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899B1 - 파라솔 - Google Patents

파라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899B1
KR101719899B1 KR1020150048800A KR20150048800A KR101719899B1 KR 101719899 B1 KR101719899 B1 KR 101719899B1 KR 1020150048800 A KR1020150048800 A KR 1020150048800A KR 20150048800 A KR20150048800 A KR 20150048800A KR 101719899 B1 KR101719899 B1 KR 101719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rib
hub
hinged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9962A (ko
Inventor
김도락
Original Assignee
김도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락 filed Critical 김도락
Priority to KR1020150048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899B1/ko
Publication of KR20160119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7/00Tiltable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44Article supports adapted to be stuck into the ground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막의 폭을 조절할 수 있고 텐트로도 사용 가능한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단위 지지대가 길이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와, 지지대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고정허브와, 제1 고정허브의 하부에 지지대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허브와, 제1 고정허브의 둘레를 따라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내측으로 접철 가능하며, 제1 차양막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1 지지살대와, 이동허브의 둘레를 따라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제1 지지살대의 일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보조살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라솔{PARASOL}
본 발명은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양막의 폭을 조절할 수 있고 텐트로도 사용 가능한 파라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라솔은 우산과 마찬가지로 햇빛 또는 비를 피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파라솔은 해변이나 영업장소 등에서 독립적으로 또는 테이블 상측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된다.
그런데, 일정 면적에 여러 개의 파라솔을 설치하거나 좁은 지역에 파라솔을 설치하는 경우, 설치 장소의 면적에 비해 파라솔 차양막의 직경이 커서 차양막을 펼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에는, 차량막의 크기로 인해 바람 저항이 거세어져서, 파라솔이 쉽게 흔들리거나 바람에 날려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라솔의 내부로 전달되는 지열 및 복사열이 상승되면서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차양막 하부에 정체되기 때문에, 그 열에 의해 더위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파라솔은 주로 야외에서 사용되나, 단순히 차양막 아래에 그늘진 휴식 장소만을 제공할 뿐 공간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주변과 차단된 개인적인 공간을 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취침시 또는 바람이나 해충, 동물의 침입을 막을 필요가 있을 때에는 별도의 텐트를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양막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파라솔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안락한 휴식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파라솔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의 공간을 외부와 분리함으로써, 개인적인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텐트로도 활용할 수 있는 파라솔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단위 지지대가 길이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고정허브와, 상기 제1 고정허브의 하부에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허브와, 상기 제1 고정허브의 둘레를 따라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내측으로 접철 가능하며, 제1 차양막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1 지지살대와, 상기 이동허브의 둘레를 따라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살대의 일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보조살대를 포함하는 파라솔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고정허브의 상부에 이격하여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2 고정허브와, 상기 제2 고정허브의 둘레를 따라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차양막 상부의 제2 차양막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2 지지살대와, 상기 제1 지지살대와 상기 제2 지지살대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 보조살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차양막의 중앙에 환기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차양막은 상기 제1 차양막의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환기구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지지살대는, 일단이 상기 제1 고정허브에 힌지 결합되는 제1-1 지지살대와, 일단이 상기 제1-1 지지살대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1-2 지지살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1 지지살대의 내측에 상기 제1-2 지지살대의 타단과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1 지지살대의 타단과 상기 제1-2 지지살대의 일단이 힌지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1 지지살대와 상기 제1-2 지지살대의 대향면에는 상기 힌지축의 둘레를 따라 서로 치합하는 톱니형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1 지지살대의 타단과 상기 제1-2 지지살대의 일단이 서로 근접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수단이 상기 힌지축의 일측에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차양막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풍막과,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차양막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라솔에 의하면, 차양막을 지지하는 지지살대를 내측으로 접을 수 있으므로, 전개되는 차양막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라솔에 의하면, 차양막을 상하 2단 이상으로 구성하되, 하단의 차양막 중앙에 환기구를 관통 형성함으로써, 파라솔 내부의 더운 공기가 외부로 쉽게 배출되어 안락한 휴식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라솔에 의하면, 차양막의 둘레를 따라 방풍막을 설치하여 파라솔 내부 공간을 외부와 분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텐트로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살대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톱니형 결합부의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100)은, 지지대(200)와, 지지대(200)에 결합되는 제1 고정허브(210)와, 제1 고정허브(210)의 하부에 지지대(20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허브(220)와, 제1 차양막(610)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1 지지살대(300)와, 제1 지지살대(300)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1 보조살대(500)를 포함한다.
