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290Y1 - 전기 자극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자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290Y1
KR200335290Y1 KR20-2003-0017792U KR20030017792U KR200335290Y1 KR 200335290 Y1 KR200335290 Y1 KR 200335290Y1 KR 20030017792 U KR20030017792 U KR 20030017792U KR 200335290 Y1 KR200335290 Y1 KR 200335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ase
palm
electrical stimulation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너럴 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너럴 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너럴 네트
Priority to KR20-2003-0017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2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2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손바닥의 한 개소를 집중적으로 자극하는 것이 가능해, 피부 부위에의 착탈의 수고가 걸리지 않는 전극을 갖춘 전기 자극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기 자극 장치는 파지 가능한 케이스와, 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되어 손바닥의 중앙에 근접시키기 위한 제1전극과, 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되어 손바닥에 근접시키기 위한 제2전극과, 케이스의 내부에 격납되어 각 전극들에 대해서 저주파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저주파 펄스 발생부를 가지며, 제2전극은 제1전극보다 넓은 전극 면적을 가지는 한편 케이스가 파지될 때 손바닥의 접축 면적이 넓게 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 자극 장치{ELECTRIC STIMULATING DEVICE}
본 고안은 인체에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전기 자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손바닥을 전기적으로자극하는 전기 자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전부터 건강 유지, 각종 치료, 미용 등의 목적으로 인체에 전기 자극을 주는 각종의 장치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 있어서는, 사람의 손바닥에 주는 전기 자극이 뇌의 광범위한 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어 스트레스 사회로 불리는 작금에 있어서는, 스트레스 장해나 정신적인 긴장을 완화시켜 본래 뇌가 가지는 모순 해결 능력을 활성화 시켜 정보 통합 기능이나 모순 해결 기능 등의 회복을 꾀하기 위하여 손바닥에 대한 효과적인 자극 방법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손바닥에 대한 전기 자극을 실시하는 경우, 종래의 저주파 치료기 등의 전기 자극 장치에서는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을 각각 사용자의 손바닥과 그 외의 부위에 부착하고, 각 전극에 전압을 인가해 전기 자극을 주고 있었지만, 각 전극으로서 같은 것을 사용하고 있던 것으로부터 각 전극에 있어서의 피부에의 자극 감각이 동일한 정도가 되어 버려 손바닥의 한 개소를 집중적으로 자극하지 못하고 효율이 좋은 통전을 하지 않았었다.
또, 피부 부위에 대해서 전기 자극을 실시하는 종래의 장치는 비교적 대형으로 휴대성의 면에서 불편한 것이 많아 운반이나 옥외에서의 사용에 적절하지 않았고, 각 전극이 점착면을 가져 피부 부위에 붙이는 타입 등이 많았기 때문에 피부 부위에 대한 전극의 착탈에 시간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종래의 전기 자극 장치에서는 간편하게 가방이나 포켓 등에 수납 운반하여 각종 이벤트 때 혹은 그 직전에 타인에게 알려지지 않고 사용하여야 하며, 사용완료 후에는 다시 가방이나 포켓 등에 재빠르게 수납하는 등의 이용의 불편함이 있어 필요한 때에 적절한 전기 자극을 실시할 수가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손바닥의 한 개소를 집중적으로 자극하는 것이 가능해 피부 부위에의 착탈의 수고가 걸리지 않는 전극을 갖춘 전기 자극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신장과 심장을 튼튼히 하며 스트레스로 인한 심장의 열을 내려 정신적 압박감과 피로를 풀리게 하고 머리도 맑게 해는 노궁에 매우 효율적으로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전기 자극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기 자극 장치는, 파지 가능한 케이스와, 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되어 손바닥의 중앙에 근접시키기 위한 제1전극과, 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되어 손바닥에 근접시키기 위한 제2전극과, 케이스의 내부에 격납되어 각 전극에 대해서 저주파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펄스 발생기를 가지며,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1전극보다 넓은 전극 면적을 가져 케이스를 파지 시에 둘 수 있는 손바닥에의 접촉 면적이 넓게 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전기 자극 장치는 상기 제2전극이 제1전극보다 전극 면적 및 피부에의 접촉 면적이 넓어 케이스를 파지 시킨 상태로 펄스 발생기로부터 저주파 펄스 신호가 출력되면, 제2전극을 통해 생체에 흐르는 전류의 밀도가 제1전극을 통해 생체에 흐르는 전류의 밀도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상기 제1전극을 통해 생체에 흐르는전류에 의해 손바닥의 중앙에 집중적으로 전기 자극을 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각 전극이 파지 가능한 케이스의 동일면에 배치됨으로써 케이스를 파지키고 있는 동안은 각 전극이 손바닥의 피부에 밀착됨으로 각 전극을 점착 부재 등으로 구성할 필요가 없어져 피부 부위에 대한 전극의 착탈이 시간이 들지 않게 된다.
