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0681A -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0681A
KR20070040681A KR1020050096273A KR20050096273A KR20070040681A KR 20070040681 A KR20070040681 A KR 20070040681A KR 1020050096273 A KR1020050096273 A KR 1020050096273A KR 20050096273 A KR20050096273 A KR 20050096273A KR 20070040681 A KR20070040681 A KR 20070040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wall
angle
stan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096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0681A/ko
Publication of KR20070040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6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중심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끝단에 구면이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구면을 감싸 회전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끝단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결합되는 장착판과; 상기 고정판에 일단이 고정되고 장착판에 타단이 고정되며 자체 길이가 가변하는 조절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중을 돌출부가 지지하면서 상기 돌출부의 구면에 결합하는 결합부가 회전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를 상하 좌우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부의 길이 가변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특정 각도에서 고정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 벽걸이, 각도, 조절, 회전, 탄성체

Description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용 스탠드{A STAND FOR CONTROLLING ANGLE OF A WALL TAPESTRY TYPE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벽걸이형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돌출부와 결합부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고정판 21 : 돌출부
30 : 장착판 40 : 결합부
50 : 조절부
본 발명은 모터나 복잡한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형상을 이용하여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벽걸이 TV라고 일컫는 액자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두께가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벽에 걸 수 있는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액자처럼 벽에 장착함으로써,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킨다.
이때, 상기 구조물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를 조절하기도 하는데, 도 1은 종래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벽걸이 각도 조절장치는 벽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에 간격 지지대(5)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장치(4)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도 조절장치(4)의 위치를 고정한 후에 별도의 고정 핀(6)을 이용하여 고정부(2)에 고정한다.
상기한 구조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주로 사용되는 구조물인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부분만 전방으로 기울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그 외 다른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전방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각도를 조절하는 기구도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구들은 모터에 의해 구동하여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설계가 난해하고, 제품 자체 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 각도조절 외에도 좌우 각도조절이 가능하면서 구조가 간단하여 단가를 저렴하게 하는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중심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끝단에 구면이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구면을 감싸 회전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끝단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결합되는 장착판과; 상기 고정판에 일단이 고정되고 장착판에 타단이 고정되며 자체 길이가 가변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용 스탠드를 제공한다.
상기한 각도 조절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중을 돌출부가 지지하면서 상기 돌출부의 구면에 결합하는 결합부가 회전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를 상하 좌우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부의 길이 가변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특정 각도에서 고정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또는 명칭을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벽걸이형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돌출부와 결합부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는 벽면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벽면(61)에는 고정판(20)이 고정되는데, 상기 고정판(20)에 형성된 다수의 홀에 못이 관통하면서 벽면(61)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판(20)의 전방으로는 돌출부(21)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부(21)는 돌출된 끝단부분이 구면(22)을 형성하도록 하고, 고정판(20)과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고정판에 고정되어 하중 지지를 위한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한다.
이때, 구조적으로 하중지지를 원활히 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21)는 고정판(2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설계한다.
상기 돌출부(21)의 구면(22)에는 결합부(40)가 결합하는데, 상기 결합부(40)는 한 쌍의 결합판(41)이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각 결합판(41)에는 상기 구면(22)을 감싸기 위한 반구 형상을 갖는 삽입홈(42)이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21)와 결합부(40)가 서로 결합을 하게 되면, 상기 결합부(40)는 돌출부(21)에서 이탈되지 않지만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면(22)과 삽입홈(42) 사이에 별도의 베어링(43)이 구비되면 결합부(40)가 구면(22)과 결합된 상태에서 원활히 회전하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62)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장착판(30)의 배면은 상기 결합부(40)의 끝단과 결합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상기 결합부(40)가 돌출부(21)에서 회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62)는 각도조절이 가능한데, 각도 조절된 디스플레이 장치(62)의 고정을 위해 조절부(50)가 형성된다.
상기 조절부(50)는 상기 고정판(20)에 일단이 고정되고 장착판(30)에 타단이 고정되며 자체 길이가 가변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조절부(50)의 일예로, 상기 조절부는 장착판(30)에 일단이 설치되는 제1조절바(51) 및 고정판(20)에 일단이 설치되고 상기 제1조절바(51)가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홈(54)을 갖는 제2조절바(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조절바(51)의 외주면에는 스틸 재질의 탄성체(5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54)에는 상기 탄성체(53)가 순차적으로 삽입되기 위한 다수의 조절홈(55)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절부(50)의 유격을 위해, 상기 장착판(30)의 배면에는 장착홀(31)을 갖는 한 쌍의 장착돌기(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조절바(51)의 일단은 상기 장착돌기(32)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장착홀(31)과 일치하는 홀이 형성되며, 이러한 홀을 관통하는 힌지바(33)에 의해 힌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20)의 전면에는 고정홀(21)을 갖는 한 쌍의 고정돌기(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조절바(52)의 일단은 상기 고정돌기(22)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고정홀(21)과 일치하는 홀이 형성되며, 이러한 홀을 관통하는 힌지바(23)에 의해 힌지 결합한다.
이때, 상기 조절부(50)는 길이가 가변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62)를 특정 각도에 고정시켜 주는 것인바, 상기 고정판(20)과 장착판(30)의 상하측 및 좌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1)와 결합부(40)의 결합으로 상기 돌출부(21)가 디스플레이 장치(62)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조절부(50)는 고정판(20)의 상하측 중에서 어느 하나, 그리고 좌우측 중에서 어느 하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벽면(61)에 고정판(20)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20)에서 돌출된 돌출부(21)의 구면(22)에 한 쌍의 결합부(4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4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62)의 배면에 설치되는 장착판(30)이 결합하되, 상기 고정판(20)과 장착판(3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조절부(50)가 힌지 결합한다.
상기한 상태는 디스플레이 장치(62)의 하중을 고정판(20)의 돌출부(21)가 지지하게 되며, 조절부(50)는 디스플레이 장치(62)의 시청 각도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청각 변경을 위해, 원하는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62)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면(22)과 결합하는 결합부(40)가 회전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6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가하는 회전력에 의해 조절부(50)의 제1조절바(51)는 제2조절바(52)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조절부(50) 자체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조절바(51)에 형성된 탄성체(53)는 가이드홈(54)을 따라 이동하다가 조절홈(55)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조절부(50)가 특정길이를 유지하도록 해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용 스탠드는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판의 돌출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구면 결합을 통해 자유로운 회전각도 변경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유지를 위한 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시청 각도를 유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한 각도 조절용 스탠드는 별도의 모터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물로서, 제품의 단가를 낮추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비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중심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끝단에 구면이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구면을 감싸 회전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끝단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결합되는 장착판과;
    상기 고정판에 일단이 고정되고 장착판에 타단이 고정되며 자체 길이가 가변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용 스탠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한 쌍의 결합판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각 결합판에는 상기 구면을 감싸기 위한 반구 형상을 갖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용 스탠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과 삽입홈 사이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용 스탠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고정판의 상하측 중에서 어느 하나, 좌우측 중에서 어느 하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용 스탠드.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일단이 장착판의 장착판의 배면에 돌출되어 장착홀을 갖는 한 쌍의 장착돌기에 힌지 결합하며 외주면에 탄성체가 돌출되는 제1조절바와;
    상기 제1조절바의 타단이 삽입되어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탄성체가 순차적으로 삽입되기 위한 조절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의 일측단에서 돌출되고 고정홀을 갖는 한 쌍의 고정돌기에 일단이 힌지 결합하는 제2조절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용 스탠드.
KR1020050096273A 2005-10-12 2005-10-12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용 스탠드 KR200700406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273A KR20070040681A (ko) 2005-10-12 2005-10-12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용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273A KR20070040681A (ko) 2005-10-12 2005-10-12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용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681A true KR20070040681A (ko) 2007-04-17

