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054B1 -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 - Google Patents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054B1
KR102542054B1 KR1020220015242A KR20220015242A KR102542054B1 KR 102542054 B1 KR102542054 B1 KR 102542054B1 KR 1020220015242 A KR1020220015242 A KR 1020220015242A KR 20220015242 A KR20220015242 A KR 20220015242A KR 102542054 B1 KR102542054 B1 KR 102542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ub
support post
parasol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랜드
Priority to KR1020220015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0Umbrella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12Ground supported umbrellas or sunshades on a single post, e.g. resting in or on a surface there bel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31Cantilever umbrellas or sunshades with a support a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45B2025/146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with a crank connected to a rope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도에 설치되어 보행자에게 그늘을 제공하는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은 고정 허브에 방사상으로 힌지 결합되며 차양막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살과, 승강 허브에 방사상으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지지살과 각각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보조살로 구성되는 파라솔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지지살의 끝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지지 포스트와, 상기 지지 포스트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 포스트에 설치되며, 어느 하나의 지지살과 힌지 결합되는 이동체와, 이동체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 포스트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체와, 어느 하나의 지지살과 고정체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SIDE-SUPPORTED PARASOL}
본 발명은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도에 설치되어 보행자에게 그늘을 제공하는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횡단보도와 인접한 인도에 설치되어 신호 대기하는 보행자에게 그늘을 제공하는 파라솔의 설치가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파라솔은 지주와, 지주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살과, 지주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허브와, 이동 허브 및 지지살과 힌지 결합되어 이동 허브의 이동에 따라 지지살을 회동하는 보조살과, 복수의 지지살에 고정되며 지지살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차양막을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파라솔은 차양막에 의해 커버된 내부공간의 중심부에 지주가 위치하여, 내부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파라솔은 지주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허브에 의해 차양막이 접히거나 펼쳐짐으로, 사용자가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차양막을 접거나 펼쳐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차양막에 의해 커버되는 내부공간의 활용도가 높으며, 외부공간에서 차양막을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됐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64249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양막에 의해 커버되는 내부공간의 활용도가 높으며, 외부공간에서 차양막을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고정 허브에 방사상으로 힌지 결합되며 차양막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살과, 승강 허브에 방사상으로 힌지 결합되며 지지살과 각각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보조살과, 어느 하나의 지지살의 끝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지지 포스트와, 지지 포스트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 포스트에 설치되며, 어느 하나의 지지살과 힌지 결합되는 이동체와, 이동체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지지 포스트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체와, 어느 하나의 지지살과 고정체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살을 포함하고, 고정 허브와 승강 허브 간의 이격 거리 변화와 연동하여, 지지살이 회동됨과 동시에 이동체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포스트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로프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권취 드럼과, 지지 포스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로프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풀리와, 적어도 일부가 권취 드럼에 권취되며, 권취 드럼으로부터 권출된 부분은 가이드 풀리를 거쳐 고정 허브를 관통하여 승강 허브에 결합되는 로프를 포함하고, 권취 드럼의 회전에 의해 로프가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고정 허브와 승강 허브 간의 이격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권취 드럼은 지지 포스트에 결합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회전축부와, 회전축부에 끼워져 회전축부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로프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드럼부와, 회전축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고정 허브와 승강 허브를 연결하며, 다단으로 구성되어 고정 허브와 승강 허브의 이격 거리에 변화에 따라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연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포스트는 상단부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에 이동체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며, 이동체는 내주연에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지 포스트가 차양막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마련되며, 지지살의 회동에 따라 지지 포스트와 고정 허브 간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펼침 상태에서 차양막에 의해 커버되는 내부공간의 활용도가 높으며, 접힘 상태에서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체의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살이 회동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차양막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외부공간에서 용이하게 차양막을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이 접혀진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에서 지지 포스트와 이동체의 결합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에서 지지 포스트와 고정체의 결합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에서 지지 포스트와 권취 드럼의 결합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의 권취 드럼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1)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파라솔(1)은 고정 허브(10), 지지살(20), 차양막(30), 승강 허브(40), 보조살(50), 지지 포스트(60), 이동체(70), 고정체(80) 및 연결살(9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살(20)과 보조살(50)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파라솔(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 허브(10)는 지지살(20)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복수의 지지살(20)이 방사상으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고정 허브(10)는 상단부에 차양막(30)의 중심부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차양막 안으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고정캡(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지지살(20)은 차양막(3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단이 고정 허브(10)에 방사상으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살(20)은 승강 허브(40)와 보조살(50)에 의해 동시에 외측방향으로 펼침 회동되며 차양막(30)을 펼치거나, 동시에 내측방향으로 접힘 회동되며 차양막(30)을 접을 수 있다.