각 전극의 배치로서는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절연체를 개재시켜 제2전극이 제1전극의 둘래와 동일면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전극은 각 전극을 손바닥 측에 향하여 케이스가 파지 되면 손바닥의 중앙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도록 구성한다.
각 전극을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케이스가 파지되면, 손바닥에 대해서 두 개의 전극이 동시에 접촉되며, 각각의 손가락이 움직여도 피부 부위에의 접촉 면적이 거의 변화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 손바닥의 중앙의 단지를 자극하는 등의 사용법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제1전극의 중앙부분은 분위기를 살리는 곡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케이스를 파지 시지킬 때 상기 제1전극과 피부의 밀착성이 향상한다.
또, 스트레스 장해나 정신적인 긴장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기 위해서 케이스의 내부에 격납되는 펄스 생성 회로로부터 발생되어 상가 두 개의 전극으로 저주파 펄스를 인간의 뇌파에 대응하는 주파수로 변동 혹은 고정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펄스 생성 회로는 저주파 펄스의 주파수를 인간의 뇌파의 베타파(βwave) 대역에 의한 최저 주파수로부터 감마파(γwave) 대역의 최고 주파수까지 연속적으로 증가되도록 출력하는 동작을 소정 주기로 반복하듯이 한다. 이와 같이, 펄스 발생기의 출력 주파수가 연속적으로 점증하는 것에 의해 전기 자극 장치를 파지하고 있는 생체 측에서는 소위 끌어 들여 효과가 유발되어 사용자의 뇌파가 출력 주파수에 동조하려고 하는 것으로 뇌로부터는 감마파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편, 상기 펄스 생성 회로는 저주파 펄스의 주파수를 인간의 뇌파의 베타파 대역에 의한 최고 주파수로부터 델타파(δwave)의 대역에 의한 최저 주파수까지 연속적으로 점감듯이 출력하는 동작을 소정 주기에 반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신호 출력 수단의 출력 주파수가 연속적으로 점감하는 경우에서도 전기 자극 장치를 파지하고 있는 생체측에서는 소위 끌어 들여 효과가 유발되어 사용자의 뇌파가 출력 주파수에 동조하려고 하는 것으로, 뇌로부터 델타파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 상기 펄스 생성 회로는 저주파 펄스의 주파수를 인간의 뇌파의 시타파(θwave) 대역내의 소정 주파수에 고정해 출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펄스 생성 회로로부터 발생되는 출력 주파수가 시타파의 대역 내에서 고정되는 경우에도 전기 자극 장치를 파지하고 있는 생체측에서는 소위 끌어 들여 효과가 유발되어 사용자의 뇌파가 출력 주파수에 동조하려고 하는 것으로, 뇌로부터 시타파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평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전기 자극 장치의 저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전기 자극 장치를 손바닥으로 잡을 때의 방향과 각 전극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전기 자극 장치를 손바닥으로 잡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5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케이스내에 격납된 펄스 생성 회로의 블럭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해 본 고안이 적용된 전기 자극 장치 10의 전체 구성을 우선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전기 자극 장치 10은, 도 1 내지 2의 각 외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약 장방형의 알형(egg type)의 외형을 가지는 케이스 12를 가지고 있다. 상기 케이스 12의 상부 외면에 한쌍의 전극 14, 16을 갖춘 전극부 18이 설치되어 케이스 12의 아래쪽이 합성 수지 등의 절연부재로 형성된 절연부 20을 이루고 있다. 상기 전극부 18은 절연부 20으로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연속하도록 설치되고 있다. 또, 케이스 12의 내부에는, 저주파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후술의 펄스 생성 회로가 격납되며, 상기 펄스 생성 회로의 출력 단자가 전극부 18의 각 전극 14, 16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기 자극 장치 10은 사용자가 케이스 12를 파지 하였을 때 손으로 잡는 것이 가능해, 한쪽 손으로 잡았을 때에 손바닥 안으로 들어갈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실시의 형태에서는, 케이스 12의 긴 방향의 폭과 이것과 직교하는 깊이 방향의 폭 및 높이를 각각 70mm, 34 mm 및 32mm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 10의 사이즈는 상기한 값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절이 가능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전기 자극 장치 10은, 케이스 12의 전체가 둥그스름을 띠어 모퉁이나 단차가 적은 형상이 되고 있어 특히 전극부 18로 절연부 20과의 접속 면에서 단차가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손으로 잡았을 때의 불편한 느낌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케이스 12의 절연부 20의 좌우 양단 측에는 다이얼식의 전원/출력 조정용 조작부 22와 슬라이드 레바식의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 24가 장착되고 있다. 