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782Y1 -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782Y1
KR200333782Y1 KR20-2003-0026256U KR20030026256U KR200333782Y1 KR 200333782 Y1 KR200333782 Y1 KR 200333782Y1 KR 20030026256 U KR20030026256 U KR 20030026256U KR 200333782 Y1 KR200333782 Y1 KR 2003337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usb connection
usb
mobile phone
cellular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지마다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비넷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비넷토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비넷토
Priority to KR20-2003-0026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7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7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bstract

휴대전화기를 갖고 외출하고 있을 때에 운 나쁘게 휴대전화기의 배터리가 다 소모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된 경우에, 신변에 전원콘센트가 없거나 무겁고 부피가 큰 충전기를 갖고 걷지 않는 등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휴대전화기의 응급조치적인 충전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를 제공한다. 휴대전화기본체(1)의 일부에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도입용 접속단자로서, PC 등의 컴퓨터의 USB출력단자에 접속시킬 수 있는 USB접속단자(3)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이다.

Description

휴대전화기{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출시되고있는 휴대전화기는 일반적으로 배터리(전지)를 전원으로서 이용하고 있으며, 그 전지가 소모되면 사용 불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휴대전화기를 적당한 시점에서 충전기에 셋트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필요가 있다.
상기 휴대전화기의 충전은 전형적으로는 가정 내 등의 실내의 교류전원 콘센트에 대하여 충전기를 접속하고, 이 충전기에 휴대전화기를 올려놓는 형태로 셋트함으로써, 전자적으로 휴대전화기를 충전하는 방법이다.
또한, 다른 충전방법으로서는, 휴대전화기의 충전용 단자에 대하여, 가정 내 등의 실내로 인출되어있는 교류전원콘센트로부터 AC/DC변환기 등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을 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휴대전화기를 갖고 외출하고 있을 때에 운 나쁘게 전지가 다 소모된 경우, 통상 몸 가까이에는 전원콘센트가 없으므로 충전할 수 없다. 또한 전원콘센트가 있더라도, 무겁고 부피가 큰 AC/DC변환기를 구비한 충전기를 같이 갖고 걷는일은 없으므로, 충전이 불가능하다. 게다가 충전기를 갖고 있더라도 교류전원으로의 충전에는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는 등, 외출시의 전지소모는 치명적이었다.
한편, USB단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휴대전화기 등의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일단측의 접속단자를 USB접속단자로 함과 동시에, 타단측의 접속단자를 피 충전기에 맞는 접속단자로 한 케이블이 제공되어있다(일본 특개평2000-201204). 이 케이블을 이용하면, PC 등의 컴퓨터의 USB출력단자로부터 직류전력을 공급받아서 휴대전화기를 충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케이블은 어디까지나 케이블로서, 이와 같은 케이블을 외출시에 항상 같이 휴대하는 것은 대단히 귀찮은 일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외출시에 휴대전화기의 배터리가 다 소모된 경우 등에 응급조치적으로 편리하고 신속하게 충전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기본체의 조작보턴 등이 마련되어있지 않은 이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USB접속단자수납부의 수평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기본체의 조작보턴 등이 마련된 정면측을 나타내는 일부생략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기본체의 요부의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기본체의 USB접속단자의 수납케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기본체의 USB접속단자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휴대전화기본체 1a : 휴대전화기본체의 이면
1b : 휴대전화기본체의 측면 2 : USB접속단자수납부
3 : USB접속단자 4 : 권취기
21 : USB접속단자수납부의 개폐문 22 : USB접속단자수납부의 수납케이스
22a : 수납케이스의 가압스프링 22b : 수납케이스의 정지벽
31 : USB접속단자의 접속부 32 : USB접속단자의 단차부
33 : USB접속단자의 후퇴방지돌기 34 : USB접속단자의 케이블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휴대전화기는, 휴대전화기본체의 일부에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도입용 접속단자로서, PC 등의 컴퓨터의 USB출력단자에 접속시킬 수 있는 USB접속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제 1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전화기는, 상기 제 1 특징에 덧붙여, 상기 USB출력단자는, 휴대전화기본체 내에 수납된 수납위치와, 컴퓨터의 USB출력단자에 접속 가능한 돌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제 2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전화기는, 상기 제 2 특징에 덧붙여, 상기 USB접속단자는 수납위치와 돌출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제 3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전화기는, 상기 제 2 특징에 덧붙여, 상기 USB접속단자는 