Family

ID=3817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273A KR20070040681A (ko) 2005-10-12 2005-10-12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용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06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729B1 (ko) * 2007-07-23 2009-07-22 (주)센트로닉스 틸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729B1 (ko) * 2007-07-23 2009-07-22 (주)센트로닉스 틸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7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JP4499741B2 (ja) 冷蔵庫用コミュニケーションパッドの取付構造
KR100682670B1 (ko) 힌지 구조 및 상기 힌지 구조를 사용한 스탠드
KR200326987Y1 (ko) Lcd모니터 지지대
KR20070040681A (ko)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용 스탠드
KR100944632B1 (ko) 모니터 고정 거치대
CN101971619B (zh) 带有安装后的调整特征的显示器安装架
KR20040089200A (ko)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와 힌지어셈블리
KR100830230B1 (ko) 3차원 위치변경이 가능한 접철식 티브이 현수고정대
KR100628118B1 (ko) 평판형 모니터
KR200364211Y1 (ko) 강의용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기구
KR100584258B1 (ko)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KR100528583B1 (ko)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KR20000000722U (ko) 엘시디 모니터
KR200392730Y1 (ko) 화상시청기의 좌우 전후 회전식 힌지 및 힌지장치
KR200176816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액자
KR100589792B1 (ko) 벽걸이와 스탠드겸용 lcd모니터
KR20080104507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2472437B1 (ko) 벽걸이 티비 설치용 브래킷
KR200337150Y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04300Y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KR20070012011A (ko) 회전이 가능한 텔레비전의 벽걸이 구조
KR1008385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회전용 스탠드
KR100700698B1 (ko) 벽걸이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회전형 브래킷
KR100607207B1 (ko) 벽걸이 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