상기 조작부 22 및 스위치 24는 케이스 12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지만, 케이스 12의 긴 방향의 각 단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파지 하여 사용 시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파지측의 손의 엄지나 반대측의 손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원/출력 조정용 조작부 22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절연부 20의 일단 측에 형성된 절결 개구부로부터 일부가 돌출하도록 배치된 원반상의 부재이며, 절연부 20에 대해서 도 1 및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 24는, 절연부 20의 타단 측에 형성된 절결 개구부로부터 레바의 첨단부가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절결 개구부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고, 도 1의 위치 A, B, C의 3개의 설정 위치(정지 위치)로 교체 스위칭 되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전기 자극 장치 10을 저면도를 나타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부 20의 아래쪽 면 측에는 후술하는 배터리 30의 교환시에 조작되는 전지뚜껑 17이 설치된다. 이 전지뚜껑 17은 전극부 18의 반대측이 되는 절연부 20의 저면에 장착되어 케이스 12의 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케이스 12에 대해서 떼어냄이 가능하다.
전극부 20은 제1전극 14와 제1전극 14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제2전극 16 및 상기 제1전국 14와 제2전극 16의 사이에 배치된 절연부재 17을 가지고 있어 케이스 12의 상부 외면으로서 케이스 12로 일체화되어 케이스 12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각 전극 14, 16은 표면이 매끄러워 피부에 부착되는 점착면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전기 자극 장치 10을 포켓이나 가방 등에 넣어 가지고 다녀도 열화 하는 것이 없다.
전극부 2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12의 평면 형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면적을 가지는 평면의 상부에서 타원 형상을 이루고 있어 제2전극 16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 부분 내에 절연부재 17을 개입시켜 제1전극 14이 배치된 구성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극부 18에 있어서의 제2전극 16의 긴 방향의 폭, 이것과 직교하는 깊이 방향의 폭이 각각 58mm, 29mm로 여겨져 제1전극 14의 긴 방향의 폭 및 깊이 방향의 폭은 각각 20 mm 및 16 mm로 설정된다.
제2전극 16은 도 1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외주가 타원형을 이루어 제1전극 14보다 약간 큰 직경의 구멍 부분의 중앙에 형성되고 있다. 제2전극 16은 케이스 12의 긴 방향 및 그것과 직교 할 방향으로 R이 설치되어 중앙측이 윗쪽에 분위기를 살리는 것 같은 곡면 형상이 되고 있다.
이하에,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기 자극 장치 10의 사용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한다.
전기 자극 장치 10의 사용 시, 사용자는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 24를 포지션 A, B, C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부 20을 손바닥에 대향하도록 하는 한편, 케이스 12의 긴 방향이 중지의 성장할 방향과 직교하는 하도록 하여 전기 자극 장치 10 전체를 손바닥 위에 싣는다.
이때, 전극부 18의 제1전극 16의 가장 내민 중앙부가 손바닥의 중앙에 오도록 위치를 결정하고, 각 손가락으로 케이스 12 전체를 잡는 것으로, 그림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전체가 손바닥의 내부로 감싸진 상태가 되어 남의 눈에 띠이지 않고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전원/출력 조정용 조작부 22가 엄지 측에 되도록 잡고 있는 것으로부터, 도 5와 같은 상태로부터 파지측의 엄지로 전원/출력 조정용 조작부 22를 회전시켜 전원의 온, 오프 및 출력의 강약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덧붙여 이것과는 역방향의 잡는 방법, 즉,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 24가 엄지 측에 되도록 잡아 사용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 각 전극 14, 16의 위치 및 곡면 형상 등에 의해 케이스 12를 파지 하였을 때는 제1전극 14의 중앙의 부위가 손바닥의 중앙부에 확실히 근접하며, 상기 제1전극 14의 주위에 위치하는 제2전극 16의 거의 모든 영역이 손바닥의 다른 부위에 근접하므로써 케이스 12를 가볍게 잡았을 경우에서도 각 전극 14, 16이 손바닥의 각 피부 부위에 대해서 양호하게 밀착한다.
