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150Y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150Y1
KR200337150Y1 KR20-2003-0032092U KR20030032092U KR200337150Y1 KR 200337150 Y1 KR200337150 Y1 KR 200337150Y1 KR 20030032092 U KR20030032092 U KR 20030032092U KR 200337150 Y1 KR200337150 Y1 KR 200337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support member
fixing bracket
rota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2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1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본체의 양측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피커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본체(20)와; 디스플레이본체(20)의 양측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하부면에는 결합부(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스피커(30)와; 디스플레이본체(20)의 양측부 상·하단에 한 쌍으로 설치되며, 스피커(30)의 결합부(32)와 대응되는 회전지지홀(42)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래킷(40)과; 고정브래킷(40)의 회전지지홀(42)을 통해 스피커(30)의 결합부(32)에 결합되어, 스피커(30)를 지지함과 아울러 고정브래킷(40)에 대해 스피커(30)를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하는 지지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스피커의 회전에 따른 본체와의 결합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조립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APPARATUS}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본체의 양측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피커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는 브라운관 면에 문자나 도형의 형식으로 데이터(data)를 표시하는 여러 종류의 장치들을 포괄하여 일컫는 말이며, 평판형 표시장치의 일종인 엘씨디(LCD)·피디피(PDP) 텔레비젼이 그 대표적인 것이다.
최근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기능성 및 사용성이 보다 향상된 여러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엘씨디(LCD)·피디피(PDP) 텔레비젼 대부분은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스피커(speaker)는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輻射)하는 음향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청자의 기호에 맞는 최적의 음향청취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본체와 스피커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피커를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를 지닌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수가 기 출원(출원번호:10-1998-0035497,10-1998-0040748 등)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피커를 회전시키는 데 따른 부품 수가 많아 그 결합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할 뿐 아니라 결합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성이 상대적으로 저하될 뿐 아니라 그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피커의 회전에 따른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디자인 측면에서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스피커의 회전에 따른 본체와의 결합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고정브래킷 및 지지부재의 결합구조를 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본체 및 스피커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디스플레이본체 30 : 스피커
32 : 결합부 40 : 고정브래킷
42 : 회전지지홀 50 : 지지부재
52 : 머리부 54 : 몸체부
56 : 나사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양측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하부면에는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스피커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양측부 상·하단에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스피커의 결합부와 대응되는 회전지지홀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의 회전지지홀을 통해 상기 스피커의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피커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브래킷에 대해 상기 스피커를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고정브래킷의 회전지지홀은 상기 스피커의 회전에 따른 간섭 발생시 상기 지지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상기 스피커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장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회전지지홀 상부에 안착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의 회전지지홀을 통해 상기 스피커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의 몸체부 하측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피커의 결합부는 상기 스피커의 상·하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몸체부가 관통되는 관통홀과; 상기 스피커의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몸체부 하측에 형성된 나사부가 결합되는 스터드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고정브래킷 및 지지부재의 결합구조를 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본체 및 스피커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본체(20)와; 디스플레이본체(20)의 양측부 인접하게 마련되며,상·하부면에는 결합부(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스피커(30)와; 디스플레이본체(20)의 양측부 상·하단에 한 쌍으로 설치되며, 스피커(30)의 결합부(32)와 대응되는 회전지지홀(42)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래킷(40)과; 고정브래킷(40)의 회전지지홀(42)을 통해 스피커(30)의 결합부(32)에 결합되어, 스피커(30)를 지지함과 아울러 고정브래킷(40)에 대해 스피커(30)를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하는 지지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피커(30)는 음성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디스플레이본체(20)와 거의 동일한 높이의 바아(bar) 형상을 지니고 있다. 필요에 따라 스피커(30)의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고정브래킷(40)의 회전지지홀(42)은 스피커(30)의 회전에 따른 간섭 발생시 지지부재(5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스피커(30)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장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피커(30)가 디스플레이본체(20)의 측부에 밀착되는 고정브래킷(40)의 일측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 설치될 경우에는 스피커(30)의 회전각에 따른 간섭이 발생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스피커(30)는 결합력 및 전체적 외관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본체(20)와 근접하게 설치됨으로써 스피커(30)의 회전시 그 회전각에 의해 고정브래킷(40)의 일측면과 간섭이 발생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이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여 스피커(30)의 위치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회전지지홀(42)을 장형으로 형성하여 지지부재(40)를 회전지지홀(42)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스피커(30)의 회전에 따른 간섭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고정브래킷(40)은 디스플레이본체(2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그 구조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또한, 고정브래킷(40)의 회전지지홀(42) 길이는 스피커(30)의 회전각에 따라 적절히 조절 가능하다.
