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755Y1 - 이혈용 전기 자극기 - Google Patents

이혈용 전기 자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755Y1
KR200370755Y1 KR20-2004-0025812U KR20040025812U KR200370755Y1 KR 200370755 Y1 KR200370755 Y1 KR 200370755Y1 KR 20040025812 U KR20040025812 U KR 20040025812U KR 200370755 Y1 KR200370755 Y1 KR 200370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ear
battery
frequency current
low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운
박노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젠
Priority to KR20-2004-0025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7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7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outer, middle or inner 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가 용이하면서 귀의 이혈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주파 전류에 의한 자극작용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이혈용 전지 자극 이침기에 관한 것인 바, 그 구성은 배터리가 내장되고 그 외측면에 배터리로부터 발생되는 전원을 공급/차단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가 마련되는 이침기 본체와, 그 이침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 저주파 전류가 각각 인가되는 제 1,2전선부재와, 양측에 그 제 1,2전선부재가 각각 연결되고 일단부가 시침편과 파지편으로 분리가능하게 분할되어 타단부가 힌지축과 스프링에 의해 탄성 결합되는 이침구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부피가 콤팩트화되어 휴대가 용이하며 정확한 이혈 자리를 찾지 못하더라도 사용자가 저주파 전류의 세기 및 시간을 조절하여 혈 주위에 전기적인 자극이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전달되므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회성 소모품이 아니므로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혈용 전기 자극기{ELECTROTHERAPY APPARATUS FOR EAR ACUPUNCTURE}
본 고안은 이혈용 전기 자극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으로 제작되어 저주파 전류를 귀의 경혈에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공급하고 그 공급되는 전류의 강약 및 시간조절이 가능하게 공급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이혈용 전기 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이침학(耳鍼學)은 동양의학의 한 분야로서 인체의 장부 및 신체 사지, 조직 기관등이 인체의 각 부위와 유기적으로 소통이 되도록 연결된 기(氣)의 통로인 경락(經絡)을 통하여 귀에 형성된 이혈(耳穴)에 대응하여 분포되어 있고, 질병이 발생될 경우 질병에 따라 이혈에 양성반응이 나타나며, 이 양성반응을 통하여 상응하는 이혈에 침으로 자극을 주므로서 질병의 치료는 물론 질병의 예방을 도모하여 왔었다.
그중 인체 기관중의 귀는 인체의 작은 한 부분을 이루고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장육부, 사지, 백해, 피부, 혈관, 뼈, 신경 등의 모든 조직기관과 대응하여 200여개 이상의 이혈점이 분포되어 있고, 그 이혈은 기맥(氣脈)이 나가고 들어오고 모여 있는 곳으로 생리기능과 병리 변화를 반영하는 부위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인체내의 장부나 조직기관에 질병이 발생할 경우, 이에 상응하는 이혈에도 각종 양성반응이 나타나며 상응하는 이혈에 적당한 방법의 자극을 가하면 병리 과정 발생에 영향을 주어 체내 순환계의 기능을 개선하거나 면역력을 증진시키고 자율신경의 조절을 통하여 인체 각 기관의 기능을 정상화시켜 질병의 예방과치료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귀의 어느 특정부위에다 자극을 주어 치료하는 시술방법의 한가지로 이침 시술식이 있으며, 그 이침 시술은 가벼운 질환의 치료 및 예방 또는 비만등의 신체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이침을 시술받고자 할 때에는 한방병원이나 침술원 또는 전문적으로 이침을 익힌 전문가에게 찾아가서 시술을 받아야 하므로, 시간과 경제적으로 상당한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인이 소지 및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이침기를 사용하여 시침할 수 있는 시침도구들이 개발되었고, 그러한 시침도구들중 일 예로는 반창고등의 접착력을 갖는 접착부재의 내측 중앙부위에 침이나 침을 대신할 수 있도록 뽀족하게 돌출된 돌출물을 일체화시켜 귀에 접착시키도록 된 것이 있다.
이는, 휴대용으로 제작되어 개개인의 휴대가 용이하므로 널리 보급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을 갖고 있지만, 사용자가 혈자리가 표시된 모형 또는 도면, 사진등을 참조하여 혈 자리를 찾아서 시침하고 있으므로 초보자가 정확한 이혈 자리를 찾지 못할 경우 올바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일회성 소모품이 대부분이므로 비용 부담 및 쓰레기 처리의 부담이 있었다.