차양막(30)은 햇빛을 가려 사용자에게 그늘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복수의 지지살(20)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되며 고정 허브(10)와 지지살(20)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살(20)의 회동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양막(30)은 고정 허브(10)와 각 지지살(20)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후크(미도시)에 의해 지지살(20)의 상측에 고정되는 중심 차양부(31) 및 중심 차양부(31)보다 작은 크기의 중공을 가지며, 각 지지살(20)의 타단과 중심부에 형성된 제2후크(미도시)에 의해 지지살(20)의 하측에 고정되는 테두리 차양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후크는 제2후크보다 지지살(20)의 타단과 가깝게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심 차양부(31)는 테두리 차양부(32)와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승강 허브(40)는 보조살(50)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복수의 보조살(50)이 방사상으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승강 허브(40)는 고정 허브(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되, 파라솔(1)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그 이격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보조살(50)은 지지살(2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복수개로 마련되어 승강 허브(40)에 방사상으로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살(20)에 각각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조살(50)의 일단은 승강 허브(40)에 결합되고, 타단은 지지살(20)의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보조살(50)은 승강 허브(40)의 승강 이동에 따라 동시에 회동되며, 지지살(20)의 펼침 회동 및 접힘 회동을 유도할 수 있다.
지지 포스트(60)는 지면에 고정되어 파라솔(1)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어느 하나의 지지살(20a)의 타단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 포스트(60)는 지면에 직접 매립 고정되는 방식, 지면에 고정된 고정판에 끼워져 고정되는 방식, 하단부에 결합된 지지판이 지면에 고정되는 방식 등에 의해 지면에 고정될 수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체(70)는 어느 하나의 지지살(20a)과 지지 포스트(6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지지 포스트(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 포스트(6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지지살(20a)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고정체(80)는 연결살(90)과 함께 이동체(70)의 슬라이딩 이동과 연동하여 어느 하나의 지지살(20a)의 회동을 유도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동체(70)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지지 포스트(6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살(90)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연결살(90)은 고정체(80)와 함께 이동체(70)의 슬라이딩 이동과 연동하여 어느 하나의 지지살(20a)의 회동을 유도하는 구성요소로서, 일단이 어느 하나의 지지살(20a)의 중앙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이 고정체(8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지지살(20a)에서 연결살(90)의 결합 부위는 보조살(50)의 결합 부위와 소정거리 이격된 부위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보조살(50)의 결합 부위보다 지지 포스트(60)와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파라솔(1)은 승강 허브(40)가 고정 허브(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승 이동되는 것에 연동하여, 복수의 지지살(20)이 펼침 회동됨과 동시에, 이동체(70)가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파라솔(1)은 승강 허브(40)가 고정 허브(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강 이동되는 것에 연동하여, 복수의 지지살(20)이 접힘 회동됨과 동시에, 이동체(70)가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라솔(1)은 이동체(70)의 하방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고정 허브(10)가 지지 포스트(6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당김 이동될 수 있고, 이동체(70)의 상방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고정 허브(10)가 지지 포스트(6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림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파라솔(1)은 지지 포스트(60)가 차양막(30)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마련되며, 지지살(20)의 회동에 따라 지지 포스트(60)와 고정 허브(10) 간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펼침 상태에서 차양막(30)에 의해 커버되는 내부공간의 활용도가 높으며, 접힘 상태에서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라솔(1)은 이동체(70)의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살(20)이 회동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차양막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외부공간에서 용이하게 차양막(30)을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라솔(1)은 권취 드럼(100), 가이드 풀리(110) 및 로프(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권취 드럼(100)은 회전에 따라 로프(120)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동체(70)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지지 포스트(60)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부(102, 도 7 참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부(103, 도 7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풀리(110)는 회전하며 로프(120)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구성요소로서, 고정체(80)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지지 포스트(60)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축부(112, 도 6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풀리부(113, 도 6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로프(120)는 권취 드럼(100)에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승강 허브(40)를 승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적어도 일부가 권취 드럼(100)에 권취되며, 권취 드럼(100)으로부터 권출된 부분은 가이드 풀리(110)를 거쳐 고정 허브(10)를 관통하여 승강 허브(40)에 결합될 수 있다.