지지부재(50)는 고정브래킷(40)의 회전지지홀(42) 상부에 안착되는 머리부(52)와; 머리부(52)와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브래킷(40)의 회전지지홀(42)을 통해 스피커(30)의 결합부(32)에 결합되는 몸체부(54)를 포함한다.
지지부재(50)의 몸체부(54) 하측에는 나사부(55)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재(50)와 결합되는 스피커(30)의 결합부(32)는 스피커(30)의 상·하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지지부재(50)의 몸체부(52)가 관통되는 관통홀(33)과; 스피커(30)의 내부공간부에 마련되어, 지지부재(50)의 몸체부(52) 하측에 형성된 나사부(55)가 결합되는 스터드브래킷(3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50)로는 공지된 형태의 스터드볼트를 적용할 수 있다.
스터드브래킷(34)은 스피커(30)의 내부공간부 상에 설치된 지지플레이트(36)에 의해 지지되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터드브래킷(34)의 내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지지부재(50)와 스피커(30)의 결합구조는 지지부재(50)가 스피커(30)를 견고히 결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지지부재(50)의 몸체부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스피커(30)에는 지지부재의 걸림돌기와 대응 결합되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시키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미설명 참조번호 60은 스피커(30)의 회전시 마찰을 줄이기 위한 원형링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40)에 의해 디스플레이본체(20)의 양측부에 장착되어 있는 스피커(30)를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고자 할 때에는 스피커(30) 회전시 발생되는 고정브래킷(40) 일측면과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스피커(30)의 위치를 고정브래킷(40)과 이격되도록 조절한 상태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된다. 이 때, 스피커(30)는 지지부재(50)가 고정브래킷(40)의 회전지지홀(4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스피커(30)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정상 상태의 스피커(30)를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에 따른 고정브래킷(40)과의 반발력에 의해 스피커(3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스피커(30)의 위치가 자체적으로 조절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스피커의 회전에 따른 본체와의 결합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조립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그에 따른 경제적 비용을 상대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의 결합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디자인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양측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하부면에는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스피커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양측부 상·하단에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스피커의 결합부와 대응되는 회전지지홀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의 회전지지홀을 통해 상기 스피커의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피커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브래킷에 대해 상기 스피커를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의 회전지지홀은 상기 스피커의 회전에 따른 간섭 발생시 상기 지지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상기 스피커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장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회전지지홀 상부에 안착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의 회전지지홀을 통해 상기 스피커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몸체부 하측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피커의 결합부는 상기 스피커의 상·하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몸체부가 관통되는 관통홀과; 상기 스피커의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몸체부 하측에 형성된 나사부가 결합되는 스터드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3-0032092U 2003-10-13 2003-10-13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37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092U KR200337150Y1 (ko) 2003-10-13 2003-10-13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092U KR200337150Y1 (ko) 2003-10-13 2003-10-13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150Y1 true KR200337150Y1 (ko) 2004-01-03

Family

ID=4942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092U KR200337150Y1 (ko) 2003-10-13 2003-10-13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1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2313B1 (ko) 와이어 꼬임이 없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
KR10056818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4396726B2 (ja) 表示装置
JP5101032B2 (ja) 平面表示装置
KR1006327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KR100682670B1 (ko) 힌지 구조 및 상기 힌지 구조를 사용한 스탠드
TW382084B (en) Fixture for speaker components of portable computer
JP2008292693A (ja) 表示装置
JP2008292692A (ja) 表示装置
JP2008165035A (ja) パネル型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06173846A (ja) 液晶テレビ用スタンドおよび表示装置用スタンド
JP2006340029A (ja) 薄型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337150Y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4575941B2 (ja) 表示デバイスのスタンド機構
JP2005221823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196009A (ja) 薄型表示装置
KR100528583B1 (ko)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JP2005123705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セット
KR200501093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04300Y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JP2009063640A (ja) 表示装置
KR100304427B1 (ko) Pdp텔레비전의스피커착탈및회전장치
KR20070040681A (ko)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용 스탠드
JP2006091712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6366117B2 (ja) 固定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