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460Y1 -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 - Google Patents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460Y1
KR200333460Y1 KR20-2003-0026675U KR20030026675U KR200333460Y1 KR 200333460 Y1 KR200333460 Y1 KR 200333460Y1 KR 20030026675 U KR20030026675 U KR 20030026675U KR 200333460 Y1 KR200333460 Y1 KR 200333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gital image
digital
unit
pa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6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리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리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리마
Priority to KR20-2003-0026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4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46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for automatic sequential copying of different originals, e.g. enlargers, roll film printers
    • G03B27/46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for automatic sequential copying of different originals, e.g. enlargers, roll film printers in enlargers, e.g. roll film prin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7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the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 controlling the colour, i.e. a spectral characteristic, of the light
    • G02B26/0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the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 controlling the colour, i.e. a spectral characteristic, of the light in the form of devices for effecting sequential colour changes, e.g. colour whee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70Reflectors in printing b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16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 H04N5/7458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the modulator being an array of deformable mirrors, e.g.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광원과, 광원에서 조사된 빛에 포함된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필터와, 적외선 차단필터를 통과한 빛을 확산하는 확산유리부와, 확산유리부를 통과한 빛을 확산하고 혼합하는 확산관과, 확산관을 통과한 빛을 필터링하는 C,M,Y(cyan, magenta, yellow) 필터와, C,M,Y 필터를 통과한 빛을 균일한 광량의 빛으로 변환시키는 불투명유리부와, 불투명 유리부를 통과한 빛을 고속회전하면서 색혼합시키는 컬러 휠과, 컬러 휠에서 나온 빛을 소정의 크기로 분할하는 라이트 터널과, 라이트 터널에서 나온 빛을 균일한 광량의 직선광으로 변환시키는 릴레이렌즈와, 컴퓨터로부터 송출된 영상신호에 따라 디지털 영상신호가 결상되는 디지털 영상부와, 릴레이렌즈를 통과한 빛을 디지털 영상부 측으로 반사시킴과 동시에 디지털 영상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이 인화지를 향해 통과시키는 트리 프리즘과, 트리 프리즘에 의해 디지털 영상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을 인화지로 확대 투영시키는 확대용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인화하고자 하는 디지털 영상의 손실을 줄이고, 선명도가 높은 사진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DIGITAL PRINTING UNIT FOR DEVELOPING AND PRIN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인화기 유니트의 내부 광학계를 개선한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현상장치는 피사체의 영상을 인화지에 인화 및 현상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에는 피사체의 영상이 저장된 필름에 빛을 제공하여 필름의 음화를 순간적으로 광노출하여 인화지를 감응시켜 인화지에 잠상이 맺히게 하는 아날로그인화기 유니트를 사진현상장치에 구비하여, 필름에 저장된 피사체의 영상을 인화지에 인화 및 현상하였다.
