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153Y1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_ - Google Patents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153Y1
KR200337153Y1 KR2019980025987U KR19980025987U KR200337153Y1 KR 200337153 Y1 KR200337153 Y1 KR 200337153Y1 KR 2019980025987 U KR2019980025987 U KR 2019980025987U KR 19980025987 U KR19980025987 U KR 19980025987U KR 200337153 Y1 KR200337153 Y1 KR 200337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in
voltage terminal
connection ring
ring portion
flyback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899U (ko
Inventor
승 방 홍
Original Assignee
파츠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츠닉(주) filed Critical 파츠닉(주)
Priority to KR2019980025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153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8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8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1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85Maintaining dc voltage const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027/297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with pin-like terminal to be inserted in hole of print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코일이 다수 회 권회되는 원통형상의 몸체부의 외주연 양단에 다수 개의 고압 단자핀을 구비한 고압보빈과, 저압 단자핀이 접속되는 상기 다수 개의 고압 단자핀 중 어느 하나의 고압 단자핀에 연결되는 도체선을 구비한 애노드 와이어 및 저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고압 단자핀 중 어느 하나의 고압 단자핀은, 상기 저항이 끼움 접속될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 감겨진 접속링부와, 상기 애노드 와이어의 도체선이 끼움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링부로부터 평행 이격된 위치에 링형상으로 감겨진 연결링부와, 상기 접속링부 및 연결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저압 단자핀을 탄성 조임 결합시키는 탄성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애노드 와이어의 도체선 및 저항, 저압 단자핀이 접속되는 고압 단자핀의 구조를 개선하여 납땜 접속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결속력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A terminal pin connecting structure of flyback transformer}
본 고안은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노드 와이어의 도체선 및 저항, 저압 단자핀이 접속되는 고압 단자핀의 구조를 개선하여 그 접속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의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lyback Transformer)는,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수평편향 출력의 귀선기간에 생기는 펄스를 이용하여 수상관용 고압을 얻기 위한 단권 변압기를 말한 것으로, 저압보빈(10)과 고압보빈(20)을 내부에 수용하는 몰딩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몰딩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포커스 팩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 케이스의 바깥쪽으로는 포커스 와이어, 스크린 와이어, 애노드 와이어(30) 등이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저압보빈(10)은 코일이 다수 회 권회되는 원통형상의 바디부(11)와, 상기 바디부(11)의 하단에 구비되어 메인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다수 개의 저압 단자핀(12),(12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압보빈(10)을 내장하는 고압보빈(20)은 원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코일이 다수 회 권회되는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의 외주연 양단에 구비되어 다수 개의 다이오드(40) 및 저항(50)이 접속되는 다수 개의 고압 단자핀(2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압 단자핀(22) 중 어느 하나의 고압 단자핀(22)은 한글 자음 디귿(⊂)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그 일단에는 애노드 와이어(30)의 도체선(31)이 직접 납땜 접속되고 타단에는 다수 개의 저압 단자핀(12),(12a) 중 어느 하나의 저압 단자핀(12a) 및 저항(50)이 함께 납땜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저항(50)은 고압보빈(20)에 흐르는 불안정한 전류를 안정시키기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다이오드(40)는 코일에 흐르는 맥동전류(Pulsating Crrent)를 정류하여 포커스 전압 및 스크린 전압의 원활한 공급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는 저압보빈(10)의 다수 개의 저압 단자핀(12),(12a) 중 어느 하나의 저압 단자핀(12a)이 고압 보빈의 고압 단자핀(22)에 접촉된 후 납땜 결합되는 구조로 접속되므로 인하여, 그 납땜공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납땜 접속 후 상호 분리되어버리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는 커다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애노드 와이어의 도체선 및 저항, 저압 단자핀이 접속되는 고압 단자핀의 구조를 개선하여 납땜 접속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그 결속력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저압보빈 및 고압보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저압보빈 및 고압보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저압보빈 110 : 바디부
120,120a : 저압 단자핀 200 : 고압보빈
210 : 몸체부 220,220a : 고압 단자핀
221a : 접속링부 222a : 연결링부
223a : 탄성 결합부 223b : 탄성편
230 : 애노드 와이어 231 : 도체선