그리고 사용 후는 파지측의 손바닥을 열어 케이스 12를 격리시키는 것으로 각 전극 14, 16이 동시에 손바닥의 각 피부 부위로부터 멀어진 상태가 되므로 피부 부위에 대한 각 전극 14, 16의 착탈에 대한 모두의 수고가 불필요해진다.
또, 이 전기 자극 장치 10에서는, 장치 전체를 한 손으로 잡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으므로 통전 시에는 또다른 손이 자유가 되어 전원/출력 조정용 조작부 22의 조작, 혹은 다른 작업을 실시하는 일도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장치 전체를 왼손으로 잡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오른손으로 잡아 사용해도 좋은 것은물론이다.
다음에 전기 자극 장치 10의 케이스 12내에 격납된 펄스 생성 회로에 대해 도 6의 블럭도를 참조해 설명한다.
케이스 12내의 펄스 생성 회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전체의 제어를 실시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36과 전원으로서의 배터리 30과 상기 배터리 30의 전압을 소정 전압으로 승압해 출력하는 승압 회로 38과, 승압 회로 38의 출력전압 및 마이크로 컴퓨터 36의 제어 신호에 근거해 저주파의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과, 소정 주파수의 클록 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 36에 공급하는 발진기 32와 도 1에서 설명한 전원/출력 조정용 조작부 22에 대해서 기계적으로 접속된 온 오프 스위치 22a 및 볼륨 22b로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이 출력하는 펄스 신호의 주파수의 모드에 대해 선택하기 위한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 24와 리세트 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 36에 공급하는 리세트 회로 34를 갖추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배터리 12로서 코인형(이산화 망간 리튬 배터리, 공칭 전압 3 V)이 사용되는 것으로, 케이스 12의 소형화에 기여하고 있다. 승압 회로 38은 배터리 30로부터 공급되는 DC3V의 전원을 예를 들면 DC 55V에 승압해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으로 공급한다. 마이크로 컴퓨터 36은 배터리 30에 의한 DC3V의 전원 및 발진기 32로 여기 되는 예를 들면 4MHz의 클록 신호에 근거해 구동되어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은 승압 회로 38으로부터 공급되는 DC55V의 전압 및 마이크로 컴퓨터 36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해, 저주파의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으로부터는 인간의 뇌의 델타(δ) 파로부터 감마(γ) 파의 대역내의 주파수의 저주파 펄스로서 80Hz이하의 펄스 신호가 각 출력 동작 모드에 근거해 변동 혹은 고정해 출력되게 되어 있어 그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 42는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이 출력하는 펄스 신호의 주파수의 패턴(출력 동작 모드)을 제1 내지 제 3의 몇 개의 출력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선택하기 위한 것이며, 상술한 스위치의 설정 위치(포지션 A, B, C)에 대응한 모드 선택 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 36에 공급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 24가 예를 들면 도 1의 포지션 A의 위치에 있을 때는 제1출력 동작 모드, 포지션 B 위치에 있을 때는 제2 출력 동작 모드, 포지션 C의 위치에 있을 때는 제3출력 동작 모드가 된다.
온 오프 스위치 22a는 주전원의 온 오프, 즉 각 회로에 대한 배터리 30의 전원 공급의 온 오프를 바꾸는 전원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가져, 도 1의 전원/출력 조정용 조작부 22를 회동시키는 것으로, 온 오프 상태가 바뀌게 되어 있다.
볼륨 22b는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으로부터 각 전극 14, 16으로 공급되는 펄스 신호의 전압 레벨을 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볼륨 22b는 가변 저항기 등으로 구성되어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의 후단에 설치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단자가 상술의 각 전극 14, 16에 접속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술의 전원/출력 조정용 조작부 22를 오프로부터 온의 위치에 회동시키는 것으로, 온 오프 스위치 22a가 온이 되어 주전원이 투입되는것과 동시에, 각 전극 14, 16에 공급되는 전압이 가장 낮아지는 위치에 볼륨 22b의 접점이 이동해, 한층 더 전원/출력 조정용 조작부 22을 회동시키는 데에 따라 각 전극 14, 16에 공급되는 전압이 높아지도록 볼륨 22b의 접점이 이동하게 되어 있다.
