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021Y1 -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 - Google Patents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021Y1
KR200330021Y1 KR20-2003-0022877U KR20030022877U KR200330021Y1 KR 200330021 Y1 KR200330021 Y1 KR 200330021Y1 KR 20030022877 U KR20030022877 U KR 20030022877U KR 200330021 Y1 KR200330021 Y1 KR 200330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tube
umbrella
passenger car
outer slid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호봉
Original Assignee
장호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호봉 filed Critical 장호봉
Priority to KR20-2003-0022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0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4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at least the roof of the vehicle, e.g. for covering the whol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68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에 관한 것으로, 지붕, 전후면유리 및 좌우측면유리가 이루는 승용차의 상부만을 덮을 수 있는 형태로 제조된 천을 포함하는 승용차용 상부 캡에 있어서, 상기 천의 내부에는 복수의 우산살들이 상기 천의 중심을 중심으로 절첩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우산살들을 절첩가능하게 하는 외부 슬라이드 관이 상기 천의 중심의 상면 위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 슬라이드 관의 내부에는 내부 슬라이드 관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내부 슬라이드 관의 하단부에는 레버 고정식 흡착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FOLDABLE UPPER CAP FOR A PASSENGER CAR}
본 고안은 승용차용 상부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붕, 전후면유리 및 좌우측면유리가 이루는 승용차의 상부만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먼지, 새똥 등의 이물질이 외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하절기에 직사광선이 실내에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그리고, 동절기에 눈이 외부에 쌓여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승용차를 전체적으로 보호하는 승용차용 커버가 승용차의 종류 및 형식에 따라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승용차용 커버는 승용차 전체를 감싸기 위해 크기가 상당히 크므로 사용자에 의해 승용차에 전체적으로 덮여져 설치되거나 또는 승용차에 전체적으로 덮여진 상태에서 분리되기에 번거롭고 힘이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지붕, 전후면유리 및 좌우측면유리가 이루는 승용차의 상부만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 승용차용 상부 캡이 개발되었다.
실제 승용차에서 지붕과 유리만이 덮여져도 승용차의 외부를 깨끗하게 유지하는데 크게 문제가 없다. 왜냐하면, 승용차에서 본넷, 도어의 유리를 제외한 하반부 및 트렁크 상면은 사람의 손이 잘 닿는 부분이므로 이물질이 부착되더라도 사용자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으나, 승용차의 지붕은 사람의 손이 닿기 곤란한 부분이므로 이물질이 부착되면 사용자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없으므로, 승용차가 옥외에 주차된 경우 승용차의 지붕에는 보호 수단이 덮여질 필요성이 있다. 또한, 유리에 묻은 이물질은 안전 운전상 완전히 제거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이 상당히 노력이 많이 드는 일이고, 또한, 하절기에 직사광선은 유리를 통해 실내로 입사되어 내장품을 열변형시키고, 또한, 동절기에 유리에 얼어붙은 눈은 특히 제거하기가 힘이 들므로, 승용차가 옥외에 주차된 경우 유리에는 보호 수단이 덮여질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승용차용 상부 캡은 종래의 승용차용 커버에 비해 크기만 작을 뿐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즉, 천이 단순히 승용차의 상부에 맞게 대략 사다리꼴로 재봉되고 승용차의 사이드 미러 등에 고정하기 위한 끈 등의 고정수단이 사다리꼴 천의 전후 양단에 형성된 것에 불과하므로, 승용차의 상부에 덮여져 설치될 때 사용자에 의해 승용차의 상부에 맞추어 일일이 펼쳐진 후 고정 끈이 일일이 승용차에 고정되어야 하고 또한 승용차의 상부에 덮여져 설치된 상태에서 분리될 때도 사용자에 의해 고정 끈이 일일이 풀려진 후 일일이 접혀져야 하므로 설치 및 설치해제 작업이 번거롭고 힘이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승용차용 상부 캡은 설치시 일일이 펼쳐져야 하므로 바람의 강한 날에는 사용자 혼자서 장착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비에 젖은 승용차용 상부 캡은 그 구조상 모든 면이 공기와 접하도록 펼쳐지기에 곤란하므로 건조되는 데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상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절첩가능한 복수의 우산살을 포함하는 우산식 구조에 의해 간단하게 펼쳐짐과 동시에 레버 고정식 흡착판에 의해 중심 부분이 승용차의 지붕의 중심에 간단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의 접혀진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4a는 도 3에서 ⅣA-ⅣA선을 따른 단면도,
