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326Y1 -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 - Google Patents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326Y1
KR200335326Y1 KR20-2003-0027086U KR20030027086U KR200335326Y1 KR 200335326 Y1 KR200335326 Y1 KR 200335326Y1 KR 20030027086 U KR20030027086 U KR 20030027086U KR 200335326 Y1 KR200335326 Y1 KR 2003353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roaster
roasting chamber
roast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춘금
Original Assignee
신춘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춘금 filed Critical 신춘금
Priority to KR20-2003-0027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3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3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3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다용도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적외선 히터(75)를 구이실(70)의 내부 측면에 형성하고, 구이실(70)의 하측에는 구동수단(65)을 형성하되 구동수단(65)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 구이틀(77)을 구이실(70)의 중앙부분에 형성하는 한편, 상기 회전 구이틀(77)은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상단에 다수의 걸고리(78)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걸고리(78)에는 음식물을 담는 구이망(79)을 부착하며, 구이실(70)의 바닥면에는 기름 유출공(73)을 형성하여 기름등의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50)를 구성함으로써,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뒤집어 줄 필요가 없고, 음식물을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조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먼저 조리를 시작한 음식물과 나중에 조리를 시작한 음식물의 구분이 용이하며, 특히 농산물과 육류등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효가가 있는 한편, 구이실의 바닥면에 기름 유출공 및 기름통을 형성함으로써 음식물에서 이탈되는 껍질등의 이물질과 육류를 조리할 때 발생하는 기름의 제거 및 청소가 용이한 효과가 있는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A multipurpose roasting machine with a rotary device}
본 고안은 원적외선 히터가 구비된 구이기의 내부에 다각형으로 형성된 회전 구이틀을 형성하여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다용도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되 걸고리를 상단에 형성한 다각형 회전 구이틀을 구이실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고구마, 감자, 밤, 옥수수, 닭 등의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구분하여 구이망에 담거나 또는 직접 상기 걸고리에 부착함으로써 여러가지 종류의 음식물을 일시에 조리할 수 있는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 제0285297호(세라믹 봉이 구비된 원적외선 구이기)의 등록고안을 보다 개량한 고안으로써, 상기 제안된 바 있는 종래 구이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살펴보면, 이송수단(3) 및 차양(5)이 구비되어 단열판체(10a)로 형성된 구이기(1)의 몸체(10)에는 가스버너(13)가 구비된 연소실(12)이 형성되고, 연소실(12)의 상부에는 열선(15a)이 내부에 형성된 세라믹 봉(15)과 상기 세라믹 봉(15)의 상측에 형성되어 음식물(100)을 수납하는 구이함(16)이 형성된 구이실(14)이 형성되며, 구이실(14)의 상부에는 보온실(17)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연소실(12) 및 구이실(14)은 몸체(10)의 일측 상부로 개방된 배기구(18)와 연통됨과 아울러 배기구(18)의 상측부에는 진열대(19)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구이기(1)에 의하면, 연소실(12)의 가스버너(13)에 의하여 가열된 세라믹 봉(15)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이 구이함(16)에 수납된 음식물(100)에 전달되어 음식물(100)이 타지않고 고르게 익게되며, 연소실(12) 및 구이실(14)에서 배출되는 온기가 보온실(17)과 구이기 몸체(10)의 상단에 형성된 진열대(19)를 거쳐 외부로 배출됨으로서 온기가 회수되어 열효율을 극대화 하는 한편, 상기 세라믹 봉(15)의 중공부에는 열선(15a)이 삽입되어 가스버너(13)의 사용이 곤란한 장소에서 전기를 이용하여 음식물(100)을 가열하여 구이기(1)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구이기(1)에 의하면 구이함(16)에 수납된 음식물(100)이 세라믹 봉(15)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에 의하여 고르게 익는 다고는 하나 가열수단이 하측에 구비되어 있어 음식물(100)의 하부가 먼저 익는것을 완전히 극복할 수는 없어 보다 고르게 음식물을 익히기 위해서는 상기 음식물을 뒤집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음식물에서 이탈되는 음식물의 껍질 및 육류를 조리할 경우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기름등이 상기 세라믹 봉(15)측으로 유입됨과 아울러 그에 따른 청소가 용이하지 못하였으며, 고구마, 감자, 옥수수, 밤 등의 농산물을 동시에 조리할 경우 각 농산물의 종류에 따른 구분이 곤란함과 아울러 먼저 조리를 시작한 음식물과 나중에 조리한 음식물과의 구분 또한 곤란하며, 특히 상기 농산물과 함께 닭등의 육류를 동시에 조리하기에는 더욱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뒤집어 줄 필요가 없고, 음식물에서 이탈되는 껍질등의 이물질과 육류를 조리할 때 발생하는 기름의 제거 및 청소가 용이하며,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조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먼저 조리를 시작한 음식물과 나중에 조리를 시작한 음식물의 구분이 용이하고, 특히 고구마, 감자, 옥수수 등의 농산물과 닭등의 육류를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구이기를 구성하는 것으로, 원적외선 히터를 측면에 형성한 구이실에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회전 구이틀을 형성하되 회전 구이틀에는 걸고리를 형성하여 종류별로 음식물을 담은 구이망을 부착하거나 직접 음식물을 걸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구이실의 바닥면에 기름 유출공 및 기름통을 형성한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를 구성한다.