지지대(200)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데, 지면 또는 테이블의 상측에 장착되는 제1 지지대(201)와, 제1 지지대(201)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대(202)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2 지지대(20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202a)이 제1 지지대(201)의 나사홈(201a)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지지대(200) 상단의 외주면 일측에 제1 고정허브(210)가 결합되며, 제1 고정허브(210)의 하부에 지지대(20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이동허브(220)가 결합된다. 이때, 제1 고정허브(210)는 지지대(2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동허브(220)는 지지대(200)가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허브(2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1 지지살대(300)가 방사상으로 결합된다. 이때, 제1 지지살대(300)의 일단은 제1 고정허브(210)의 외주면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지지대(20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한편, 제1 지지살대(300)는 제1 고정허브(210)에 힌지 결합되는 외팔보 형태의 제1-1 지지살대(310)와, 제1-1 지지살대(310)의 끝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1-2 지지살대(320)를 포함하며, 제1-2 지지살대(320)는 제1-1 지지살대(310)와의 힌지 결합부(400)를 중심으로 제1-1 지지살대(310)의 내측으로 수직 회전하여 접철될 수 있다.
제1 차양막(610)은 제1 지지살대(300)의 상부에 얹혀져서 제1 지지살대(300)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대(200)가 제1 차양막(610)의 중앙을 관통한다. 이때, 제1 차양막(610)은 봉제, 또는 접착 등의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1 지지살대(30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허브(2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1 보조살대(500)가 방사상으로 결합된다. 이때, 제1 보조살대(500)의 일단은 이동허브(220)의 외주면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제1 지지살대(300) 바람직하게는 제1-1 지지살대(310)의 내측에 힌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지지대(200)를 따라 이동허브(220)가 상향 이동하면, 제1 보조살대(500)가 제1 지지살대(300)를 밀어올려 제1 차양막(610)이 외측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제1 지지살대(300)는 제1-1 지지살대(310)와 제1-2 지지살대(320)의 힌지 결합부(400)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접혀지거나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 즉, 제1-2 지지살대(320)를 제1-1 지지살대(310)의 내측 방향으로 접거나 외측 방향으로 펼침으로써 제1 차양막(610)의 전개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지지대(200)에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대(200)의 외측으로 출몰하는 걸림구(미도시)가 구비되며, 상향 이동된 이동허브(220)의 일측이 이 걸림구에 걸려서 위치 고정된다. 이러한 걸림구는 우산이나 파라솔 등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므로, 그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1 차양막(610)의 상부에 제2 차양막(620)이 이격하여 전개될 수 있다. 즉, 제1 차양막(610)과 제2 차양막(620)이 상하 2단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차양막(610)의 중앙부에는 예컨대 원형의 환기구(611)가 관통 형성되며, 제1 차양막(610) 하부의 더운 공기가 이 환기구(611)를 통해 제1 차양막(610) 상부로 빠져나간 후, 제1 차양막(610)과 제2 차양막(6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제1 차양막(610) 아래는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라솔(100)은 제1 고정허브(210)의 상부에 이격하는 제2 고정허브(710)와, 제2 고정허브(710)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힌지 결합되어 제2 차양막(620)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2 지지살대(720)와, 제1 지지살대(300)와 제2 지지살대(720)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 보조살대(730)를 포함한다.