근래에는 피사체의 영상을 필름에 저장하여 사진을 인화 및 현상하지 않고, 피사체를 디지털기기 등으로 촬영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화 및 현상하는 경향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종래의 사진현상장치에 피사체의 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및 디지털기기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받아 인화지로 디지털 영상이 조사되도록 내부에 광학계를 이루는 디지털인화기 유니트를 구비하여, 사진현상장치에 아날로그인화기 유니트 및 디지털인화기 유니트를 교호적으로 착탈함으로써, 필름의 인화 및 현상뿐만 아니라 컴퓨터 및 디지털기기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영상을 인화 및 현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 사진현상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의 내부 광학계 구성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140)는, 할로겐 램프(151)와, 할로겐 램프(151)에서 조사된 빛에 포함된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필터(153)와, 적외선 차단필터(153)를 통과한 빛을 고속회전하면서 색혼합시키는 R,G,B,W 필터휠(155)과, R,G,B,W 필터휠(155)에 의해 색혼합된 빛을 균일한 광량의 직선광으로 변환시키는 오목렌즈(157)와, 오목렌즈(157)를 통과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159)과, 확산판(159)을 통과한 빛을 색재현에 맞게 조절하는 컬러필터(161)와, 컴퓨터(미도시)로부터 송출된 영상신호에 따라 디지털 영상신호가 결상되는 디지털 영상부(171)와, 컬러필터(161)를 통과한 빛을 디지털 영상부(171) 측으로 반사시키는 구면 거울로 이루어진 한 쌍의 반사경(175)과, 한 쌍의 반사경(175)에 의해 디지털 영상부(17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을 인화지(109)에 확대 투영시키는 확대용 렌즈(179)와, 확대용 렌즈(179)를 거쳐 확대된 디지털 영상이 통과하며 사진현상장치의 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지털영상 캐리어(181)와, 디지털영상 캐리어(181)의 하부에 결합되어 디지털영상 캐리어(181)를 거쳐 인화지(109)로 노출되는 디지털 영상의 노출시간을 조절하는 디지털용 셔터(185)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할로겐 램프(151)에 전원이 제공되면, 할로겐램프(151)는 빛을 조사하게 되고, 할로겐 램프(151)로부터 조사된 빛은 적외선 차단필터(153)를 통과하면서 빛에 포함된 적외선이 차단된 후, R,G,B,W 필터휠(155)을 통과하면서 색혼합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색혼합이 이루어진 빛은 오목렌즈(157)를 통과하여 균일 광량의 직선광으로 변환되면서 확산판(159)에 의해 확산되고, 확산된 빛은 컬러필터(161)에 의해 색재현이 맞도록 조절된 상태로 반사경(175)으로 조사되고, 각 반사경(175)에 의해 반사된 빛은 디지털 영상부(171)에 조사되어, 디지털 영상부(171)는 디지털 영상을 결상하게 된다.
디지털 영상부(171)에 의해 결상된 디지털 영상은 확대용 렌즈(179)에 의해 확대되고, 확대된 디지털 영상이 디지털영상 캐리어(181)를 통과하여 디지털용 셔터(185)의 작동에 의해 순간적으로 노출되면서 인화지(109)가 감응하여, 인화지(109)에 잠상이 맺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디지털인화기 유니트에 있어서는,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구면 거울로 이루어진 반사경에 의해 반사되어 디지털 영상부에 입사시키므로, 디지털 영상부로부터 출력되어 확대용 렌즈를 거쳐 인화지로 투영되는 영상의 일부가 반사경의 들어간 영역이 형성되는, 즉 인화지로 투영되는 영상의 일부가 반사경에 의해 부분적으로 잘려, 인화하고자 하는 영상의 면적이 줄어들어 영상의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화하고자 하는 영상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영상부로부터 출력되어 확대용 렌즈를 거쳐 인화지로 투영되는 영상이 인화지의 중앙영역에 투영되지 아니하고 인화지의 상단영역으로 치우치게 투영해야하므로, 사진의 선명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반사부가 거울로 이루어져 있어, 사진 품질을 위해 거울에 부착되는 먼지를 수시로 청소해주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화하고자 하는 디지털 영상의 손실을 줄이고, 선명도가 높은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아날로그인화기 유니트 및 디지털인화기 유니트가 교호적으로 장착되는 사진현상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인화기 유니트의 내부 광학계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의 내부 광학계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사진현상장치 9 : 인화지