또한, 정확한 혈자리를 찾아서 시침하더라도, 항시 일정한 크기의 자극만을 부여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한 자극을 주지 못함과 아울러, 자극의 세기를 가변 조절함에 따른 효과에 미치지 못하므로, 저주파 치료기와 같은 강,약 조절 및 시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이침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가 용이하면서 정확한 혈자리에 관계없이 사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극의 세기 및 시침시간을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이혈용 전기 자극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혈용 전기 자극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요부인 이침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통상적인 귀의 이혈위치를 나타낸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침기 본체 120 : 배터리
130 : 온/오프 스위치 140 : 조절스위치
150 : 타이머 160 : 저주파 발진부
210, 220 : 제 1,2전선부재
300 : 이침구 310 : 시침편
320 : 파지편 330 : 힌지축
340 : 스프링 352 : 양극판
354 : 음극판 355 : 침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귀의 일부위를 파지하는 이침구와;
상기 이침구의 양측에 각각 전류를 공급하는 제 1,2전선부재와;
상기 제 1,2전선부재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고, 그 배터리의 전류를 인체에 무해한 저주파 전류로 발진시키는 저주파 발진부가 내장되며, 외측면에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온/오프동작으로 차단/공급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 및 상기 저주파 전류의 세기를 조정하는 조절스위치가 마련되는 이침기 본체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 상기 이침기 본체는 상기 저주파 전류의 공급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타이머가 설치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이침구는 일단부가 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접촉되어 파지하도록 그 내측에 음극판과 양극판이 선택적으로 마련된 시침편과 파지편으로 분할되고,
상기 시침편과 파지편의 타단부가 힌지축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스프링이 권회되어 복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된 것이다.
그외에도,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음극판과 양극판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는 혈자리를 자극하기 위한 뽀족한 형상의 침부재가 적어도 하나이상 돌출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혈용 전기 자극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배터리(120)가 내장되고 그 외측면에 배터리(120)로부터 발생되는 전원을 공급/차단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130)가 마련되는 이침기 본체(100)와, 그 이침기 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 저주파 전류가 각각 인가되는 제 1,2전선부재(210)(220)와, 양측에 그 제 1,2전선부재(210)(220)가 각각 연결되고 일단부가 시침편(310)과 파지편(320)으로 분리가능하게 분할되어 타단부가 힌지축(330)과 스프링(340)에 의해 탄성 결합되는 이침구(300)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이침기 본체(100)는 내부에 저주파 발진부(160)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측면에 온/오프 스위치(130)외에, 저주파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스위치(14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스위치는 통상적인 공지의 저주파 치료기에 사용되는 스위치로서, 온/오프동작과 +,- 저주파 전류의 세기 및 펄스 파장의 진폭 주기를 각각 조절하도록 된 것이다.
그 저주파 발진부(160)는 통상적인 공지의 것으로서, 상기한 조절스위치(140)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전류조절부(145)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온/오프 스위치(130)나 조절스위치(140)는 이침기 본체(100)의 표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로터리스위치나 토글스위치등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합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침기 본체(100)에는 상기한 저주파 전류의 작동시간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타이머(150)가 더 구비되며, 그 타이머(150)는 공지의 타이머 릴레이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이침구(300)는 시침편(310)과 파지편(320)의 일단부 사이로 귀의 일부위가 파지되도록 된 것으로, 그 형상이 전체적으로 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타단부의 힌지운동에 의해 일단부의 시침편(310)과 파지편(320)이 상호 이격/근접되도록 동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시침편(310)과 파지편(320)에는 내측에 저주파 전기가 통하도록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음극판(354)과 양극판(352)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음극판(354)의 내측에는 뽀족한 형상의 침부재(355; 또는 침형상의 돌출물)가 적어도 하나이상 마련되어 있다.
그 침부재(355)는 도전체이고, 귀(E)의 혈자리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접촉에 따른 자극을 가함과 아울러, 제 1,2전선부재(210)(220)중 하나와 연결되어 저주파 전류가 흐르는 접점 스위치의 기능을 겸하도록 된 것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그 이침구(300)의 힌지축(330)에 권회되는 스프링(340)은 공지의 비틀림코일 스프링을 채용하는 것이나, 굳이 그 스프링의 종류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복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스프링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2전선부재(210)(220)는 이침기 본체(100)로부터 각기 분리되어 이침구(300)의 시침편(310)과 파지편(320)에 각각 연결되고, 그 연결된 부분이 양극판(352)와 음극판(354)에 저주파 전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2전선부재(210)(220)는 이침기 본체(100)와 이침구(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중간부에 꼬임을 방지하도록 통상의 이어폰 줄에 채용되는 형태의 연결구(미도시됨)가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이혈용 전기 자극기는, 평상시에는 사용자가 이침기 본체(100)를 주머니나 가방에 수납하여 휴대용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주머니나 가방에서 꺼낸 후에 혈자리가 표시된 모형 또는 도면, 사진등을 참조하여 혈 자리를 찾아서 이침구(300)를 귀(E)에 고정시킨 다음에, 이침기 본체(100)의 온/오프 스위치(130)를 온동작시켜 전기를 통전시킨다.
