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138B1 -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 - Google Patents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138B1
KR100814138B1 KR1020040061487A KR20040061487A KR100814138B1 KR 100814138 B1 KR100814138 B1 KR 100814138B1 KR 1020040061487 A KR1020040061487 A KR 1020040061487A KR 20040061487 A KR20040061487 A KR 20040061487A KR 100814138 B1 KR100814138 B1 KR 100814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upport
frame
seat plat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2824A (ko
Inventor
이은
Original Assignee
이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 filed Critical 이은
Priority to KR1020040061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138B1/ko
Publication of KR20060012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3Abdomen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벨트를 걸친 후 의자의 좌판을 필요에 따라 일정 기울기 상태로 전환하여 신체의 무게중심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운동하므로써 자세교정과 피로회복을 도모하고 더블어 복부의 단전부위 측에 걸쳐지고 있는 진동벨트를 함께 작동시켜주어 단전과 복근, 허리근육에 안마 효과를 주어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등 신체피로를 풀어줄 수 있게 한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기울기 의자에 관한 것으로, 다리를 구비한 지주와, 이 지주 상에 체결된 좌판프레임과, 이 좌판프레임 상에 장착된 좌판과, 상기 좌판프레임에서 일정 형태로 연장되는 등받이 프레임에 일정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되는 등받이로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프레임은 지주에 직접 체결되면서 충격 흡수를 위해 고무재의 충격흡수부재를 다수 설치한 베이스 좌판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좌판프레임의 전,후방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프론트힌지와 리어힌지가 각각 설치된 베이스 힌지부와, 상기 베이스 힌지부의 전방측 프론트힌지에 하부축이 결합되고 상부축이 상기 좌판프레임의 상부 프론트힌지에 결합되도록 'ㅍ'자 형상으로 상기 리어힌지에 결합되는 리어 지지체 보다 높이가 낮도록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하부축 일측에 연장되어 회전가능하게 조작레버가 조립된 프론트 지지체와, 상기 베이스 힌지부의 리어힌지에 상기 프론트지지체 보다 높이가 높도록 형성되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리어 지지체와, 상기 프론트 지지체와 리어 지지체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도록 전,후방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는 상부 프론트힌지와 상부 리어힌지로 이루어진 상부 힌지부 및, 상기 상부 힌지부가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좌판프레임 상부에 체결되며, 상기 조작레버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프론트 지지체가 회전하여 상부에 장착된 상기 좌판이 후퇴하여 일정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된 가변 좌판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아울러 상기 진동벨트는 좌우측 벨트로 이루어져 좌우측 벨트 각각의 일측 단부가 상기 등받이 연결 고정되고, 타측 단부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벨크로 파스너가 설치되며, 배터리 주머니에 수납된 배터리의 공급 전원을 온, 오프하도록 설치된 조작스위치와, 이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락 작동하는 진동주머니에 수납된 바이브레이터 및,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주변에 있는 망주머니에 수납된 다수의 세라믹 바이오칩으로 이루어진 좌판기울기 의자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의자, 좌판기울기, 진동벨트, 바이브레이터, 지지체

Description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seat slant chair having vibrate velt}
도1은 본 발명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동벨트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도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좌판 기울기 의자 4:다리
6:지주 8:좌판프레임
10:좌판 11:등받이 프레임
12:등받이 14:베이스 좌판프레임
16:베이스 힌지부 18:프론트 지지체
20:리어 지지체 22:상부 힌지부
24:가변 좌판프레임 26:진동벨트
28:충격흡수부재 30:프론트힌지
32:리어힌지
34:조작레버 36:상부 프론트힌지
38:상부 리어힌지
40:벨크로 파스너 41:배터리 주머니
41B:배터리 42:조작스위치
43:진동주머니 44:바이브레이터
45:망주머니
46:바이오칩
본 발명은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벨트를 복부의 단전부위 측에 걸친 후 의자의 좌판을 필요에 따라 일정 기울기 상태로 전환하여 신체의 무게중심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자세교정과 더불어 피로회복을 도모하면서 진동벨트를 작동시켜 단전과 복근, 허리근육에 안마 효과로 신체피로를 풀어주는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자는 좌판, 등받이, 다리로 구성되어 등받이가 뒤로 약간 젖혀지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의자는 학생용, 직장용, 가정용에 따라 그 형태가 여러 종류로 구분되며, 이들 의자의 좌판은 후방 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을 뿐 그 이상의 변형이나 작동을 시킬 수 없기 때문에 장시간 앉아 있게 되면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좌판을 후방 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하는 이유는 수평으로 하거나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할 경우에는 앞쪽이 낮음에 따라 신체의 자세가 앞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편안한 앉은 자세를 제공하기 위하여 후방 측이 낮게 후방 측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 지게 