10 : 본체 30 : 아날로그인화기 유니트
40 : 디지털인화기 유니트 41 : 케이스
51 : 광원 53 : 적외선 차단필터
55 : 확산유리부 57 : 확산관
59 : C,M,Y 필터 61 : 불투명유리부
63 : 컬러 휠 67 : 라이트 터널
69 : 릴레이 렌즈 71 : 디지털 영상부
73 : DMD 칩 75 : 트리 프리즘
79 : 확대용 렌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에 포함된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필터와,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를 통과한 빛을 확산하는 확산유리부와, 상기 확산유리부를 통과한 빛을 확산하고 혼합하는 확산관과, 상기 확산관을 통과한 빛을 필터링하는 C,M,Y(cyan, magenta, yellow) 필터와, 상기 C,M,Y 필터를 통과한 빛을 균일한 광량의 빛으로 변환시키는 불투명유리부와, 상기 불투명 유리부를 통과한 빛을 고속회전하면서 색혼합시키는 컬러 휠과, 상기 컬러 휠에서 나온 빛을 소정의 크기로 분할하는 라이트 터널과, 상기 라이트 터널에서 나온 빛을 균일한 광량의 직선광으로 변환시키는 릴레이렌즈와, 컴퓨터로부터 송출된 영상신호에 따라 디지털 영상신호가 결상되는 디지털 영상부와, 상기 릴레이렌즈를 통과한 빛을 상기 디지털 영상부 측으로 반사시킴과 동시에 상기 디지털 영상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이 인화지를 향해 통과하는 트리 프리즘과, 상기 트리 프리즘에 의해 상기 디지털 영상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을 인화지로 확대 투영시키는 확대용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광원의 축선을 따라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 확산유리부, 확산관, C,M,Y 필터, 불투명유리부, 컬러 휠, 라이트 터널, 릴레이렌즈가 일렬 배치되며, 상기 디지털 영상부는 상기 릴레이렌즈와 인접하게 상기 광원의 축선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확대용 렌즈는 상기 디지털 영상부와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디지털인화기 유니트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지털 영상부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트리 프리즘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빛이 반사 및 통과하는 상기 트리 프리즘의 각 반사면이 상기 광원 및 상기 디지털 영상부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상호 접촉 배치함으로써, 각 반사면에 외부로부터의 먼지가 부착될 염려가 없어 수시로 트리 프리즘의 각 반사면을 청소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컬러 휠은 R,G,B,W(red, green, blue, white) 컬러 휠, R,G,B(red, green, blue) 컬러 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아날로그인화기 유니트 및 디지털인화기 유니트가 교호적으로 장착되는 사진현상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요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현상장치(7)는 아날로그인화기 유니트(30) 및 디지털인화기 유니트(40)를 교호적으로 착탈하여, 필름의 인화 및 현상뿐만 아니라 컴퓨터(미도시) 및 디지털기기(미도시)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영상을 인화 및 현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진현상장치(7)는, 인화지(9, 도 3참조) 및 현상액 등을 수용하는 본체(10)와, 필름에 빛을 제공하여 필름의 음화를 순간적으로 광노출하여 인화지(9)를 감응시켜 인화지(9)에 잠상이 맺히게 하는 아날로그인화기 유니트(30)와, 컴퓨터 및 디지털기기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받아 인화지(9)로 디지털 영상이 조사되도록 내부에 광학계를 이루는 디지털인화기 유니트(40)를 가진다.
본체(10)의 내측에는 아날로그인화기 유니트(30) 또는 디지털인화기 유니트(40)에 의해 잠상이 맺히는 인화지(9)와, 잠상이 맺힌 인화지(9)를 현상하는 페이퍼현상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페이퍼현상부는 현상액 탱크, 표백 탱크, 세척 탱크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아날로그인화기 유니트(30) 및 디지털인화기 유니트(40)에 의해 잠상이 맺힌 인화지(9)가 페이퍼현상부를 통과함으로써, 인화지(9)에 투영된 영상이 인화된다.