도 4b는 도 3에서 ⅣB-ⅣB선을 따른 단면도,
도 4c는 도 4b에서 ⅣC-ⅣC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흡착판을 승용차 지붕에 부착하기 위해 캠 레버를 회동시키는 중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캠 레버가 완전히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이 승용차에 장착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이 승용차에 장착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의 환풍 수단의 상세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은, 지붕, 전후면유리 및 좌우측면유리가 이루는 승용차의 상부만을 덮을 수 있는 형태로 제조된 천을 포함하는 승용차용 상부 캡에 있어서, 상기 천의 내부에는 복수의 우산살들이 상기 천의 중심을 중심으로 절첩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우산살들을 절첩가능하게 하는 외부 슬라이드 관이 상기 천의 중심의 상면 위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 슬라이드 관의 내부에는 내부 슬라이드 관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내부 슬라이드 관의 하단부에는 레버 고정식 흡착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1)은 천(10)의 내부에 복수의 우산살(20)들이 천(10)의 중심을 중심으로 절첩가능하게 고정되되 우산살(20)들을 절첩가능하게 하는 외부 슬라이드 관(30)이 천(10)의 중심의 상면 위로 돌출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내부에 내부 슬라이드 관(40)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부 슬라이드 관(40)의 하단부에 레버 고정식 흡착판(41)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천(10)의 중심에는 가이드 부시(11)가 고정된다. 가이드 부시(11)에서 천(10)의 내측 외주면에는 복수의 우산살(20)들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천(10)의 내면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산살(20)은, 천(10)의 중심에서 코너로 이어지는 길이가 긴 우산살과, 천(10)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이어지는 길이가 짧은 우산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우산살(20)은 다단 절첩식으로서 그 중간에는 절곡부(21)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산살(20)이 3단 절첩식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또한, 우산살(20)에서 가이드 부시(11)에 인접한 부분에는 돌출편(2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시(11) 내에는 외부 슬라이드 관(30)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며,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하단 부근 외주면에는 환형 돌출부(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환형 돌출부(31)와 우산살(20)의 돌출편(23)에는 보조 우산살(25)의 양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내부에는 내부 슬라이드 관(40)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내부 슬라이드 관(40)의 길이는 그 상하단이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상하단 보다 약간 상하부로 돌출되게 치수 결정된다. 내부 슬라이드 관(40)의 하단부에는 레버 고정식 흡착판(41)이 일체로 형성되며,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하단부에는 흡착판 덮개(43)가 일체로 형성된다. 흡착판(41)은 아래가 오목한 접시 형태의 비닐 수지로 제조된다. 따라서, 내부 슬라이드 관(40)이 상방으로 당겨지면, 흡착판(41)의 상면이 흡착판 덮개(43)의 저면에 맞닿아 외부 슬라이드 관(30)이 내부 슬라이드 관(40)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된다.
내부 슬라이드 관(40)의 상단 부근에는 스프링(35)에 의해 멈춤편(33)이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내부 슬릿(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상단 부근에는 내부 슬라이드 관(40)의 내부 슬릿(44)을 통과한 멈춤편(33)이 끼워지는 외부 슬릿(37)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 슬라이드 관(40)의 상단에는 상부가 개방된 절개부(42)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개부(42)에는 일측면에 캠(51)이 돌출 형성된 캠 레버(50)가 끼워지는데, 캠 레버(50)는 힌지(45)에 의해 내부 슬라이드 관(40)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캠 레버(50)는 캠(51)에 의해 슬라이드 관(30)의 상단에 걸쳐져 있다. 캠 레버(50)는,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상단에는 걸쳐지기 위해서는 캠(51) 부분의 직경이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직경보다는 커야 하지만, 우산살(20)이 접혀지기 위해서는 가이드 부시(11)의 내부를 관통해야 하므로 캠(51) 부분의 직경이 가이드 부시(11)의 직경보다 작아야 한다. 캠(51)의 일단에는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상단 내부에 꼭 맞게 끼워지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다.