제2 고정허브(710)는 제1 고정허브(210)의 상부에 이격하여 지지대(200)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며, 지지대(2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지지살대(720)는 일단이 제2 고정허브(710)의 둘레를 따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대(2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태이며, 제2 지지살대(720)의 상측에 제2 차양막(620)이 봉제 또는 접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한편, 제2 보조살대(730)는 일단이 제1 지지살대(300), 바람직하게는 제1-1 지지살대(3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제2 지지살대(72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
제1 차양막(610)의 중앙에는 환기구(611)가 관통 형성되며, 제1 차양막(610)과 제2 차양막(620)의 전개시 제2 차양막(620)이 환기구(611)의 상부에 이격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우천시 빗방울은 환기구(611)를 통해 제1 차양막(610)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제2 차양막(620)과 제1 차양막(610)을 타고 흘러 지면으로 떨어지게 되며, 반면에 제1 차양막(610) 하부의 더운 공기는 환기구(611)를 통해 빠져나가 제1 차양막(610)과 제2 차양막(620)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2 차양막(620)의 직경은 제2 차양막(620) 전개시 제1 차양막(610)의 환기구를 덮을 수 있도록, 환기구(611)의 직경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하며, 외관과 비용 절감을 위해 제1 차양막(610)의 직경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으로 제2 차양막(620)의 상부에 제3 차양막(미도시) 등 복수 개의 차양막이 더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라솔(100)은 제1 차양막(610)의 전개시 제2 차양막(620)이 동시에 전개된다. 즉, 이동허브(220)의 상향 이동시 제1 지지살대(300)가 제2 보조살대(730)를 밀어올리고, 제2 지지살대(720)가 지지대(200)의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제2 차양막(620)이 전개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라솔(100)은 제1 차양막(610)의 둘레를 따라 방풍막(8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파라솔(100) 내부를 외부와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방풍막(800)은 제1 차양막(610)의 둘레를 따라 지면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풍막(800)의 일측에는 개폐 가능한 출입구 또는 창문(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차양막(610)과 방풍막(800)의 결합은 벨크로테이프, 스냅 단추, 지퍼(810) 등 공지의 결합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차양막(610)의 둘레를 따라 지면까지 연장되는 방풍막(800)을 결합하는 경우, 제1,제2 차양막(610,620)과 방풍막(800)에 의해 내부 공간이 외부와 분리되며, 파라솔(100)은 텐트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바람에 의한 파라솔(100)의 유동 방지를 위해, 지면에 세워지는 복수 개의 지주(900)로 제1 차양막(610)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900)는 제1 차양막(61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주(900) 상단의 결합돌기(910)가 제1 지지살대(300) 또는 제1 차양막(610)의 결합홈(미도시)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차양막(610)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로프(미도시)가 구비되고, 이 로프의 하단을 지면에 고정되는 별도의 고정구(미도시)에 묶어서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제1 지지대(201)를 제2 지지대(202)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제1 차양막(610)의 설치 높이를 낮춰, 바람 저항에 따른 텐트의 유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살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100)은 제1-2 지지살대(320)가 제1-1 지지살대(310)의 내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회전할 수 있으며, 제1-2 지지살대(320)가 접혀지거나 펼쳐짐에 따라 제1 차양막(610)의 전개 폭이 변화하게 된다.
이때, 제1-2 지지살대(320)를 제1-1 지지살대(310)의 내측으로 완전히 접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제1-1 지지살대(310) 또는 제1-2 지지살대(320)의 내측에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지지살대(310)의 내측에 제1-2 지지살대(320)의 끝단부와 자력에 의해 결합하는 자성체(311)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 자성체(311)는 제1-2 지지살대(320)의 끝단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1 지지살대(310)와 제1-2 지지살대(320)에 각각 스냅 단추 방식으로 대응 결합하는 결합돌기(미도시)와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고리 방식으로 대응 결합하는 걸림고리(미도시)와 걸림부(미도시)가 각각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톱니형 결합부의 구성도이다.