제작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근래에 앉은 자세를 올바르고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제작한 의자들도 좌판의 앞 부분에 비하여 후방 측이 낮게 경사져 있는데, 이러한 기존의 의자들은 책상 앞에 바르게 앉을 때에는 편안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나 책상 위에 손을 얹고 작업이나 글을 쓸 때에는 신체의 상부가 앞쪽으로 당겨지게 됨과 동시에 엉덩이가 뒤로 빠지는 형태를 이루게 되고, 이 상태로 오래 앉아 있으면 허리가 아프고 요통의 발병 원인이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특히 학생들이나 직장인이 들이 의자에 오래 앉아 있지 못하거나 바른 자세를 취하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학습능률이나 업무의 능률이 현저히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의자에 일체로 무릎 받침대를 형성하고, 좌판 또한 앞쪽을 낮게 기울어지게 하여 장시간 착석에 따른 신체의 피로감을 풀어줄 수 있도록 한 의자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자는 무릎 받침대가 의자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착석이 불편하고, 무릎 받침대를 구비함에 따라 의자의 중량이 무거워져 이동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와 더불어 의자 제작에 소요되는 원자재의 증가로 원가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의자는 무릎 받침대를 이용하여 신체의 무게중심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외에 다른 부가적인 기능이 없어서 요구되는 활용성이 떨어지는 등 활용범위가 좁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의자가 갖는 여러 가지 문제점 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벨트를 복부의 단전부위 측에 걸친 후 의자의 좌판을 필요에 따라 일정 기울기 상태로 전환하여 신체의 무게중심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자세교정과 피로회복을 도모하면서 진동벨트를 작동시켜 단전과 복근, 허리근육에 안마 효과로 신체피로를 풀어줄 수 있는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2)는
다리(4)를 구비한 지주(6)와, 이 지주(6) 상에 체결된 좌판프레임(8)과, 이 좌판프레임(8) 상에 장착된 좌판(10)과, 상기 좌판프레임(8)에서 일정 형태로 연장설치되는 등받이 프레임(11)에 일정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되는 등받이(12)로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프레임(8)은 지주(6)에 직접 체결되면서 충격 흡수를 위해 고무재의 충격흡수부재(28)를 다수 설치한 베이스 좌판프레임(14)과;
상기 베이스 좌판프레임(14)의 전,후방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프론트힌지(30)와 리어힌지(32)가 각각 설치된 베이스 힌지부(16)와;
상기 베이스 힌지부(16)의 전방측 프론트힌지(30)에 하부축이 결합되고 상부축이 상기 좌판프레임(8)의 상부 프론트힌지(36)에 결합되도록 'ㅍ'자 형상으로 상기 리어힌지(32)에 결합되는 리어 지지체(20) 보다 높이가 낮도록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하부축 일측에 연장되어 회전가능하게 조작레버(34)가 조립된 프론트 지지체(18)와;
상기 베이스 힌지부(16)의 리어힌지(32)에 프론트 지지체(18) 보다 높이가 높도록 형성되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리어 지지체(20)와;
상기 프론트 지지체(18)와 리어지지체(20)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도록 전,후방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는 상부 프론트힌지(36)와 상부 리어힌지(38)로 이루어진 상부 힌지부(22) 및;
상기 상부 힌지부(22)가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좌판프레임(14) 상부에 체결되며, 상기 조작레버(3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프론트 지지체(18)가 회전하여 상부에 장착된 상기 좌판(10)이 후퇴하여 일정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된 가변 좌판프레임(24)으로 구성되고,
아울러 진동벨트(26)는 좌우측 벨트로 이루어져 좌우측 벨트 각각의 일측 단부가 상기 등받이(12)에 연결 고정되고, 타측 단부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벨크로 파스너가 설치되며, 배터리 주머니(41)에 수납된 배터리의 공급 전원을 온, 오프하도록 설치된 조작스위치(42)와, 이 조작스위치(42)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진동주머니(43)에 수납된 바이브레이터(44) 및, 상기 바이브레이터(44)의 주변에 마련된 망주머니(45)에 수납된 다수의 세라믹 등의 바이오칩(4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벨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기울기 의자(2)는 다리(4)를 구비한 지주(6)와, 이 지주(6) 상에 체결된 좌판프레임(8)과, 이 좌판프레임(8) 상에 장착된 좌판(10)과, 상기 좌판프레임(8)에서 일정 형태로 연장 설치되는 등받이 프레임(11)에 일정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되는 등받이(12)로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프레임(8)은 베이스 좌판프레임(14)과 베이스 힌지부(16), 프론트 지지체(18), 리어 지지체(20), 상부 힌지부(22) 및, 가변 좌판프레임(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좌판프레임(14)은 지주(6)에 직접 체결되는 것으로서, 베이스 좌판프레임(14)에는 충격 흡수를 위해 고무재의 충격흡수부재(28)가 다수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부재(28)는 일정 두께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변 좌판프레임(24)의 리턴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 힌지부(16)는 베이스 좌판프레임(14)의 전,후방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는 프론트힌지(30)와 리어힌지(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지지체(18)는 'ㅍ'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축이 상기 좌판프레임(8)의 상부 프론트힌지(36)에 결합되어 있고, 하부축은 베이스 힌지부(16)의 프론트힌지(3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축과 하부축 사이 양측이 지지축으로 지지되어 있고, 리어힌지(32)에 결합되는 리어 지지체(20) 보다 높이가 낮도록 지지축이 짧게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축 일측에 일체로 연장된 조작레버(34)가 회전하게형성되어 있다.