수납위치와 돌출위치의 사이에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제 4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전화기는, 상기 제 1 특징 내지 제 4 특징 중의 어느 한 특징에 덧붙여, 상기 USB접속단자는 휴대전화기본체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제 5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특징에 따르면, 휴대전화기를 갖고 외출 중등에 전화기가 배터리가 다 소모된 경우, 예를 들어 직장에서는 그 직장에 있는 PC(컴퓨터)를 빌림으로써 자기의 휴대전화기에 갖추어져있는 USB접속단자를 PC의 USB출력단자에 접속하여, PC로부터 직류전력을 공급받아서 휴대전화기를 응급조치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가 다 소모된 장소가 거리라고 하더라도, 최근에는 인터넷카페와 그 외의 PC를 시간당 사용할 수 있는 장소 등이 다수 있기 때문에, PC를 사용할 수 있는 장소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거기서 휴대전화기에 설치된 USB접속단자를 이용하여 응급조치적으로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된다.
최근의 대부분의 PC에는 USB단자가 갖추어져있고, 또한 외출지에서 접근 가능한 곳에 사용 가능한 PC가 있다. 시간당 사용하는 PC라면 사용에 큰 문제는 생기지 않으며, 그 외의 PC의 경우에는 소유자에 충전사용의 허가를 얻으면 된다.
또한 USB단자를 이용하는 충전의 경우에는, 무겁고 부피가 큰 교류직류변환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휴대전화기가 무거워지는 일도 없다.
물론, USB단자를 이용하여 PC로부터 휴대전화기를 충전하는 것은 응급조치적은 아니고 통상의 충전이라도 좋고, 신속한 충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1 특징의 휴대전화기에 따르면, 외출시에 휴대전화기의 배터리가 다 소모된 경우 등에도 최근에는 비교적 간단히 접근할 수 있는 거리 등에 있는 사용 가능한 PC를 이용하여 휴대전화기본체의 일부에 마련된 USB접속단자를 PC의 USB출력단자에 접속함으로써, 편리하고 간단하게 응급조치적으로 충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특징에 따른 작용효과에 덧붙여, 휴대전화기본체에 마련된 USB접속단자는 충전시에 휴대전화기본체의 수납위치로부터 돌출위치까지 이동되며, 그 돌출위치에서 컴퓨터의 USB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충전이 종료하면, 컴퓨터와의 접속으로부터 분리된 USB접속단자는 돌출위치로부터 수납위치까지 이동되어 휴대전화기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2 특징에 의한 휴대전화기에 따르면, USB접속단자는 충전에 필요한 때에만 휴대전화기본체로부터 돌출시키고, 그 외는 휴대전화기본체 내에 넣어둘 수 있다.
상기 제 3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특징에 의한 작용효과에 덧붙여, USB접속단자는 회동에 의해 휴대전화기본체의 수납위치와 돌출위치의 사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3 특징에 따르면, 휴대전화기본체의 한정된 공간 중에서 회동에 적합한 형태의 공간을 이용하여 USB접속단자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충전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 4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특징에 의한 작용효과에 덧붙여, USB접속단자는 진퇴함으로써 휴대전화기본체의 수납위치와 돌출위치 사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4 특징에 따르면, 휴대전화기본체의 한정된 공간 중에서 진퇴에 적합한 형태의 공간을 이용하여 USB접속단자를 진퇴 가능하게 설치하여 충전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 5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내지 제 4 특징 중의 어느 특징에 의한 작용효과에 덧붙여, USB접속단자를 휴대전화기본체로부터 인출하여 연장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컴퓨터와 휴대전화기를 충분하게 근접시킬 수 없는 경우라도, 상기 휴대전화기로부터 USB접속단자를 인출하여 연장한 USB접속단자로 컴퓨터의 USB출력단자에 접속하여 충전을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은 휴대전화기본체의 조작보턴 등이 마련되어있지 않은 이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USB접속단자수납부의 수평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3은 휴대전화기본체의 조작보턴 등이 마련된 정면측을 나타내는 일부생략사시도, 도 4는 휴대전화기본체의 요부확대도, 도 5는 USB접속단자의 수납케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USB접속단자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휴대전화기본체(1)의 이면(1a)에 USB접속단자수납부(2)가 마련되어있다. 상기 이면(1a)이라는 것은 휴대전화기본체(1)의 조작보턴이 마련되어있지 않은 면이다. 휴대전화기본체(1)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철식인 경우는, USB접속단자수납부(2)는 그 어느 한쪽의 이면(1a)에 마련되게 되지만, 통상적으로는 배터리가 셋트되는 쪽에 마련된다.
상기 USB접속단자수납부(2)에 USB접속단자(3)가 마련된다.
상기 휴대전화기본체(1)의 USB접속단자수납부(2)는 개폐문(21) 내에 수납케이스(22)가 구성되어있다. 통상시에는 USB접속단자(3)는 개폐문(21) 중의 수납케이스(22) 내에 수납되어있다.
USB접속단자(3)는 사용시에는 도 2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수납위치로부터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도 1에서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돌출위치까지 회동된다. 돌출위치에서는 USB접속단자(3)의 실제의 접속부(31)가 휴대전화기본체(1)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완전히 돌출하여, 컴퓨터의 USB출력단자에 접속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돌출상태에서 USB접속단자(3)를 도시하지 않은 컴퓨터의 USB출력단자에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받아서 충전을 할 수 있다.