또한, 본체(10)의 내측에는 인화지(9)를 공급하는 인화지공급부(11)와, 잠상이 맺힌 인화지(9)를 커팅하는 커팅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10)의 상부면에는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인화지(9)를 향해 부분적으로 관통된 개방부(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의 상부면에는 개방부(13)의 둘레를 따라 걸림단(15)을 형성하며 상향 돌출된 지지부(17)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17)에는 인화 및 현상하고자 하는 필름이 놓여지는 아날로그인화기 유니트(30)의 네가티브 캐리어(31) 또는 디지털인화기 유니트(40)의 디지털영상 캐리어(81)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미설명된 참조번호 19는 커팅부에 의해 커팅된 인화지(9)가 본체(1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배출구이며, 참조번호 21은 배출구(19)를 통해 연속 배출되는 인화지(9)를 순서대로 정리하는 소터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인화기 유니트(40)는 사각통형상의 케이스(41)를 가지며, 케이스(41)의 양측면에는 디지털인화기 유니트(40)를 지지부(17)에 착탈가능하도록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41)의 양측면에는 케이스(41) 내부를 공냉시키기 위한 다수의 통기공(45)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41)의 일측에는 후술할 발광다이오드(5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47)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인화기 유니트의 내부 광학계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인화기 유니트(40)는, 광원(51)과, 광원(51)에서 조사된 빛에 포함된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필터(53)와, 적외선 차단필터(53)를 통과한 빛을 확산하는 확산유리부(55)와, 확산유리부(55)를 통과한 빛을 확산하고 혼합하는 확산관(57)과, 확산관(57)을 통과한 빛을 필터링하는 C,M,Y(cyan, magenta, yellow) 필터(59)와, C,M,Y 필터(59)를 통과한 빛을 균일한 광량의 빛으로 변환시키는 불투명유리부(61)와, 불투명유리부(61)를 통과한 빛을 고속회전하면서 색혼합시키는 컬러 휠(63)과, 컬러 휠(63)에서 나온 빛을 소정의 크기로 분할하는 라이트 터널(67)과, 라이트 터널(67)에서 나온 빛을 균일한 광량의 직선광으로 변환시키는 릴레이렌즈(69)와, 컴퓨터로부터 송출된 영상신호에 따라 디지털 영상신호가 결상되는 디지털 영상부(71)와, 릴레이렌즈(69)를 통과한 빛을 디지털 영상부(71) 측으로 반사시킴과 동시에 디지털 영상부(7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이 통과하는 트리 프리즘(75)과, 트리 프리즘(75)에 의해 디지털 영상부(7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을 인화지(9)로 확대 투영시키는 확대용 렌즈(79)와, 케이스(41)의 하부에 결합되어 확대용 렌즈(79)를 거쳐 확대된 디지털 영상이 통과하며 지지부(17)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지털영상 캐리어(81)와, 디지털영상 캐리어(81)의 하부에 결합되어 디지털영상 캐리어(81)를 거쳐 인화지(9)로 노출되는 디지털 영상의 노출시간을 조절하는 디지털용 셔터(85)를 가진다.
광원(51)은 할로겐 램프, 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유리부(55)는 광원(51)에서 조사된 빛이 골고루 확산되도록 넓은 확산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관(57)은 파이프형상을 가지며, 빛의 반사율을 높이기 위하여 거울로 이루어지고, 확산유리부(55)를 통과한 빛을 효과적으로 혼합시키며 빛의 가이드 역할을 한다. 여기서, 확산관(57)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컬러 휠(63)은 부속된 모터(65)에 의해 고속회전(대략 회전수 7200rpm)하며, 이에 불투명유리부(61)로부터 라이트 터널(67)로 향하는 빛의 색혼합을 유도하여 색재현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컬러 휠(63)은 R,G,B,W(red, green, blue, white) 컬러 휠, R,G,B(red, green, blue) 컬러 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이트 터널(67)은 컬러 휠(63)에서 나온 빛을 후술할 디지털 영상부(71)의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73)의 크기에 맞게 분할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빛의 혼합과 가이드역할을 한다.
디지털 영상부(71)는 컴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컴퓨터에 의해 영상의 편집 및 수정된 디지털 신호가 전달되는 DMD 칩(73)을 포함한다. 여기서, 디지털 영상부(71)는 DMD 칩(73) 대신에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가 적용될 수도 있다.
