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816Y1 - 각도조절이 용이한 액자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용이한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816Y1
KR200176816Y1 KR2019990014531U KR19990014531U KR200176816Y1 KR 200176816 Y1 KR200176816 Y1 KR 200176816Y1 KR 2019990014531 U KR2019990014531 U KR 2019990014531U KR 19990014531 U KR19990014531 U KR 19990014531U KR 200176816 Y1 KR200176816 Y1 KR 200176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frame
frame
hole
shaft
sp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5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누리
Original Assignee
이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누리 filed Critical 이누리
Priority to KR2019990028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1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8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각도 조절을 물론 어느곳이나 재치가 용이하도록 한 각도조절이 용이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진을 진열하는 액자 및 그 액자를 각도조절가능하도록 재치하는 재치대(20)를 구비한 액자에 있어서, 액자의 하부에 횡으로 관통시키고 그 일단부에 스플라인구멍(14) 및 타측 단부에 확장구멍(15)을 형성한 축구멍(13)을 포함하고; 상기 재치대(20)는 본체(21)의 양측에 후측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액자를 지지하는 좌,우지지발(22a,22b)과; 일측 단부를 직각으로 절곡시켜 본체(21)에 결합시킨 횡축(25)과; 상기 횡축(25)의 수평구간 일단부에는 스플라인축(26)과, 타측단부에는 나사부(27)를 포함하고; 상기 스플라인축(26)이 스플라인구멍(14)이 대응 삽입되도록 액자의 축구멍(13)에 횡축(25)을 삽입시킨 후 확장구멍(15)에 스프링(28)을 삽입하고 나사부(27)에 너트를 체결하여 조립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액자에 의해 횡축의 스플라인축 및 액자의 스플라인구멍에 의해 액자의 세밀한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양측의 지지발에 의해 장소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재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어떠한 액자라도 용이하게 결합하여 각도조절은 물론 안정적으로 재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각도조절이 용이한 액자{The picture frame which is easy to control it's angle}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각도 조절을 물론 어느곳이나 재치가 용이하도록 한 각도조절이 용이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이나 장식장과 같은 곳에 가족들의 사진이나 특별히 기억하고 싶은 사진을 진열해 놓는다. 이때 사진을 보호하고 장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액자를 사용하게 된다.
액자에는 사진이 놓여지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그 위치에 따라 액자의 설치각 조절이 가능해야 하고 또 어느 곳이나 재치하기가 쉬워야 한다.
종래의 액자는 배면에 일정한 각도로 벌어지도록 된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어 설치시 지지대를 벌려 재치시켰으며, 그 지지대의 벌림각에 의해 액자의 설치각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액자의 배면에 설치된 지지대의 벌림 각도가 한정되어 있어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가 없으며, 또 바닥이 고르지 못한 곳에는 재치시키기가 곤란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액자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액자의 세밀한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또 장소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재치시킬 수 있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액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어떠한 액자라도 용이하게 결합하여 각도조절은 물론 안정적으로 재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액자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액자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의 받침대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액자 11a,11b - 좌,우세로부재
12a,12b - 상,하부재 13 - 축구멍
14 - 스플라인구멍 15 - 확장구멍
20 - 재치대 21 - 본체
22a,22b - 좌,우지지발 23 - 힌지축
24 - 고정너트 25 - 횡축
26 - 스플라인축 27 - 나사부
28 - 스프링 29 - 너트
30 - 받침대 31 - 받침부
32 - 지지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단은
사진을 진열하는 액자 및 그 액자를 각도조절가능하도록 재치하는 재치대를 구비한 액자에 있어서, 액자의 하부에 횡으로 관통시키고 그 일단부에 스플라인구멍 및 타측 단부에 확장구멍을 형성한 축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재치대는 본체의 양측에 후측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액자를 지지하는 좌,우지지발과; 일측 단부를 직각으로 절곡시켜 본체에 결합시킨 횡축과, 상기 횡축의 수평구간 일단부에는 스플라인축과, 타측단부에는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플라인축이 스플라인구멍이 대응 삽입되도록 액자의 축구멍에 횡축을 삽입시킨 후 확장구멍에 스프링을 삽입하고 나사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조립하여서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액자 작동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액자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액자는 다양한 구조 및 재질의 것이 있으나 본 고안의 액자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액자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참조번호 10은 액자로서 상,하부수평부재(12a,12b)와 좌,우세로부재(11a,11b)로 구성되어 있다.
즉, 액자(10)의 하부(하부수평부재(12b))에는 횡으로 축구멍(13)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축구멍(13)의 일단에는 다수의 이빨이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스플라인구멍(14)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단에는 지름이 커진 확장구멍(15)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재치대(20)는 본체(21)와 좌,우지지발(22a,22b) 및 횡축(25)로 구성되는데, 본체(21)는 배면이 개구되어 있고 내부 양측에 좌,우지지발(22a,22b)이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지지발(22a,22b)의 양측단부가 본체(21)와 힌지결합되어 개구된 본체(21)의 후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참조번호 29은 힌지축(23)을 고정시키는 고정너트이다. 좌측지지발(22a)는 본체(21)에 결합되는 횡축(25)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함께 결합시켜도 된다.
횡축(25)은 수평하게 형성된 축의 일측 단부를 직각으로 절곡시켜 본체(21)에 결합시킨 구조로서, 수평구간 일단부에는 스플라인축(26)과 타측단부에는 나사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참조번호 28은 확장구멍(15)의 내부에 탄력설치되는 스프링이다.
액자의 조립은 횡축(25)을 액자의 축구멍(13)에 삽입시켜 횡축(25)의 스플라인축(26)이 스플라인구멍(14)에 대응 삽입되도록 한다음 확장구멍(15)에 스프링(28)을 삽입하고 횡축(25)의 나사부(27)에 너트(24)를 체결하여 조립시킨다.
