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781Y1 - 자동차용 헤드램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781Y1
KR200331781Y1 KR20-2003-0023096U KR20030023096U KR200331781Y1 KR 200331781 Y1 KR200331781 Y1 KR 200331781Y1 KR 20030023096 U KR20030023096 U KR 20030023096U KR 200331781 Y1 KR200331781 Y1 KR 200331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ing
lighting unit
support member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영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영전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영전구
Priority to KR20-2003-00230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7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7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지지부재에 점등부의 구성요소인 결합부재의 바깥둘레를 직접 지지한 상태에서 고정하도록 지지돌기를 구비시킨 구조로 하여 부품수를 줄이므로 인해 조립작업성 향상과 생산성 증대가 가능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 점등부의 초점조절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초점조절 작업후의 초점조절상태가 매우 정확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베이스부(1)를 구성하는 지지부재(12)중 각 지지턱(12a) 사이에는 상기 지지턱과 직각을 이루도록 지지돌기(12b)를 구비시켜 점등부(2)를 구성하는 결합부재(23)가 상기 각 지지돌기(12b)의 안쪽면에 접촉된 상태로 용접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램프{head lamp f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부와 베이스부의 결합구조를 달리하여 제조 과정에서 초점(focusing)조절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조등으로 사용되는 헤드램프는 그 초점이 정확하여야 만 원하는 밝기의 빛을 멀리까지 조사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과정에서 초점을 맞추기 위한 포커싱 조절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상기한 자동차용 헤드램프는 크게 자동차 본체의 램프 소켓부에 결합되는 베이스부(1)와, 상기 베이스부에 초점이 맞주어진 상태로 고정되어 사용시 빛을 발광시키는 점등부(2)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는 전원공급을 위한 터미널이 내장되며 자동차 내부의 전원공급선과 연결되는 몸체(11)와, 상기 몸체에 고정되며 자동차의 전조등 소켓(도시는 생략함)에 결합되도록 3개의 지지턱(12a)을 직각상태로 갖는 지지부재(12)로 구성된다.
상기 점등부(2)는 내부가 진공상태인 유리관(21)과, 일부는 상기 유리관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유리관(21)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필라멘트로 연결된 전원극선(22)과, 상기 유리관(21)의 일단에 결합된 컵형태의 결합부재(2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점등부(2)는 베이스부(1)에 고정되고,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점등부(2)를 구성하는 전원극선(22)이 베이스부(1)를 구성하는 몸체(11) 내의 터미널(도시는 생략함)과 접촉상태로 연결되는데, 상기 점등부(2)를 베이스부(1)에 고정할 때는 실제로 상기 점등부(2)를 구성하는 결합부재(23)와 베이스부(1)를 구성하는 지지부재(12)가 서로 고정되어야 하고, 그 고정과정에서는 고정 이후 제품을 사용할 때 상기 점등부(2)가 발광되는 과정에서 발광 초점이 정확하도록 초점조절을 사전에 수행하여야 함에 따라 결국 점등부(2)를 베이스부(1)에 고정하기 위한 여러 구성요소들은 상기 점등부(2)의 초점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하 종래 자동차용 헤드램프에서 점등부(2)를 베이스부(1)에 고정할 때 초점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점등부(2)가 베이스부(1)에 고정될 때 그 중간 매개체로 원통형의 연결관(3)이 사용되는데, 상기 연결관의 일단에는 직각상태로 3개의 걸림돌기(3a)가 형성되어 상기 각 걸림돌기가 베이스부(1)의 구성요소인 지지부재(12)에 형성된 3개의 지지턱(12a)에 각각 지지된상태로 용접 고정되고, 상기 연결관(3)의 다른 일단 내경부로 점등부(2)의 구성요소인 결합부재(23)가 끼워진 상태로 용접 고정되므로 종래 구조의 자동차용 헤드램프가 사용가능한 상태로 조립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종래 구조의 자동차용 헤드램프가 조립 완료된 상태에서는 점등부(2)의 구성요소인 전원극선(22)중 유리관(21) 외부 노출부분은 베이스부(1)의 구성요소인 몸체(11) 내부의 터미널과 접촉되므로 사용 과정에서 전원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원통형의 연결관(3)을 중간 매개체로 하여 점등부(2)가 베이스부(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종래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자동차의 전조등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헤드램프의 점등부(2)가 자동차 본체의 반사경 내에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1)를 자동차 본체의 헤드램프 프레임에 결합시켜야 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베이스부(1)의 구성요소인 지지부재(12)에 일체로 갖추어져 있는 3개의 지지턱(12a)이 차량의 헤드램프 프레임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헤드램프를 후방쪽에서 전방쪽으로 끼운 다음 어느 한방향으로 약간 돌려주면 되고, 이후에는 차동차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진 전원플러그를 베이스부(1)의 몸체(11) 끝단에 꼽아 상기 자동차의 밧데리에서 공급된 전원이 헤드램프로 공급되면서 점등부(2)가 빛을 발생시키도록 하여야 한다.
