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073Y1 - 침출수를 감소시킨 쓰레기 매립장 - Google Patents
침출수를 감소시킨 쓰레기 매립장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34073Y1 KR200334073Y1 KR20-2003-0027911U KR20030027911U KR200334073Y1 KR 200334073 Y1 KR200334073 Y1 KR 200334073Y1 KR 20030027911 U KR20030027911 U KR 20030027911U KR 200334073 Y1 KR200334073 Y1 KR 20033407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ndfill
- leachate
- unit
- rainwater
- rainwater drainag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9 land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49 chemical wate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1 domest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2—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6—Sealing of existing landfills, e.g. using mining techniqu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활 및 지정 쓰레기의 매립에 관한 기술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나쁜 냄새가 외부로 나가지 않고 우천시의 침출수 발생량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쓰레기 매립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쓰레기 매립장을 분리벽을 설치하여 여러개의 소규모 단위 매립장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단위 매립장마다 침출수 집수관을 독립적으로 설치하고 하고 매립하지 않는 단위 매립장들의 끝단에는 침출수 집수부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배수로를 형성하고 배수로의 끝에는 빗물 집수조를 설치하고 이 빗물 집수조에는 빗물배수 펌프를 설치하였다.
매립을 하는 하나의 단위 매립장에는 상부에 밀폐된 이동식 덮개를 설치하고 이동식 덮개는 매립이 끝나면 다음 단위 매립장 위에 이동하여 설치한다.
매립중인 단위 매립장의 나쁜 냄새는 탈취장치로 처리하여 제거하게 하였다. 침출수 집수관은 그 끝은 한데 연결하여 침출수 저류조에 이송한 후 침출수처리장에서 정화 처리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쓰레기 매립장은 악취를 방지하고 침출수량을 최소화하여 침출수처리장의 시설비와 침출수 정화를 위한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생활쓰레기 또는 지정 쓰레기의 매립을 위한 쓰레기 매립장에 관한 기술이다.
종래에는 위생 매립이라고 하여 바닥에 차수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침출수 집수관을 설치하고 쓰레기를 매립하여 발생하는 침출수를 집수하여 침출수 저류조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침출수 처리장에서 정화 처리한 후에 정화된 물을 방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쓰레기 매립장은 대부분 노천 매립식이어서 비가 내릴 때는 빗물의 대부분이 침출수로 전환되어 침출수 발생량이 많고 특히 최근 들어 기후의 변화로 강우량이 대폭 증가하고 1일 100mm이상의 집중호우가 잦은 경우에는 침출수량이 폭증하여 처리 불능이 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노천 매립식 쓰레기 매립장의 대부분이 바닥을 깊게 판 연못형이거나 제방을 쌓아 그 안에 쓰레기를 매립하는 방식인 것을 고려하면 쓰레기 매립이 완료되기 전 까지는 우천시에 매립면적 위에 내린 빗물의 거의 100%가 침출수로 전환되어 평균 강우량의 7일분 이상인 침출수 저류조의 용량을 초과하고 평균 강우량에 맞게 설치된 침출수 처리장의 처리 용량을 초과하여 침출수 처리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쓰레기 매립장의 침출수는 그 자체로 처리가 매우 어려워 