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6772B1 -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 - Google Patents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6772B1
KR100266772B1 KR1019970032599A KR19970032599A KR100266772B1 KR 100266772 B1 KR100266772 B1 KR 100266772B1 KR 1019970032599 A KR1019970032599 A KR 1019970032599A KR 19970032599 A KR19970032599 A KR 19970032599A KR 100266772 B1 KR100266772 B1 KR 100266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diode
bleed
support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994A (ko
Inventor
오영환
Original Assignee
권호택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호택,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호택
Priority to KR101997003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6772B1/ko
Publication of KR19990009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Resistors (AREA)

Abstract

고압보빈의 외주면에 설치된 다이오드 리드와 브리드 저항 리드의 연결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불량율도 줄일 수 있도록 해주며, 다이오드 리드가 삽입될 수 있게 마주보는 부분의 끝단이 하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절곡되어 형성된 V자형태의 다이오드 리드 삽입부, 다이오드 리드 삽입부 둘레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어 지지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적어도 2면 이상을 둘러싸는 장착부 및 장착부 일측에 돌출 되게 형성되고 브리드 저항의 리드가 납땜에 의해 접합되는 브리드 저항 리드 납땜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에 관한 발명.

Description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
본 발명은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압보빈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다이오드 리드를 지지하여주는 지지대에 설치되어 다이오드 리드와 브리드 저항 리드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발생기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다이오드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다이오드는 고압보빈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대에 지지되어 있는 데, 이 다이오드는 브리드 저항과 연결되어 있다. 브리드 저항은 부하에 병렬로 접속하여 일정 전류를 흘리는 저항으로 여기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부하전류는 증가하게 되는 데 부하전류의 변화에 의한 전압의 변동을 억제하므로 써 전압 변동율을 개선하고, 또한 출력 전압을 분압하여 필요한 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이다.
제 1도는 일반적인 다이오드와 브리드 저항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고압보빈과 저압보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1도에는 고압보빈(10)이 도시되어 있다. 이 고압보빈(10)의 내주면에는 저압보빈(20)이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보빈(10)의 외주면에는 코일(11)이 감길 수 있는 홈(12)들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여러 개의 다이오드 지지대(13)가 마주보고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이오드 지지대(13)의 상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V자형태의 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다이오드 지지대(13)에는 리드(32)를 통해 다이오드(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다이오드 리드(32)의 끝단에는 코일(11)이 연결되어 있다. 이 코일(11)은 다이오드 리드(32)의 끝단에 감겨진 상태에서 납땜에 의해 연결된다.
다이오드 지지대(13)에 이웃하여 브리드 저항(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브리드 저항(40)은 고압보빈(10)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턱(15)에 장착되어 있으며, 브리드 저항 리드(42)는 다이오드 리드(32)와 연결되어 있다.
제 1도에서 알 수 있듯이 일측의 다이오드 리드(32)에는 코일(11)과 브리드 저항 리드(42)가 각각 연결된다. 그 연결과정은 먼저 다이오드 리드(32)에 코일(11)을 감아 납땜하고 다시 브리드 저항 리드(42)를 연결하여 납땜하여야 한다.
제 1도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다이오드 리드(32)와 브리드 저항 리드(42)를 연결하는 경우 코일(11)이 납땜되어 있는 다이오드 저항 리드(32)에 다시 브리드 저항 리드(42)를 납땜하여야 하므로 그 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납땜한 자리에 또다시 납땜함에 따라 불량이 많이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브리드 저항 리드(42)와 다이오드 리드(32)는 그 직경이 작아 서로 연결하여 납땜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보빈의 외주면에 설치된 다이오드 리드와 브리드 저항 리드의 연결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불량율도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다이오드와 브리드 저항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고압보빈과 저압보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가 적용된 고압보빈과 저압보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압보빈 11 : 코일
12 : 홈 13 : 다이오드 지지대
14 : 삽입홈 15 : 지지턱
20 : 저압보빈 30 : 다이오드
32 : 다이오드 리드 40 : 브리드 저항
42 : 브리드 저항 리드 100 :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
102 : 삽입부 104 : 장착부
106 : 납땜부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보빈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다이오드의 리드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설치되어 브리드 저항의 리드와 상기 다이오드 리드를 용이하게 접속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에 있어서, 다이오드 리드가 삽입될 수 있게 마주보는 부분의 끝단이 하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절곡되어 형성된 V자형태의 다이오드 리드 삽입부, 다이오드 리드 삽입부 둘레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어 지지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적어도 2면 이상을 둘러싸는 장착부 및 장착부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브리드 저항의 리드가 납땜에 의해 접합되는 브리드 저항 리드 납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가 적용된 고압보빈과 저압보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 3도는 제 2도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2도에는 고압보빈(10)이 도시되어 있다. 이 고압보빈(10)의 내주면에는 저압보빈(20)이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보빈(10)의 외주면에는 코일(11)이 감길 수 있는 홈(12)들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여러 개의 다이오드 지지대(13)가 마주보고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이오드 지지대(13)의 상면에는 V자형태의 삽입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홈(14)은 다이오드 리드(32)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일측의 다이오드 지지대(13)에는 제 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100)가 결합되어 있다. 이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100)는 제 3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 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100)는 삽입부(10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삽입부(102)는 다이오드 리드(32)가 삽입될 수 있게 마주보는 부분의 끝단이 하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대략 V자형태를 취하고 있다.
다이오드 리드 삽입부(102) 둘레로는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어 지지대(13)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적어도 2면 이상을 둘러싸는 장착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104)는 지지대(13)의 측면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지지대(13)에 끼워진 상태에서 소정의 탄성을 갖고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장착부(104) 일측에는 브리드 저항 리드 납땜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브리드 저항 리드 납땜부(106)는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브리드 저항 리드(42)를 용이하게 납땜에 의해 접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100)는 브리드 저항 리드(42)가 연결되는 부분에만 설치되어 있다.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 지지대(13)에는 리드(32)를 통해 다이오드(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100)가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13)에서 다이오드 리드(32)는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100)의 삽입부(102)에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다이오드 리드(32)의 끝단에는 코일(11)이 연결되어 있다. 이 코일(11)은 다이오드 리드(32)의 끝단에 감겨진 상태에서 납땜에 의해 연결된다.
다이오드 지지대(13)에 이웃하여 브리드 저항(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브리드 저항(40)은 고압보빈(10)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턱(15)에 장착되어 있다. 이 브리드 저항(40)의 양 끝단으로는 브리드 저항 리드(42)가 각각 인출되어 있다. 이 브리드 저항 리드(42)는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100)의 브리드 저항 리드 납땜부(106)에 연결되어 있다.
즉, 브리드 저항 리드(42)가 인출되는 쪽의 지지대(13)에는 제 3도 연결단자(100)를 장착한다. 그 상태에서 다이오드 리드(32)를 지지대(13)의 삽입홈(14)과 연결단자(100)의 삽입부(102)에 삽입하여 다이오드(30)를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다이오드 리드(32)에 코일(11)을 감아 납땜한다. 그런 다음 브리드 저항 리드(42)는 연결단자(100)의 납땜부(106)에 납땜한다.
즉, 1차 납땜된 부분에 다시 납땜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납땜하기 어려운 다이오드 리드(32)와 브리드 저항 리드(42)를 서로 직접 납땜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 단자를 이용하면 코일과 다이오드 리드의 납땜부위에 다시 브리드 저항 리드를 납땜하지 않아도 되므로 납땜작업이 쉬워 생산상이 향상되고 불량율도 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그 직경이 매우 작은 브리드 저항 리드와 다이오드 리드를 직접 납땜에 의해 연결하지 않아도 되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제작공정이 더욱 쉬어진다.

