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113Y1 - 지상기기함 받침대 - Google Patents

지상기기함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113Y1
KR200330113Y1 KR20-2003-0024887U KR20030024887U KR200330113Y1 KR 200330113 Y1 KR200330113 Y1 KR 200330113Y1 KR 20030024887 U KR20030024887 U KR 20030024887U KR 200330113 Y1 KR200330113 Y1 KR 200330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equipment
equipment box
horizontal
fram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현
Original Assignee
유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현 filed Critical 유재현
Priority to KR20-2003-0024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1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1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41Ventilation panels having provisions for scre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상기기함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상기기함과 기초대 사이에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지상기기함의 좌우 쪽을 각각 받치는 1쌍의 세로프레임과 상기 각 세로프레임의 양끝에 마주하도록 각각 연결되어 지상기기함의 앞뒤 쪽을 각각 받치는 1쌍의 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세로프레임 및 가로프레임은 도장처리가 된 스테인리스강계 금속으로 이루어져 한쪽에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통풍구에는 동물 등의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철망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지상기기함의 통풍구멍과 함께 지상기기함의 통풍을 도모하여 그 내부의 온도나 습도를 효율적으로 알맞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통풍을 방해함이 없이 통풍구를 통한 야생동물의 출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각종 오염물질에 따른 자체의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상기기함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상기기함 받침대{Base for a transformer or switch box}
본 고안은 지상기기함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기기함의 하부 쪽 통풍을 도모하여 그 내부의 온도나 습도를 알맞은 상태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각종 오염물질에 따른 자체의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상기기함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지상기기함은 지중선로를 통해 각 수용가로 송전 시 전압을 변환하고 선로를 분기할 목적 하에 설치되는 변압기나 개폐기(이하 지상기기라 한다)를 내장하여 이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것으로서, 지상기기를 내장할 수 있도록 대략 밑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초대 위에 앵커볼트로 정착된다.(도 6 참조)
이러한 지상기기함은 지상기기(특히 변압기)가 방출하는 열과 맨홀에서 발생하는 습기 때문에 그 내부의 온도와 습도가 외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기 마련이므로 온도를 낮추고 습기를 제거하고자 기다랗도록 형성되는 통풍구멍이 측면에 다수 천공된다.
하지만 이 통풍구멍은 지상기기함의 내부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지상기기함 내부로의 외기 유입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유입되더라도 상부에 비해 하부의 통풍이 좋지 않아 균형 있는 통풍을 기대할 수 없다.
즉 통풍구멍에만 의존하여 효율적으로 지상기기함 내부의 온도를 낮추고 무게가 무거워 하부에 가라앉아 있는 습기를 제거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뒤따르는 것이 현 실정이다.
때문에 지상기기함은 그 하부가 가라앉아 있는 습기 때문에 상부보다 부식의 정도가 빠르고 심각한 것이 보통이고, 더불어 내장되어 있는 지상기기에까지 높은 내부의 온도와 습기에 의해 치명적 손상을 가하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지상기기함이 부식되거나 지상기기가 손상되면 이들을 신규의 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행해야 하는 바, 이로써 초래되는 커다란 예산의 손실을 감수해야만 했다.
한편 지상기기함은 도로변이나 수용가의 구내 등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종종 주행하는 차량에 의해 각종 오염물질(도로에 살포된 염산 등)이 튀어 표면을 타고 흐르다 하부 쪽에 모이게 되는 바, 이 오염물질이 지상기기함의 부식을 촉진시킴은 자명하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초대와 지상기기함 사이에 설치되어 그 사이에 지상기기함의 내부로 외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 지상기기함의 하부 쪽 통풍을 상부와 같이 원활하도록 함으로써 지상기기함의 내부 온도 및 습도가 낮아 부식이 방지되는 지상기기함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체를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고, 그 표면에부식방지를 위한 처리를 함으로써 자체 부식이 없는 지상기기함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상기기함 받침대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상기기함 받침대의 세로프레임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상기기함 받침대의 가로프레임이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상기기함 받침대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상기기함 받침대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상기기함 받침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세로프레임
11 : 제1수직판 11' : 통풍구 12a, 12b : 제1수평판
12a' : 체결구멍 12b' : 체결홈부 13 : 측판
13' : 체결구멍 15 : 철망
20 : 가로프레임
21 : 제2수직판 21' : 통풍구 21" : 체결구멍
22a, 22b : 제2수평판 22a' : 체결구멍 22b' : 체결홈부
25 : 철망
30 : 지상기기함
40 : 기초대
상기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상기기함과 기초대 사이에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지상기기함의 좌우 쪽을 각각 받치는 1쌍의 세로프레임과 상기 각 세로프레임의 양끝에 마주하도록 각각 연결되어 지상기기함의 앞뒤 쪽을 각각 받치는 1쌍의 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세로프레임 및 가로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통풍구에는 동물 등의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철망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은 스테인리스강계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도료가 도장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상기기함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지상기기함 받침대는 지상기기함(도 6의 도면부호 30)과 기초대(도 6의 도면부호 40) 사이에 설치되어 지상기기함(30)을 받칠 수 있도록 지상기기함(30)과 유사한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서로간에 끝이 직교하도록 연결되는 2개 1조의 세로프레임(10) 및 가로프레임(20)으로 대별 구성된다.