많은 시설과 비용이 필요하고 특히 매립 완료 후에도 20년간 침출수를 처리하도록 법제화되어 있어 침출수의 발생량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쓰레기 매립장에 악취 제거 장치가 없어 쓰레기 매립시에 발생하는 악취가 인근 마을에 영향을 주어 민원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악취가 발생하지 않고 침출수 발생량이 적고 경제적인 쓰레기 매립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쓰레기 매립장을 나타맨 평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쓰레기 매립장을 나타맨 단면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쓰레기 매립장 구조물 2. 분리벽
3. 빗물 배수로 4. 빗물 집수조
5. 빗물 배수 펌프 6. 이동식 덮개
7. 탈취 장치 8. 침출수 집수관
9. 침출수 차수층 10. 침출수 저류조
가. 제1 단위 매립장 나. 제2 단위 매립장 다. 제3 단위 매립장
라. 제4 단위 매립장 마. 침출수 처리장
본 고안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계획 쓰레기 매립량에 필요한 면적을 가지고 그 면적을 미리 정한 단위 면적이 되게 분리벽을 설치하여 균등하게 여러 개의 단위 매립장으로 분할한 쓰레기 매립장 구조물;
쓰레기 매립장 구조물의 바닥에 단위 매립장 마다 각각 독립되게 차수층을 형성하고 그곳에 설치한 침출수 집수관;
제2 단위 매립장부터의 단위 매립장에는 단위 매립장의 한쪽 끝에 차수층의 표면과 같은 높이로 설치한 빗물 배수로;
상기 빗물 배수로는 서로 연결되게 설치하고 빗물 배수로의 맨 끝에 미리 정한 깊이로 형성한 빗물 집수조;
상기 빗물 집수조 내에 설치한 빗물 배수 펌프 및 빗물 배수관;
제1 단위 매립장의 상부에 설치하고 매립이 완료되면 다른 단위 매립장에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한 이동식 덮개;
매립중인 단위 매립장에 연결하여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 할 수 있게 한 탈취장치;및
상기 각각의 침출수 집수관에서 나온 침출수를 일정기간 저장할 수 있는 침출수 저류조를 포함하는 침출수를 감소시킨 쓰레기 매립장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의 계획 쓰레기 매립량을 매립할 수 있는 용량을 산정하고 이로부터 필요한 쓰레기 매립장의 면적을 정한 다음 이 면적에 해당하는 쓰레기 매립장 구조물(1)을 설치하고 이 쓰레기 매립장 구조물(1)을 분리벽(2)를 설치하여 몇 개의 균등한 소규모 단위 매립장으로 구획 분할한다.
단위 매립장 면적은 중소 규모의 경우는 전체 쓰레기량을 약 5년간 매립할 수 있게 계획하므로 약 1년간 매립할 수 있는 면적이 좋을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식 덮개의 제작 설치가 가능한 크기로 하여야 하나 대략 중소규모 매립장의 경우 1년 매립량을 기준으로 하면 좋다.
각각의 단위 매립장(가),(나),(다),(라)에는 그 바닥에 차수막등 필요한 재료를 사용하여 침출수 차수층(9)를 형성하고 (철근 콘크리트의 경우 방수가 완전하면 차수막 설치는 생략가능) 이 침출수 차수층(9)에 침출수 집수관(8)을 각 단위 매립장마다 독립적으로 설치하고 각 침출수 집수관(8)의 끝에는 제수변(8-1)을 설치하고 그 이후 배관은 한데 연결하여 침출수 저류조(10)에 연결하였다.
침출수 집수관(8)의 위에는 자갈층과 모래를 깔고 표면을 고르게 하면 매립 준비가 완료된다.
제2 단위 매립장(나)에서 제4 단위 매립장(라)까지는 그 끝 에 침출수 차수층의 모래층 표면 높이와 같게 빗물 배수로(3)의 위 높이가 같게 설치하고 서로 연결되게 하며 빗물 배수로(3)의 끝에는 미리 정한 깊이로 빗물 집수조(4)를 설치하였다.
빗물 집수조(4)에는 빗물 배수 펌프(5)를 설치하고 그 토출측에는 빗물 배수관(5-1)을 단위 매립장 밖까지 연결되게 설치하였다.
제일 먼저 매립할 제1 단위 매립장(가)의 상부에는 이동식 덮개(6)을 설치하였고 여기서 발생하는 악취를 배제하기 위하여 배관으로 탈취장치(7)에 연결하였다.
침출수 저류조(10)의 침출수는 침출수 처리장으로 이송하여 처리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쓰레기 매립장 구조물(1)을 여러개의 단위 매립장으로 나누고 제1 매립장(가)부터 쓰레기를 매립한다.
쓰레기를 매립하면 쓰레기 중의 수분의 일부가 쓰레기가 부패함에 따라 각종 오염물질을 용해한 상태로 흘러나와 쓰레기 침출수가 된다.
이 침출수 발생량은 쓰레기 자체 수분에 의한 것으로 매우 작은 양이 된다.