리세트 회로 34은, 전원/출력 조정용 조작부 22의 회동에 의해 온 오프 스위치 22a가 온이 되었을 때에, 마이크로 컴퓨터 36에 리세트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리세트 회로 34로부터의 리세트 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 36이 검지하면, 마이크로 컴퓨터 13내의 메모리 등에 기억된 데이터가 소거되는 것에 의해 초기화된다. 이것에 의해, 온 오프 스위치 2a가 온이 되어 주전원이 재차 투입되려면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에 공급되는 제어 신호가 초기 상태로 돌아오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여겨진 펄스 생성 회로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전원/출력 조정용 조작부 22의 회동 조작에 근거해 온 오프 스위치 22a가 온이 되면, 배터리 30에 의한 DC3V의 전원이 승압 회로 38 및 마이크로 컴퓨터 36으로 각각 공급되어 승압 회로 38에 의해 DC55V로 상승되는 것과 동시에,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 24의 설정 위치에 대응한 출력 동작 모드로 마이크로 컴퓨터 36으로부터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에 제어 신호가 공급되어 이 제어 신호에 근거해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으로부터 출력된 펄스 신호가 볼륨 22b를 통하여 각 전극 14, 16에 공급된다.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으로부터 발생한 저주파 출력은, 전원/출력 조정용 조작부 22의 회동 조작에 의한 볼륨 22b의 설정 위치에 근거한 출력 전압치에서, 제1전극 14 및 제2전극 16으로 공급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볼륨 22b의 설정 위치에 의해, 출력전압이, 예를 들면 20 V~55 V의 범위에서 무단계에 조정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전극 14가 마이너스로 제2전극 16이 플러스가 되는 극성의 펄스 신호가 각 전극 14, 16으로 공급되게 되어 있으나, 각 전극에 공급되는 전압의 극성이 바뀌어도 자극감이 약간 다른 것을 제외해서는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전기 자극 장치 1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전극 16이 제1전극 14보다 전극 면적이 넓게 되어 있어 사용자에 의해 케이스 12가 파지되면, 제1전극 14의 중앙의 부위가 손바닥의 중앙부에 확실히 근접하게 된다. 한편, 제1전극 14의 주위에 위치하는 제2전극 16의 거의 모든 영역이 손바닥의 다른 부위에 근접하므로, 전원/출력 조정용 조작부 22의 회동 조작에 근거하는 전원 투입 후의 통전 상태에서는 제2전극 16을 통해 생체에 흐르는 전류 밀도가 제1전극 14를 통해 생체에 흐르는 전류 밀도보다 낮아져, 손바닥의 중앙부에 집중적으로 전기 자극을 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술과 같은 구성과 하는 것으로써 전원 투입 후의 통전 상태에서는, 재2전극 16에 접촉하는 피부 부위에의 자극감이 없어져 제1전극 14에 접촉하는 피부 부위에의 자극감만이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때문에 상기 전기 자극 장치 10에 의하면, 예를 들면 손바닥의 약어 중앙에 있는 노궁(자율신경 증상이나 불안에 대해서 진정 효과가 있다고 말해지고 있는 단지)의 자극 효과가 매우 우수하게 된다.
다음에, 전기 자극 장치 10으로 손바닥에 전기적 자극을 줄 때의 제1전극 14및 제2전극 16에 공급되는 펄스 신호의 주파수의 각 패턴(각 출력 동작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제1출력동작모드]
펄스 생성 회로가 제1출력 동작 모드로 동작되면,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주파수는 인간의 뇌파의 베타파의 대역에 상당하는 최저 주파수로부터 감마파의 대역에 상당하는 최고 주파수까지 연속적으로 점증 하도록 출력하는 동작을 소정 주기에 반복하게 되어 있다. 즉, 펄스 생성 회로의 제1출력 동작 모드에서는,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주파수가 60초의 주기에 약 14Hz로부터 약 73Hz까지 연속적으로 점증하는(1초간에 1Hz씩 증가한다) 톱니파의 패턴이 되고 있다.