트리 프리즘(75)은 삼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각 트리 프리즘(75)은 릴레이렌즈(69)를 통과한 빛을 디지털 영상부(71) 측으로 반사시킴과 동시에, 디지털 영상부(7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이 인화지(9)를 향해 통과하도록 빛이 반사 및 통과하는 각 반사면이 광원(51) 및 디지털 영상부(71)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상호 접촉 배치된다. 한편, 트리 프리즘(75)은 빛이 반사 및 통과하는 각 반사면이 상호 접촉되어 있어, 각 반사면에 외부로부터의 먼지가 부착될 염려가 없어 각 반사면을 수시로 청소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17)에 디지털인화기 유니트(40)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디지털영상 캐리어(81)는 판형상을 가지며, 지지부(17)의 걸림단(15)에 지지되도록 지지부(17)의 내측 둘레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진다. 디지털영상 캐리어(81)는 디지털인화기 유니트(40)의 케이스(41)의 하부면에 결합되어케이스(41)를 지지부(17)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며, 디지털영상 캐리어(81)가 지지부(17)에 장착될 때 디지털영상 캐리어(81)는 지지부(17)의 내측 둘레를 따라 끼워맞춤결합됨과 동시에, 디지털영상 캐리어(81)의 하부면은 걸림단(15)에 지지된다. 디지털영상 캐리어(81)의 판면에는 디지털 영상부(71)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이 통과하는 영상통과공(8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케이스(41) 내에 수용되는 디지털인화기 유니트(40)의 각 구성요소들의 배치를 살펴보면, 광원(51)의 축선을 따라 적외선 차단필터(53), 확산유리부(55), 확산관(57), C,M,Y 필터(59), 불투명유리부(61), 컬러 휠(63), 라이트 터널(67), 릴레이렌즈(69), 트리 프리즘(75)이 일렬 배치되어 있다. 트리 프리즘(75)은 릴레이렌즈(69)를 통과한 빛을 디지털 영상부(71) 측으로 반사시킴과 동시에, 디지털 영상부(7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이 인화지(9)를 향해 통과하도록 빛이 반사 및 통과하는 트리 프리즘(75)의 각 반사면이 광원 및 디지털 영상부(71)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상호 접촉 배치된다. 디지털 영상부(71)는 트리프리즘(75)의 상부에 광원(51)의 축선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확대용 렌즈(79)는 디지털 영상부(71)와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현상장치(7)의 디지털인화기 유니트(40)는, 광원(51)에 전원이 제공되면, 광원(51)은 빛을 조사하게 되고, 광원(51)으로부터 조사된 빛은 적외선 차단필터(53)를 통과하면서 빛에 포함된 적외선이 차단된다.
적외선 차단필터(53)를 통과한 빛은 확산유리부(55)를 통과하면서 골고루 확산된다.
확산유리부(55)를 나온 빛은 확산관(57)을 통과하며 확산 혼합된다.
확산관(57)을 나온 빛은 C,M,Y필터(59)를 거치면서, 인화지(9)에 도달하는 빛의 색재현에 필요한 농도를 갖도록 필터링한다.
C,M,Y필터(59)를 나온 빛은 불투명유리부(61)를 통과하며 균일한 광량의 빛으로 변환된다.
불투명유리부(61)를 통과한 빛은 색재현을 위해 컬러 휠(63)을 통과하면서 색혼합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색혼합이 이루어진 빛은 라이트 터널(67)을 통과하며 디지털 영상부(71)의 DMD 칩(73)의 크기에 맞게 분할되어, 릴레이 렌즈(69)를 통과하여 균일 광량의 직선광으로 변환되면서 트리 프리즘(75)을 향해 조사된다.
트리 프리즘(75)으로 조사된 빛은 트리 프리즘(75)의 일측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어 디지털 영상부(71)의 DMD 칩(73)으로 향하여, 디지털 영상부(71)의 DMD 칩(73)은 디지털 영상을 결상하게 된다.
디지털 영상부(71)에 의해 결상된 디지털 영상은 트리 프리즘(75)을 통과하여 확대용 렌즈(79)에 의해 확대된다.
확대된 디지털 영상은 디지털영상 캐리어(81)의 영상통과공(83)을 거쳐 디지털용 셔터(85)의 작동에 의해 순간적으로 노출되면서 인화지(9)가 감응하여, 인화지(9)에 잠상이 맺히게 된다. 이 때, 인화지(9)에 투영되는 디지털 영상은 트리프리즘(75)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인화지(9)의 중앙영역에 투영되어, 사진의 해상도(인치당 픽셀수)가 증가하며, 이에 인화하고자 하는 디지털 영상의 손실을 줄이고, 선명도가 높은 사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잠상이 맺힌 인화지(9)는 일련의 현상작업을 완료하여 사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디지털 영상의 획득을 위한 내부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원과, 적외선 차단필터와, 확산유리부와, C,M,Y 필터와, 불투명유리부와, 컬러 휠과, 라이트 터널과, 릴레이렌즈와, 디지털 영상부와, 트리 프리즘과, 확대용 렌즈를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특히 광원에서 제공되는 빛을 트리 프리즘을 통해 디지털 영상부에 반사시킴과 동시에, 디지털 영상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을 트리 프리즘을 거쳐 인화지로 투영시킴으로써, 인화하고자 하는 디지털 영상의 손실을 줄이고, 선명도가 높은 사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리 프리즘의 빛이 반사 및 통과하는 각 반사면이 상호 접촉하며 배치되므로, 각 반사면에 외부로부터의 먼지가 부착될 염려가 없어 수시로 트리 프리즘의 각 반사면을 청소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인화하고자 하는 디지털 영상의손실을 줄이고, 선명도가 높은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가 제공된다.

