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916Y1 -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 - Google Patents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916Y1
KR200471916Y1 KR2020120002505U KR20120002505U KR200471916Y1 KR 200471916 Y1 KR200471916 Y1 KR 200471916Y1 KR 2020120002505 U KR2020120002505 U KR 2020120002505U KR 20120002505 U KR20120002505 U KR 20120002505U KR 200471916 Y1 KR200471916 Y1 KR 2004719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aft
backrest
chair
suppor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5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841U (ko
Inventor
김갑수
곽현정
Original Assignee
곽현정
주식회사 청목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현정, 주식회사 청목코리아 filed Critical 곽현정
Priority to KR2020120002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91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8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8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9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91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47C16/005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우 분할된 등받이(100a)(100b) 사이에 위치하도록 등받이지지판(100) 상에 결합되는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지지판(100)에 결합되는 힌지축고정부재(90)는 받침부재(60)의 회동축(61)과 연계된 힌지축(65)을 수용할 수 있는 힌지축수용홈(92)이 힌지축전면고정부(91)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축전면고정부(91)의 상부에는 회동축고정홈(94)이 형성되어 회동축(61)을 스토퍼(94a)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Chair having Supporting member}
본 고안은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허리받이로 사용하거나 머리받이로 사용하도록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좌우 분할된 등받이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의자는 다리부와 좌판부 및 등받이로 구성되며, 상기 다리부는 의자의 하부에 구비되어 그 상부에 구비되는 좌판부 및 등받이를 지지하고 착석시 의자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다리부의 상단에는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이 안착되는 좌판부가 구비되며, 이 좌판부 후면에는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판부에는 착석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팔걸이부가 선택적으로 구비되고, 착석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좌판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가 상기 좌판부의 하면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는 착석시 착석자의 등을 보다 편안하게 받쳐주고 척추에 걸리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발전되어 왔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1169호(1994.02.22, 등록)에는 종방향으로 분할되어 좌, 우 1쌍으로 이루어지는 듀얼백 구조를 갖는 의자 등받이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공지된 종래의 의자 등받이는 착석자가 바른 자세로 착석하는 경우에는 착석자 등의 곡선에 따라 유연하게 밀착되어 착석자의 등을 편안하게 받쳐주게 된다.
그러나, 착석자가 의자 등받이에 기댄 경우에는 착석자의 허리가 자연스럽게 들리는 자세가 되기 때문에, 의자등받이로부터 허리가 이격되어 착석시 허리디스크에 가해지는 체중에 의한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허리에 무리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45168호(2001. 08.22, 등록)에는 착석자가 의자 등받이(1)에 완전히 기대어 뒤로 젖혀진 경우에도 착석자의 허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착석시 항상 허리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허리받침수단을 구비하는 의자 등받이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허리받침수단(2)과는 별도로 착석자의 머리를 받쳐주기 위한 머리받이(3)가 등받이(1)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한 허리받침수단(2)과 머리받이(3)를 각각 별도로 조립 구성하는 의자의 경우, 각각의 기능에 따라 착석자에게 착석시 편안하고 안락함을 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머리받이(3)의 경우에는 착석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휴식 등을 위해 몸의 중심을 뒤쪽으로 젖혔을 때, 머리 부위를 받쳐주게 되는 바, 실질적으로 착석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휴식을 취하는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머리받이(3)는 제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되게 되면, 주로 허리받침수단(2)만이 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의자를 제조 판매하는 제조자 입장에서는 각각 허리받침수단(2)과 머리받이(3)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의자가 제공될 경우, 상기 허리받침수단과 머리받이를 각각 별도로 제조 조립하는 것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조립 공정이 단축될 수 있어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도 허리받침수단(2)과 머리받이(3)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겸용 구조를 갖는 의자가 제공된다면, 허리받침수단(2)과 머리받이(3)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선택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10-1056076호에서는 도 2,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즉, 종래 고안에 따른 의자는 앉는 자리로서의 좌판부(10)와,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종방향으로 좌우 분할된 등받이(20)와, 상기 등받이(20)의 후방에서 지지하는 등받이지지판(30)과, 지면에 대해 의자를 전반적으로 지탱하는 다리부(40)와, 상기 좌판부(10)의 양측에 마련되는 팔걸이부(5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의자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좌우 분할된 등받이(20) 사이에 위치하도록 등받이지지판(30) 상에 힌지공(72)이 마련하고, 이 힌지공(72) 에 허리받이 기능과 머리받이 기능을 착석자가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상하 회동 가능한 회동축(61)을 매개로 받침부재(60)가 설치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받침부재(60)는, 상기 회동축(61)을 매개하여 상기 힌지공(72)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하게 됨에 따라 허리받이 기능과 머리받이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61)은 좌우 분할된 등받이(20) 상단 부위인 등받이지지판(30)에 마련된 힌지공(7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바, 상기 힌지공(72)이 등받이지지판(30)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공(72)의 위쪽에는 상기 회동축(61)이 상향 회동되어 올려진 상태에서 회동축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회동축삽입고정부(73)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회동축 양단(63)의 삽입고정부(73)가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회동축(61)이 상향 회동되어 등받이지지판(30) 상부와 접하게 되며, 역학적인 구조에 의해 상기 받침부재(60)가 앞으로 넘어지지 않고 머리받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회동축삽입고정부(73)의 후방에는 회동축(61)의 유동을 제한하는 스토퍼(75)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75)는 상기 회동축(61)이 회동축삽입고정부(73)에 끼워져 상기 받침부재가 머리받이 기능을 수행하게 될 때, 상기 회동축(61)을 스토퍼(75)가 고정 지지하여 받침부재(60)가 적절한 위치에서 머리받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공(72)이 등받이지지판(30)에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판상체로 형성된 고정판(71)상에 형성되어 이 고정판(71)이 등받이지지판(30)에 체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음, 상기 고정판의 사방 모서리에 마련된 나사공(74)을 통해 등받이지지판(30)에 상에 나사 체결하도록 되어있다.