즉, 제1출력 동작 모드에서는 펄스 신호의 주파수가 β물결의 대역(14~30 Hz)으로부터 뇌의 정보 통합 작용과 밀접하게 관계하는 감마파의 대역(31~73 Hz)까지 점증 한 후, 60초 경과하면 베타파의 대역까지 내려 다시 점증하게 된다. 이러한 파형 패턴과 저주파 펄스를 출력하므로써 전기 자극 장치 10의 사용자는 통전시에 있어 소위 끌어 들여 효과가 유발되어 유저의 뇌파가 출력 주파수에 동조하려고 하는 것으로, 뇌로부터 감마(γ) 파가 발생하기 쉬워져, 정보 통합의 작용이 촉진되는 것이 기대된다. 덧붙여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소정 시간(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15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의 출력이 정지해 동작이 종료하게 되어 있다.
[제2출력동작모드]
펄스 생성 회로가 제1출력 동작 모드로 동작되면,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주파수는 인간의 뇌파의 베타(β)파의 대역(14~30 Hz)에 상당하는 최고 주파수로부터, 알파(α)파 대역(8~13 Hz) 및 시타(θ) 파 대역(4~7 Hz)을 거쳐 델타(δ) 파의 대역(0.5~3 Hz)에 의한 최저 주파수까지 연속적으로 점감하도록 출력하는 동작을 소정 주기에 반복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주파수가 60초의 주기에 약 14Hz로부터 약 1Hz까지 연속적으로 점감하는 것이다. 즉, 제2의 출력 동작 모드에서는, 펄스 신호의 주파수가 베타(β)파 대역(14 Hz)으로부터 정신적인 안정을 가져오는 알파(α)파 대역(13~8 Hz) 및 시타(θ) 파 대역(7~4 Hz)을 거쳐 델타(δ) 파의 대역(3~1 Hz)까지 연속적으로 점감한다. 이러한 동작이 60초 경과하면 베타(β)파의 대역까지 급 상승한 후 다시 점감하게 된다. 그리고, 제2의 출력 동작 모드에서도 동작 개시부터 15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의 출력이 정지해, 동작이 종료한다.
상기와 같은 저주파 패턴의 발생헤 의해 전기 자극 장치 10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통전 시에 있어 소위 끌어 들여 효과가 유발되어 유저의 뇌파가 출력 주파수에 동조하려고 하는 것으로, 뇌파의 주파수가 점감하기 쉬워져, 교감신경이 억제되어 수면이 촉진되는 것이 기대된다.
[제3출력 동작 모드]
펄스 생성 회로의 제3의 출력 동작 모드에서는,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으로부터 출력되고 각 전극 14, 16에 공급되는 펄스 신호의 주파수가 인간의 뇌파의 시타(θ)파의 대역(4~7 Hz) 내의 소정 주파수에 고정해 출력되는 고정 출력 모드가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펄스 생성 회로의 제3의 출력 동작 모드에서는,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주파수가 약 7Hz의 주파수에 고정해 출력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3의 출력 동작 모드에서도, 동작 개시부터 15분이 경과하면(자) 자동적으로 저주파 출력용 드라이버 40의 출력이 정지해, 동작이 종료한다.
이와 같이, 각 전극 14, 16에 공급되는 펄스 신호의 주파수가 약 7Hz일정으로 여겨지는 것으로, 전기 자극 장치 10의 사용자는 통전 시에 있어 소위 끌어 들여 효과가 유발되어 유저의 뇌파가 출력 주파수에 동조하려고 하는 것으로, 뇌로부터 약어 7Hz의 시타(θ) 파가 발생하기 쉬워져, 집중한 정신 상태를 얻을 수 있는 것이 기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전기 자극 장치 10은 손바닥의 중앙에 적확하고 집중적으로 전기 자극이 더해져 한편, 스트레스 장해, 정신적인 긴장, 집중력의 저하 등을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설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정신적 스트레스등에 대한 효율이 좋은 효과적인 치료등을 실시할 수가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 10은, 제1전극 14과 제2전극 16이동일면에 설치되어 케이스 12를 잡는 것만으로 제1전극 14가 손바닥의 중앙에 접촉한 후 제2전극 16이 주위의 피부 부위에 접촉하기 때문에 피부에 전극을 달 때의 귀찮은 작업이 필요 없고, 케이스 12를 손으로 잡아 장치 전체를 숨기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타인에게 알려지지 않고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전기 자극 장치 10을 가방이나 포켓등안에 넣어 외출해, 옥외나 관중의 앞 등에 대해 부담 없이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필요한 때에 언제라도 적절한 전기 자극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제2전극 16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1전극 14보다 면적이 넓고, 제1전극 14를 손바닥의 중앙에 당접시켜 케이스 12 전체를 잡았을 때에, 손바닥의 다른 피부 부위에 당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있으면 좋다. 따라서, 제2전극 16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제1전극 14의 반대측의 면(케이스 12의 저면측)에 배치하는 구성이라고 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손바닥의 한 개소를 집중적으로 자극하는 것이 가능해, 피부 부위에의 착탈의 수고가 걸리지 않는 전극을 갖춘 전기 자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5)