Claims (1)

  1. 고압보빈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다이오드의 리드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설치되어 브리드 저항의 리드와 상기 다이오드 리드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리드가 삽입될 수 있게 마주보는 부분의 끝단이 하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절곡되어 형성된 V자형태의 다이오드 리드 삽입부; 상기 다이오드 리드 삽입부 둘레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적어도 2면 이상을 둘러싸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브리드 저항의 리드가 납땜에 의해 접합되는 브리드 저항 리드 납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
KR1019970032599A 1997-07-14 1997-07-14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 KR100266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599A KR100266772B1 (ko) 1997-07-14 1997-07-14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599A KR100266772B1 (ko) 1997-07-14 1997-07-14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994A KR19990009994A (ko) 1999-02-05
KR100266772B1 true KR100266772B1 (ko) 2000-09-15

Family

ID=1951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599A KR100266772B1 (ko) 1997-07-14 1997-07-14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67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994A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1463A (en) High voltage transformer
KR100266772B1 (ko) 고압보빈의 브리드 저항 연결단자
JP4737621B2 (ja) 巻線部品
JP2009218425A (ja) コイル部品及び巻線端末の接続固定方法
US6580349B2 (en) Guiding device for guiding conducting wire soldered on printed circuit board
FI902058A0 (fi) Spolhus foer elektriska spolar.
US5742218A (en) Flyback transformer
JP3222336U (ja) 変圧器又はインダクタのリール台の線材繰出端結合構造
US5815378A (en) Flyback transformer
JPS5932228Y2 (ja) 端子ピン
KR200149069Y1 (ko) 변압기의 리이드 인출 구조
KR20033715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접속구조_
KR0137547Y1 (ko) 고압 발생기의 자동 브라이트 레벨 인덕터 및 저항 설치구조
KR0128566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포커스 유니트 입력단자 결합구조
KR900005942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고압코일권선 보빈의 고압고저항 취부구조
JP2607217Y2 (ja) 電磁装置
KR0116454Y1 (ko) 포커스팩 입력단자 결합구를 가진 고압보빈
KR011900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과 인덕터 및 저항 결합구조
KR19990000281U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보빈의 단자
JPH0754993Y2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KR0137549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저압보빈 단락유무 확인용 지그
KR930004828Y1 (ko) 플라이백 트랜스의 포커스팩 입력과 애노드출력 결선장치
JP2976508B2 (ja) 高圧発生用トランス装置
KR0140589Y1 (ko) 포커스 팩의 입력 단자 결합구조
KR970001887Y1 (ko) 적층형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저압 단자핀 접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