본 고안은 종래 허리받침수단과 머리받이를 구비한 의자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의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등받이 자체에 결합수단을 형성하다보니 불량품 발생시 등받이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별도로 부착하다보니 부속품이 많아 작업상 번거로운 점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으로, 본 고안은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허리받침수단을 체결부와 일체로 형성하되, 그 결합은 의자 등받이에 결합부를 형성하여, 의자 등받이와 착탈식으로 함으로서 필요시 결합이 용이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좌우 분할된 등받이(100a)(100b) 사이에 위치하도록 등받이지지판(100) 상에 결합되는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지지판(100)에 결합되는 힌지축고정부재(90)는 받침부재(60)의 회동축(61)과 연계된 힌지축(65)을 수용할 수 있는 힌지축수용홈(92)이 힌지축전면고정부(91)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축전면고정부(91)의 상부에는 회동축고정홈(94)이 형성되어 회동축(61)을 스토퍼(94a)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통공으로 받침대수용홈(112)을 형성한 수용홈외판(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전면고정부(91)의 이면에는 받침대끼움부재(98)가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끼움틈새(97)가 형성되어 등받이지지판(100)의 수용홈외판(110)이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축전면고정부(91)의 상부에는 손잡이(96)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으로는 회동축받침부(96a)가 앞으로 둥글게 형성되며, 그 내부에 통공(96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 허리받침수단과 머리받이를 구비한 의자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의자를 제공한 것으로, 등받이 자체에 결합수단을 형성하다보니 불량품 발생시 등받이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별도로 부착하다보니 부속품이 많아 작업상 번거로운 점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필요시 결합이 용이하게 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의자 요부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받이를 사용할 수 있는 받침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받이를 사용할 수 있는 받침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받이를 사용할 수 있는 받침부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받이를 사용할 수 있는 받침부재의 배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머리받이를 사용할 수 있는 받침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머리받이를 사용할 수 있는 받침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머리받이를 사용할 수 있는 받침부재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받이를 사용할 수 있는 받침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받이를 사용할 수 있는 받침부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받이를 사용할 수 있는 받침부재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받이를 사용할 수 있는 받침부재의 배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의자는 앉는 자리로서의 좌판부(10)와,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지지판(100)과 이에 결합되는 종방향으로 좌우 분할된 등받이(100a)(100b)와, 지면에 대해 의자를 전반적으로 지탱하는 다리부(40)와, 상기 좌판부(10)의 양측에 마련되는 팔걸이부(5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의자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좌우 분할된 등받이(100a)(100b) 사이에 위치하도록 등받이지지판(100) 상에 받침대수용홈(112)을 형성한 수용홈외판(1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결합되는 힌지축고정부재(90)는 받침부재(60)의 회동축(61)과 연계된 힌지축(65)을 수용할 수 있는 힌지축수용홈(92)이 힌지축전면고정부(91)에 형성되어 있어, 상하로 받침부재(60)가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60)는 힌지축(65)과의 결합에 있어서 도 7에서 보듯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축(65a)에 의하여 좌우측에 형성된 받침부재(60)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통공(60a)(60b)에 의하여 결합되고, 이것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전면고정부(91)의 상부에는 회동축고정홈(94)이 형성되어 있고, 이 회동축고정홈(94)의 양 측벽에는 걸림턱 구조를 갖는 스토퍼(94a)가 형성됨에 따라 회동축(61)을 스토퍼(94a)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힌지축전면고정부(91)의 이면에는 받침대끼움부재(98)가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끼움틈새(97)가 형성되어 등받이지지판(100)의 수용홈외판(110)이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힌지축전면고정부(91)의 상부에는 손잡이(96)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으로는 회동축받침부(96a)가 앞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받침부재(60)를 위로 올릴 경우에 보조적으로 이를 받쳐주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보면, 손잡이에 손으로 잡을 경우에 쉽게 손이 들어가고, 그 내부에 통공(96b)이 형성되어 수월하게 파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은 본 고안의 허리받이로 사용되었던 받침부재를 머리받이로 사용하는 관계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머리받이를 사용할 수 있는 받침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머리받이를 사용할 수 있는 받침부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머리받이를 사용할 수 있는 받침부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으로 보아 잘 나타나 있듯이, 힌지축고정부재(90) 방향으로 받침부재(60)의 회동축(61)이 위로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전면고정부(91)의 상부에는 회동축고정홈(94)이 형성되어 회동축(61)을 스토퍼(94a)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힌지축전면고정부(91)의 상부에는 손잡이(96)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으로는 회동축받침부(96a)가 앞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받침부재(60)를 위로 올릴 경우에 보조적으로 이를 받쳐주고 있다.