Claims (4)

  1.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에 포함된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필터와,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를 통과한 빛을 확산하는 확산유리부와,
    상기 확산유리부를 통과한 빛을 확산하고 혼합하는 확산관과,
    상기 확산관을 통과한 빛을 필터링하는 C,M,Y(cyan, magenta, yellow) 필터와,
    상기 C,M,Y 필터를 통과한 빛을 균일한 광량의 빛으로 변환시키는 불투명유리부와,
    상기 불투명 유리부를 통과한 빛을 고속회전하면서 색혼합시키는 컬러 휠과,
    상기 컬러 휠에서 나온 빛을 소정의 크기로 분할하는 라이트 터널과,
    상기 라이트 터널에서 나온 빛을 균일한 광량의 직선광으로 변환시키는 릴레이렌즈와,
    컴퓨터로부터 송출된 영상신호에 따라 디지털 영상신호가 결상되는 디지털 영상부와,
    상기 릴레이렌즈를 통과한 빛을 상기 디지털 영상부 측으로 반사시킴과 동시에 상기 디지털 영상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이 인화지를 향해 통과시키는 트리 프리즘과,
    상기 트리 프리즘에 의해 상기 디지털 영상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을인화지로 확대 투영시키는 확대용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축선을 따라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 확산유리부, 확산관, C,M,Y 필터, 불투명유리부, 컬러 휠, 라이트 터널, 릴레이렌즈가 일렬 배치되며, 상기 디지털 영상부는 상기 릴레이렌즈와 인접하게 상기 광원의 축선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확대용 렌즈는 상기 디지털 영상부와 동축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부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 프리즘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빛이 반사 및 통과하는 상기 트리 프리즘의 각 반사면이 상기 광원 및 상기 디지털 영상부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상호 접촉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휠은 R,G,B,W(red, green, blue, white) 컬러 휠, R,G,B(red, green, blue) 컬러 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
KR20-2003-0026675U 2003-08-19 2003-08-19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 KR200333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675U KR200333460Y1 (ko) 2003-08-19 2003-08-19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675U KR200333460Y1 (ko) 2003-08-19 2003-08-19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460Y1 true KR200333460Y1 (ko) 2003-11-14

Family

ID=4941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675U KR200333460Y1 (ko) 2003-08-19 2003-08-19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4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100321A (ja) 写真プリントシステム
EP1291711A1 (en) Printing apparatus for photosensitive media having a hybrid light source
US63596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photographs from developed film onto light-sensitive photoprint material
KR200333460Y1 (ko)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
KR100531688B1 (ko) 사진 현상장치
EP1046948B1 (en) Digital exposure type photo processing apparatus
KR200332620Y1 (ko)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
JP3455334B2 (ja) 写真プリンタ
US20030081211A1 (en) Light source devic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4537500A (en) Photographic contrast control device
KR200332619Y1 (ko) 사진현상장치용 디지털인화기 유니트
WO2003053696A2 (en) Developing and printing apparatus
KR20040022725A (ko) 디지털 확대기
JPS59210432A (ja) リ−ダ−プリンタ−
JP2002090695A (ja) 画像形成装置
US7359035B2 (en) Digital exposure apparatus for a color enlarging photoprinter
JP4337377B2 (ja) 光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投影型表示装置
JPS62280747A (ja) カラ−プル−フの作成装置
JP2725083B2 (ja) 画像読取方法
JP3414295B2 (ja) 写真焼付装置
JP2001144908A (ja) 画像読取装置
JPH1010707A (ja) 簡易色分解装置
JP2001109083A (ja) 写真処理装置
JPH0520405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01992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