도 2는 상기 세로프레임(1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세로프레임(10)은 지상기기함(30)의 좌우 양쪽을 각각 받칠수 있도록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호 마주하는 것으로서, 수직하도록 세워지는 제1수직판(11)과, 이 제1수직판(11)의 상·하단에서 끝이 외측을 향하도록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수평판(12a)(12b)과, 제1수직판(11)과 수평판(12a)(12b)의 양끝에 연결되는 측판(13)으로 형성되어 한쪽이 개방된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세로프레임(10)은 지상기기함(30)과 기초대(40) 사이를 통해 지상기기함(30)의 하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1수직판(11)에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11')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각 통풍구(11')에는 이 통풍구(11')를 통해 쥐 등과 같은 야생동물이 드나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철망(15)이 각각 설치된다.
도 3은 상기 가로프레임(2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가로프레임(20)은 세로프레임(10)과 반대로 지상기기함(30)의 전후 양쪽을 각각 받칠 수 있도록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호 마주하는 것으로서, 수직하도록 세워지고 양끝에 측판(13)이 각각 연결되는 제2수직판(21)과, 이 제2수직판(21)의 상·하단에서 끝이 외측을 향하도록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2수평판(22a)(22b)으로 형성되어 종단면이 ㄷ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로프레임(20)도 세로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각 제2수직판(21)에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21')가 각각 형성되고, 각 통풍구(21')에 철망(25)이 각각 설치된다.
도 4는 세로프레임(10)과 가로프레임(20)의 연결구조를 나타낸다.
상술한 것처럼 측판(13)을 제2수직판(21)의 양끝에 각각 연결하면 세로프레임(10)과 가로프레임(20)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바, 양자의 연결을 위해 측판(13)에는 도 2와 같이 2개의 체결구멍(13')이 나란히 천공되고, 제2수직판(21)의 양끝에는 도 3과 같이 측판(13)의 체결구멍(13')과 대응하도록 2개의 체결구멍(21")이 각각 천공된다.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측판(13)과 제2수직판(21)을 그 체결구멍(13')(21")이 서로 일치하도록 맞댄 후 볼트(B) 및 너트(N)로 체결하면 세로프레임(10)과 가로프레임(20)은 견고히 연결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상기기함 받침대의 설치구조를 나타낸다.
상술한 것처럼 본 고안은 지상기기함(30)과 기초대(40) 사이에 설치되므로 세로프레임(10) 및 가로프레임(20)의 각 제1·2수평판(12a)(12b)(22a)(22b) 중 상측의 제1·2수평판(12a)(22a)은 지상기기함(30)과 각각 체결되고, 하측의 제1·2수평판(12b)(22b)은 기초대(40)와 각각 체결된다.
이를 위해 도 2 및 도 3과 같이 각 상측의 제1·2수평판(12a)(22a)에는 체결구멍(12a')(22a')이 각각 천공되고, 각 하측의 각 제1·2수평판(12b)(22b)에는 외측을 향하도록 터진 체결홈부(12b')(22b')가 각각 형성되어 도 5에서와 같이 지상기기함(30)에 볼트(B) 및 너트(N)로, 기초대(40)에 앵커볼트(A) 및 너트로 각각 견고하게 체결된다.
