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982Y1 - 의자용 좌판구조 - Google Patents

의자용 좌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982Y1
KR200333982Y1 KR20-2003-0028596U KR20030028596U KR200333982Y1 KR 200333982 Y1 KR200333982 Y1 KR 200333982Y1 KR 20030028596 U KR20030028596 U KR 20030028596U KR 200333982 Y1 KR200333982 Y1 KR 200333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eat plate
elastic means
sea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남
Original Assignee
김기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남 filed Critical 김기남
Priority to KR20-2003-0028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9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9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5Sp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C7/22 - A47C7/35
    • A47C7/027Sp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C7/22 - A47C7/35 with elastomeric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6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중을 분산 및 흡수할 수 있는 탄성수단이 두개의 지지판 저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좌판을 구비한 다음 받침대의 상단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프레임에 상기 좌판을 고정시켜서 된 의자용 좌판구조를 제공하므로서 상기 좌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킴은 물론 좌판의 일측에 집중되게 가해지는 하중은 지지판의 저면에 형성된 탄성수단에 의해 분산 및 흡수되게 하여 상기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하므로 받침대와 프레임과의 견고성을 지속시킬 수 있어 의자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의자용 좌판구조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또한, 두개의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좌판을 제공하므로서 상기 지지판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통풍을 원활하게 하여 의자에 장시간 착석한 상태에서도 좌판과 밀착된 신체의 일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질병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본 고안이 안출된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의자용 좌판구조{Seat structure for chair}
본 고안은 의자용 좌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의자의 받침대에 회전자재하게 고정되는 프레임상의 전후방에 둔부와 대퇴부를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두개의 지지판으로 형성된 좌판을 고정시켜 줌으로서 착석자의 무게 중심의 변화에도 상기 받침대에 하중이 일정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하여 의자의 수명을 장기화시키는 한편 두개로 된 지지판 사이에 다수개의 통풍구가 형성된 고무판을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통기성을 향상시켜 장시간 의자에 착석하여 학업이나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에게서 유발될 수 있는 각종 질병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의자용 좌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00)는 등받이(101)와 팔걸이 (102)와 좌판(103)과 프레임(104) 및 받침대(105)가 일체로 체결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좌판(103)은 그 착석면(103')이 대부분 막혀있는 일체형 좌판(103)이 주를 이루었으며 상기 좌판(103)은 받침대(105)의 상부에 회전자재하게 고정되는 프레임(104)에 설치.고정되어 의자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의자(100)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하중 즉 무게중심을 어느 한쪽으로 가하게 되면 상기 일체형 좌판(103)과 일체로 된 프레임(104)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러한 하중에 의해 상기 프레임(104)과 이 프레임(104)이 회전될 수 있도록 견고하게 고정하고 있는 받침대(105) 사이에 견고성이 저하되어 장기간 사용시 상기 받침대(105)와 프레임(104)의 유동폭이 증가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받침대(105)로 부터 프레임(104)이 이탈되는 등 의자(100)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대두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착석면(103')이 막혀있는 일체형 좌판(103)은 통풍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장시간 착석한 상태에서 학습 또는 업무를 보는 사용자의 신체에 심각한 질병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우려가 항시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고안은 하중을 분산 및 흡수할 수 있는 탄성수단이 두개의 지지판 저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좌판을 구비한 다음 받침대의 상단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프레임에 상기 좌판을 고정시켜서 된 의자용 좌판구조를 제공하므로서 상기 좌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킴은 물론 좌판의 일측에 집중되게 가해지는 하중은 지지판의 저면에 형성된 탄성수단에 의해 분산 및 흡수되게 하여 상기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하므로 받침대와 프레임과의 견고성을 지속시킬 수 있어 의자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의자용 좌판구조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또한, 두개의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좌판을 제공하므로서 상기 지지판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통풍을 원활하게 하여 의자에 장시간 착석한 상태에서도 좌판과 밀착된 신체의 일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질병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본 고안이 안출된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의자를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좌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지지판 2 : 쿠션재
3 : 탄성수단 3' : 체결공
4 : 탄성스프링 5 : 고무판
6 : 통풍구 10 : 좌판
20 : 프레임 21 : 고정날개부
21' : 고정공 22 : 삽입홀
30 : 받침대 100 : 의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은 두개로 분리된 의자용 좌판에 있어서, 소정의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재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탄성수단과; 상기 탄성수단이 저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쿠션재를 부착시킨 두개의 지지판과; 상기 두개의 지지판 사이에 위치.고정되며 다수개의 통풍구가 통공된 고무판이 일체로 된 좌판을 구비한 다음 의자 받침대의 상단에 회전자재하게 설치.고정된 프레임의 고정날개부에 형성된 고정공과 탄성수단에 형성된 체결공을 일치되게 하여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인 좌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도 3은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정 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두개의 지지판(1)(1')을 구비하되, 그 상부에는 완충효과를 갖는 쿠션재(2)를 각각 부착.고정시키고, 상기 지지판(1)(1') 저면 양측에는 소정의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재질의 탄성수단(3)을 일체로 형성한 다음 상기 지지판(1)(1') 사이에 다수개의 통풍구(6)가 통공된 고무판(5)을 설치하여 좌판(10)을 형성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좌판(10)은 상기 지지판(1)(1')의 저면 양측에 각각 일체로 된 탄성수단(3)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3')과 받침대(30)의 상단에 회전자재하게 설치.고정된 프레임(20)의 양측 고정날개부(21)에 형성된 고정공(21')을 일치되게 한 후에 볼트(B)와 너트(N)로 긴밀하게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좌판(10)을 이루는 두개의 지지판(1)(1')과 쿠션재(2)는 밀착되는 신체의 둔부나 대퇴부 등을 편안하게 감싸줄 수 있도록 굴곡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의 좌판(10)이 프레임(20)상의 전/후방에 설치.고정된 의자 (100)를 사용함에 있어서 착석자가 무게중심을 변환하여 상체를 앞쪽으로 기울여 무게중심을 이동하게 되면 그 하중이 일측 지지판(1)에 집중되어 가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판(1)의 저면에 형성된 탄성수단(3)이 눌려지면서 그 하중을 분산 및 흡수하게 되므로 상기 탄성수단(3)이 고정된 프레임(20)에는 최소한의 하중만 작용하게 되어 받침대(30)와의 견고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으므로 의자(1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두개의 지지판(1)(1')으로 이루어져 프레임(20)상의 전/후방에 설치.고정되는 좌판(10)을 좌/우로 설치.고정시켜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두개로 된 지지판(1)(1')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공간부에는 두께가 약 3~5㎜정도 되는 소정크기의 고무판(5)이 위치.고정되되, 이 고무판(5)에는 다수개의 통풍구(6)가 통공되어 있어 통풍을 원활하게 하여 장시간 착석시에도 쾌적하고 안락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탄성수단(3)은 경우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지지판(1)(1') 저면 양측에 각각 탄성스프링(4)을 일체로 체결한 다음 상기 프레임 (20)의 고정날개부(21)에 형성된 삽입홀(22)에 상기 탄성스프링(4)의 일단을 삽입.고정시켜 구성하여 좌판(10)에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의자용 좌판은 지지판의 상부에 형성된 쿠션재와 저면에 형성된 탄성수단에 의해 하중 및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 분산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장시간 착석하여 학습 또는 업무수행을 하여도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학습 및 업무 능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통기성이 우수하여 장시간 의자에 착석하므로서 발생될 수 각종 질병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당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적 실시예가 제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두개로 분리된 의자용 좌판에 있어서,
    소정의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재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체결공(3')이 형성된 탄성수단(3)과;
    상기 탄성수단(3)의 저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쿠션재(2)를 부착시킨 두개의 지지판(1)(1')과;
    상기 두개의 지지판(1)(1') 사이에 위치.고정되며 다수개의 통풍구(6)가 통공된 고무판(5)이 일체로 된 좌판(10)을 구비한 다음 의자 받침대(30)의 상단에 회전자재하게 설치.고정된 프레임(20)의 고정날개부(21)에 형성된 고정공(21')과 상기 탄성수단(3)에 형성된 체결공(3')을 일치되게 하여 볼트(B)와 너트(N)로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3)은 두개의 지지판(1)(1') 저면 양측에 각각 탄성스프링(4)의 일측을 체결한 다음 상기 프레임(20)의 고정날개부(21)에 삽입홈 (22)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스프링(4)의 타측을 삽입홈(22)에 삽입.고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구조.
KR20-2003-0028596U 2003-09-05 2003-09-05 의자용 좌판구조 KR200333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596U KR200333982Y1 (ko) 2003-09-05 2003-09-05 의자용 좌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596U KR200333982Y1 (ko) 2003-09-05 2003-09-05 의자용 좌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982Y1 true KR200333982Y1 (ko) 2003-11-19