제1-1 지지살대(310)와 제1-2 지지살대(320)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제1-2 지지살대(320)가 제1-1 지지살대(310)의 내측 방향으로 수직 회전함으로써 제1 차양막(610)의 전개 폭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제1 차양막(610)을 원하는 폭만큼 전개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1-2 지지살대(320)는 제1-1 지지살대(310)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한 후,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1-1 지지살대(310)와 제1-2 지지살대(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1 지지살대(310)와 제1-2 지지살대(320)의 힌지 결합부(400)는 회전축 역할을 하는 힌지축(410)과, 힌지축(410)의 둘레를 따라 제1-1 지지살대(310)와 제1-2 지지살대(320)의 대향면에 각각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톱니형 결합부(420)를 포함한다.
이때, 제1-1 지지살대(310)의 톱니형 결합부(420)와 제1-2 지지살대(320)의 톱니형 결합부(420)는 서로 치합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경사지는 복수 개의 톱니(421)를 가진다.
또한, 제1-1 지지살대(310)의 톱니형 결합부(420) 중심에는 가이드홀(430)이 관통 형성되고 제1-2 지지살대(320)의 톱니형 결합부(420) 중심에는 가이드홀(430)로 삽입되는 힌지축(410)이 돌출 형성된다. 제1-1 지지살대(310)의 가이드홀(430)을 통해 제1-2 지지살대(320)의 힌지축(410)에 볼트(440)가 체결되며, 볼트(440)의 헤드부와 가이드홀(430)의 테두리 사이에는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부재(450)가 개재되어 제1-1 지지살대(310)를 제1-2 지지살대(32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제1-1 지지살대(310)와 제1-2 지지살대(320)의 톱니형 결합부(420)가 원주 방향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된 복수 개의 톱니(421)를 가짐에 따라, 서로 치합할 때에는 제1-1 지지살대(310)와 제1-2 지지살대(320)의 상대 회전이 탄성부재(450)의 탄성력과 톱니(421)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방지된다.
따라서, 제1-2 지지살대(320)를 제1-1 지지살대(310)에 대하여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2 지지살대(320)를 제1-1 지지살대(310)의 반대 방향(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제1-1,제1-2 지지살대(310,320)의 톱니형 결합부(420)를 서로 분리시킨 후, 제1-2 지지살대(320)를 회전시킨다. 제1-2 지지살대(320)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킨 후에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450)의 탄성력에 의해 제1-1,제1-2 지지살대(310,320)의 톱니형 결합부(420)는 다시 밀착되며 치합에 의해 회전 각도가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100)의 작동을 순서별로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대(200)를 따라 이동허브(220)를 상향 이동시킨다. 이때, 제1 지지살대(300)가 제1 고정허브(210)를 중심으로 상향 회전하면서 제1 차양막(610)이 펼쳐지고, 제2 지지살대(720)가 제2 고정허브(710)를 중심으로 상향 회전하면서 제2 차양막(620)이 펼쳐진다.