한편 세로프레임(10)과 가로프레임(20)은 철의 최대 결점인 내식성의 부족을 개선할 목적으로 만든 스테인리스강계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도막을 형성하고자 도료로 도장된다.
여기서 도료로는 내습성과 내약품성이 높은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고안은 이미 설치되어 있거나 신설되는 지상기기함에 구분 없이 함께 적용할 수 있다.
기존 지상기기함에 적용할 경우, 먼저 기초대(40)에 지상기기함(30)을 정착시키는 앵커볼트의 너트를 풀어 지상기기함(30)과 기초대(40)의 체결을 해제한 후 지상기기함(30)을 들어 기초대(40)와의 사이에 설치공간을 확보한다.
다음 각 세로프레임(10)을 지상기기함(30)과 기초대(40) 사이에 놓아 그 체결홈부(12b') 내에 기초대(40)에 박혀 있는 앵커볼트가 위치하도록 한 후 각 가로프레임(20)을 놓아 그 체결홈부(22b') 내에 앵커볼트를 위치시킴과 아울러 그 제2수직판(21)이 측판(13)에 맞닿도록 한다.
이 때 작업자는 본 받침대가 세로프레임(10)과 가로프레임(20)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으므로 지상기기함(30)을 높이 들어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지 않고도 지상기기함(30)과 기초대(40) 사이에 본 받침대를 세팅할 수 있다.
그 다음 맞닿아 있는 측판(13)과 제2수직판(21)의 체결구멍(13')(21")으로 볼트(B)를 끼워 너트(N)와 결합시킴으로써 각 세로프레임(10)과 가로프레임(20)을 모두 체결하고, 앵커볼트와 너트를 결합하여 기초대(40)에 본 받침대를 체결한다.
다음 지상기기함(30)을 내려놓아 본 받침대 위에 올려놓은 후 상측의 제1·2수평판(12a)(22a)의 체결구멍(12a')(22a')을 통해 볼트(B), 너트(N)로 지상기기함(30)에 본 받침대를 체결하면 도 6과 같이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설치가 완료되면 통풍구(11')(21')를 통해 지상기기함(30)과 기초대(40) 사이로 외기가 유입, 지상기기함(30) 내부의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진다.
이 때 통풍구(11')(21')를 통해 지상기기함(30) 하부로 유입되는 외기는 지상기기함(30)의 통풍구멍으로 유입되는 외기와 함께 지상기기함(30) 내부의 온도를 낮추고 하부에 집중되어 있는 습기를 제거, 지상기기함(30) 내부의 조건을 알맞도록 한다.
따라서 지상기기함(30)이나 여기에 내장되는 지상기기의 높은 온도 및 습기에 따른 여러 피해(부식)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풍구(11')(21')의 철망(15)(25)으로 인해 통풍구(11')(21')를 통한 야생동물의 출입을 통풍을 방해함이 없이 차단할 수 있다.아울러 통풍구(11')(21')가 제1·2수직판(11)(21)에 형성되는 까닭에 안쪽으로 위치되어 이를 통한 빗물의 유입 없이 통풍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차량에 의해 지상기기함(30)으로 튀어 본 받침대로 흐르거나 직접 달라붙는 대기 중의 각종 오염물질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도 본 받침대가 스테인리스강계 금속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도료에 의한 도장처리가 되어 있으므로 함께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받침대를 신설되는 지상기기함에 적용할 경우에는 기존 지상기기함에 적용하는 경우와는 달리 사전에 조립을 완료한 후 기초대(40)와 체결하고 지상기기함(30)과 체결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지상기기함과 기초대 사이에 지상기기함을 받칠 수 있도록 설치되고 통풍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통풍구를 통해 지상기기함의 내부로 외기를 유입, 지상기기함 하부의 통풍을 도모할 수 있어 지상기기함의 통풍구멍으로 유입되는 외기와 함께 지상기기함 내부의 온도를 신속히 낮추고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지상기기함 내부는 항상 알맞은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므로 지상기기함 및 여기에 내장되는 지상기기가 높은 온도와 습도에 의해 부식되는 등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통풍구에 철망이 설치되기 때문에 통풍구를 통한 야생동물의 출입을 통풍을 방해함이 없이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으로 분할 구성되므로 기존 지상기기함에 간편히 설치할 수 있다.게다가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이 수직판 및 수직판의 상·하단에서 외측을 향해 수직하도록 연결되는 수평판으로 형성되고, 각 수직판에 통풍구가 형성되므로 통풍구가 안쪽으로 위치되어 통풍구를 통한 빗물의 유입 없이 통풍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이 스테인리스강계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도장처리가 되어 있어 자체 부식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지상기기함과 기초대 사이에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지상기기함의 좌우 쪽을 각각 받치는 1쌍의 세로프레임과 상기 각 세로프레임의 양끝에 마주하도록 각각 연결되어 지상기기함의 앞뒤 쪽을 각각 받치는 1쌍의 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세로프레임 및 가로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통풍구에는 