도 1은 종래 구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구이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기의 회전 구이틀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구이기 55 : 몸체
65 : 구동수단 70 : 구이실
72, 82 : 덮개 77 : 회전 구이틀
78 : 걸고리 79 : 구이망
80 : 보온실 90 : 배기구
92 : 통공 95 : 판체
99 : 진열대 100 : 음식물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의 구성을 하기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구이기 몸체(55)는 단열판체(56)로 형성하되 차양(54) 및 이송수단(52)을 구비하며, 몸체(55)의 하단은 구동수단(65) 및 제어기(62)를 포함하는 제어부(60)로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60)의 상측에는 상기 구동수단(65)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 구이틀(77)을 중앙부분에 형성함과 아울러 내부 측면에는 원적외선 히터(75, 이하 '히터'라 약칭 함)을 형성한 구이실(70)을 형성하되, 구이실(70)의 일측 상부에는 보온실(80)을 형성함과 아울러 구이실(70)의 하측과 연통되는 배기구(90)를 구이기(50) 몸체(55)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이기(50)의 구성을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단열판체(56)로 형성한 구이기 몸체(55)의 전면과 배면에는 유리판등의 투명판(58a)(58b)을 형성하여 음식물(100)의 조리 과정을 소비자들이 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제어부(60)에 형성된 통상의 제어기(62)는 구이실(70) 내부에 구비된 히터(75)의 온도 및 구동수단(65)인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구이실(70) 및 보온실(80)은 상부가 개방되어 각각의 덮개(72)(82)로써 개폐토록 함과 아울러 구이실(70)의 바닥면에는 기름 유출공(73)을 형성하여 육류등의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구이실(70)의 하부에 형성된 제어부(60)로 유출되도록 하되 상기 유출되는 기름을 받아주는 기름통(74)을 제어부(60)에 구비하며, 구이실(70)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히터(75)는 세라믹재로써 그 내부에 열선이 형성된 통상의 원적외선 히터(75)를 사용함이 바람직한 바, 상기 히터(75)와 구이실(70)의 내벽사이 및 구이실(70)의 내부 상단 모퉁이 부분에는 반사판(71)(76)을 형성한다.
한편, 제어부(60)에 구비된 구동수단(65)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 구이틀(77)은 다각형으로서 그 상단에는 다수의 걸고리(78)를 형성하여 여러가지 음식물(100)을 구분하여 적재한 구이망(79)을 걸거나 또는 닭과 같은 육류를 직접 걸 수 있도록 하고, 배기구(90)는 판체(95)로써 구이실(70) 및 보온실(80)과 구분하되 판체(95)의 하단부를 개방하여 상기 배기구(90)가 구이실(70)과 상호 연통하도록 함과 아울러 판체(95)에는 유리등의 투명판(98)을 형성하여 구이기(50) 배면에 형성된 다른 투명판(58b)을 통하여 구이실(70) 내부가 보이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기구(90)의 상측에는 통공(92)을 형성하여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 등이 외부로 배출하는 바, 상기 배기구(90)의 통공(92) 상측에는 진열대(99)를 형성하여 배기되는 온기를 진열대(99)에 안치된 음식물(100)에 회수한다.