삭제
상기한 프론트 지지체(18)는 수평상태의 자세로 있다가 조작레버(34)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여 수직상태에 가까운 자세로 되어 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어 지지체(20)는 상기 프론트 지지체(18) 보다 높이가 높도록 지지축이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힌지부(16)의 리어힌지(3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상기 리어 지지체(20)는 프론트 지지체(18)와 연동하여 수평상태의 자세에서 수직상태에 가까운 자세로 회전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프론트 지지체(16)와 리어 지지체(20)의 수직상태에 가까운 자세에서 상기 가변 좌판프레임(24)이 후퇴하면서 좌판(10)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된다.
상기 상부 힌지부(22)는 상기 프론트 지지체(18)와 리어지지체(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전,후방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는 상부 프론트힌지(36)와 상부 리어힌지(3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변 좌판프레임(24)은 상부 프론트힌지(36)와 상부 힌지부(38)이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프론트 지지체(18)와 리어 지지체(20)를 통해 베이스 좌판프레임(14)의 상부에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체(18)의 하부축 일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조작레버(34)가 회전하여 설치되어 있어 상기 조작레버(3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프론트 지지체(18)도 회전하여 상부에 장착된 상기 좌판(10)이 후퇴하여 일정 경사각도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벨트(26)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11)의 일측에 체결된 등받이(1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좌우측 벨트로 이루어져 좌우측 벨트 각각의 일측 단부가 상기 등받이(12)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벨크로 파스너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벨트(26)에는 배터리 주머니(41)에 수납된 배터리(41B)의 공급 전원을 온,오프하도록 조작스위치(42)와 이 조작스위치(42)의 조작에 의해 작동할 수 있도록 바이브레이터(44)를 수납한 진동주머니(4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브레이터(44)의 주변에 마련된 망주머니(45)에는 세라믹 등의 바이오칩(46)이 다수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진동벨트(26)는 복부 위치인 단전에 바이브레이터(44)가 위치하도록 벨크로 파스너(40)를 이용하여 착용을 하고 나서 조작스위치(42)를 온시키면 공급 전원이 인가된 바이브레이터(44)는 진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 바이브레이터(44)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단전 부위나 복부에 위치시켜 진동시킴으로써 다이어트뿐만 아니라 정신건강, 육체피로를 풀어줌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바이브레이터(44)의 공급 전원은 휴대용 배터리나 가정용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사양의 것을 채택하여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2)는 평상시에 그냥 의자로 사용하다가 장시간 앉아 있어 허리, 복부의 단전 측 운동을 하고자 할 때나, 신체의 자세를 바꿀 필요가 있을 때에는 먼저 등받이(10)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 진동벨트(26)를 적당한 길이로 조절한 후 벨크로 파스너(40)를 부착시켜 신체의 체중을 버틸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좌판(10)에서 약간 엉덩이를 들어주면서 조작레버(34)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는 조작을 하게 되면 베이스 좌판프레임(14)의 프론트 힌지(30)에 조립된 프론트 지지체(18)가 수직상태에 가까운 자세로 변동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 좌판프레임(14)의 리어 힌지(32)에 조립된 리어 지지체(20) 도 상기 프론트 지지체(18)에 연동하여 역시 수직상태에 가깝운 자세로 세워져 변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프론트 지지체(18)와 리어 지지체(20)가 가변 좌판프레임(24)을 들어올려 좌판(10)의 후미 측을 등받이(12) 측으로 높이를 높이는 자세를 이루어 유지함에 따라 좌판(10)의 전체적인 자세는 앞쪽으로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좌판(10)에 앉아있는 사용자는 신체의 중심이 이동하여 앞쪽으로 쏠리게 되지만 진동벨트(26)에 의해 복부측이 지지되고 있어 허리는 등받이(12)에 의해 지지되면서 받치지게 되고, 무릎은 좌판(10) 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경사진 상태로되어 발이 좌판(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신체의 중심이 이동하여 앞쪽으로 쏠리는 듯하면서 진동벨트(26)에 의지하는 자세가 유지되면 사용자는 진동벨트(26)의 일측에 마련된 조작스위치(42)를 온시킨다.