  1. 전기 자극 장치에 있어서,
    파지 가능한 케이스와,
    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되어 손바닥의 중앙에 근접시키기 위한 제1전극과,
    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되어 손바닥에 근접시키기 위한 제2전극과,
    케이스의 내부에 격납되어 각 전극에 대해서 저주파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펄스 발생기를 가지며,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1전극보다 넓은 전극 면적을 가져 케이스를 파지 시에 둘 수 있는 손바닥에의 접촉 면적이 넓게 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절연체를 개재시켜 상기 제1전극과 동일한 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전극은 손바닥 측에 향하여 전기 케이스가 파지 되면, 손바닥의 중앙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중앙이 상부로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발생부는 상기 저주파 펄스의 주파수를 인간의 뇌파의 베타(β) 파의 대역에 의한 최저 주파수로부터 감마(γ) 파의 대역에 의한 최고 주파수까지 연속적으로 점증 하도록 출력하는 동작을 소정 주기에 반복하는 제1출력 동작 모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발생부는 상기 저주파 펄스의 주파수를, 인간의 뇌파의 베타(β) 파의 대역에 의한 최고 주파수로부터 델타(δ) 파의 대역에 의한 최저 주파수까지 연속적으로 점감하도록 출력하는 동작을 소정 주기에 반복하는 제2출력 동작 모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장치.
KR20-2003-0017792U 2003-06-05 2003-06-05 전기 자극 장치 KR200335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792U KR200335290Y1 (ko) 2003-06-05 2003-06-05 전기 자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792U KR200335290Y1 (ko) 2003-06-05 2003-06-05 전기 자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290Y1 true KR200335290Y1 (ko) 2003-12-06

Family

ID=4942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792U KR200335290Y1 (ko) 2003-06-05 2003-06-05 전기 자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2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1545B1 (ja) * 2018-06-08 2019-12-18 株式会社ホーマーイオン研究所 電気刺激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1545B1 (ja) * 2018-06-08 2019-12-18 株式会社ホーマーイオン研究所 電気刺激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3356A (en) Apparatus for therapeutical treatment and stimulation of muscles by low-frequency oscillating electric current
EP0500552B1 (en) Nausea control device
JP2570823Y2 (ja) プラスター形状の低周波治療器
US5674261A (en) S-shaped electrotherapy massage stick
US8938303B1 (en) Restless leg therapeutic device
KR200467410Y1 (ko) 안면 마사지기
EP0705117A1 (en) Nerve stimulating device and associated support device
US3025858A (en) Ambulatory electrical muscle stimulating device
EP0521851A1 (en) ELECTRIC IRRITATION METHOD TO IMPROVE THE MUSCLE VIEW AND DEVICE THEREFOR.
WO2007134288A2 (en) Electrode-battery assembly for tens device
KR20130000537U (ko) 안면 마사지기
KR200335290Y1 (ko) 전기 자극 장치
WO2011148940A1 (ja) 超音波便秘改善器
JP3327913B1 (ja) 電気刺激装置
JPH07289649A (ja) 眼神経の刺激信号発生装置
CA1065968A (en) Oscillator housing with attached electrodes
JP4134022B2 (ja) 電気刺激装置
JPH1199190A (ja) 眼精疲労回復装置
JPS58121963A (ja) 電子美顔装置
JP6621545B1 (ja) 電気刺激装置
JP2017185227A (ja) 骨盤の疼痛管理の電気刺激プロトコルを確立するためのプロセス、および該プロトコルを使用する骨盤の疼痛管理のためのそれぞれの携帯型電気刺激機器
WO2022014241A1 (ja) 低周波治療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0370755Y1 (ko) 이혈용 전기 자극기
KR20050081478A (ko) 저주파 자극기
KR200317889Y1 (ko) 저주파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