그럼 여기서 중간 매개체인 원통형 연결관(3)을 사용하여 점등부(2)를 베이스부(1)에 고정할 때 초점이 정확하게 맞도록 조절하는 과정을 구체화하기로 하는데, 상기 초점조절은 중간매개체인 연결관(3)의 각 걸림돌기(3a)가 베이스부(1)를 구성하는 지지부재(12)의 각 지지턱(12a)에 얹혀져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3)의 내경부로 점등부(2)를 구성하는 결합부재(23)를 끼워 넣은 다음 상기 연결관(3)의 각 걸림돌기(3a)와 지지부재(12)의 각 지지턱(12a)을 용접 고정하거나 연결관(3)과 결합부재(23)를 용접 고정하기 전에 수행되어 진다.
즉, 중간 매개체인 원통형 연결관(3)의 각 걸림돌기(3a)가 베이스부(1)를 구성하는 지지부재(12)의 각 지지턱(12a)에 얹혀져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3)의 내경부로 점등부(2)를 구성하는 결합부재(23)를 끼워 넣은 다음 상기 연결관(3)의 걸림돌기(3a)와 지지부재(12)의 지지턱(12a)이 계속 접촉되어지게 상기 연결관(3)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기거나 특정방향으로 위치이동시킴은 물론 결합부재(23)를 원주방향 회전시키거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초점측정기(도시는 생략함)를 이용해 상기 점등부(2)의 초점을 정확하게 맞추고, 이후 연결관(3)의 각 걸림돌기(3a)와 지지부재(12)의 각 지지턱(12a)을 용접 고정함과 함께 상기 각 연결관(3)과 결합부재(23)를 용접 고정하면 결국 점등부(2)의 초점이 정확하게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점등부가 베이스부(1)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자동차용 헤드램프는 점등부(2)를 베이스부(1)에 고정하기 위해 중간 매개체로서 원통형 연결관(3)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상기 점등부(2)를 베이스부(1)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점등부(2)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는 연결관(3)에 지지부재(12)의 각 지지턱(12a)에 지지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걸림돌기(3a)를 갖추어야 하므로 상기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갖추어진 연결관(3)을 별도로 형성시켜야 함에 따라 부품수의 증가 및 조립작업성의 저하로 인해 제품의 제조 단가가 올라감과 함께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점등부(2)의 초점을 맞추는 과정에서는 연결관(3)이 베이스부(1)의 구성요소인 지지부재(12)에 지지되고 상기 연결관(3)의 내경부로 점등부(2)의 구성요소인 결합부재(23)를 끼워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3)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특정방향으로 위치이동시켜야 함은 물론 점등부(2)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상기 별도로 만들어져 이용되는 원통형 연결관(3)으로 인해 초점조절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지 못함과 함께 초점조절 작업후의 초점조절상태가 정확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초점이 조절된 상태로 점등부(2)가 베이스부(1)에 고정 완료된 상태에서는 원통형의 연결관(3)으로 인해 상기 베이스부(1)의 지지부재(12)와점등부(2)의 결합부재(23) 사이가 충분한 틈새를 이루지 못하므로 사용 과정에서 점등부(2)가 점등됨에 따라 고온의 열이 발생되더라도 이를 원활하게 방열시켜 주지 못하므로 제품이 열화되면서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지지부재에 점등부의 구성요소인 결합부재의 바깥둘레를 직접 지지한 상태에서 고정하도록 지지돌기를 구비시킨 구조로 하여 부품수를 줄이므로 인해 조립작업성 향상과 생산성 증대가 가능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 점등부의 초점조절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초점조절 작업후의 초점조절상태가 매우 정확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지지부재중 각 지지턱 사이에는 상기 지지턱과 직각을 이루도록 지지돌기를 구비시켜 점등부를 구성하는 결합부재가 상기 각 지지돌기의 안쪽면에 접촉된 상태로 용접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종래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베이스부만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이스부 2. 점등부