캠 레버(50)의 상단에는 끼움공(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끼움공(53)에는 당김줄(60)이 끼워진다. 또한, 당김줄(60)의 말단에는 당김줄(60)의 당김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당김줄(60)이 가이드 부시(11) 아래로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한 빠짐방지 손잡이(61)가 끼워져 있다.
따라서, 도 2의 상태에서 외부 슬라이드 관(30)이 가이드 부시(11) 내에 삽입된 후 계속해서 가이드 부시(11)를 관통하여 상부로 이동되면, 도 3에 상세하게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우산살(25)이 펼쳐짐과 동시에 우산살(20)이 펼쳐지면서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내부 및 외부 슬릿(44, 37)을 통과한 멈춤편(33)이 가이드 부시(11)의 상면에 걸려 우산살(20)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1)을 사용자에 의해 승용차의 지붕(R)에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도 2의 상태에서 당김줄(60)을 상부로 당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살(20)이 펼쳐지게 함과 동시에 멈춤편(33)이 가이드 부시(11)의 상면에 걸려 우산살(20)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게 한 다음, 흡착판(41)이 승용차 지붕(R)에 맞닿게 한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레버(50)를 좌측으로 회동시키면, 캠(51)이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상단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면서 내부 슬라이드 관(40)을 상방으로 당기게 되고, 따라서, 흡착판(41)도 승용차 지붕(R)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방으로 당겨져 그 상면이 흡착판 덮개(43)의 저면에 맞닿음으로써 흡착판(41)의 내부에 진공이 생기게 되고, 이 상태에서 캠 레버(50)를 좌측으로 더 회동시켜 캠(51)의 단턱이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상단 내부에 꼭 맞게 끼워지면 흡착판(41)의 내부에 진공이 생긴 상태가 계속 유지되므로 이 진공의 작용에 의해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1)이 승용차 지붕(R)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1)을 승용차 지붕(R)에서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전술한 과정과 반대로 하면 된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1)이 승용차(2)에 장착 고정된 상태가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1)의 천(10)의 측면에는 강한 바람에 의해 상부 캡이 뒤집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통풍 수단(70)을 구 구비할 수도 있다. 통풍 수단(70)은, 도 9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절개된 것으로 강한 바람이 승용차와 상부 캡 사이로 유입되었을 경우, 상방으로 제껴지면서 승용차의 상부 캡 사이의 바람이 통하게 된다. 절개된 부분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승용차의 외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망사(71)로 덮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1)의 천(10)의 후방 하단에는 도난 방지를 위해 고정줄(80)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 고정줄(80)의 말단에 걸림 돌기(81)를 설치할 수도 있다. 사용시, 고정줄(80)을 늘여 트렁크 내에 걸림 돌기(81)를 넣고 트렁크를 닫으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에 의하면, 설치 및 설치해제 작업이 간편하고, 비에 젖는 경우에도 건조키기가 용이하여 건조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지붕, 전후면유리 및 좌우측면유리가 이루는 승용차의 상부만을 덮을 수 있는 형태로 제조된 천을 포함하는 승용차용 상부 캡에 있어서,
    상기 천(10)의 내부에는 복수의 우산살(20)들이 상기 천(10)의 중심을 중심으로 절첩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우산살(20)들을 절첩가능하게 하는 외부 슬라이드 관(30)이 상기 천(10)의 중심의 상면 위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내부에는 내부 슬라이드 관(40)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내부 슬라이드 관(40)의 하단부에는 레버 고정식 흡착판(41)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천(10)의 중심에는 가이드 부시(11)가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부시(11)에서 상기 천(10)의 내측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우산살(20)들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천(10)의 내면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우산살(20)은 다단 절첩식으로서 그 중간에는 절곡부(21)들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시(11) 내에는 상기 외부 슬라이드 관(30)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고,
    상기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하단 부근 외주면과 상기 우산살(20)에서 상기 가이드 부시(11)에 인접한 부분 사이에는 보조 우산살(25)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부 슬라이드 관(40)의 길이는 그 상하단이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상하단 보다 상하부로 돌출되게 치수 결정되고,
