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091Y1 - 복부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복부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091Y1
KR200389091Y1 KR20-2005-0010607U KR20050010607U KR200389091Y1 KR 200389091 Y1 KR200389091 Y1 KR 200389091Y1 KR 20050010607 U KR20050010607 U KR 20050010607U KR 200389091 Y1 KR200389091 Y1 KR 200389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ame
motor
hand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석
Original Assignee
이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석 filed Critical 이범석
Priority to KR20-2005-0010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0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0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부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지지대(7)와;
상기 하부지지대(7)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10)와 손잡이(10)에 고정되는 발 걸이(9)와;
하부지지대(7)에 고정되어 프레임(8)에 삽입되는 가이드 프레임(11)과;
상기 가이드프레임(11)내부에 좌석과 프레임(8)의 높이를 조절하는 스크류(12)와 높이조절 모타(13)와;
상기프레임(8)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10)와 손잡이(10)에 고정되는 발 걸이(9)와;
상기프레임(8)의 내부에 모터(4)를 구비하고 모터 기어(5)와 좌석 받침대 기어(6)로 연결되는 구동수단과:
상기프레임(8)의 상부에 편심 되게 좌석 받침대 기어(6)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좌석 받침대(1)와:
상기 좌석 받침대(1) 상부의 경사각위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좌석 판(2)과:
상기 좌석 판(2)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모터(4)의 구동에 따라 좌석 받침대(1)가 회전하고 좌석 받침대(1)의 경사각에 따라 좌석 판(2)이 움직여 사용자의 복부와 척추를 부드럽게 움직여 주어 복부비만과 척추운동에 효과적인 운동기구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본 고안의 복부운동기구에 앉아서 모타(4)를 구동시키면 사용자는 힘들이지 않고 복부운동과 척추운동을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실용적인 운동기구인 것이다.