그에 따라 단전 또는 복부에 걸쳐 있는 진동벨트(26)의 바이브레이터(44)가 작동하여 단전을 단련시켜주거나 복부에 위치시킬 경우 성인병의 원인인 복부 비만의 해소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체형이 크거나 작아도 진동벨트(26)의 벨크로 파스너(40)로 진동벨트(26)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체형에 관계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2)를 피로회복과 단전, 복부 운동용으로 사용하고 난 후 초기 상태로 전환하고자 하면, 엉덩이를 들어주면서 조작레버(34)를 조작하여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즉, 조작레버(34)를 조작하면 프론트 지지체(18)가 베이스 좌판프레임(14)의 프론트 힌지(30)를 축으로 하여 수평상태의 좌세로 복귀되고, 리어 힌지(32)를 축으로 하여 리어 지지체(20) 또한 상기 프론트 지지체(18)에 연동하여 수평상태의 죄세로 복귀됨으로써 좌판(10)이 설치된 가변 좌판프레임(24)은 베이스 좌판프레임(14) 상에 다수 부착된 충격흡수부재(28)를 개재하여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진동벨트(26)를 풀어주고 정리하면, 초기 상태의 의자 형태로 복귀됨으로써 건강을 도모하는 기구와 생활가구인 의자로서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좌판을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책상 위에서 글을 쓰거나 사무를 볼 때 신체의 상단이 앞으로 당겨지는 신체적 구조에 맞출 수 있으므로 앉은 자세가 편안하고 글을 쓰거나 사무를 보는데 피로를 느끼지 않는 등 작업 능률을 향상할 수 있고, 신체 건강을 증진 시킬 수 각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전에 허리를 뺀 상태의 자세로 하여 피로를 쉽게 느끼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불편한 자세로 오래 앉아 있음에 의해 발병되던 요통 등의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편안하고 바른 자세로 공부를 할 수 있어 수험생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서 어린이나 청소년, 성인이 신체의 자세를 효율적으로 교정할 수 있으며, 피로회복과 성장기의 발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삭제

Claims (3)

  1. 다리(4)를 구비한 지주(6)와, 이 지주(6) 상에 체결된 좌판프레임(8)과, 이 좌판프레임(8) 상에 장착된 좌판(10)과, 상기 좌판프레임(8)에서 일정 형태로 연장설치되는 등받이 프레임(11)에 일정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되는 등받이(12)로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프레임(8)은 지주(6)에 직접 체결되면서 충격 흡수를 위해 고무재의 충격흡수부재(28)를 다수 설치한 베이스 좌판프레임(14)과;
    상기 베이스 좌판프레임(14)의 전,후방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프론트힌지(30)와 리어힌지(32)가 각각 설치된 베이스 힌지부(16)와;
    상기 베이스 힌지부(16)의 전방측 프론트힌지(30)에 하부축이 결합되고 상부축이 상기 좌판프레임(8)의 상부 프론트힌지(36)에 결합되도록 'ㅍ'자 형상으로 상기 리어힌지(32)에 결합되는 리어 지지체(20) 보다 높이가 낮도록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하부축 일측에 연장되어 회전가능하게 조작레버(34)가 조립된 프론트 지지체(18)와;
    상기 베이스 힌지부(16)의 리어힌지(32)에 상기 프론트 지지체(18) 보다 높이가 높도록 형성되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리어 지지체(20)와;
    상기 프론트 지지체(18)와 리어 지지체(20)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도록 전,후방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는 상부 프론트힌지(36)와 상부 리어힌지(38)로 이루어진 상부 힌지부(22) 및;
    상기 상부 힌지부(22)가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좌판프레임(14) 상부 에 체결되며, 상기 조작레버(3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프론트 지지체(18)가 회전하여 상부에 장착된 상기 좌판(10)이 후퇴하여 일정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된 가변 좌판프레임(24)으로 구성되고;
    진동벨트(26)는 좌우측 벨트로 이루어져 좌우측 벨트 각각의 일측 단부가 상기 등받이(12)에 연결 고정되고, 타측 단부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벨크로 파스너가 설치되며, 배터리 주머니(41)에 수납된 배터리의 공급 전원을 온, 오프하도록 설치된 조작스위치(42)와, 이 조작스위치(42)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진동주머니(43)에 수납된 바이브레이터(44) 및, 상기 바이브레이터(44)의 주변에 있는 망주머니(45)에 수납된 다수의 세라믹 바이오칩(4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지지체(18)와 리어 지지체(20)는 좌판(10)이 일정 경사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리어 지지체(20) 보다 길이가 짧은 프론트 지지체(18)가 앞쪽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벨트(26)는 착용함에 따라 좌판(10)이 경사질 때 신체의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른 신체의 쏠림을 지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기울기 의자.