권취 드럼(100)에 의해 로프(120)가 권출됨에 따라, 승강 허브(40)는 자체 하중에 의해 하강 이동하며 고정 허브(10)와의 이격 거리가 멀어질 수 있고, 복수의 지지살(20)은 접힘 회동될 수 있다. 반대로, 권취 드럼(100)에 의해 로프(120)가 권취됨에 따라, 승강 허브(40)는 로프(120)에 의해 상승 이동하며 고정 허브(10)와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고, 복수의 지지살(20)은 펼침 회동될 수 있다. 즉, 권취 드럼(100)에 의한 로프(120)의 권취 또는 권출에 따라 차양막(30)이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라솔(1)은 연결체(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체(130)는 고정 허브(10)와 승강 허브(40)를 연결하여 파라솔(1)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단이 고정 허브(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고, 하단이 승강 허브(4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결체(130)는 다단으로 구성되어 고정 허브(10)와 승강 허브(40) 간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1)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의 실시예는 차양막(30)의 형태에서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양막(30)은 복수의 지지살(2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되 어느 하나의 지지살(20a)의 타단부와 연결살(9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주 차양부(33) 및 주 차양부(33)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커버하는 보조 차양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주 차양부(33)는 중앙부가 고정 허브(10)에 고정될 수 있고, 가장자리부가 어느 하나의 지지살(20a)을 제외한 모든 지지살(20)의 타단과 어느 하나의 지지살(20a)의 중앙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차양부(34)는 주 차양부(33)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지지살(20a)의 양측에 위치한 지지살(20b)의 타단과 어느 하나의 지지살(20a)과 연결된 보조살(50)의 타단과 연결살(90)의 타단에 각각 모서리가 고정되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1)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1)이 접혀진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과 같이 파라솔(1)이 펼쳐진 상태에서 권취 드럼(100)으로부터 로프(120)가 권출됨에 따라, 고정 허브(10)와 승강 허브(40)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며, 지지살(20)이 내측 방향으로 점힘 회동됨과 동시에 이동체(70)가 하강 이동하여, 도 4와 같이 파라솔(1)이 접혀진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파라솔(1)이 접혀진 상태에서 권취 드럼(100)에 로프(120)가 권취됨에 따라, 고정 허브(10)와 승강 허브(40)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며, 지지살(20)이 외측 방향으로 펼침 회동됨과 동시에 이동체(70)가 상승 이동하여, 도 3과 같이 파라솔(1)이 펼쳐진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1)에서 지지 포스트(60)와 이동체(70)의 결합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지지 포스트(60)는 이동체(7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홈(61)이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61)은 상단에서부터 세로로 소정 영역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슬라이딩 홈(61)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90로 이격되어 4개가 형성되어 있지만, 개수와 배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체(70)는 지지 포스트(60)가 관통되는 양단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메인 몸체부(71) 및 메인 몸체부(71)의 외주연에 상호 대칭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 몸체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몸체부(71)의 내주연에는 슬라이딩 홈(61)에 대응되는 형태로 슬라이딩 돌기(7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몸체부(72)는 메인 몸체부(71)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지지살(20a)에 마련된 힌지축(21a)이 삽입 가능한 중공(72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1)에서 지지 포스트(60)와 고정체(80)의 결합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고정체(80)는 지지 포스트(60)가 삽입되는 양단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메인 몸체부(81) 및 메인 몸체부(81)의 외주연에 상호 대칭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 몸체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몸체부(81)는 내주연에 슬라이딩 홈(61)에 대응되는 형태로 돌기(8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해 지지 포스트(6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몸체부(82)는 메인 몸체부(81)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연결살(90)에 마련된 힌지축(91)이 삽입 가능한 중공(82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풀리(110)는 지지 포스트(60)에 결합되는 하우징부(111), 하우징부(111)에 관통 결합되는 지지축부(112) 및 지지축부(1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풀리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11)는 지지 포스트(60)의 상부에 결합되는 평판 플레이트(1111) 및 평판 플레이트(1111)의 양단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는 수직 플레이트(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직 플레이트(1112)는 지지축부(112)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지지축부(112)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1112)의 