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271Y1 - 플러그 일체형 휴대폰용 밧데리 - Google Patents

플러그 일체형 휴대폰용 밧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271Y1
KR200199271Y1 KR2020000007694U KR20000007694U KR200199271Y1 KR 200199271 Y1 KR200199271 Y1 KR 200199271Y1 KR 2020000007694 U KR2020000007694 U KR 2020000007694U KR 20000007694 U KR20000007694 U KR 20000007694U KR 200199271 Y1 KR200199271 Y1 KR 200199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battery
case
charging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구
Original Assignee
이창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구 filed Critical 이창구
Priority to KR2020000007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2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2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 일체형 휴대폰용 밧데리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크기의 케이스(10) 내부에 충,방전용 밧데리부재(13)가 내장되어 있는 휴대폰용 밧데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일단에 전원 콘센트에 직접 접속되기 위한 플러그(15)를 형성하고, 이 플러그(15)와 밧데리부재(13) 사이에는 상용교류전압을 밧데리부재(13)의 충방전을 위한 소정의 전압으로 감압시키는 전압 변환부(17)와 상기 전압변환부(17)에서 감압된 전압으로 밧데리부재(13)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16)를 접속시킨것을 특징으로 하여 직장이나 가정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원콘센트가 있는 장소에서는 어디서나 휴대폰용 밧데리를 충전할 수 있고, 밧데리의 충전이 용이하므로 밧데리의 소모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등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플러그 일체형 휴대폰용 밧데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러그 일체형 휴대폰용 밧데리{Plug one body type battery for hand-phone}
본 고안은 플러그 일체형 휴대폰용 밧데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폰용 밧데리의 일단에 전원콘센트에 직접 접속되는 플러그를 형성하여, 별도의 밧데리 충전기 없이도 밧데리를 직접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직장이나 가정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원콘센트가 있는 장소에서는 어디서나 휴대폰용 밧데리를 충전할 수 있고, 밧데리의 충전이 용이하므로 밧데리의 소모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등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플러그 일체형 휴대폰용 밧데리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사람들이 핸드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핸드폰은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핸드폰은 무선장치로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통화할 수 있다는 사용상의 편리성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핸드폰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핸드폰 본체에 접속되어 핸드폰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의 밧데리는 핸드폰에 접속될 수 있는 형상의 케이스(1) 내부에 별도의 충전기로 부터 공급되는 전압으로 충전하는 밧데리부재(3)가 내장되어 있으며, 케이스(1)의 일단에는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접속단자(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밧데리는 핸드폰에 접속되어 핸드폰의 구동전원을 공급해주는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며, 자체 충전된 전압이 모두 소진 된 후에는 별도의 충전기에 접속되어 충전기로 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다시 충전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밧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기가 꼭 있어야만 하는데, 이 충전기의 크기가 상당하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못하고, 이와같은 이유에 의해 사용자는 가정 또는 직장에 충전기를 설치해놓은 상태에서 그곳에서만 밧데리를 충전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으며, 장거리 여행을 가거나 전화를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는 여러개의 밧데리를 휴대하거나 아니면 부피가 큰 충전기를 휴대해야만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핸드폰용 밧데리의 일단에 전원콘센트에 직접 접속되는 플러그를 형성하여, 별도의 밧데리 충전기 없이도 밧데리를 직접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직장이나 가정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원콘센트가 있는 장소에서는 어디서나 휴대폰용 밧데리를 충전할 수 있고, 밧데리의 충전이 용이하므로 밧데리의 소모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등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플러그 일체형 휴대폰용 밧데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일정크기의 케이스 내부에 충,방전용 밧데리부재가 내장되어 있는 휴대폰용 밧데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전원 콘센트에 직접 접속되기 위한 플러그를 형성하고, 이 플러그와 밧데리부재 사이에는 상용교류전압을 밧데리부재의 충방전을 위한 소정의 전압으로 감압시키는 전압 변환부와 상기 전압변환부에서 감압된 전압으로 밧데리부재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를 접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밧데리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플러그 일체형 밧데리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플러그 일체형 밧데리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고안에 적용된 플러그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1: 덮개
12: 수납실 13: 밧데리부재
14: 지지구 15: 플러그
16: 충전회로부 17: 전압 변환부
18: 충전램프 19: 결합돌기
20: 스프링 21: 수납공간
22: 안내홀 23: 가이드
이하,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도 2 내지 도 5 는 본 고안의 플러그 일체형 휴대폰용 밧데리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정형상의 케이스(10) 내부에 충,방전용 밧데리부재(13)가 내장되어 있고, 케이스(10)의 일단에는 덮개(11)에 의해 개폐되는 수납실(12)이 형성된다.