액자는 스프링(28)의 탄력에 의해 스플라인축(26)과 스플라인구멍(14)은 항상 대응 결합된 상태로 있게 되다가 액자의 각도를 조절해야 할 경우에는 액자 자체를 확장구멍(15)이 형성된 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스프링(28)을 압축시키면서 이동하여 스플라인축(26)이 스플라인구멍(14)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태로 적절한 각도조절을 한 후 액자를 놓게 되면 압축되었던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상복귀되어 스플라인축(26)과 스플라인구멍(14)이 대응결합되어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액자를 재치시킬 때에는 양측의 좌,우지지발(22a,22b)을 힌지축(23)을 축을 후측으로 회동시켜 세워두면 안정되게 액자를 재치시킬 수가 있게 된다.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의 받침대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떠한 크기 및 형태의 액자도 용이하게 재치시킬 수 있도록 재치대(20)의 횡축(25)에 결합되는 받침대(30)를 구성하였다.
이 받침대(30)는 상술한 액자(10)의 축구멍(13)과 같이 횡축(25)이 삽입되는 축구멍(13)이 횡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그 축구멍(13)의 일단부에 스플라인구멍(13) 및 타단부에 확장구멍(15)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배면상부에는 액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받침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액자의 하부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대가(32)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받침대(30)의 상부에 크기와 폭 및 다양한 형태의 액자를 올려놓고 양측의 지지대(32)를 액자의 하단전면에 밀착시켜 놓으면 액자의 배면을 받침부(31)가 지지하고 그 전면하단을 지지대(32)가 지지하기 때문에 받침대(30)에 안정되게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각도조절은 도 1의 액자와 같은 방법으로 각도조절을 하면되고 재치시키는 방법 또한 양측의 지지발(32)을 후측으로 회동시켜 지지하면 된다.
지지대(31)는 자체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여 지지대(32)를 벌린 상태에서 액자를 안착시킨 후 지지대(32)를 원위치시키면 자동으로 액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도 형성할 수 있다. 또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나사로 액자의 두께에 맞게 전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횡축의 스플라인축 및 액자의 스플라인구멍에 의해 액자의 세밀한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양측의 지지발에 의해 장소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재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5의 구조에 의해 어떠한 액자라도 용이하게 결합하여 각도조절은 물론 안정적으로 재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사진을 진열하는 액자 및 그 액자를 각도조절가능하도록 재치하는 재치대를 구비한 액자에 있어서,
    액자의 하부에 횡으로 관통시키고 그 일단부에 스플라인구멍(14) 및 타측 단부에 확장구멍(15)을 형성한 축구멍(13)을 포함하고,
    상기 재치대(20)는 본체(21)의 양측에 후측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액자를 지지하는 좌,우지지발(22a,22b)과;
    일측 단부를 직각으로 절곡시켜 본체(21)에 결합시킨 횡축(25)과,
    상기 횡축(25)의 수평구간 일단부에는 스플라인축(26)과, 타측단부에는 나사부(27)를 포함하고,
    상기 스플라인축(26)이 스플라인구멍(14)이 대응 삽입되도록 액자의 축구멍(13)에 횡축(25)을 삽입시킨 후 확장구멍(15)에 스프링(28)을 삽입하고 나사부(27)에 너트를 체결하여 조립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액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축(25)이 삽입되고 일단부에 스플라인구멍(13)과 타단부에 확장구멍(15)을 갖는 축구멍(13)을 가지고, 배면상부에는 액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1) 및 양측에는 액자의 하부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대(32)가 형성된 받침대(3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액자.
KR2019990014531U 1999-04-20 1999-07-21 각도조절이 용이한 액자 KR200176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053U KR200185108Y1 (ko) 1999-07-21 1999-12-13 각도조절이 용이한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562 1999-04-2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562 Division 1999-04-20 1999-04-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053U Division KR200185108Y1 (ko) 1999-07-21 1999-12-13 각도조절이 용이한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816Y1 true KR200176816Y1 (ko) 2000-04-15

Family

ID=1957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531U KR200176816Y1 (ko) 1999-04-20 1999-07-21 각도조절이 용이한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8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2348A (en) Appliance mounting device
CA2497543C (en) Support for one or more flat panel displays
KR100682670B1 (ko) 힌지 구조 및 상기 힌지 구조를 사용한 스탠드
JP2006208834A (ja) ディスプレイ取付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物品収容構造体
KR200326987Y1 (ko) Lcd모니터 지지대
KR200176816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액자
WO2004111523A9 (en) Wall support for a thin tv set, screen and monitor
JP2007013241A (ja) 壁面可動テレビ装置
KR102451486B1 (ko) 이젤형 tv 거치대
KR100750904B1 (ko) 조립식 진열대 결합구조
KR100546687B1 (ko)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스탠드겸용 폴딩장치
KR200180130Y1 (ko) 다용도 책상
KR200185108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액자
JPH083310Y2 (ja) 箱体の脚の構造
KR20070040681A (ko)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용 스탠드
JP4089549B2 (ja) 収納棚の壁固定構造
JPH11262415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内蔵机
KR200327926Y1 (ko) 평면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벽면 고정장치
JP3376740B2 (ja) キャビネット装置
JP2006204705A (ja)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KR100304427B1 (ko) Pdp텔레비전의스피커착탈및회전장치
JP2006064757A (ja) ディスプレイ固定用スタンド
KR100344799B1 (ko) 플립형 모니터 받침대의 지지구조체
JP2530812Y2 (ja) 棚の取付け構造
KR200279075Y1 (ko) 모니터용 천장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