삽입홀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축부(112)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1112)가 이격 거리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풀리부(113)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지지축부(112)가 관통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외주연을 따라 로프(120)가 안착되는 반원형의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풀리부(113)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11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지지축부(112)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로프(120)의 진행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1)에서 지지 포스트(60)와 권취 드럼(100)의 결합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1)의 권취 드럼(100)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권취 드럼(100)은 지지 포스트(60)에 결합되는 하우징부(101), 하우징부(101)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회전축부(102), 중심부에 회전축부(102)가 관통 결합되어 회전축부(102)와 함께 회전하는 드럼부(103) 및 회전축부(102)와 결합되는 손잡이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01)는 지지 포스트(60)의 중앙부 외주연에 결합되는 곡면 플레이트(1011) 및 곡면 플레이트(1011)의 양단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는 수직 플레이트(10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직 플레이트(1012)는 회전축부(102)가 삽입되는 삽입홀(101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부(102)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부의 외주연을 따라 어느 하나의 수직 플레이트(1012)의 외측면에 걸려지는 걸림턱(1021)이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1012)의 삽입홀(1013)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부(102)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1012)간 이격 거리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드럼부(103)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회전축부(102)가 끼움 결합되는 관통홀(1031)이 형성될 수 있고, 양단부의 둘레를 따라 드럼부(103)에 권취된 로프(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턱(1032)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04)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축부(102)의 타단부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외력 작용 시 원형의 궤도를 그리며 회전하며 회전축부(102)를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손잡이부(104)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부(102)와 드럼부(103)가 함께 제자리 회전될 수 있고, 손잡이부(104)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로프(120)가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축부(102)는 타단부의 외주연을 따라 톱니(1022)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04)는 일측부에 톱니(1022)와 치합되도록 내주연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 결합홀(1041)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부에 파지부재(1042)가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홀(1041)에 회전축부(102)가 삽입됨에 따라 손잡이부(104)와 회전축부(102)는 결합될 수 있고, 결합홀(1041)로부터 회전축부(102)가 이탈됨에 따라, 손잡이부(104)와 회전축부(102)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수직 플레이트(1012)는 파지부재(1042)가 삽입 가능한 고정홀(101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1014)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파지부재(1042)의 궤도 상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내주연을 따라 고무재질의 패킹(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는 외측을 향하게 배치된 파지부재(1042)를 잡고 손잡이부(104)를 돌려 드럼부(103)를 회전시키거나, 하우징부(101)를 향하게 배치된 파지부재(1042)를 고정홀(1014)에 삽입하여 드럼부(103)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손잡이부(104)를 고정홀(1014)에 삽입함으로써, 의도치 않은 손잡이부(104)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파라솔
10 : 고정 허브
20 : 지지살
30 : 차양막
40 : 승강 허브
50 : 보조살
60 : 지지 포스트
70 : 이동체
80 : 고정체
90 : 연결살

Claims (5)

  1. 고정 허브에 방사상으로 힌지 결합되며 차양막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살과, 상기 고정 허브의 하측에 위치하는 승강 허브에 방사상으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지지살과 각각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보조살로 구성되는 파라솔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지지살의 끝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지지 포스트와,
    상기 지지 포스트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 포스트에 설치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살과 힌지 결합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 포스트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체와,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살과 상기 고정체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살과,
    상기 지지 포스트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로프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권취 드럼과,