상기 USB접속단자(3)의 회동은 상기 수납위치와 돌출위치를 회동종단으로 하는 도시하지 않은 피봇축을 이용한 공지기술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USB접속단자(3)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 혹은 그 외의 전기접속수단에 의해 휴대전화기본체(1) 내에 셋트된 배터리에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있다.
또한 상기 개폐문(21)은 예를 들어 경첩식으로 회동되어 열리도록 구성하여도 되고, 슬라이드식으로 해도 된다. 또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USB접속단자(3)는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USB접속단자(3)의 두께면(측면)이 휴대전화기본체(1)의 이면(1a)에 평행하게되는 자세로 수납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USB접속단자(3)의 표면 및 이면이 휴대전화기본체(1)의 이면(1a)에 평행(두께면이 휴대전화기본체(1)의 이면(1a)에 수직)하게 되는 자세로 수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USB접속단자(3)는 상기 돌출위치로부터 더 휴대전화기본체(1)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USB접속단자(3)는 상기 USB접속단자(3)의 기단측에 설치된 케이블과 함께 인출되게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USB접속단자(3)는 휴대전화기본체(1)의 측면(1b)에 돌출 가능하게 마련되어있다. 즉, USB접속단자수납부(2)의 개폐문(21)을 수반하는 개구가 휴대전화기본체(1)의 측면(1b)에 마련되어있고, USB접속단자(3)는 그 측면(1b)의 개구를 통하여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어있다.
상기 USB접속단자(3)는 통상시에는 휴대전화기본체(1) 내에 구성된 수납케이스(22) 내에 후퇴한 상태로 수납되어있다. 사용시에는 상기 USB접속단자수납부(2)의 개폐문(21)을 열고, USB접속단자(3)의 선단부를 1회 누르면, USB접속단자(3)가 도 3에 나타내는 상태(돌출위치)까지 진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케이스(22)에는 예를 들어 수납되어있는 USB접속단자(3)를 후방으로부터 돌출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22a)을 마련하고, 또한 USB접속단자(3)가 전방으로 돌출할 때에 일정 이상은 돌출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정지벽(22b)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USB접속단자(3)에는 예를 들어 상기 수납케이스(22)의 정지벽(22b)에 접촉하는 단차부(32)를 마련하고, 단차부(32)가 정지벽(22b)에 접촉한 시점에서 USB접속단자(3)의 진출이 정지되도록 한다.
또한 USB접속단자(3)에는 돌출된 USB접속단자(3)를 컴퓨터의 USB출력단자에 접속할 때, USB접속단자(3)가 수납케이스(22) 내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퇴방지돌기(33)를 마련할 수 있다. 이 후퇴방지돌기(33)는 USB접속단자(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마련되어있고, 돌출위치에 있는 USB접속단자(3)를 수납케이스(22) 내에 복귀시킬 때에는, 상기 후퇴방지돌기(33)를 손으로 눌러서 일시적으로 벽면 내로 후퇴시킨 상태에서 USB접속단자(3)를 수납케이스(22) 내로 복귀시킨다.
상기 USB접속단자(3)가 진출하거나 후퇴하거나 할 때, USB접속단자(3)의 케이블(34)이 헐렁거리거나 엉키거나 하지 않도록, 도 4를 참조하여 케이블(34)을 권취방향으로 당기는 권취기(4)를 휴대전화기본체(1) 내에 마련하여도 좋다. 상기 USB접속단자(3)의 케이블(34)은 최종적으로는 휴대전화기본체(1) 내에 셋트된 도시하지 않은 배터리에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있다.
상기 USB접속단자(21)는 도 3에 나타내는 돌출위치로부터 더욱 휴대전화기본체(1)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USB접속단자(3)를 휴대전화기본체(1)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전화기와 컴퓨터의 USB출력단자를 충분히 근접시킬 수 없는 경우라도, 연장된 USB접속단자(3)를 용이하게 컴퓨터에 USB출력단자에 접속하여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USB접속단자(3)는 수납위치와 돌출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USB접속단자(3)는 수납위치와 돌출위치의 사이에서 진퇴 가능하게 하였지만, 그 외에 USB접속단자(3)는 수납위치와 돌출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본체의 일부에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도입용 접속단자로서, PC 등의 컴퓨터의 USB출력단자에 접속시킬 수 있는 USB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외출시에 휴대전화기의 배터리가 다 소모된 경우 등에도, 최근에는 거리에서도 비교적 간단히 볼 수 있는 사용 가능한 PC 등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컴퓨터의 USB출력단자로부터 편리하고 신속하게 전력을 공급하여 응급조치적으로 충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컴퓨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직류이므로, 교류직류변환기 등을 휴대전화기에 탑재할 필요도 없으므로, 휴대전화기의 중량증가도 근소하게 된다.
또한, USB출력단자가, 휴대전화기본체 내에 수납된 수납위치와, 컴퓨터의USB출력단자에 접속 가능한 돌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USB접속단자는 충전에 필요한 때에만 휴대전화기본체로부터 돌출시키고, 그 이외에는 휴대전화기본체 내에 넣어 둘 수 있다.
또한, USB접속단자가 수납위치와 돌출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경우, 휴대전화기본체의 한정된 공간 중에서 회동에 적합한 형태의 공간을 이용하여 USB접속단자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충전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USB접속단자가 수납위치와 돌출위치의 사이에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될 경우, 휴대전화기본체의 한정된 공간 중에서 진퇴에 적합한 형태의 공간을 이용하여 USB접속단자를 진퇴 가능하게 설치하여 충전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USB접속단자가 휴대전화기본체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경우, 휴대전화기를 컴퓨터에 충분하게 근접시킬 수 없는 경우라도 휴대전화기로부터 USB접속단자를 인출하여 연장된 USB접속단자로 컴퓨터의 USB출력단자에 접속하여 충전할 수 있다.