10 : 좌판부 20 : 등받이
30 : 등받이지지판 40 : 다리부
50 : 팔걸이부 60 : 받침부재
61 : 회동축 65 : 힌지축
90 : 힌지축고정부재
112 : 받침대 수용홈

Claims (3)

  1. 의자의 등받이지지판(100) 전방에 종 방향으로 결합되는 좌우 분할된 등받이(100a)(100b) 사이에 위치하도록 등받이지지판(100) 상에 결합되는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60)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지지판(100)에는 통공으로 형성된 받침대수용홈(112)을 갖는 수용홈외판(110)이 형성되어 있고, 힌지축고정부재(90)는 받침부재(60)의 회동축(61)과 연계된 힌지축(65)을 수용할 수 있는 힌지축수용홈(92)이 힌지축전면고정부(91)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전면고정부(91)의 상부에는 회동축고정홈(9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동축고정홈(94)의 양 측벽에는 걸림턱 구조를 갖는 스토퍼(94a)가 형성됨에 따라 회동축(61)을 스토퍼(94a)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전면고정부(91)의 이면에는 받침대끼움부재(9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축전면고정부(91)와 받침대끼움부재(98) 사이에는 끼움틈새(97)가 형성되어 수용홈외판(110)의 받침대수용홈(112)에 힌지축고정부재(90)의 받침대끼움부재(98)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전면고정부(91)의 상부에는 손잡이(96)가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96)의 하단으로는 회동축받침부(96a)가 앞으로 둥글게 형성되며, 손잡이(96)의 내부에 통공(96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
KR2020120002505U 2012-03-28 2012-03-28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 Expired - Lifetime KR2004719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505U KR200471916Y1 (ko) 2012-03-28 2012-03-28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505U KR200471916Y1 (ko) 2012-03-28 2012-03-28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41U KR20130005841U (ko) 2013-10-08
KR200471916Y1 true KR200471916Y1 (ko) 2014-04-01

Family

ID=5148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505U Expired - Lifetime KR200471916Y1 (ko) 2012-03-28 2012-03-28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9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3805A (zh) * 2017-08-16 2019-03-01 北京奥凯文仪家具有限公司 一种人体工学椅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2803A (ko) * 2009-02-13 2010-08-23 김정보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2803A (ko) * 2009-02-13 2010-08-23 김정보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3805A (zh) * 2017-08-16 2019-03-01 北京奥凯文仪家具有限公司 一种人体工学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41U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604B1 (en) Waist supporting structure of a dual-layer chair back
US10791841B2 (en) Lumbar support chair having structure adjustable according to change of posture
KR200471916Y1 (ko)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KR101056076B1 (ko)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KR101069192B1 (ko) 가슴받이와 팔받이 및 발받침으로 사용가능한 상하 회동형 신체지지부를 구비한 의자
JP3137036U (ja) 椅子
KR200476283Y1 (ko) 접이식 쇼파
KR102056887B1 (ko) 접이식 휴대용 의자
KR101303263B1 (ko)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US20070257532A1 (en) Chair with interchangeable upholstery
KR100817334B1 (ko) 의자용 가슴받이
KR200444739Y1 (ko) 의자등받이와 일체로 된 연결카바를 구비한 좌의자
KR200314480Y1 (ko) 전후 회전 머리받침
KR20170001591U (ko) 소파
JP4563111B2 (ja) 椅子用バックレスト
KR20130001400U (ko) 기능성 의자
KR200371544Y1 (ko) 머리받침대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자
KR200416716Y1 (ko) 척추 교정용 좌의자
KR20160000326U (ko) 소파
CN204033637U (zh) 椅具
KR200457483Y1 (ko) 의자의 가슴받이부 지지용 연결지지대 체결구조
JP7312010B2 (ja) 折り畳み式椅子
KR102057254B1 (ko) 팔걸이 의자 어셈블리
KR200468815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허리지지대가 구비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032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62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3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