이 수납실(12) 내부에는 회전가능하게 지지구(20)가 설치되는데, 이 지지구(20)의 양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19)를 수납실(12)는 양측벽면에 삽입하고, 결합돌기(19)와 벽면의 사이에는 지지구(20)가 수납실(12)의 밖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20)을 설치하여 상기 수납실(12)이 개방될 때 지지구(20)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였다.
상기 지지구(20)의 선단부에는 전원콘센트에 삽입 접속되기 위한 플러그(15)를 결합시켰다.
그리고, 상기 수납실(12)의 하측 공간부에는 플러그(15)로 부터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감압시키는 전압변환부(17)와, 상기 전압변환부(17)에서 감압된 전압으로 밧데리부재(13)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16)가 구성된다.
상기 전압변환부(17)는 수납실(12)에 설치되는 플러그(1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충전회로부(16)는 케이스(10)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밧데리부재(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케이스(10)의 일측면으로는 밧데리부재(13)의 충전여부를 알려주는 충전램프(18)가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밧데리부재(13)를 충전시키기 위해 케이스(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덮개(11)를 도 4 와 같이 개방시키면, 상기 덮개(11)가 개방됨과 동시에 플러그(15)가 결합되어 있는 지지구(14)가 스프링(20)의 탄성에 의해 회전하면서 플러그(15)가 수납실(12) 밖으로 돌출된다.
이에따라 사용자는 플러그(15)를 전원콘센트에 접속시키므로서 케이스(10)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밧데리부재(13)가 충전되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플러그(15)를 통해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은 전압변환부(17)로 공급되어 밧데리부재(13)의 충전을 위한 소정의 전압으로 감압되어 충전회로부(16)로 공급되고, 상기 충전회로부(16)는 입력되는 전압으로 밧데리부재(13)를 충전시키게 되며, 상기 밧데리부재(13)가 충전될때 충전램프(18)는 점등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밧데리부재(13)가 충전 완료되면 사용자는 전원콘센트로 부터 플러그(15)를 뽑아내어 플러그(15)가 수납실(12) 내부에 실장되도록 밀어넣은 후 덮개(11)를 닫아주므로서, 플러그(15)가 수납실(12)로 부터 나오지 않도록 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케이스(10)를 휴대폰 본체에 접속시켜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휴대폰을 사용하는 도중 거래처나 음식점 등지에서 잠깐잠깐 동안 플러그(15)를 전원콘센트에 접속시켜 밧데리부재(13)를 충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 내지 도 8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케이스(10)의 일단에 수납공간(21)을 형성하고, 이 수납공간(21) 내부에는 가이드(23)에 안내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지지구(20)를 형성하며, 이 지지구(20)의 선단부에 플러그(15)를 결합시킨 것이다.
상기 지지구(2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출몰하는 플러그(15)의 출몰방향의 케이스(10) 벽면상에는 플러그(15)의 출몰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홀(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구(20)의 일측으로는 사용자가 플러그(15)의 출몰동작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24)가 형성되는데, 이 조작부(24)는 그 일면이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과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처리하여 중복설명을 피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가 밧데리부재(13)를 충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조작부(24)를 손으로 밀어주므로서, 지지구(20)가 가이드(23)에 안내된 상태로 전진하게되고, 이에의해 지지구(2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플러그(15)가 안내홀(22)에 안내되어 케이스(10) 밖으로 노출된다.(도 8 참조)
이와같이 플러그(15)가 케이스(10) 밖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노출된 플러그(15)를 전원콘센트에 접속시켜 상용교류전원이 전압변환부(17)에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충전회로부(16)의 충전동작으로 밧데리부재(13)가 충전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핸드폰용 밧데리의 일단에 전원콘센트에 직접 접속되는 플러그를 형성하여, 별도의 밧데리 충전기 없이도 밧데리를 직접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직장이나 가정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원콘센트가 있는 장소에서는 어디서나 휴대폰용 밧데리를 충전할 수 있고, 밧데리의 충전이 용이하므로 밧데리의 소모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등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밧데리를 수시로 충전할 수 있으므로 인해 밧데리의 소모를 걱정하여 휴대폰의 전원을 꺼놓는 불편함이 없어지도록 한 플러그 일체형 휴대폰용 밧데리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일정크기의 케이스(10) 내부에 충,방전용 밧데리부재(13)가 내장되어 있는 휴대폰용 밧데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일단에 전원 콘센트에 직접 접속되기 위한 플러그(15)를 형성하고, 이 플러그(15)와 밧데리부재(13) 사이에는 상용교류전압을 밧데리부재(13)의 충방전을 위한 소정의 전압으로 감압시키는 전압 변환부(17)와 상기 전압변환부(17)에서 감압된 전압으로 밧데리부재(13)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16)를 접속시킨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일체형 휴대폰용 밧데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일단에 덮개(11)에 의해 개폐되는 일정크기의 수납실(12)을 형성하고, 이 수납실(12)의 양측벽면에 결합돌기(19)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지지구(14)의 선단부에 플러그(15)를 결합하여 상기 플러그(15)가 수납실(12)로 부터 회전출몰되도록 하되, 수납실(12)의 양측벽면과 지지구(14)의 사이에는 지지구(14)가 수납실(12) 밖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일체형 휴대폰용 밧데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일단에 수납공간(21)을 형성하고, 이 수납공간(21) 내부에는 가이드(23)에 안내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지지구(20)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구(20)의 선단부에 플러그(15)를 형성하되, 상기 플러그(15)가 출몰하는 방향의 케이스(10) 벽면 상에 플러그(15)의 출몰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홀(22)을 형성하고, 지지구(20)의 일측으로는 그 일면이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어 플러그(15)의 출몰동작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일체형 휴대폰용 밧데리.