동물 등의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철망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기기함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세로프레임은 상기 통풍구가 형성되는 제1수직판과, 상기 제1수직판의 상·하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수직하도록 연결되는 제1수평판과, 상기 제1수직판과 제1수평판의 양끝에 각각 연결되는 측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가로프레임은 상기 통풍구가 형성되고 양끝에 상기 세로프레임의 측판이 각각 연결되는 제2수직판과, 상기 제2수직판의 상·하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수직하도록 연결되는 제2수평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기기함 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판 및 제2수직판의 양끝에는 상기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을 볼트 및 너트로 체결시킬 수 있도록 체결구멍이 각각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지상기기함 받침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2수평판 중 상측의 제1·2수평판에는 상기 상측의 제1·2수평판에 지상기기함을 볼트 및 너트로 체결시킬 수 있도록 체결구멍이 각각 천공되고, 하측의 제1·2수평판에는 상기 하측의 제1·2수평판을 기초대에 앵커볼트로 체결시킬 수 있도록 체결홈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기기함 받침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은 스테인리스강계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도료가 도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기기함 받침대.
KR20-2003-0024887U 2003-08-01 2003-08-01 지상기기함 받침대 KR2003301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887U KR200330113Y1 (ko) 2003-08-01 2003-08-01 지상기기함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887U KR200330113Y1 (ko) 2003-08-01 2003-08-01 지상기기함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113Y1 true KR200330113Y1 (ko) 2003-10-11

Family

ID=4933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887U KR200330113Y1 (ko) 2003-08-01 2003-08-01 지상기기함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1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064B1 (ko) * 2006-09-28 2007-09-21 주식회사 서호기술단 지중배전 지상기기용 보호장치
KR20130072483A (ko) * 2011-12-22 2013-07-02 한국전력공사 멀티형 지상변압기 기초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064B1 (ko) * 2006-09-28 2007-09-21 주식회사 서호기술단 지중배전 지상기기용 보호장치
KR20130072483A (ko) * 2011-12-22 2013-07-02 한국전력공사 멀티형 지상변압기 기초대
KR101637050B1 (ko) 2011-12-22 2016-07-06 한국전력공사 멀티형 지상변압기 기초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663B1 (ko) 옥외 광고물 설치 구조체
KR100895583B1 (ko) 방수천장
KR200330113Y1 (ko) 지상기기함 받침대
JP2010133173A (ja) 床下換気構造
KR102301318B1 (ko) 배수용 그레이팅 구조체
US20070256220A1 (en) Sealed device for installing toilet stool
US6705050B2 (en) Flashing device
US20070144105A1 (en) Mounting bracket for roof-top structures
JP3653167B2 (ja) 天井漏水からの防護設備
KR20210061908A (ko) 방수캡을 이용한 조립식 지붕의 구조물 설치 구조
KR200335264Y1 (ko) 부식방지형 지상기기함
CN112099170A (zh) 一种高防水性景区美化用光交箱
US7938373B2 (en) Vertical support structure
JP2010174595A (ja) 建物の水切構造
KR100366715B1 (ko) 플라스틱 하우스
KR20160003162U (ko) 도난방지 구조를 갖는 그레이팅
CN219103809U (zh) 一种不需要紧固件组装的格栅窗
JP2005248575A (ja) 基礎への外壁パネル及び床パネルの取付け構造
JP4109980B2 (ja) 棟換気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棟換気構造
JP2001234675A (ja) 換気ガラリ
JP3327528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
JP3136321U (ja) 消火器具格納箱の据え付け用台座
JP3982172B2 (ja) 電気機器収容箱
KR19980039158U (ko) 설치가 용이한 반원형 켄테이너 하우스
JP2657453B2 (ja) 給水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