12. 지지부재 12a. 지지턱
12b. 지지돌기 12c. 엠보싱돌기
23. 결합부재
이하 본 고안은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베이스부만을나타낸 평면도로서, 본 고안의 베이스부(1) 구성요소와 점등부(2) 구성요소중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도면상에는 종래에서 부여한 번호를 그대로 부여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요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부(1)를 구성하는 지지부재(12)중 각 지지턱(12a) 사이에는 상기 지지턱과 직각을 이루도록 지지돌기(12b)를 구비시켜 점등부(2)를 구성하는 결합부재(23)가 상기 각 지지돌기(12b)의 안쪽면에 접촉된 상태로 용접 고정된다.
상기 지지돌기(12b)는 베이스부(1)의 지지부재(12)에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베이스부(1)의 지지부재(12)와는 별도로 형성한 다음 그 일단부를 상기 지지부재(12)에 용접 고정하여도 된다.
한편 각 지지돌기(12b)는 지지부재(12)와 근접된 부분이 안쪽으로 약간 휘어지게 절곡시켜 상기 각 지지돌기(12b)의 안쪽 끝단을 원주방향으로 잇는 가상의 동심원(A)이 상기 지지부재(12)의 안쪽 둘레인 내경부보다 더 안쪽에 위치되도록 하는데, 이는 점등부(2)를 베이스부(1)에 고정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점등부(2)의 초점조절을 행할 때 점등부(2)가 특정 방향으로 미세하게 위치이동되더라도 상기 각 지지돌기(12b)의 안쪽 끝단을 잇는 가상의 동심원(A)이 지지부재(12)의 안쪽 둘레인 내경부 영역 바깥으로 이탈됨이 없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12)에 구비된 각 지지돌기(12b)에는 안쪽으로 약간 돌출되게 엠보싱돌기(12c)를 형성시켜 상기 각 지지돌기(12b)의 안쪽 끝단을 원주방향으로 잇는 가상의 동심원(A)이 점등부(2)를 구성하는 결합부재(23)의 바깥쪽 둘레인외경부보다 더 크도록 하는데, 이는 점등부(2)를 베이스부(1)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점등부(2)의 결합부재(23)를 베이스부(1)의 지지부재(12)에 구비된 각 지지돌기(12b) 사이로 끼울 때 상기 결합부재(23)가 각 지지돌기(12b)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히 끼워지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자동차용 헤드램프에서 점등부(2)를 베이스부(1)에 고정할 때는 상기 점등부(2)의 구성요소인 결합부재(23)를 베이스부(1)의 지지부재(12)에 구비된 각 지지돌기(12b) 사이로 끼워 상기 각 지지돌기의 안쪽면이 결합부재(23)의 둘레면에 접촉되도록 한 다음 상기 점등부(2)의 초점을 정확하게 조절하고, 이후 상기 지지부재(12)의 각 지지돌기(12b)와 결합부재(23)를 용접 고정하면 본 고안 구조의 자동차용 헤드램프가 사용가능한 상태로 조립 완료되는데, 상기 본 고안 구조의 자동차용 헤드램프가 조립 완료된 상태에서는 종래에서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점등부(2)의 구성요소인 전원극선(22)중 유리관(21) 외부 노출부분은 베이스부(1)의 구성요소인 몸체(11) 내부의 터미널과 접촉되므로 사용 과정에서 전원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에서 점등부(2)의 구성요소인 결합부재(23)를 베이스부(1)의 지지부재(12)에 구비된 각 지지돌기(12b) 사이로 끼울 때 상기 각 지지돌기(12b)에는 안쪽으로 약간 돌출되게 엠보싱돌기(12c)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해 상기 각 지지돌기(12b)의 안쪽 끝단을 원주방향으로 잇는 가상의 동심원(A)이 점등부(2)를 구성하는 결합부재(23)의 바깥쪽 둘레인 외경부보다 더 큰 상태임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23)가 각 지지돌기(12b) 사이로 끼워지는 과정에서는 상기 각 지지돌기(12b)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히 끼워짐은 이해 가능한데, 상기 결합부재(23)가 각 지지부재(12b) 사이로 