이때, 이침기 본체(100)내에 내장된 배터리(120)의 전류가 제 1,2전선부재(210)(220)를 통해 이침구(300)의 시침편(310)과 파지편(320)측으로 전달되고, 이어서 그 내측에 각기 마련된 양극판(352)과 음극판(354)측에 +,- 저주파 전류가 각각 인가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혈 자리 전,후 양측에서 저주파 전류가 사용자의 귀(E)를 매개로 통전되면서 전기적인 자극이 가해지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온/오프 스위치(130)와 조절스위치(140)를 이용하여 사용자 본인에게 적합한 전류의 세기 및 시간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이머(150)를 이용하여 사용시간을 지정할 수도 있다.
이때, 타이머(150)의 시간조절은 조절스위치(140)와 같이 이침기 본체(100)의 외측면에 마련된 스위칭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 스위칭부를 굳이 표현하지 않기로 한다.
이러한 자극작용이 이혈에 작용하게 됨에 따라, 이혈의 혈자리에 따른 체내 순환계의 기능을 개선하거나 면역력을 증진시키고 자율신경의 조절을 통하여 인체 각 기관의 기능을 정상화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휴대가 용이하면서 귀의 이혈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주파 전류에 의한 자극작용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이혈용 전지 자극 이침기에 관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부피가 콤팩트화되어 휴대가 용이하며 정확한 이혈 자리를 찾지 못하더라도 사용자가 저주파 전류의 세기 및 시간을 조절하여 혈 주위에 전기적인 자극이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전달되므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회성 소모품이 아니므로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4)

  1. 귀의 일부위를 파지하는 이침구(300)와;
    상기 이침구(300)의 양측에 각각 전류를 공급하는 제 1,2전선부재(210)(220)와;
    상기 제 1,2전선부재(210)(22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20)가 내장되고, 그 배터리(120)의 전류를 인체에 무해한 저주파 전류로 발진시키는 저주파 발진부(160)가 내장되며, 외측면에 상기 배터리(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온/오프동작으로 차단/공급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130) 및 상기 저주파 전류의 세기를 조정하는 조절스위치(140)가 마련되는 이침기 본체(10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혈용 전기 자극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침기 본체(100)는 상기 저주파 전류의 공급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타이머(1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혈용 전기 자극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침구(300)는 일단부가 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접촉되어 파지하도록 그 내측에 음극판(354)과 양극판(352)이 선택적으로 마련된 시침편(310)과 파지편(320)으로 분할되고,
    상기 시침편(310)과 파지편(320)의 타단부가 힌지축(330)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330)의 외주면에 스프링(340)이 권회되어 복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이혈용 전기 자극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354)과 양극판(352)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는 혈자리를 자극하기 위한 뽀족한 형상의 침부재(355)가 적어도 하나이상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혈용 전기 자극기.
KR20-2004-0025812U 2004-09-08 2004-09-08 이혈용 전기 자극기 KR200370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812U KR200370755Y1 (ko) 2004-09-08 2004-09-08 이혈용 전기 자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812U KR200370755Y1 (ko) 2004-09-08 2004-09-08 이혈용 전기 자극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755Y1 true KR200370755Y1 (ko) 2004-12-20

Family

ID=49443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812U KR200370755Y1 (ko) 2004-09-08 2004-09-08 이혈용 전기 자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7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472Y1 (ko) 2011-11-24 2013-04-23 주식회사 아롱엘텍 초음파 이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472Y1 (ko) 2011-11-24 2013-04-23 주식회사 아롱엘텍 초음파 이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3356A (en) Apparatus for therapeutical treatment and stimulation of muscles by low-frequency oscillating electric current
US5674261A (en) S-shaped electrotherapy massage stick
JPH08511445A (ja) 神経刺激装置および連係支持装置
WO20151750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ricular peripheral nerve field stimulation
KR20080099292A (ko) 동물의 비-침투적 자극을 위한 장치
KR20090098541A (ko) 장갑형 전극을 갖는 전기치료기
CN109420257A (zh) 美容器具
KR20110002210A (ko) 기능성 침체
WO2001003638A1 (en) Massage and to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070105441A (ko) 인체의 특정부위 치료를 위한 저주파 마사지기
KR200370755Y1 (ko) 이혈용 전기 자극기
JPH1199190A (ja) 眼精疲労回復装置
GB2417688A (en) Electrical transcutaneous pain suppression and pain location device
CN209952058U (zh) 电刺激装置
KR100409100B1 (ko) 휴대폰을 활용한 탈부착형 전기자극장치
JPH1189945A (ja) 生体刺激装置
JP3665632B2 (ja) イオン導入用の電気刺激装置及び電子美容器
KR200328971Y1 (ko) 손바닥을 저주파 펄스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봉
JPS5957668A (ja) 生物学的電気刺激装置
JPH09103496A (ja) イオン浸透治療器
KR20100080647A (ko) 전기자극기
JP2607040Y2 (ja) 電気治療器
CN210044699U (zh) 一种经皮神经电刺激仪
JP2011078635A (ja) 生体刺激装置および生体の美容方法
JPH10295826A (ja) 生体刺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