    상기 지지 포스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로프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풀리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권취 드럼에 권취되며, 상기 권취 드럼으로부터 권출된 부분은 상기 가이드 풀리를 거쳐 상기 고정 허브를 관통하여 상기 승강 허브에 결합되는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로프가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상기 고정 허브와 상기 승강 허브 간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며,
    상기 고정 허브와 상기 승강 허브 간의 이격 거리 변화와 연동하여, 상기 지지살이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체가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권취 드럼은,
    상기 지지 포스트에 결합되는 곡면 플레이트 및 상기 곡면 플레이트의 양단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는 수직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되, 일단부의 외주연을 따라 어느 하나의 수직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걸려지는 걸림턱이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타단부의 외주연을 따라 톱니가 형성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에 끼워져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로프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드럼부와,
    일측부에 상기 톱니와 치합되도록 내주연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고, 타측부에 파지부재가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부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력 작용 시 원형의 궤도를 그리며 회전하여 상기 회전축을 제자리 회전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플레이트는, 복수의 고정홀이 상호 이격되게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은, 상기 파지부재의 궤도 상에 위치하며 상기 파지부재가 삽입 가능하며, 내주연을 따라 고무재질의 패킹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허브와 상기 승강 허브를 연결하며, 다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 허브와 상기 승강 허브의 이격 거리에 변화에 따라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연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포스트는, 상단부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에 상기 이동체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며,
    상기 이동체는, 내주연에 상기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
KR1020220015242A 2022-02-07 2022-02-07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 KR102542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242A KR102542054B1 (ko) 2022-02-07 2022-02-07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242A KR102542054B1 (ko) 2022-02-07 2022-02-07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054B1 true KR102542054B1 (ko) 2023-06-13

Family

ID=86762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242A KR102542054B1 (ko) 2022-02-07 2022-02-07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0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6242B1 (en) * 1997-05-14 2001-03-06 Zhen Miao Xu Hanging sun umbrella
KR200445900Y1 (ko) * 2009-06-04 2009-09-10 유성근 가로등주 고정식 우산
KR101464249B1 (ko) 2013-02-21 2014-12-04 주식회사명진공업 파라솔 펼침 각도 및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982972B1 (ko) * 2018-05-15 2019-05-27 김병현 원격제어 기능을 가지는 파라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6242B1 (en) * 1997-05-14 2001-03-06 Zhen Miao Xu Hanging sun umbrella
KR200445900Y1 (ko) * 2009-06-04 2009-09-10 유성근 가로등주 고정식 우산
KR101464249B1 (ko) 2013-02-21 2014-12-04 주식회사명진공업 파라솔 펼침 각도 및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982972B1 (ko) * 2018-05-15 2019-05-27 김병현 원격제어 기능을 가지는 파라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3759B2 (en) Parasol
KR200223717Y1 (ko) 자동 우산식 캐노피 텐트
KR100365016B1 (ko) 절첩식 텐트
ES2900127T3 (es) Armadura de carpa con un mecanismo de apertura
JP2622346B2 (ja) 遮蔽装置
EP2900103B1 (en) Umbrella
KR102079204B1 (ko) 포켓부를 구비한 파라솔
KR102542054B1 (ko)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
US7509965B2 (en) Ventilated umbrella
KR20090051409A (ko) 파라솔 지주의 각도 조절 장치
KR20210095542A (ko) 롤 방식으로 접혀지는 자동 우산
US7448399B2 (en) Umbrella
NL2008363C2 (en) Combined parasol and storage housing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orage housing.
KR20220132871A (ko) 과수용 햇빛 차단 파라솔
KR101614648B1 (ko) 멀티 차양 파라솔
KR100913419B1 (ko) 휴대용 콤팩트 우산
CN211882577U (zh) 悬臂伞
KR101084368B1 (ko) 파라솔
KR200403608Y1 (ko) 파라솔
KR101031648B1 (ko) 거치형 파라솔
KR200440741Y1 (ko) 편심 파라솔
KR102502066B1 (ko) 빗물받이 커버를 갖춘 우산
KR100640560B1 (ko) 파라솔
KR102636224B1 (ko) 파라솔 텐트
KR102585248B1 (ko) 체인 구동형 파라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