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332Y1 - 엘리베이터가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가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332Y1
KR200335332Y1 KR20-2003-0027636U KR20030027636U KR200335332Y1 KR 200335332 Y1 KR200335332 Y1 KR 200335332Y1 KR 20030027636 U KR20030027636 U KR 20030027636U KR 200335332 Y1 KR200335332 Y1 KR 200335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lead frame
rotation arm
fram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상
육경주
박철경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에스티 filed Critical (주)에이에스티
Priority to KR20-2003-0027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3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3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가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리드프레임 로딩장치는, 다수 개의 리드프레임이 적재되는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와 연결되어 엘리베이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이동장치와, 엘리베이터의 둘레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와, 가이드바의 하단이 고정되는 적재베이스가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 승강부와; 일측에 자석이 설치되어 있어 엘리베이터가 상부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에 적재된 상단의 리드프레임이 일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단의 리드프레임이 부착되고, 타측은 하부로 절곡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로테이션암을 갖는 프레임픽업부와; 로테이션암에 부착되어 회전된 리드프레임을 로테이션암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리드프레임을 고정하는 업다운레일부와; 업다운레일부에 고정되어 있는 리드프레임을 피딩시스템으로 이송하는 프레임이송부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해, 다수 개의 리드프레임이 자동으로 로딩되어 작업 효율이 높아지고, 정렬된 상태로 로딩되어 작업불량률을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가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THE LEAD FRAMES LOADING APPARATUS WITH AN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가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 다이 본딩 작업은 리드프레임을 적재하여 로딩한 후 피딩 레일에 리드프레임을 공급하는 로딩작업과 피딩 레일로부터 리드프레임을 공급받아 LED 칩을 리드프레임에 본딩시키는 작업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작업에서 LED 리드프레임을 로딩하기 위한 리드프레임 로딩장치에 관한 기술로 '리드 프레임 로딩장치'(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28204호)가 안출되었다.
위와 같은 장치는 리드프레임을 픽업하기 위해 공기흡입력을 갖는 픽업장치를 사용했었다.
그런데, 픽업장치가 리드프레임을 빨아들일 때 상부의 리드프레임 밑에 있는 리드프레임이 같이 빨려 올라가 로딩장치를 파손시키거나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리드프레임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형의 회전대에 리드프레임이 걸려 전자석에 의해 부착되어 로딩되는 'LED 다이 본더'(한국 공개특허 특2003-0030587호)가 안출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장치는 사람이 일일이 회전대에 리드프레임을 걸어줘야 해 인력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부를 형성해 엘리베이터에 다수 개의 리드프레임을 적재시킨 후 리드프레임을 업다운레일부로 공급하는 로테이션 암을 형성해 리드프레임 로딩 작업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 엘리베이터의 둘레에 가이드바를 형성해 리드프레임이 정렬된 채로 로테이션 암에 부착되도록 하여 리드프레임이 잘못 로딩되지 않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로테이션암에 리드프레임이 부착되어 이동할 때 1장의 리드프레임만 부착되어 이동되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가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로딩장치의 승강부 뒷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업다운레일부의 뒷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로테이션암에 리드프레임이 부착되어 이동했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레일이 상승했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리드프레임이 푸쉬봉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승강부 11 : 엘리베이터
12 : 엘리베이터이동장치 12a : 스크류
12b : 연결부재 12c : 업다운스텝모터(UP DOWN STEP MOTOR)
12d : 밸트 12e : 회전봉
12f : 핸들 13 : 가이드바
14 : 지지프레임 14a : 적재베이스
15 : 픽업센서 16 : 업리미티트센서
17 : 홈센서 20 : 프레임픽업부
21 : 로테이션암 21a : 자석
21b : 픽업감지센서 22 : 회전축
23 : 구동모터 24 : 클램프장치
24a : 가이드관 24b : 슬라이더
30 : 업다운레일부 31 : 지지프레임
31a : 업다운실린더 32 : 업다운슬라이더
33 : 레일 33a : 로테이션암삽입홈
33b : 리드프레임삽입홈 33c : 푸쉬봉삽입홈
34 : 센서 40 : 프레임이송부
41 : 스텝모터 41a : 회전봉
42 : 고정봉 43 : 가이드프레임
44 : 슬라이더 45 : 밸트
46 : 푸쉬봉 47 : 지지프레임
50 : 지지부 60 : 리드프레임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가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리드프레임 로딩장치는 다수 개의 리드프레임을 엘리베이터 위에 적재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로딩되게 된다.