KR2020000007694U 2000-03-17 2000-03-17 플러그 일체형 휴대폰용 밧데리 KR200199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694U KR200199271Y1 (ko) 2000-03-17 2000-03-17 플러그 일체형 휴대폰용 밧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694U KR200199271Y1 (ko) 2000-03-17 2000-03-17 플러그 일체형 휴대폰용 밧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271Y1 true KR200199271Y1 (ko) 2000-10-02

Family

ID=1964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694U KR200199271Y1 (ko) 2000-03-17 2000-03-17 플러그 일체형 휴대폰용 밧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27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20455A (zh) * 2009-02-27 2010-09-01 株式会社泛泰 无线通信终端及其导向单元
CN102104116A (zh) * 2009-12-15 2011-06-22 三星Sdi株式会社 二次电池、外壳和功率发生组件
KR101479449B1 (ko) 2014-08-04 2015-01-05 서경임 핸드폰 일체형 충전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20455A (zh) * 2009-02-27 2010-09-01 株式会社泛泰 无线通信终端及其导向单元
KR101049347B1 (ko) * 2009-02-27 2011-07-13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단말기 및 이의 가이드유닛
CN101820455B (zh) * 2009-02-27 2013-11-20 株式会社泛泰 无线通信终端
CN102104116A (zh) * 2009-12-15 2011-06-22 三星Sdi株式会社 二次电池、外壳和功率发生组件
US9252460B2 (en) 2009-12-15 2016-02-0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479449B1 (ko) 2014-08-04 2015-01-05 서경임 핸드폰 일체형 충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51312A1 (en) Battery charger
JP2019068552A (ja) 可搬型充電給電装置
US6821670B2 (en) Mobile phone battery
KR200199271Y1 (ko) 플러그 일체형 휴대폰용 밧데리
KR19990039777U (ko) 휴대폰의 다기종 겸용 충전기
KR200202248Y1 (ko) 충전부를 갖는 휴대폰
KR200207411Y1 (ko) 이동 전화기용 밧데리 충전장치
KR200250874Y1 (ko) 휴대폰 건전지
KR200284089Y1 (ko) 휴대전화기용 충전기
KR200224745Y1 (ko) 핸드폰용 무선마이크폰의 밧데리 충전구조
JPS647565Y2 (ko)
CN216751210U (zh) 充电装置
KR200297080Y1 (ko) 휴대폰용 충전기
CN213661239U (zh) 具有快速充电功能的便携式移动电源
CN210225030U (zh) 发射器用移动电源
KR20090002661U (ko) 충전용 시거잭
KR200297087Y1 (ko) 휴대폰 배터리 충전용 태양열 충전기
KR20010000803U (ko) 충전이 가능한 건전지
KR200344342Y1 (ko) 핸드폰 충전 커넥터형 휴대용 선풍기
JP3643944B2 (ja) 携帯電子機器用予備電源装置
KR100449051B1 (ko) 건전지와 니켈도금 자석을 이용한 분리형 휴대폰 충전기
KR200240880Y1 (ko) 충전기
KR200225201Y1 (ko) 와이어리스 휴대폰용 충전기
KR200229090Y1 (ko) 무선전화기용 충전기
KR20030054205A (ko) 블루투스 헤드셋의 밧데리 보조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