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538B1 - 차량용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538B1
KR101967538B1 KR1020170087821A KR20170087821A KR101967538B1 KR 101967538 B1 KR101967538 B1 KR 101967538B1 KR 1020170087821 A KR1020170087821 A KR 1020170087821A KR 20170087821 A KR20170087821 A KR 20170087821A KR 101967538 B1 KR101967538 B1 KR 101967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nscreen
door
sunshade
sh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743A (ko
Inventor
조일근
Original Assignee
조일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일근 filed Critical 조일근
Priority to KR1020170087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53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lear vision, e.g. anti-frost or defog panes, rain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4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at least the roof of the vehicle, e.g. for covering the whol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사광선과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차양막을 차량 부위별로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직사광선과 자외선으로 인한 차량 내부온도의 상승을 방지할 뿐 아니라 겨울철 눈이 쌓이거나 전후방 유리창에 성에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본네트를 커버하기 위한 본네트차양막(110)과, 상기 차량의 전방 유리창과 백미러를 커버하기 위한 전방차양막(120)과, 상기 차량의 루프판넬에 위치되는 루프판넬차양부(132)와 상기 차량의 우측 앞문과 우측 뒷문에 위치되는 우측문차양부(131) 및 상기 차량의 좌측 앞문과 좌측 뒷문에 위치되는 좌측문차양부(133)로 구분되면서 상기 루프판넬차양부(132)에 상기 차량의 앞문과 뒷문 방향의 양측이 개구되어 내측에 차양막공간(101)이 형성된 중앙차양막(130)과, 상기 차량의 후방 유리창을 커버하기 위한 후방차양막(140)과, 상기 차량의 트렁크를 커버하기 위한 트렁크차양막(150)이 포함된 차양막(100)과, 상기 차양막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60)와, 상기 차양막(100)을 상기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걸이(170)를 포함하는 차량용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차양막(120)에는, 상기 전방 유리창의 커버력과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차량의 백미러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백미러구멍(125)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차양막공간(101)에는, 상기 차양막(100)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과 자외선에서 발생하는 열이 차량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가 통하면서 상기 차량의 우측문과 좌측문 방향으로 그늘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우측문차양부(131)와 좌측문차양부(133)가 꺽이지 않도록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중앙과 일측과 타측에 설치하기 위한 폴대(200)를 포함하며, 상기 폴대(200)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마디로 형성되며 상기 차양막공간(101)에 고정되기 위한 수후크(250)를 형성하고, 상기 중양차양막(130)에 설치된 폴대(2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차양막공간(101)의 내측에 상기 폴대(200)의 수후크(250)가 걸림되도록 암후크(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차양장치{AWNING SCREENS APPARATUS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사광선과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차양막을 차량 부위별로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직사광선과 자외선으로 인한 차량 내부온도의 상승을 방지할 뿐 아니라 겨울철 눈이 쌓이거나 전후방 유리창에 성에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실외에 주차되어 장시간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날씨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특히, 여름철에는 차량이 장시간 태양광에 노출됨으로 인해 직사광선과 자외선이 차량 유리창을 통해 차내에 조사되어 차량 내부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차량 탑승자의 불쾌감을 상승시킬 수 있고, 차량 내부온도를 낮추기 위해 에어컨을 구동함으로써 많은 연료를 소비해야 하며, 반복적으로 차량 내부온도가 높아지게 되면 차내 부품의 내구성 및 수명을 저하시킬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겨울철에는 차량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에 의해 차량 유리창에 성에가 발생하거나 눈이 쌓일 수 있으며,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서는 운행 전에 필수적으로 성에 또는 눈을 제거해야 한다. 이때, 차량 유리창에 성에 또는 쌓인 눈을 제거하기 위해 도구를 이용할 경우 차량 유리창을 손상시킬 수 있게 되며, 성에나 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을 경우 차량 유리창을 닦아내는 와이퍼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01094호(공개일자: 2000년 01월 15일)에 게재된 바와 같이, 루프와 다수 필러들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헤더레일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탑승이 가능하도록 조성된 차내에서 전방 및 후방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윈드쉴드글래스 및 백글래스에 복수개의 흡착부재를 통해 부착되어 설치되며, 사용되지 않을 경우 절첩되어 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장되어 접힐 수 있는 다수 쪽판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태양광차단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차량용 태양광차단판은 차량의 전방과 후방 유리창에 탈부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바람 등으로 인해 쉽게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태양광차단판이 흡수된 열이 다시 차량으로 전달되어 차량의 내부온도가 상승할 수 있으며, 차량의 유리창을 제외한 본네트 등과 같은 부위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여름철에 차량의 내부온도를 낮춰주고 겨울철에 성에가 