또, 엘리베이터 주위에 가이드바가 설치되어 있어, 리드프레임이 정렬된 채 로테이션암에 부착되게 된다.
또한, 로테이션암에 한장의 리드프레임만 부착되어 불량률이 줄어들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가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는, 다수 개의 리드프레임이 적재되는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와 연결되어 엘리베이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이동장치와, 엘리베이터의 둘레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와, 가이드바의 하단이 고정되는 적재베이스가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 승강부와; 일측에 자석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엘리베이터가 상부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에 적재된 상단의 리드프레임이 일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단의 리드프레임이 부착되고, 타측은 하부로 절곡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로테이션암을 갖는 프레임픽업부와; 로테이션암에 부착되어 회전된 리드프레임을 로테이션암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리드프레임을 고정하는 업다운레일부와; 업다운레일부에 고정되어 있는 리드프레임을 피딩시스템으로 이송하는 프레임이송부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승강부(10)는 다수 개의 리드프레임(60)이 적재되는 엘리베이터(11)와, 엘리베이터(11)와 연결되어 엘리베이터(1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이동장치(12)를 갖는다.
또, 엘리베이터(1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13)와 이러한가이드바(13)가 고정되는 적재베이스(14a)를 갖는다.
또한, 위의 구성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4)이 설치되어 있고, 적재베이스(14a)는 지지프레임(14)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이동장치(12)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스크류(12a)와;
일측은 엘리베이터(11)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스크류(12a)의 나선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연결부재(12b)와;
회전봉(12e)이 설치되어 있어 회전봉(12e)을 회전시키는 업다운스텝모터(12c)와;
상기 회전봉(12e)과 스크류(12a) 하부에 연결되어 있어 회전봉(12e)의 회전력을 스크류(12a)에 전달하여 스크류(12a)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밸트(12d);로 구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은 업다운스텝모터(12c)의 회전력을 스크류(12a)에 전달하고, 스크류(12a)는 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엘리베이터(11)가 고정되어 있는 연결부재(12b)가 스크류(12a)를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결부재(12b)는 안쪽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12a)가 회전시 스크류(12a)의 나선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크류삽입홀과 스크류(12a)의 나선홈 사이에 볼을 삽입하면연결부재(12b)는 부드럽게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스크류(12a)를 고정하기 위해 지지프레임(14)의 상부와 하부에는 스크류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12a)가 스크류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체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12a)가 자체 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밸트(12d)가 감기는 부분에 나선홈을 형성하지 않으면 된다.
또, 수동으로 스크류(12a)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크류(12a) 상부에 수동조작핸들(12f)을 설치하여 수동으로도 스크류(12a)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엘리베이터이동장치(12)의 또다른 구성방법으로 업다운스텝모터(12c)의 회전봉(12e)을 업다운스텝모터(12c)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되, 상부에 나선홈을 형성하고, 나선홈이 형성된 부분에 연결부재(12b)를 연결해 엘리베이터(11)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구성함에 있어서, 업다운스텝모터(12c)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지지프레임(14)의 상부에 업리미트센서(16)를 설치하고, 하부에 홈센서(17)를 설치하여 업리미트센서(16)가 홈센서(17)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상 벗어나면 외부의 컨트롤러에 신호를 보내 업다운스텝모터(12c)의 동작을 중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프레임픽업부(20)는, 엘리베이터(11)에 적재된 리드프레임(60)을 들어 올려 다른 곳으로 이송하도록 된 것으로 일측에 자석(21a)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은 하부로 절곡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로테이션암(21)을갖는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11)가 상부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11)에 적재된 상단의 리드프레임(60)이 일정 위치에 도달하면 로테이션암(21)이 자석(21a)에 