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142Y1 -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142Y1
KR200249142Y1 KR2020010020980U KR20010020980U KR200249142Y1 KR 200249142 Y1 KR200249142 Y1 KR 200249142Y1 KR 2020010020980 U KR2020010020980 U KR 2020010020980U KR 20010020980 U KR20010020980 U KR 20010020980U KR 200249142 Y1 KR200249142 Y1 KR 2002491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aterproof member
vehicle
rain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솔
Original Assignee
김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솔 filed Critical 김한솔
Priority to KR2020010020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1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142Y1/ko

Link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트링이 그 표면에 끼워진 탄성력 있는 재질의 접철 가능한 방수부재와, 상기 방수부재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고정부재와 걸림구 및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링을 권취하는 권취통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용 도어나 자동차의 루프 프레임에 그 일단이 설치된 비막이 장치의 방수부재를 펼쳐서 자동차 승하차시에 차량 탑승자가 우산을 펴거나 접는 과정 동안 불가피하게 비를 맞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며, 비가 오지 않는 평상시에는 도어 창문에 방수부재를 펼쳐서 햇빛을 막아주는 차양장치가 될 수도 있는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Protecter from rain for the door of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방수부재를 구비한 비막이 장치를 자동차에 부착시켜, 차량 탑승자가 자동차의 승차 또는 하차시에, 비를 맞지 않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평상시에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 장치로사용할 수 있게 한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가 내릴 때, 차량에 탑승하고자 하는 자는, 차문을 열고 승차 또는 하차시에 우산을 접고 펴는 과정 사이에 어쩔수 없이 비를 맞게 될 수 밖에 없으며, 비가 심하게 들이치는 경우 차량 내부도 젖을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용 도어와 차량의 루프 프레임에 본 고안의 비막이 장치를 설치하여 비가 내리더라도, 차량의 운전자나 탑승하고자 하는 자가 승하차 시에 비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차량 내부도 젖지 않게 하여 쾌적한 승차 환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비가 오지 않는 맑은 날씨에 따가운 햇빛을 막을 수 있도록, 차양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의 작동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비막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비막이 장치, 2...방수부재,
3...고정부재, 4...걸림구
5...스트링, 6...권취통
20...자동차 도어, 30...루프 프레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는, 탄성력있는 재질의 접철가능한 방수부재와, 상기 방수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방수부재의 다른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와 고정부재 사이에서 방수부재의 표면을 가로질러 방수부재에 끼워지는 스트링 및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링를 권취하는 권취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1)의 작동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1)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비막이 장치(1)는 접혀져 있는 방수부재(2)의 양단에 각각 고정부재(3)와, 걸림구(4)가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부재(3) 하단에 권취통(6)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비가 오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비막이 장치(1)는 방수부재(2)가 접혀진 상태로 부피를 최소화하여 그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3)에 의해 차량의 도어(20)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재(3)는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실리콘 또는 철제의 재질로서, 차량용 도어(30)의 창문과 창문 테두리 사이의 틈 부분에 끼울 수 있도록 후크 형상으로 만들거나, 나사 등의 연결부재로 상기 비막이 장치(1)를 창문 윗부분에 직접 고정시킬 수도 있도록 고정부재 표면에 나사 구멍을 뚫은 구조로 만들 수 있다. 또한, 방수부재의 일단에 고무빨판을 부착하여 창문의 유리 부분에 직접 부착시켜 탈착 가능하도록 고무빨판을 고정부재(3)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방수부재(2)는 부채와 같이 접을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방수부재의 표면을 가로질러 스트링(5)이 끼워져 있으며, 도 1과 같이 방수부재(2)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스트링(5)은 고정부재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권취통(6) 내부에 설치된 로울러에 권취되어 있다.
비가 오는 경우 상기 비막이 장치(1)의 걸림구(4)를 도어(20)와 접하는 루프 프레임(30) 내부 측단부에 형성된 걸림공에 끼우거나,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루프 프레임(30) 내부 측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 손잡이에 걸고 도어(20)를 열면 도어(20)가 열릴 때의 회전력에 의해 권취통(6)으로부터 상기 스프링(5)이 풀려져 나오게 되고 스프링(5)에 끼워진 방수부재(2)가 펼쳐지게 된다.(도 2 및 도 3참조) 그러므로, 차량 탑승자는 상기 방수부재(2) 아래에서 우산을 펴거나 접으면 비를 맞지 않고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링(5)은 방수부재(2)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구겨지거나 불완전하게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방수부재(2)가 펼쳐졌을때 방수부재(2)의 가운데 부분이 밑으로 처지는 것을 막아주는 지지대 역할을 하며, 상기 스트링(5)과 방수부재(2)가 팽팽히 펼쳐지도록 상기 권취통 내부의 롤러에는 일정한 장력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어 있다. 승차 또는 하차 후에 상기 걸림구(4)를 루프 프레임(30)으로부터 탈거시키면 권취통(6)의 롤러에 인가된 장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5)이 권취통(6)의 롤러에 다시 권취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방수부재(2)가 원상태로 접혀지게 된다.
상기 방수부재(2)는 예컨대, 방수가 가능한 천이나, 비닐 등의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트링(5)은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섬유 재질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스트링(5)이 풀리고 감길때 끊어지거나, 방수부재(2)가 펼쳐지고 접혀질 때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걸림구(4)의 탈거시 방수부재(2)가 신속히 원상태로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스트링 및 방수부재는 탄성력있는 재질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작은 표면적의 방수부재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방수부재가 탄성력에 의해 넓게 신장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비막이 장치의 부피를 줄일수 있게 된다.
고정부재(3)가 고정되어 있는 도어(20)부와 걸림구(4)가 끼워진 루프 프레임(30) 사이는, 도어(20)의 경사를 따라 방수부재(2)가 약간 경사지게 비막이 장치(1)를 설치함으로서 비가 자동차 내부로 역류되지 않고 땅바닥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1)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가 오지 않는 날씨에는, 도어(20) 창문 하단부에 상기 걸림구(4)를 걸어 두면 차양장치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창문으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하여 차내 온도 상승을 지연시키고, 쾌적한 주행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부재(3)는 차량의 도어 상단부가 아닌 루프 프레임(30)의 내부 측단부에 고정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상기 걸림구(4)는 도어(20) 상단부에 끼워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림구(4)는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방수부재(2)의 안정적인 펼쳐짐을 위해 두 개 또는 세 개가 적당하다.
본 고안의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는, 스트링이 끼워져 있는 탄성력있고 접철가능한 재질의 방수부재를 차량용 도어 또는 차량의 루프 프레임에 설치하고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비막이 장치가 작동하게 하므로써, 비가 내릴 경우의 차량 승하차시에 차량 탑승자가 비를 맞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비가 오지 않는 평상시에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장치로 사용할 수 있어 쾌적한 주행환경을 제공해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탄성력있는 재질의 접철가능한 방수부재(2)와, 상기 방수부재(2)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부재(3)와, 상기 방수부재(2)의 다른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구(4)와, 상기 걸림구와 고정부재 사이에서 방수부재의 표면을 가로질러 방수부재에 끼워지는 스트링(5) 및 상기 고정부재(3)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링(5)를 권취하는 권취통(6)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
KR2020010020980U 2001-07-11 2001-07-11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 KR2002491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80U KR200249142Y1 (ko) 2001-07-11 2001-07-11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80U KR200249142Y1 (ko) 2001-07-11 2001-07-11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142Y1 true KR200249142Y1 (ko) 2001-10-17