Claims (5)

  1. 휴대전화기본체의 일부에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도입용 접속단자로서, PC 등의 컴퓨터의 USB출력단자에 접속시킬 수 있는 USB접속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SB출력단자는, 휴대전화기본체 내에 수납된 수납위치와, 컴퓨터의 USB출력단자에 접속 가능한 돌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USB접속단자는 수납위치와 돌출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USB접속단자는 수납위치와 돌출위치의 사이에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SB접속단자는 휴대전화기본체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KR20-2003-0026256U 2003-08-14 2003-08-14 휴대전화기 KR200333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256U KR200333782Y1 (ko) 2003-08-14 2003-08-14 휴대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256U KR200333782Y1 (ko) 2003-08-14 2003-08-14 휴대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782Y1 true KR200333782Y1 (ko) 2003-11-17

Family

ID=4934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256U KR200333782Y1 (ko) 2003-08-14 2003-08-14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7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328B1 (ko) 2006-10-20 2008-01-28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탈착형 usb단자를 구비한 카오디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328B1 (ko) 2006-10-20 2008-01-28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탈착형 usb단자를 구비한 카오디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9388B1 (en) Detachable back-up battery pack for cell phone
US7755323B2 (en) Portable power supply module with automatic winding mechanism
JPH10155244A (ja) バッテリー充電ユニット
EP0692837A1 (en) Charger for battery pack
TWM471087U (zh) 捲線器行動電源
JP2019068552A (ja) 可搬型充電給電装置
CN205137298U (zh) 照明装置
US20130278215A1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l Detachable Power Converter For Battery Charging
CN105743154A (zh) 具备转接头保管槽的便携式充电器
KR200333782Y1 (ko) 휴대전화기
US20020142812A1 (en) Cellular telephone with integrated charging circuit
JP3098622U (ja) 携帯電話機
JP3992119B2 (ja) 充電器
JP2002134209A (ja) 電源接続装置
KR1018303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 구조체
KR200207411Y1 (ko) 이동 전화기용 밧데리 충전장치
JP3142461U (ja) 携帯電話機内蔵電池の充電器
CN211629886U (zh) 一种移动电源充电设备
CN209994165U (zh) 一种滑动无线耳机舱
CN219644040U (zh) 一种能给无线耳机充电的蓝牙音响
KR200199271Y1 (ko) 플러그 일체형 휴대폰용 밧데리
CN210807611U (zh) 一种便携式蓝牙耳机存储仓
KR200475921Y1 (ko) 보관 및 관리가 편리한 휴대폰 충전기
CN214396613U (zh) 一种车载手机支架
JP3125208U (ja) 携帯電話機の充電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