부착되고, 로테이션암(21)이 회전하여 리드프레임(60)이 다른 곳으로 옮겨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로테이션암(21)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로테이션암(21) 일측은 회전축(22)에 연결되어 있고, 회전축(22)은 구동모터(23)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즉, 구동모터(23)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22)이 회전하게 되어 회전축(22)과 연결되어 있는 로테이션암(21)이 회전하여 리드프레임(60)을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승강부(10)의 지지프레임(14) 상단에 픽업센서(15)를 설치하여 상단의 리드프레임(60)의 위치를 외부의 컨트롤러에 신호를 보내도록 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11)가 상승하여 상단에 적재되어 있는 리드프레임(60)이 로테이션암(21)에 부착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픽업센서(15)로부터 신호를 받은 컨트롤러는 구동모터(23)를 작동시켜 로테이션암(21)이 회전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단의 리드프레임(60)이 로테이션암(21)에 부착되어 이동하면서 상단의 리드프레임(60) 하부에 있는 리드프레임(60)이 같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램프장치(24)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장치(24)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내부에 슬라이더(24b)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관(24a)과, 슬라이더(24b)와 연결되어 슬라이더(24b)를 이동시키는 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로테이션암(21)에 상단의 리드프레임(60)이 부착되면 슬라이더(24b)가 가이드관(24a)을 따라 앞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더(24b) 일측이 상단의 리드프레임(60)과 그 하부의 리드프레임(6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로테이션암(21)이 회전하여 리드프레임(60)이 들어 올려질 때 1장의 리드프레임(60)만 들어 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클램프장치(24)는 로테이션암(21)이 회전할 때 들어 올려지는 리드프레임(60) 하부의 리드프레임(60)을 고정하고, 로테이션암(21)이 원위치로 되돌아 올때는 원래 위치로 되돌아 가야 한다.
이를 위해, 클램프장치(24)의 실린더는 외부의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단의 리드프레임(60)이 로테이션암(21)에 부착되어 픽업센서(15)가 컨트롤러에게 신호를 보내면, 로테이션암(21)이 회전하기 전에 클램프장치(24)가 먼저 작동하여 자석(21a)과 부착된 리드프레임(60) 하부의 리드프레임(60)을 고정한 후 로테이션암(21)이 리드프레임(60)을 들어올리게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로테이션암(21)이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원래 위치로 되돌아 올때, 클램프장치(24)가 먼저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면 된다.
위와 같이 프레임픽업부(20)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에 구동모터(23)가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22)의 타측에 수동핸들(25)을 설치하여 수동으로 회전축(22)을돌리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로테이션암(21)의 끝단에 픽업감지센서(21b)를 설치해 로테이션암(21)이 회전하는 동안에 부착된 리드프레임(60)이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픽업감지센서(21b)와 외부의 컨트롤러를 연결해 픽업감지센서(21b)를 통해 회전 도중 리드프레임(60)이 이탈되면 컨트롤러는 작업을 중지시키고, 작업자에게 에러메세지를 보내 기계 파손을 방지하고, 작업 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업다운레일부(30)는, 로테이션암(21)에 부착되어 회전된 리드프레임(60)을 로테이션암(21)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리드프레임(60)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업다운레일부(30)는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일측에 업다운실린더(31a)가 적재되어 있고, 양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프레임(31)과;
지지프레임(31)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있고, 업다운실린더(31a)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업다운슬라이더(32)와;
업다운슬라이더(32)와 연결되어 있고, 리드프레임(60)이 삽입되는 리드프레임삽입홈(33b)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로테이션암(21)이 삽입되도록 세로방향으로 로테이션암삽입홈(33a)이 형성되어 있는 레일(33);로 형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된 업다운레일부(30)는, 리드프레임(60)이 부착된 로테이션암(21)이 구동모터(23)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로테이션암(21)은 로테이션암삽입홈(33a)에 삽입되고, 로테이션암(21)에 부착된 리드프레임(60)은 리드프레임삽입홈(33b)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그런 다음, 업다운실린더(31a)가 작동하여 업다운슬라이더(32)와 연결된 레일(33)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리드프레임(60)은 리드프레임삽입홈(33b)에 삽입되어 레일(33)에 고정되게 되어 있다.