KR1020040061487A 2004-08-04 2004-08-04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 KR100814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487A KR100814138B1 (ko) 2004-08-04 2004-08-04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487A KR100814138B1 (ko) 2004-08-04 2004-08-04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824A KR20060012824A (ko) 2006-02-09
KR100814138B1 true KR100814138B1 (ko) 2008-03-17

Family

ID=3712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487A KR100814138B1 (ko) 2004-08-04 2004-08-04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981B1 (ko) * 2006-03-03 2007-06-12 박종혁 복근 강화용 의자
WO2008016275A1 (en) * 2006-08-04 2008-02-07 Jong Hyouk Park Abdominal muscles exercise chai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053U (ko) * 1998-10-14 2000-05-06 이종환 틸트용 회전의자
KR200202223Y1 (ko) * 2000-05-30 2000-11-15 김노수 의자 좌판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조절장치
JP2002262953A (ja) * 2001-03-13 2002-09-17 Itoki Crebio Corp 椅 子
KR200295381Y1 (ko) * 2002-08-12 2002-11-18 김만수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0333982Y1 (ko) * 2003-09-05 2003-11-19 김기남 의자용 좌판구조
US6688688B2 (en) 2000-05-27 2004-02-10 Peter Roeder Chair
KR20040027781A (ko) * 2004-03-04 2004-04-01 김재현 배받이 의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053U (ko) * 1998-10-14 2000-05-06 이종환 틸트용 회전의자
US6688688B2 (en) 2000-05-27 2004-02-10 Peter Roeder Chair
KR200202223Y1 (ko) * 2000-05-30 2000-11-15 김노수 의자 좌판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조절장치
JP2002262953A (ja) * 2001-03-13 2002-09-17 Itoki Crebio Corp 椅 子
KR200295381Y1 (ko) * 2002-08-12 2002-11-18 김만수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0333982Y1 (ko) * 2003-09-05 2003-11-19 김기남 의자용 좌판구조
KR20040027781A (ko) * 2004-03-04 2004-04-01 김재현 배받이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824A (ko)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03281A (ja) 背部支持システム
US20130053228A1 (en) Unstable Platform
RU2003122355A (ru) Тренаж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ES2315591T3 (es) Apoyo para la parte superior del cuerpo.
JP2009540871A (ja) 腰の強化に使用される椅子
JP2004517678A5 (ko)
EP4112134B1 (en) Chair
KR101674286B1 (ko) 환자용 침대
SE524392C2 (sv) Human kroppsstödjande anordning med bäckenstöd och fjädrande sits
KR20070001031U (ko) 허리운동용 의자
KR100814138B1 (ko)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
JP2011183145A (ja) 安楽座席
TWI691323B (zh) 床體結構
JP3671031B2 (ja) 背凭れ兼胸部支持体付き椅子
JP3137036U (ja) 椅子
KR100968026B1 (ko) 시트부의 요동 및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0389091Y1 (ko) 복부운동기구.
KR200407079Y1 (ko) 매트리스가 구비된 안마용 의자
JP2008259791A (ja) 座椅子
KR101311814B1 (ko) 기능성 의자
US20110057488A1 (en) Bouncing baby chair
KR100651132B1 (ko) 운동 의자
JP6303083B1 (ja) 筋力トレーニング可能な揺動座椅子
KR20180084010A (ko) 휴대용 접이식 방석
KR200163618Y1 (ko) 요통을 방지하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