본 고안에 따른 구이기에 있어서 회전 구이틀(77)에 탈착하는 구이망(79)은 하나 또는 다수층으로 구분된 구이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의 작용효과를 하기에서 살펴보면, 구이실(70)에 내부 측면에 형성된 히터(75)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이 구이망(79)에 수납된 음식물(100)에 전달되어 음식물(100)이 타지않고 고르게 익게되는 바, 이때 상기 구이망(79)은 회전 구이틀(77)에 부착되어 회전함과 아울러 다수의 반사판(71)(76)에 의하여 다각도로 복사열을 받아 음식물(100)이 한 층더 골고루 익게 되며, 구이실(70)에서 배출되는 온기가 보온실(80)과 구이기 몸체(55)의 상단에 형성된 진열대(99)를 거쳐 외부로 배출됨으로서 온기가 회수되어 열효율을 극대화 하는 한편, 음식물(100)에서 이탈되는 음식물(100)의 껍질 및 육류를 조리할 경우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기름등이 기름 유출공(73)을 통하여 제어부(60)에 구비된 기름통(74)으로 배출함으로써 육류의 조리가 가능한 한편 청소 또한 용이하고, 고구마, 감자, 옥수수, 밤 등의 농산물을 그 종류에 따라 구이망(79)에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으며 또한 먼저 조리를 시작한 음식물과 나중에 조리한 음식물과의 구분 또한 용이하며, 특히 닭등의 육류를 회전 구이틀(77)의 걸고리(79)에 직접 걸어 농산물과 동시에 조리가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구이기에 의하면, 원적외선 히터를 측면에 형성한 구이실에 구동수단을 구비한 회전 구이틀을 형성하되 회전 구이틀에는 걸고리를 형성하여 종류별로 음식물을 담은 구이망을 부착하거나 직접 음식물을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뒤집어 줄 필요가 없고, 음식물을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조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먼저 조리를 시작한 음식물과 나중에 조리를 시작한 음식물의 구분이 용이하며, 특히 농산물과 육류등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효가가 있는 한편, 구이실의 바닥면에 기름 유출공 및 기름통을 형성함으로써 음식물에서 이탈되는 껍질등의 이물질과 육류를 조리할 때 발생하는 기름의 제거 및 청소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구이기(50)의 몸체(55) 내부에 구이실(70)과 배기구(90)를 판체(95)로써 하단이 상호 연통하도록 구분하여 형성하되, 구이실(70)의 내부에는 제어기에 의하여 작동하는 히터(75)를 설치한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75)는 구이실(70)의 내부 측면에 반사판(76)과 일체로 체결하고, 구이실(70)의 상단은 개방하여 덮개(72)로 개폐하며, 구이실(70)의 하측에는 구동수단(65)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구동수단(65)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 구이틀(77)을 구이실(70)의 중앙부분에 형성하되 상기 회전 구이틀(77)은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상단에 다수의 걸고리(78)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걸고리(78)에는 음식물을 담는 구이망(79)을 부착하며, 구이실(70)의 바닥면에는 기름 유출공(73)을 형성하되 기름 유출공(73)의 하측에 기름통(7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몸체(55)의 전면과 배면 및 판체(95)에 투명판(58a)(58b) (98)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
  3. 제 1항에 있어서; 몸체(55)의 일측 상단에 덮개(82)가 구비된 보온실(80)을 형성함과 아울러 배기구(90)의 상측에 진열대(9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
KR20-2003-0027086U 2003-08-22 2003-08-22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 KR2003353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086U KR200335326Y1 (ko) 2003-08-22 2003-08-22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086U KR200335326Y1 (ko) 2003-08-22 2003-08-22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326Y1 true KR200335326Y1 (ko) 2003-12-06

Family

ID=4942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086U KR200335326Y1 (ko) 2003-08-22 2003-08-22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3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066B1 (ko) * 2009-11-09 2012-05-03 최용중 옥수수를 연료로 이용한 친환경 로스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066B1 (ko) * 2009-11-09 2012-05-03 최용중 옥수수를 연료로 이용한 친환경 로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92751A1 (en) Simplified device to quickly cook food
CN109431305A (zh) 一种全功能厨用烧烤炉
KR200223262Y1 (ko) 숯불 바베큐 구이장치
KR102328873B1 (ko)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EP1411771B1 (en) Roasting oven
KR200335326Y1 (ko) 회전 구이틀이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
KR20150080758A (ko) 보온유지가 되어 구이용 음식물이 빠르고 균일하게 익힘이 가능한 숯불구이기
KR200439439Y1 (ko) 다기능 식품조리기
KR101325598B1 (ko) 다목적 회전식 구이기
KR101738891B1 (ko) 가스 직화 구이기
US20130139706A1 (en) Mobile smoker oven
KR101449555B1 (ko)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KR200166404Y1 (ko) 고기 구이기
KR100950183B1 (ko) 간접열을 이용한 균일 가열이 이루어지게 한 구이장치
KR200230566Y1 (ko) 훈제 바베큐용 구이기계
JP3027357B2 (ja) 多機能加熱調理器
KR200273836Y1 (ko) 숯불 바베큐장치
KR200196640Y1 (ko) 회전식 고기구이기
KR101177993B1 (ko) 다용도 바베큐 기계
KR20030066053A (ko) 숯불 바베큐장치
GB2434741A (en) Barbecue
KR200206887Y1 (ko) 투시창이 구성된 숯불구이기
KR200440095Y1 (ko) 회전식 직화 조리장치
KR100413886B1 (ko) 다용도 전열 조리기
KR200240862Y1 (ko) 전기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