이 쓰레기 침출수는 하부의 침출수 집수관(8)을 통하여 집수된 후 흘러서 침출수 저류조(10)으로 이송된다.
침출수 저류조(10)의 높이에 따라서는 펌프로 이송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다.
쓰레기를 매립하면 쓰레기의 부패로 인하여 침출수와 함께 메탄 개스등 개스발생과 악취가 발생한다.
이때 발생된 악취는 탈취장치(7)로 이송하여 냄새를 제거한다.
만약 메탄 개스의 양과 농도가 큰 경우에는 메탄개스 소각기를 설치 하기도한다.
비가 내릴 때는 제1 단위 매립장은 밀폐구조로 된 이동식 덮개(6)이 설치되어 있어 빗물이 매립장내로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침출수 발생량은 증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2 단위 매립장(나)에서 제4 단위 매립장(라) 까지는 빗물에 노출되어 빗물이 단위 매립장 내에 고이지만 각각의 침출수 집수관의 끝에 설치한 제수변(8-1)을 닫아 놓아서 빗물은 침출수 저류조(10)으로 이송되지는 않고 각 단위 매립장의 끝에 형성된 빗물 배수로(3)을 통하여 빗물 집수조(4)에 모이게 되고 여기서 빗물 배수 펌프(5)의 작용으로 빗물 배수관(5-1)을 통하여 매립장 외부로 배수되어 제거된다.
이곳의 빗물은 순수한 빗물이므로 외부로 배수하여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제1 매립장(가)의 쓰레기 매립이 완료되면 제1 매립장(가)의 쓰레기 매립 표면은 양질의 흙으로 덮고 차수막을 덮은 다음 다시 양질의 흙으로 덮어서 빗물이 제1 매립장로 침투하지 못하며 이동식 덮개(6)은 다음의 제 2매립장(나)로 이동하여 설치하고 탈취 장치(7)도 배관을 변경하여 제2 매립장(나)로 연결하고 빗물 배수로(3)의 제2 매립장(나)에서 제3 매립장(다)로 통하는 부분을 폐쇄한 후에 쓰레기 매립을 시작한다.
침출수 집수관(8)의 끝에 설치한 제수변(8-1)도 해당되는 것만 개방하면 제2 매립장(나) 와 제1 매립장(가)의 침출수만 침출수 저류조(10)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쓰레기를 매립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침출수 발생량은 매우 적어서 침출수 처리장을 별도로 건설하지 않고 발생된 침출수를 위탁처리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침출수 발생량을 감소시킨 쓰레기 매립장은 쓰레기 매립시 발생하는 침출수 발생량을 비가 내리는 것에 관계없이 매우 적게 감소시킬 수 있어 침출수 처리장 건설비와 이를 정화하기 위한 운영비용이 매우 저렴하며 매립장의 규모에 따라서는 침출수 처리장의 건설을 생략할 수 있어 쓰레기 매립장의 건설에 소요되는 총비용이 매우 저렴하고 악취 발생이 없어 주민 민원의 우려가 없고 매립장 주변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계획 쓰레기 매립량에 필요한 면적을 가지고 그 면적을 미리 정한 단위 면적이 되게 분리벽을 설치하여 균등하게 여러 개의 단위 매립장으로 분할한 쓰레기 매립장 구조물;쓰레기 매립장 구조물의 바닥에 단위 매립장 마다 각각 독립되게 차수층을 형성하고 그곳에 설치한 침출수 집수관;제2 단위 매립장부터의 단위 매립장에는 단위 매립장의 한쪽 끝에 차수층의 표면과 같은 높이로 설치한 빗물 배수로;상기 빗물 배수로는 서로 연결되게 설치하고 빗물 배수로의 맨 끝에 미리 정한 깊이로 형성한 빗물 집수조;상기 빗물 집수조 내에 설치한 빗물 배수 펌프 및 빗물 배수관;제1 단위 매립장의 상부에 설치하고 매립이 완료되면 다른 단위 매립장에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한 이동식 덮개;매립중인 단위 매립장에 연결하여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 할 수 있게 한 탈취장치;및상기 각각의 침출수 집수관에서 나온 침출수를 일정기간 저장할 수 있는 침출수 저류조를 포함하는 침출수를 감소시킨 쓰레기 매립장.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7911U KR200334073Y1 (ko) | 2003-08-29 | 2003-08-29 | 침출수를 감소시킨 쓰레기 매립장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7911U KR200334073Y1 (ko) | 2003-08-29 | 2003-08-29 | 침출수를 감소시킨 쓰레기 매립장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34073Y1 true KR200334073Y1 (ko) | 2003-11-19 |