이때, 사용자는 제1-2 지지살대(320)를 제1-1 지지살대(310)의 내측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켜 제1 차양막(610)의 전개 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1 차양막(610)의 중앙에 형성된 환기구(611)는 제1 차양막(610) 하부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차양막(610)의 둘레를 따라 방풍막(800)을 설치함으로써 외부와 분리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1 차양막(610)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주(900)를 설치하여 파라솔(100)을 텐트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제1 지지대(201)를 제2 지지대(202)로부터 분리하고, 제2 지지대(202)의 하단을 지면에 고정시켜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파라솔 200 : 지지대
210 : 제1 고정허브 220 : 이동허브
300 : 제1 지지살대 310 : 제1-1 지지살대
320 : 제1-2 지지살대 400 : 힌지 결합부
410 : 힌지축 420 : 톱니형 결합부
421 : 톱니 430 : 가이드홀
440 : 볼트 450 : 탄성부재
500 : 제1 보조살대 610 : 제1 차양막
611 : 환기구 620 : 제2 차양막
710 : 제2 고정허브 720 : 제2 지지살대
730 : 제2 보조살대 800 : 방풍막
900 : 지주

Claims (7)

  1. 복수 개의 단위 지지대가 길이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고정허브;
    상기 제1 고정허브의 하부에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허브;
    상기 제1 고정허브의 둘레를 따라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내측으로 접철 가능하며, 제1 차양막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1 지지살대; 및
    상기 이동허브의 둘레를 따라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살대의 일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보조살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지살대는 일단이 상기 제1 고정허브에 힌지 결합되는 제1-1 지지살대와, 일단이 상기 제1-1 지지살대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1-2 지지살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지지살대와 상기 제1-2 지지살대의 힌지 결합부는, 상기 제1-1 지지살대와 상기 제1-2 지지살대의 대향면에 각각 원주 방향을 따라 경사지는 복수 개의 톱니가 돌출 형성되는 톱니형 결합부와, 상기 제1-1 지지살대의 톱니형 결합부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홀과, 상기 제1-2 지지살대의 톱니형 결합부 중심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로 삽입되는 힌지축과,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힌지축에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헤드부와 상기 가이드홀의 테두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1 지지살대를 상기 제1-2 지지살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허브의 상부에 이격하여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2 고정허브;
    상기 제2 고정허브의 둘레를 따라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차양막 상부의 제2 차양막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2 지지살대; 및
    상기 제1 지지살대와 상기 제2 지지살대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 보조살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양막의 중앙에 환기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차양막은 상기 제1 차양막의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환기구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048800A 2015-04-07 2015-04-07 파라솔 KR101719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800A KR101719899B1 (ko) 2015-04-07 2015-04-07 파라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800A KR101719899B1 (ko) 2015-04-07 2015-04-07 파라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962A KR20160119962A (ko) 2016-10-17
KR101719899B1 true KR101719899B1 (ko) 2017-03-24

Family

ID=5725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800A KR101719899B1 (ko) 2015-04-07 2015-04-07 파라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8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862Y1 (ko) * 2001-08-31 2001-12-13 김성출 다기능 파라솔 텐트
KR100589682B1 (ko) * 2004-01-27 2006-06-15 여일근 접이식 파라솔
KR100814946B1 (ko) * 2007-03-26 2008-03-19 정기석 파라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653U (ko) * 2009-12-01 2011-06-09 곽슬기 넓이 조절이 가능한 우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862Y1 (ko) * 2001-08-31 2001-12-13 김성출 다기능 파라솔 텐트
KR100589682B1 (ko) * 2004-01-27 2006-06-15 여일근 접이식 파라솔
KR100814946B1 (ko) * 2007-03-26 2008-03-19 정기석 파라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962A (ko) 201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3423B2 (en) Foldable tent
JP5562948B2 (ja) 可搬式の日光および風雨シェルター
AU2013404505B2 (en) Car roof tent
US7503336B2 (en) Umbrella featuring a vertically deployable sun shade
US9839268B2 (en) Wind-resistant umbrella frame structure
US7779849B2 (en) Umbrella featuring a vertically deployable sun shade
CA2784162C (en) Foldable tent
KR101719899B1 (ko) 파라솔
US7448399B2 (en) Umbrella
US6568737B1 (en) Foldable vehicle window shading device
KR101477276B1 (ko) 텐트
KR200384470Y1 (ko) 낚시용 파라솔
KR20180011922A (ko) 텐트
KR101031648B1 (ko) 거치형 파라솔
KR101368811B1 (ko) 파라솔
KR102636224B1 (ko) 파라솔 텐트
KR100717725B1 (ko) 결로방지용 파라솔을 이용한 텐트 구조
WO2008023209A1 (en) Umbrella for protection from sunshine or rain
KR101240195B1 (ko) 이중 파라솔
KR102542054B1 (ko)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
JP3130086U (ja) パラソル
KR101049102B1 (ko) 파라솔용 차양막
KR200335873Y1 (ko) 파라솔용 차양
KR200175249Y1 (ko) 절첩식 차양을 가진 텐트
KR20100110529A (ko) 복층형 파라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