끼워짐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실제로 상기 결합부재(23)는 각 지지돌기(12b) 보다는 엠보싱돌기(12c)에 접촉되어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이하에서 상기 점등부(2)의 초점을 조절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점등부(2)를 베이스부(1)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점등부(2)의 구성요소인 결합부재(23)를 베이스부(1)의 지지부재(12)에 구비된 각 지지돌기(12b) 사이로 끼워 상기 각 지지돌기의 안쪽면이 결합부재(23)의 둘레면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각 지지돌기(12b)와 결합부재(23)를 용접 고정하기 전에 점등부(2)만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기울이거나 아니면 특정방향으로 위치이동시키거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초점 측정기(도시는 생략함)를 이용해 상기 점등부(2)의 초점을 정확하게 맞추고, 이후 지지부재(12)에 구비되어 있는 각 지지돌기(12b)와 결합부재(23)를 용접 고정하여 결국 초점이 정확하게 조절된 점등부(2)가 베이스부(1)에 고정되도록 하면 된다.
한편 점등부(2)가 초점이 조절된 상태로 베이스부(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본 고안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자동차의 전조등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헤드램프의 점등부(2)가 자동차 본체의 반사경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1)를 자동차 본체의 헤드램프 프레임에 결합시켜야 하는데, 이때에는 종래에서와 같이 베이스부(1)의 구성요소인 지지부재(12)에 일체로 갖추어져 있는 3개의 지지턱(12a)을 이용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 자동차용 헤드램프에서 지지부재(12)에 구비된 각 지지돌기(12a)는 상기 지지부재(12)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아니면 지지부재와 별도로 만든 다음 상기 지지부재(12)에 용접 고정할 수도 있는데, 바람직 하기로는 부품수를 줄이게 위해 상기 지지부재(12)에 일체로 형성시켜 구비함이 좋을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지지돌기(12b)는 지지부재(12)와 근접된 부분이 안쪽으로 휘어지게 약간 절곡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지지돌기(12b)의 안쪽 끝단을 원주방향으로 잇는 가상의 동심원(A)이 상기 지지부재(12)의 안쪽 둘레인 내경부보다 더 안쪽에 위치될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점등부(2)를 베이스부(1)에 고정 완료하기 이전에 기 설명된 과정에 의해서 상기 점등부(2)의 초점조절을 행할 때 점등부가 특정 방향으로 미세하게 위치이동되더라도 상기 각 지지돌기(12b)의 안쪽 끝단을 잇는 가상의 동심원(A)이 지지부재(12)의 안쪽 둘레인 내경부 영역 바깥으로 이탈됨이 없어 결국 조립 완료된 본 고안 헤드램프를 자동차의 전조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헤드램프 프레임에 결합할 때 상기 프레임에 간섭됨이 없이 원활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자동차용 헤드램프는 점등부(2)를 베이스부(1)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의 구성요소인 지지부재(12)에 일체 형성되거나 용접 고정되어 구비된 지지돌기(12a)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점등부(2)의 초점을 맞추는 과정에서는 점등부(2)의 구성요소인 결합부재(23)를 각 지지돌기(12a) 사이로 끼워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점등부(2)만을 움직이면 되므로 초점조절 작업이 쉽게 이루어짐과 함께 초점조절 작업후의 초점조절상태가 정확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서와 같이 별도로 만들어진 원통형상의 연결관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초점조절 작업후 점등부(2)를 베이스부(1)에 고정할 때 지지부재(12)에 구비된 각 지지돌기(12b)와 결합부재(23)만을 용접 고정하면 되므로 조립작업성의 향상의 의해 제작비용이 줄어들게 되는 경제적 효과도 있다.