발생하거나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량의 부위별로 설치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여름철 직사광선과 자외선으로 인한 차량 내부온도의 상승을 방지할 뿐 아니라 겨울철 눈이 쌓이거나 전후방 유리창에 성에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차양막을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차량 부위별로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차양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차양막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과 자외선이 차량의 루프판넬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 내부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차양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차양막 사이에 공기가 통하도록 공간을 형성하여 차량 내부온도를 낮출 수 있는 차량용 차양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는, 차량의 본네트를 커버하기 위한 본네트차양막(110)과, 상기 차량의 전방 유리창과 백미러를 커버하기 위한 전방차양막(120)과, 상기 차량의 루프판넬에 위치되는 루프판넬차양부(132)와 상기 차량의 우측 앞문과 우측 뒷문에 위치되는 우측문차양부(131) 및 상기 차량의 좌측 앞문과 좌측 뒷문에 위치되는 좌측문차양부(133)로 구분되면서 상기 루프판넬차양부(132)에 상기 차량의 앞문과 뒷문 방향의 양측이 개구되어 내측에 차양막공간(101)이 형성된 중앙차양막(130)과, 상기 차량의 후방 유리창을 커버하기 위한 후방차양막(140)과, 상기 차량의 트렁크를 커버하기 위한 트렁크차양막(150)이 포함된 차양막(100)과, 상기 차양막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60)와, 상기 차양막(100)을 상기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걸이(170)를 포함하는 차량용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차양막(120)에는, 상기 전방 유리창의 커버력과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차량의 백미러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백미러구멍(125)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차양막공간(101)에는, 상기 차양막(100)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과 자외선에서 발생하는 열이 차량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가 통하면서 상기 차량의 우측문과 좌측문 방향으로 그늘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우측문차양부(131)와 좌측문차양부(133)가 꺽이지 않도록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중앙과 일측과 타측에 설치하기 위한 폴대(200)를 포함하며, 상기 폴대(200)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마디로 형성되며 상기 차양막공간(101)에 고정되기 위한 수후크(250)를 형성하고, 상기 중양차양막(130)에 설치된 폴대(2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차양막공간(101)의 내측에 상기 폴대(200)의 수후크(250)가 걸림되도록 암후크(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네트차양막(110)에는, 상기 본네트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차양막(120)과 연결되는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본네트밴딩(115)을 포함하고, 상기 트렁크차양막(150)에는, 상기 트렁크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후방차양막(140)과 연결되는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트렁크밴딩(155)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차양막(120)에는, 상기 전방 유리창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본네트차양막(110)과 연결되는 일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전방밴딩(12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차양막공간(101)에는, 상기 중앙차양막(130)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과 자외선에서 발생하는 열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거나 차량 내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재(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직사광선과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차양막을 차량 부위별로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설치가 가능하게 되며 차량의 모든 부위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과 설치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여름철 직사광선과 자외선으로 인한 차량 내부온도의 상승을 방지할 뿐 아니라 겨울철 눈이 쌓이거나 전후방 유리창에 성에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양막에 단열재를 삽입함으로써 여름첨에 차양막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과 자외선으로 인해 발생되는 열이 차량의 루프판넬을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겨울철에 차량 내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대폭 낮아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바람 등에 의해 차양막이 차량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양막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직사광선과 자외선이 조사된 차양막에서 발생되는 열이 차량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 내부온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의 본네트밴딩과 트렁크밴딩,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의 전방차양막,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의 폴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의 폴대가 삽입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의 폴대가 삽입된 차양막공간의 공기 흐름 방향을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의 중앙차양막의 고정걸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의 단열재,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의 사용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의 사용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의 본네트밴딩과 트렁크밴딩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의 전방차양막이다.