    상기 내부 슬라이드 관(40)의 하단부에는 아래가 오목한 접시 형태의 비닐 수지로 제조된 레버 고정식 흡착판(4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하단부에는 흡착판 덮개(4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슬라이드 관(40)의 상단 부근에는 스프링(35)에 의해 멈춤편(33)이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내부 슬릿(44)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상단 부근에는 내부 슬라이드 관(40)의 내부 슬릿(44)을 통과한 멈춤편(33)이 끼워지는 외부 슬릿(37)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슬라이드 관(40)의 상단에는 일측면에 캠(51)이 돌출 형성된 캠 레버(50)가 힌지(4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캠(51)이 상기 외부 슬라이드 관(40)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캠(51)의 직경은 상기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가이드 부시(11)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살(20)에서 상기 가이드 부시(11)에 인접한 부분에는 돌출편(23)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하단 부근 외주면에는 환형 돌출부(3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환형 돌출부(31)와 상기 우산살(20)의 돌출편(23)에는 보조 우산살(25)의 양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부 슬라이드 관(40)의 상단에는 상기 캠 레버(50)가 끼워지게 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절개부(42)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캠(51)의 일단에는 상기 외부 슬라이드 관(30)의 상단 내부에 꼭 맞게 끼워지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캠 레버(50)의 상단에는 끼움공(53)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53)에는 당김줄(60)이 끼워지고,
    상기 당김줄(60)의 말단에는 당김줄(60)의 당김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당김줄(60)이 가이드 부시(11) 아래로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한 빠짐방지 손잡이(61)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
KR20-2003-0022877U 2003-07-15 2003-07-15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 KR200330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877U KR200330021Y1 (ko) 2003-07-15 2003-07-15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877U KR200330021Y1 (ko) 2003-07-15 2003-07-15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021Y1 true KR200330021Y1 (ko) 2003-10-11

Family

ID=4933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877U KR200330021Y1 (ko) 2003-07-15 2003-07-15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0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569B1 (ko) * 2013-05-02 2014-12-0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1:1 맞춤식 원터치 링크개폐형 자동차 덮개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569B1 (ko) * 2013-05-02 2014-12-0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1:1 맞춤식 원터치 링크개폐형 자동차 덮개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101371A4 (en) Automotive tent
AU2013404505B2 (en) Car roof tent
US20150367717A1 (en) Shelter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130052945A (ko) 역 접힘 우산
KR200330021Y1 (ko)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
US20060049656A1 (en) Shading assembly
KR100793474B1 (ko) 휴대용 콤팩트 우산
KR200262868Y1 (ko) 자동차 전후면 유리창 보호덮개
KR20110094364A (ko) 자동차 보호용 덮개장치
US10212997B1 (en) Collapsible umbrella with automatic closing structure
JP2000103238A (ja) 自動車ドアにおける雨除け装置
KR100765963B1 (ko) 차문용 우산
KR200271189Y1 (ko) 케이스 수납용 우산
KR200429126Y1 (ko) 차량용 그늘 막 지지 구조
KR200249142Y1 (ko)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
CN2860179Y (zh) 折叠式汽车遮阳伞
KR20190006743A (ko) 차량용 차양장치
JP3129637U (ja) 自動車に於けるドア開閉時の防雨装置
CN202242917U (zh) 汽车遮阳罩
KR200323561Y1 (ko) 물받이가 구비된 우산
CN208085465U (zh) 一种可折叠车用伞具
KR200390953Y1 (ko) 차량용 우산 보관함
KR100719175B1 (ko) 손잡이가 틸팅 된 우산
KR101719899B1 (ko) 파라솔
JP4006480B2 (ja) 自動車用カバー収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