Family
ID=49340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7911U KR200334073Y1 (ko) | 2003-08-29 | 2003-08-29 | 침출수를 감소시킨 쓰레기 매립장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34073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6707B1 (ko) * | 2008-05-09 | 2009-05-11 | 플러스이앤씨(주) | 폐기물 매립지 사면부를 이용한 침출수 배수시설 시공구조 |
KR200457078Y1 (ko) | 2011-04-15 | 2011-12-05 | 백선희 | 살처분 매립 처리 장치 |
CN114809107A (zh) * | 2022-04-29 | 2022-07-29 | 王棣 | 一种装配式钢筋混凝土刚性填埋场 |
CN117299733A (zh) * | 2023-09-06 | 2023-12-29 | 北京朝阳环境集团有限公司 | 一种生活垃圾填埋场防臭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
-
2003
- 2003-08-29 KR KR20-2003-0027911U patent/KR20033407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6707B1 (ko) * | 2008-05-09 | 2009-05-11 | 플러스이앤씨(주) | 폐기물 매립지 사면부를 이용한 침출수 배수시설 시공구조 |
KR200457078Y1 (ko) | 2011-04-15 | 2011-12-05 | 백선희 | 살처분 매립 처리 장치 |
CN114809107A (zh) * | 2022-04-29 | 2022-07-29 | 王棣 | 一种装配式钢筋混凝土刚性填埋场 |
CN114809107B (zh) * | 2022-04-29 | 2024-01-12 | 王棣 | 一种装配式钢筋混凝土刚性填埋场 |
CN117299733A (zh) * | 2023-09-06 | 2023-12-29 | 北京朝阳环境集团有限公司 | 一种生活垃圾填埋场防臭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24287A (en) | Septic system | |
KR101728208B1 (ko) |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 |
CN209907525U (zh) | 一种城市道路雨水收集净化利用系统 | |
KR200413946Y1 (ko) |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 | |
KR200416507Y1 (ko) |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
KR200334073Y1 (ko) | 침출수를 감소시킨 쓰레기 매립장 | |
JP4357623B2 (ja) | 廃棄物処分場 | |
JPH0379074B2 (ko) | ||
JP3858455B2 (ja) | 廃棄物処分場 | |
KR200425757Y1 (ko) | 하수처리구역용 단독정화조 | |
KR100485527B1 (ko) | 초기우수배제 (雨水排除)장치를 가진 다목적 우수처리시스템 | |
CN104193100A (zh) | 一种具有污水处理功能的绿化墙体装置及其使用方法 | |
JP4357647B2 (ja) | 廃棄物埋立方法 | |
JP3243726B2 (ja) | 簡易クローズドタイプ管理型廃棄物処分場およびその造成方法 | |
KR100493393B1 (ko) | 오 ·폐수 제거용 폐수정 | |
KR100775533B1 (ko) | 지표수의 지하수 환원을 겸한 수변조경장치 | |
JP2001025718A (ja) | 廃棄物処分場 | |
JPS5826071Y2 (ja) | 雑排水地中拡散槽 | |
KR20230168675A (ko) | 저영향개발(lid) 시설을 활용한 도로의 빗물 투수 시스템 | |
KR200404020Y1 (ko) | 지표수의 지하수 환원을 겸한 수변조경장치 | |
FI94410B (fi) | Jätevesien puhdistamo | |
KR20000063713A (ko) | 폐기물 매립장에서 매립가스와 침출수의 분리 배제 시스템 | |
JPH07136673A (ja) | 廃水処理装置 | |
EA039204B1 (ru) | Способ реконструкции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й свалки с преобразованием ее в полигон тбо | |
KR101595805B1 (ko) | 저영향개발 방식의 분리형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