Description

복부운동기구.{Hip-up machine}
본 고안은 복부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힘을 들이지 않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현대인이 가장 힘들어 하는 복부비만을 줄이고 허리운동을 수행하도록 고안되었으며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내구성을 높였으며 소음과 진동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현대인은 교통수단의 발달과 생활의 편리함으로 점점 운동량이 줄고 환경이 열악하여 건강을 위하여 운동을 하고 싶어도 운동할 장소와 시간이 없고 운동을 하여도 힘이 들어 지속적으로 꾸준히 운동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집안에서 할 수 있는 운동기구 들이 고가이거나 부피가 크고 소음과 진동이 있어서 이웃에게 피해를 주어 운동을 못하거나 오랜 시간 힘들여서 운동을 하여야 효과를 보는 실정이었다.
종래의 운동기구는 단순한 움직임 내지 진동만을 하는 헬스기구로서, 사용자가 싫증을 느끼고 운동을 중단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그리하여 운동을 하기위해 구입한 운동기구가 집안의 거추장스러운 물건으로 방치되어 금전적인 손실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장소 구애 없이 집안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면서 힘들이지 않고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시간의 구애를 안 받고 효과가 있는 운동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본고안의 목적은,
하부지지대(7)와;
상기 하부지지대(7)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10)와 손잡이(10)에 고정되는 발 걸이(9)와;
하부지지대(7)에 고정되어 프레임(8)에 삽입되는 가이드 프레임(11)과;
상기 가이드프레임(11)내부에 프레임(8)의 높이를 조절하는 스크류(12)와 높이조절 모타(13)와;
상기 프레임(8)내부에는 프레임(8)에 고정되어 구동되는 모타(4)와 모타(4)에 연결되어 같이 구동되는 모타 기어(5)와 모타 기어(5)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좌석 받침대 기어(6)와;
상기 프레임(8)상부에는 좌석 받침대 기어(6)에 편심(1cm ~ 11cm)되게 연결되어 회전하는 전반부에서 후반부로 경사(3도~15도)각을 갖는 좌석 받침대(1)와;
좌석 받침대(1)상부에 고정되고 좌석손잡이(3)를 갖춘 회전이 자유로운 좌석 판(2)으로 구비되어 달성된다.
본 고안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좌석 받침대(1)의 경사각과 편심 되게 회전하는 좌석 받침대(1)의 구성이라 하겠다.
그러므로 좌석 받침대(1)의 경사각은 후반부가 전반부 방향으로 수평선에 대해 3도에서 15도정도로 기울어지는 것이 적당하며 최적각도는 7도 정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 좌석 받침대(1)의 편심길이는 3cm에서 15cm로 하는 것이 적당하며 편심 최적 길이는 7cm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좌석 받침대(1)는 좌석손잡이(3)를 구비하여 안전성을 높이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고안의 우회전작동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좌석 판(2)에 앉아 높이조절 모타(13)를 구동하여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좌석의 높이를 조절하며 발을 발걸이(9)에 올리고 손잡이(10)를 손으로 잡아 안정된 자세를 잡으며 모타(4)를 구동하면 모타(4)의 구동에 의해 모타 기어(5)가 회전하며 좌석 받침대 기어(6)를 회전시키고 좌석 받침대 기어(6)와 같이 좌석 받침대(1)가 우 회전하며 이때 사용자의 움직임을 설명하면 전방으로 3도에서 15도 정도 기울어진 좌석 판에 앉아 편심 된 좌석 받침대(1)에 의해 엉덩이가 중심으로부터 6cm에서 30cm의 원을 그리며 우회전하게 되고 우회전하는 사용자의 좌측엉덩이는 좌석 받침대(1)가 우측으로 90도 회전할 때까지 점점 올라가고 이때 우측으로 미끄러지려는 사용자를 허벅지사이의 좌석손잡이(3)가 잡아주며 우측으로 넘어지려는 사용자는 본능적인 반사작용에 의해 좌측으로 몸을 기울이며 중심을 잡으며 좌 복부는 압축되고 우측복부는 이완되며 척추는 좌측으로 휘게 되며 좌석 받침대(1)가 90도를 지나 180도까지 회전할 때까지 좌석 받침대(1)의 경사각(3도~15도)에 의해 좌측엉덩이는 내려가며 허벅지 쪽이 올라가고 이때 복부전체가 압축이 되며 허리는 앞쪽으로 휘어지며 좌석 받침대(1)가 180도를 지나면서 270도까지는 사용자의 우측엉덩이가 올라가며 이때 우측으로 미끄러지려는 사용자를 허벅지사이의 좌석손잡이(3)가 잡아주며 좌측으로 넘어지려는 사용자는 본능적인 반사작용에 의해 우측으로 몸을 기울이며 우 복부는 압축되고 좌측복부는 이완되며 척추는 우측으로 휘게 되고 좌석 받침대(1)가 270도를 지나면 올라갔던 우측엉덩이가 내려오며 시작할 때의 자세인 엉덩이뒤쪽이 올라가고 허리는 처음의 편안히 펴지는 자세로 돌아간다.
이상과 같은 회전을 반복함으로써 복부운동을 가장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발걸이(9)는 사용자의 발을 걸어서 윗몸일으키기와 같은 운동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복부운동기구의 내부구조 및 좌석 받침대(1)의 경사도와 편심 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복부운동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복부운동기구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복부운동기구의 좌석받침대(1)의 경사도 특징을 나타내는 좌석받침대(1)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복부운동기구의 좌석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복부운동기구의 좌석 판(2)과 좌석손잡이(3)의 모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한 본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종래의 복부운동기구와 달리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뛰어나 내구성이 우수하다.
둘째, 사용자의 움직임을 극대화 하여 운동의 효과를 높였다.
셋째,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최소로 줄여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넷째,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제작단가를 저감 시킬 수 있다.
다섯째, 남녀노소 누구나 힘 안들이고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에게 복부운동과 허리운동 내장운동효과를 극대화 시켜 제품의 신뢰도와 상품성을 대폭 향상 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본 고안인 복부운동기구의 측면도
도 2 본 고안인 복부운동기구의 정면도
도 3 본 고안인 복부운동기구의 후면도
도 4 본 고안인 복부운동기구의 좌석받침대의 측면도
도 5 본 고안인 복부운동기구의 좌석받침대의 사시도
도 6 본 고안인 복부운동기구의 좌석 판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좌석 받침대
2. 좌석 판
3. 좌석손잡이
4. 모터
5. 모터 기어
6. 좌석 받침대 기어
7. 하부지지대
8. 프레임
9. 발걸이
10. 손잡이
11. 가이드 프레임
12. 스크류
13. 높이조절 모타

Claims (6)