레일(33)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로테이션암(21)은 구동모터(23)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11)는 상승하게 되어 엘리베이터(11) 상단의 리드프레임(60)은 다시 로테이션암(21)에 부착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레일(33) 일측에 센서(34)를 설치해 리드프레임(60)이 복수매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센서(34)를 통해 복수매가 레일(33)에 삽입되면 외부컨트롤러를 통해 기계의 작동을 중지시켜 작업불량률 및 기계 파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프레임이송부(40)는 업다운레일부(30)에 고정되어 있는 리드프레임(60)을 피딩시스템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프레임이송부(40)는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봉(41a)을 갖는 스텝모터(41)와, 스텝모터(41)의 회전봉(41a)과 밸트(45)에 의해 연결된 고정봉(42)을 형성하고, 가이드프레임(43)과, 가이드프레임(4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44)를 형성하되, 슬라이더(44)는 밸트(45)에 연결되어 스텝모터(41)의 동작에 따라 슬라이더(44)가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슬라이더(44)의 일측에 가이드프레임(43)과 수직방향으로 푸쉬봉(46)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레일(33)에는 푸쉬봉삽입홈(33c)이 형성되어 있어 푸쉬봉(46)이 푸쉬봉삽입홈(33c)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또, 가이드프레임(43) 하부에는 지지프레임(47)이 고정되어 있어 프레임이송부(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은 스텝모터(41)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더(44)가 가이드프레임(43)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가이드프레임(43)에 연결된 푸쉬봉(46)이 레일(33)의 푸쉬봉삽입홈(33c)에 삽입되어 이동하게 되어 있어 레일(33)에 종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는 리드프레임(60)을 밀어내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공지되어 있는 오버로드센서를 설치해 슬라이더(44)가 초과 이동할 경우 컨트롤러에 신호를 보내 기계작동을 중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지지부(50)는 상부에 상기 구성요소들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부(50)는 원형 또는 장방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위 구성요소들과의 고정은 용접에 의해 고정할 수도 있고, 볼트에 의해 고정할 수도 있는데, 수리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리드프레임(60) 로딩장치의 작동은, 먼저 엘리베이터(11)에 리드프레임(60)이 적재된 후 외부 컨트럴러로부터 신호를 받아 업다운스텝모터(12c)가 작동하여 엘리베이터(11)가 상승한다.
엘리베이터(11)가 상승하여 상단에 적재되어 있는 리드프레임(60)이 일정위치에 도달하면 로테이션암(21)의 자석(21a)에 리드프레임(60)이 부착된다.
리드프레임(60)이 로테이션암(21)에 부착되면 업다운스텝모터(12c)는 일시 작동을 중지하고, 로테이션암(21)이 회전하여 리드프레임(60)이 업다운레일부(3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 다음 업다운레일부(30)가 위로 상승해 리드프레임(60)이 로테이션암(21)으로부터 분리되고, 로테이션암(21)은 최초의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로테이션암(21)이 회전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하면서 업다운스텝모터(12c)가 다시 가동하여 엘리베이터(11)에 적재되어 있는 리드프레임(60)이 상승하게 된다.
업다운레일부(30)에 고정된 리드프레임(60)은 프레임이송부(40)에 의해 피딩시스템으로 이동하여 리드프레임(60) 로딩과정이 마무리되게 된다.
