상부 격자망(18)과 동일한 크기의 1차망(21)을 형성하고, 하단측에 상기 1차망(21)의 단위 격자보다 작은 격자를 가지도록 하는데, 즉, 상기 1차망(21)을 형성하는 가로봉체(16) 및 세로봉체(17)의 위치에서 이웃하는 가로 및 세로봉체(16)(17) 사이 내측에 2차망(22)의 가로 및 세로봉체(16')(17')가 각각 위치하여 하부 테두리(20)의 하단측에 구비되어 1차망(21)과 약간 이격되게 구성된 것으로, 1차망(21)의 단위 격자 사각형 내부에 2차망(22)의 단위 격자 사각형이 포함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우산꽂이는 지지봉체(11), 받침대(12), 물받이(13), 지지그물망(14), 상, 하부 테두리(15)(20), 상, 하부 격자망(15)(20)을 구성하는 가로 및 세로봉체(16)(16')(17)(17')가 각각 제조되어 용접 작업을 통해 일체화되는 것이며, 이는 학교나 각종 기관의 출입구에 비치된 상태에서 상측으로부터 상부 격자망(18)의 꽂이부(19)를 거쳐 하부 격자망(23)을 관통해 우산의 손잡이 타측단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꽂혀지게 되고, 길이가 긴 우산의 경우 지지그물망(14)에 받쳐지며 길이가 짧은 우산의 경우 하부 격자망(23)의 2차망(22)에 받침되어 고정되며, 우산꽂이에 우산이 꽂혀진 상태에서 젖은 우산으로부터 물이 흘러내릴 경우 물받이(13)에 의해 효과적으로 모아져 주변환경을 어지럽히는 일 없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우산꽂이는 비가 오지 않는 날에는 상부 격자망(18) 상에 미려한 꽃이나 작은 나무 등이 심겨진 화분을 올려 두는 화분 받침대로서 활용함으로써, 화분에 준 물이 하부 물받이(13)에 용이하게 모아지도록 하여 별도의 화분 받침대를 구비하거나 좁은 화분 받침대 밖으로 물이 넘쳐 흘러 바닥을 어지럽히는 일이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우산의 길이에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우산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이 편리하고, 비가 오지 않는 기간에는 화분받침대로 활용하는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실용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4개의 지지봉체(11)에 지지되어 하부 받침대(12)에 상면이 개방된 물받이(13)가 놓여지고, 상기 물받이(13) 상에 촘촘한 지지그물망(14)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봉체(11) 상단의 상부 테두리(15) 내측으로는 복수의 가로봉체(16) 및 세로봉체(17)에 의해 사각형상의 꽂이부(19)가 다수 형성된 상부 격자망(18)을 구성하고, 상기 상부 테두리(15)와 약간 이격된 하부 테두리(20) 내측으로는 상기 상부 격자망(18)과 동일한 크기의 단위 격자를 가지는 1차망(21)과 그 아래에 상기 1차망(21)의 단위 격자 안에 포함되는 단위 격자를 가지도록 가로봉체(16')와 세로봉체(17')가 구비되어 2차망(22)으로 이루어진 하부 격자망(23)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시설용 우산꽂이.
KR20-2003-0032418U 2003-10-16 2003-10-16 집단시설용 우산꽂이 KR200337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418U KR200337781Y1 (ko) 2003-10-16 2003-10-16 집단시설용 우산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418U KR200337781Y1 (ko) 2003-10-16 2003-10-16 집단시설용 우산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781Y1 true KR200337781Y1 (ko) 2004-01-07

Family

ID=4942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418U KR200337781Y1 (ko) 2003-10-16 2003-10-16 집단시설용 우산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7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417B1 (ko) 2005-03-25 2006-07-03 김관영 우산꽂이겸용 화분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417B1 (ko) 2005-03-25 2006-07-03 김관영 우산꽂이겸용 화분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80172A1 (en) Rotating Plant Containing Module With Self-Contained Irrigation System
JP2011505852A (ja) ウォールフラワーの観賞用装置及び植物の垂直栽培方法
KR20190027853A (ko)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
US9516821B1 (en) Self-watering planter insert assembly
US6964129B2 (en) Multifunctional container system
KR200337781Y1 (ko) 집단시설용 우산꽂이
KR200412646Y1 (ko) 집단시설용 우산꽂이
US20200332527A1 (en) Planter block
US20210015054A1 (en) Planting panel for vertical garden
TW200939946A (en) Container unit for planting trees and method of planting trees by using the container
US3290820A (en) Floral arranger
KR200436996Y1 (ko) 걸이식화분
JP3157945U (ja) 緑化パネル
US20120255226A1 (en) Plant Water Catch Basin
CN206101024U (zh) 植物墙面板
KR101099546B1 (ko)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
JP5258998B1 (ja) ハンギングバスケット
KR20160002513U (ko) 여닫이문 벽걸이 정원
GB2051536A (en) Container for plants
JP2001061350A (ja) 木を植えるプランター
CN108064606A (zh) 一种挂墙花盆
US20230107469A1 (en) Rainwater Collecting Apparatus
CN201968397U (zh) 伞立
JP3578676B2 (ja) 花挿し器付花器
CA2409685C (en) Multifunctional contain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