Family

ID=4941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596U KR200333982Y1 (ko) 2003-09-05 2003-09-05 의자용 좌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9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138B1 (ko) * 2004-08-04 2008-03-17 이은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138B1 (ko) * 2004-08-04 2008-03-17 이은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3495B1 (ko) 자세 유지구
JP2010505507A5 (ko)
KR100762716B1 (ko) 등받이에 형상기억 스폰지가 장착된 의자
WO2007029970A1 (en) Chair having bifurcate seat and fan device therefor
KR100702213B1 (ko) 의자용 좌판
JP3491837B2 (ja) 椅子用クッション、特に子供シート用の着脱式クッション
JP5033402B2 (ja) 内装具
JPH10151033A (ja) 椅 子
US20170127839A1 (en) Chair
KR200419580Y1 (ko) 의자용 좌판
KR200333982Y1 (ko) 의자용 좌판구조
KR101473879B1 (ko) 각도 조절되는 좌판이 구비된 의자
EP3179886B1 (en) Chair
KR200323370Y1 (ko) 기능성 사무용의자
KR200456923Y1 (ko)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
KR102400029B1 (ko) 기능성 의자
JP4563111B2 (ja) 椅子用バックレスト
KR200471916Y1 (ko)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
JP7495586B2 (ja) 機能式椅子
KR100725147B1 (ko) 허리 받침대를 구비한 등받이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KR20170097314A (ko) 의자
KR20220143534A (ko) 자세 교정형 의자
GB2494247A (en) Bicycle child carrier with elastic seat structures
KR20230024068A (ko) 맞춤형 등받이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