이때, 클램프장치(24)를 추가로 설치하여 로테이션암(21)에 상단의 리드프레임(60)이 부착되면 그 하부의 리드프레임(60)을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클램프장치(24)는 로테이션암(21)에 부착된 리드프레임(60)이 분리된 후 로테이션암(21)이 원래 위치로 되돌아올때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해, 다수 개의 리드프레임을 엘리베이터에 적재시키면 적재된 리드프레임이 자동으로 로딩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엘리베이터에 적재된 리드프레임은 엘리베이터가 가이드바에 의해 정렬된 상태로 로테이션암에 부착되어 로딩시 불량률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로테이션암에 1장의 리드프레임만 부착되어 이동함으로써 불량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리드프레임 로딩장치에 있어서,
    다수 개의 리드프레임(60)이 적재되는 엘리베이터(11)와, 엘리베이터(11)와 연결되어 엘리베이터(1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이동장치(12)와, 엘리베이터(11)의 둘레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1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13)와, 상기 가이드바(13)의 하단이 고정되는 적재베이스(14a)가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프레임(14)으로 구성된 승강부(10)와;
    일측에 자석(21a)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엘리베이터(11)가 상부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11)에 적재된 상단의 리드프레임(60)이 일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단의 리드프레임(60)이 부착되고, 타측은 하부로 절곡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로테이션암(21)을 갖는 프레임픽업부(20)와;
    상기 로테이션암(21)에 부착되어 회전된 리드프레임(60)을 로테이션암(21)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리드프레임(60)을 고정하는 업다운레일부(30)와;
    상기 업다운레일부(30)에 고정되어 있는 리드프레임(60)을 피딩시스템으로 이송하는 프레임이송부(40)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지지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가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암(21)의 자석(21a)에 부착된 리드프레임(60)의 하부에 있는 리드프레임(60)을 고정하는 클램프장치(24)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가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10)에는 최상위의 리드프레임(60)이 로테이션암(21)에 부착되는 위치에 도달했을 때를 감지하는 픽업센서(15)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가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암(21)의 끝단에는 부착된 리드프레임(60)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픽업감지센서(21b)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가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이동장치(12)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스크류(12a)와;
    일측은 엘리베이터(11)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스크류(12a)의 나선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연결부재(12b)와;
    하부에 회전봉(12e)이 설치되어 있어 회전봉(12e)을 회전시키는 업다운스텝모터(12c)와;
    상기 회전봉(12e)과 스크류(12a) 하부에 연결되어 있어 회전봉(12e)의 회전력을 스크류(12a)에 전달하여 스크류(12a)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밸트(12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가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12a)의 상단에 수동조작핸들(12f)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가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KR20-2003-0027636U 2003-08-28 2003-08-28 엘리베이터가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KR2003353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636U KR200335332Y1 (ko) 2003-08-28 2003-08-28 엘리베이터가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636U KR200335332Y1 (ko) 2003-08-28 2003-08-28 엘리베이터가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332Y1 true KR200335332Y1 (ko) 2003-12-06

Family

ID=4942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636U KR200335332Y1 (ko) 2003-08-28 2003-08-28 엘리베이터가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3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600B1 (ko) * 2016-03-08 2017-11-16 거산산업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코어기판과 프리프레그 자동 레이업 장치
WO2022050811A1 (ko) * 2020-09-07 2022-03-10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연구단 불량 소자 제거용 스탬프 및 이를 포함하는 불량 소자 제거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600B1 (ko) * 2016-03-08 2017-11-16 거산산업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코어기판과 프리프레그 자동 레이업 장치
WO2022050811A1 (ko) * 2020-09-07 2022-03-10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연구단 불량 소자 제거용 스탬프 및 이를 포함하는 불량 소자 제거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710B1 (ko) 베어링 이송장치
US8321051B2 (en) Workpiece pickup apparatus and workpiece pickup method
KR100640105B1 (ko) 무인운반차, 무인운반차시스템 및 웨이퍼운반방법
KR100319983B1 (ko) 인쇄회로기판 자동 테스터
CN110911311B (zh) 一种针对切割后晶圆的视觉检测机
CN109466841B (zh) 一种自动挂标牌系统
KR101618606B1 (ko) 모터 액추에이터 조립 장치를 위한 부품 연속 공급 모듈
CN108974892B (zh) 一种自动控制上下件装置
JP2001048350A (ja) ワークの移送ミス防止装置
KR200335332Y1 (ko) 엘리베이터가 있는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CN210162622U (zh) 一种Tray盘精定位输送机构
KR101189176B1 (ko) 엘이디소자핸들러
JP4667091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CN218215251U (zh) 一种载台机构
KR100570159B1 (ko) 반도체 처리장치
CN109335659B (zh) 一种smd料盘条码扫描及自动抓取装置
JP2010207858A (ja) ワークピックアップシステム
KR101340785B1 (ko) 볼 베어링 유닛의 자동화 조립장치
CN210467794U (zh) 晶舟盒转换装置
JP2582485B2 (ja) 電動昇降装置
JP2770084B2 (ja) ナットリフトアップ装置
JP2002313878A (ja) 無人搬送車
KR100395549B1 (ko) 트레이 피더 교환장치
CN213149279U (zh) 柱状产品自动上料设备
CN117269739B (zh) 一种芯片检测设备及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