그리고 초점이 조절된 상태로 점등부(2)가 베이스부(1)에 고정 완료된 상태에서는 베이스부(1)를 구성하는 지지부재(12)와 점등부(2)를 구성하는 결합부재(23) 사이가 충분한 틈새를 유지하게 되므로 헤드램프의 사용 과정에서 점등부(2)가 점등됨에 따라 고온의 열이 발생되더라도 이 열이 상기 틈새를 통해 원활하게 방열되고, 이로 인해 제품의 열화방지에 의해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지지부재의 각 지지턱 사이에는 상기 지지턱과 직각을 이루도록 지지돌기를 구비시켜 점등부를 구성하는 결합부재가 상기 각 지지돌기의 안쪽면에 접촉된 상태로 용접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지지돌기가 지지부재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각 지지돌기가 지지부재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각 지지돌기가 지지부재와는 별도로 만들어져 상기 지지부재에 용접 고정됨에 따라 상기 각 지지돌기가 지지부재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지지돌기는 지지부재와 근접된 부분이 안쪽으로 휘어지게 약간 절곡되어 상기 각 지지돌기의 안쪽 끝단을 원주방향으로 잇는 가상의 동심원(A)이 상기 지지부재의 안쪽 둘레인 내경부보다 더 안쪽에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지지돌기에는 안쪽으로 약간 돌출되게 엠보싱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각 지지돌기의 안쪽 끝단을 원주방향으로 잇는 가상의 동심원(A)이 점등부를 구성하는 결합부재의 바깥쪽 둘레인 외경부보다 더 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KR20-2003-0023096U 2003-07-16 2003-07-16 자동차용 헤드램프 KR200331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096U KR200331781Y1 (ko) 2003-07-16 2003-07-16 자동차용 헤드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096U KR200331781Y1 (ko) 2003-07-16 2003-07-16 자동차용 헤드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781Y1 true KR200331781Y1 (ko) 2003-11-01

Family

ID=4941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096U KR200331781Y1 (ko) 2003-07-16 2003-07-16 자동차용 헤드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7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1852B2 (ja) 車両用灯具
JP2001067909A (ja) プロジェクター型ヘッドランプ
JPH04337242A (ja) 自動車ヘッドライト用に適した取り替え式電球組立体
KR100905726B1 (ko) 램프, 램프 제조 방법 및 램프의 연속체
US4310772A (en) Sealed beam lamp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4534363A5 (ko)
JP2016512385A (ja) 自己配置光源モジュール
JP4184967B2 (ja) ヘッドライトランプ
US20110058384A1 (en) Integrated low wattage automotive discharge lamp
JP4124733B2 (ja) ヘッドライトランプ
KR200331781Y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EP3591282B1 (en) Lamp unit support structure for headlight and headlight manufacturing method
JP4565645B2 (ja) バルブアライメント機構
US20080224616A1 (en) Lamp and a Method of Attaching a Burner to a Cap of Lamp
JP2003281930A (ja) 車輌用前照灯
JP4523657B2 (ja) ランプユニット
JPH07105915A (ja) 定焦点型自動車用放電灯
KR200332234Y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US7871190B2 (en) Headlight comprising a fixed attached support element on which a reflector is pivotally mounted
JP3717831B2 (ja) ランプ装置
US8356922B2 (en) Reflector lamp used as daytime running lamp
KR20000023519A (ko) 전기램프
JP4606206B2 (ja) ランプユニット
WO2010023682A1 (en) Incandescent lamp and socket assembly
JP4743946B2 (ja) 光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