Family

ID=73104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980U KR200249142Y1 (ko) 2001-07-11 2001-07-11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14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963B1 (ko) * 2006-12-13 2007-10-12 김숙희 차문용 우산
CN107627816A (zh) * 2016-07-19 2018-01-26 万象设计江苏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防雨挂帘
CN108749638A (zh) * 2018-08-01 2018-11-06 浙江华建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充电桩防水外罩
KR20200043180A (ko) * 2018-10-17 2020-04-27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도어설치용 다기능 비막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963B1 (ko) * 2006-12-13 2007-10-12 김숙희 차문용 우산
CN107627816A (zh) * 2016-07-19 2018-01-26 万象设计江苏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防雨挂帘
CN108749638A (zh) * 2018-08-01 2018-11-06 浙江华建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充电桩防水外罩
KR20200043180A (ko) * 2018-10-17 2020-04-27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도어설치용 다기능 비막이 장치
KR102124980B1 (ko) 2018-10-17 2020-07-07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도어설치용 다기능 비막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90468A1 (en) Umbrella featuring a vertically deployable sun shade
EP1095806B1 (en) Side visor with ventilation function for car
US5476302A (en) Rain cover for car door
KR0122375Y1 (ko) 승용차 커버
US7779849B2 (en) Umbrella featuring a vertically deployable sun shade
KR102116841B1 (ko) 차량용 텐트
KR200249142Y1 (ko) 차량용 도어의 비막이 장치
US7090282B2 (en) Shading assembly
KR20150110158A (ko) 차량 도어용 차우막
JPH09103312A (ja)
KR101967538B1 (ko) 차량용 차양장치
JP2752604B2 (ja) 自動車用シェード
KR200169788Y1 (ko) 차량도어용 우산
KR200184856Y1 (ko) 자동차 앞유리 가리개 장치
KR19980037183U (ko) 자동차 도어의 비막이장치
JP3302983B1 (ja) 車乗り降り用覆い形成装置
KR200171560Y1 (ko) 자동차 앞유리 차양장치
JP3007549U (ja) パラソルの風よけ
KR960015029B1 (ko) 소형오토바이의 절첩식 차양
KR101912087B1 (ko) 자동차 창문에 설치되는 방충 겸용 가림개
KR200262541Y1 (ko) 차량용 빗물 가리개
KR20230071594A (ko) 레인 호 바이저
KR200207133Y1 (ko) 자동차용 방충망
JP3034533U (ja) 車ドアの雨除け兼日除けシート
KR0119669Y1 (ko) 차창의 차양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