  1. 하부지지대(7)와;
    상기 하부지지대(7)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10)과 손잡이(10)에 고정되는 발 걸이(9)와;
    상기 하부지지대(7)에 고정되어 프레임(8)에 삽입되는 가이드 프레임(11)과;
    상기 가이드프레임(11)내부에 프레임(8)의 높이를 조절하는 스크류(12)와 높이조절 모타(13)와;
    상기 프레임(8)내부에는 프레임(8)에 고정되어 구동되는 모타(4)와 모타(4)에 연결되어 같이 구동되는 모타 기어(5)와 모타 기어(5)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좌석 받침대 기어(6)와;
    상기 프레임(8)상부에는 좌석 받침대 기어(6)에 편심 되게 연결되어 회전하는 전반부에서 후반부로 경사각을 갖는 좌석 받침대(1)와;
    좌석 받침대(1)상부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되고 좌석손잡이(3)를 갖춘 회전이 자유로운 좌석 판(2)을 구비하여 완성되는 복부운동기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받침대(1)는 중심으로부터 3cm에서 15cm의 길이로 편심 되게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운동기구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받침대(1)의 경사각도는 3도에서 15도의 크기로 기울어져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운동기구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판(2)에 좌석손잡이(3)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운동기구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7)에 연결되어 발걸이(9)를 구비하고 있는 손잡이(1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운동기구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프레임(11)과 스크류(12)와 높이조절 모타(13)가 없이 프레임(8)이 하부지지대(7)에 고정되어 구조가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운동기구이다.
KR20-2005-0010607U 2005-04-18 2005-04-18 복부운동기구. KR200389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607U KR200389091Y1 (ko) 2005-04-18 2005-04-18 복부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607U KR200389091Y1 (ko) 2005-04-18 2005-04-18 복부운동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769A Division KR20060109603A (ko) 2005-04-18 2005-04-18 복부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091Y1 true KR200389091Y1 (ko) 2005-07-07

Family

ID=4369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607U KR200389091Y1 (ko) 2005-04-18 2005-04-18 복부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0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779B1 (ko) * 2013-12-26 2014-06-30 이상훈 헬스기구
KR20230057802A (ko) * 2021-10-22 2023-05-02 유라이닝(주) 진동 충격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보수 장치 및 보수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779B1 (ko) * 2013-12-26 2014-06-30 이상훈 헬스기구
KR20230057802A (ko) * 2021-10-22 2023-05-02 유라이닝(주) 진동 충격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보수 장치 및 보수 공법
KR102621243B1 (ko) 2021-10-22 2024-01-05 유라이닝(주) 진동 충격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보수 장치 및 보수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50219A1 (en) Vertical auxiliary apparatus for both body inversion and rehabilitation
US7524283B1 (en) Sex table
US20070259762A1 (en) Waist and abdomen exercising fitness equipment
CN208274911U (zh) 仰卧式健身装置
US7267640B2 (en) Apparatus for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muscles
WO2005118078A1 (ja) 腹部腰部諸筋トレーニング器具
KR100625850B1 (ko) 전신 안마기
EP2393397B1 (en) Chair back support system
KR100830900B1 (ko) 스윙, 회동 및 틸팅 조정 가능한 복합 운동기구
CN204709707U (zh) 晃摆运动器材
KR200389091Y1 (ko) 복부운동기구.
JP7489738B2 (ja) 脊椎弛緩用医療器具
KR20080004148A (ko) 자동 허리운동기구
WO2010043955A2 (en) Gymnastic chair for musculoskeletal system stimulation
KR200393369Y1 (ko) 스윙 및 틸팅가능한 복합 운동기구
KR20060109603A (ko) 복부운동기구.
KR101312020B1 (ko) 허리 및 팔운동용 의자
CN114009985A (zh) 一种学生用坐姿矫正座椅
KR20120080706A (ko) 스트레칭 기구
CN212880818U (zh) 一种懒人卷腹训练器械
CN216725135U (zh) 家用电动舒筋调理器
KR102337384B1 (ko) 프레임 구조 및 제어 방식이 개선된 골반근육 운동 의자
KR101498675B1 (ko) 복합운동기구
KR100814138B1 (ko) 진동벨트를 구비한 좌판 기울기 의자
KR102352271B1 (ko) 로잉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