240 : 다이오드 250 : 저항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코일이 다수 회 권회되는 원통형상의 몸체부의 외주연 양단에 다수 개의 고압 단자핀을 구비한 고압보빈과, 저압 단자핀이 접속되는 상기 다수 개의 고압 단자핀 중 어느 하나의 고압 단자핀에 연결되는 도체선을 구비한 애노드 와이어 및 저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고압 단자핀 중 어느 하나의 고압 단자핀은, 상기 저항이 끼움 접속될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 감겨진 접속링부와, 상기 애노드 와이어의 도체선이 끼움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링부로부터 평행 이격된 위치에 링형상으로 감겨진 연결링부와, 상기 접속링부 및 연결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저압 단자핀을 탄성 조임 결합시키는 탄성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저압보빈 및 고압보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고압보빈(200)의 내주연에 저압보빈(100)이 끼움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저압보빈(100)은 코일이 다수 회 권회되는 원통형상의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의 하단에 구비되어 메인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다수 개의 저압 단자핀(120),(120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압보빈(100)을 내장하는 고압보빈(200)은 원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코일이 다수 회 권회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외주연 양단에 구비되어 다수 개의 다이오드(240) 및 저항(250)이 접속되는 다수 개의 고압 단자핀(220),(220a)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압 단자핀(220),(220a) 중 어느 하나의 고압 단자핀(220a)은 상기 저항(250)이 끼움 접속될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 감겨진 접속링부(221a)와, 상기 애노드 와이어(230)의 도체선(231)이 끼움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링부(221a)로부터 평행 이격된 위치에 링형상으로 감겨진 연결링부(222a)와, 상기 접속링부(221a) 및 연결링부(222a)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저압 단자핀(120a)을 탄성 조임 결합시키는 탄성 결합부(223a)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 결합부(223a)는 상기 접속링부(221a) 및 연결링부(222a)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저압 단자핀(120a)을 향하여 평행하게 연장된 후 다시 상기 저압 단자핀(120a)이 끼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호 밀착 접촉되는 복수 개의 탄성편(223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속링부(221a) 및 연결링부(222a)는 저항(250) 및 애노드 와이어(230)의 도체선(231)을 자연스럽게 끼움 받아들여 밀착 지지하므로써 그 납땜 접속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그 결속력을 더욱 증진시키는 작용을 하며, 상기 탄성 결합부(223a)의 복수 개의 탄성편(223b)은 저압 단자핀(120a)을 탄성적으로 끼움 받아들여 밀착 접속될 수 있도록 하여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조립작업 도중에 발생될 수 있는 외부의 충격 및 접촉에 의한 이탈현상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에 의하면, 애노드 와이어(230)의 도체선(231) 및 저항(250), 저압 단자핀(120a)이 접속되는 고압 단자핀(220a)의 구조를 개선하여 납땜 접속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결속력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코일이 다수 회 권회되는 원통형상의 몸체부(210)의 외주연 양단에 다수 개의 고압 단자핀(220),(220a)을 구비한 고압보빈(200)과, 저압 단자핀(120a)이 접속되는 상기 다수 개의 고압 단자핀(220),(220a) 중 어느 하나의 고압 단자핀(220a)에 연결되는 도체선(231)을 구비한 애노드 와이어(230) 및 저항(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고압 단자핀(220),(220a) 중 어느 하나의 고압 단자핀(220a)은,
    상기 저항(250)이 끼움 접속될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 감겨진 접속링부(221a)와,
    상기 애노드 와이어(230)의 도체선(231)이 끼움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링부(221a)로부터 평행 이격된 위치에 링형상으로 감겨진 연결링부(222a)와,
    상기 접속링부(221a) 및 연결링부(222a)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저압 단자핀(120a)을 탄성 조임 결합시키는 탄성 결합부(223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부(223a)는 상기 접속링부(221a) 및 연결링부(222a)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저압 단자핀(120a)을 향하여 평행하게 연장된 후 다시 상기 저압 단자핀(120a)이 끼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호 밀착 접촉되는 복수 개의 탄성편(223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
KR2019980025987U 1998-12-22 1998-12-22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_ KR200337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987U KR200337153Y1 (ko) 1998-12-22 1998-12-22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987U KR200337153Y1 (ko) 1998-12-22 1998-12-22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899U KR20000012899U (ko) 2000-07-15
KR200337153Y1 true KR200337153Y1 (ko) 2004-02-14

Family

ID=49341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987U KR200337153Y1 (ko) 1998-12-22 1998-12-22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15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595A (ko) * 2000-06-07 2001-12-13 전형구 고압보빈과 저압보빈을 접속하는 입력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899U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715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_
KR100304375B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200202664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단자 결합구조
KR200226391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애노드 캡 구조
KR19990039854U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200145772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0165949B1 (ko) 플라이백 변성기
KR0137547Y1 (ko) 고압 발생기의 자동 브라이트 레벨 인덕터 및 저항 설치구조
KR960032524A (ko) 플라이백 변성기
KR101897904B1 (ko) 전기히터 트랜스용 보빈
KR890009000Y1 (ko) 정류부가 내장된 트랜스포머(Trans Former)
KR19990039852U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200152061Y1 (ko) 고압보빈의 abl 단자
KR930004828Y1 (ko) 플라이백 트랜스의 포커스팩 입력과 애노드출력 결선장치
JPS5932228Y2 (ja) 端子ピン
JPH0110900Y2 (ko)
KR0167639B1 (ko) 고압발생기의 인덕터 및 저항 납땜구조
KR20017618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 보빈과 포커스 팩의 전기적 접속 구조
KR100266772B1 (ko)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
KR0140589Y1 (ko) 포커스 팩의 입력 단자 결합구조
JPS6316314Y2 (ko)
KR200156830Y1 (ko) 플라이백 트랜스의 일체형 보빈에서 에이비엘(abl)핀 삽입 구조
JPH0448016Y2 (ko)
JPH0536258Y2 (ko)
KR0184957B1 (ko) 고압발생기의 포커스 팩 접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