또한,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의 폴대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의 폴대가 삽입된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의 폴대가 삽입된 차양막공간의 공기 흐름 방향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의 중앙차양막의 고정걸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의 단열재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의 사용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의 사용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차양장치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외부를 부위별로 커버하여 직사광선과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다수개의 차양막(100)과, 상기 차양막(100)과 차양막(10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60)와, 상기 차양막(100)에 구성되어 상기 차량에 걸어 상기 차량에 상기 차양막(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걸이(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차양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부위별로 착탈가능하게 차양막을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차양막을 설치할 때마다 차량의 모든 부위를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차양막(100)은, 차량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과 자외선을 차단하면서 비 또는 눈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기능을 갖는 직물지, 합성수지제 필름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양막(100)은 상기 차량의 외부와 접촉되는 면에 미끄럼방지부재(미도시)가 부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미도시)가 부착된 차양막(100)을 상기 차량의 외부에 설치할 경우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로 인해 상기 차량에 설치된 차양막(100)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차양막(100)의 위치를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상기 차양막(100)은, 차량의 본네트를 커버하기 위한 본네트차양막(110)과, 상기 본네트차양막(110)과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전방 유리창과 백미러를 커버하기 위한 전방차양막(120)과, 상기 전방차양막(120)과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루프판넬과 앞문과 뒷문을 커버하기 위한 중앙차양막(130)과, 상기 중앙차양막(130)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후방 유리창을 커버하기 위한 후방차양막(140)과, 상기 후방차양막(140)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트렁크를 커버하기 위한 트렁크차양막(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네트차양막(110)은, 상기 차량의 본네트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본네트의 크기와 적어도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사각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네트차양막(110)의 일측은 상기 전방차양막(120)과 연결되도록 연결부재(160)가 형성되며, 상기 본네트차양막(110)의 타측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네트차양막(110)이 상기 본네트에 밀착되어 설치하기 위해 상기 본네트의 크기에 따라 신축가능한 본네트밴딩(1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네트밴딩(115)은 상기 본네트차양막(110)의 타측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네트차양막(110)이 굴곡진 본네트를 감싸면서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본네트차양막(110)의 타측에는 상기 본네트차양막(110)을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걸이(17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걸이(170)는 상기 본네트차양막(110)의 타측에 신축가능한 연결줄(175)을 매게로 연결되며, 상기 차량의 아랫부분이나 프론트판넬에 걸림되어 상기 본네트차양막(110)을 차량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본네트차양막(110)의 일측에는 차량에 설치된 본네트차양막(110)이 바람 등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양봉(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양봉의 무게로 인해 상기 차량의 본네트에 위치된 상기 본네트차양막(110)의 위치를 유지시켜주며, 바람 등으로 인해 상기 차량의 본네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네트차양막(110)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본네트차양막(110)의 일측에는 상기 본네트와 상기 전방 유리창 사이에 걸림되어 상기 본네트차양막(110)이 차량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보조고정걸이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네트차양막(110)을 상기 본네트에 설치함으로써 여름철에 직사광선과 자외선이 상기 본네트로 조사되어 차량 엔진룸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겨울철에 차량 엔진룸의 온도가 낮아져 사용자가 시동을 걸었을 때 엔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방차양막(120)은, 일측이 상기 본네트차양막(11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부재(160)와 연결되어 상기 전방 유리창과 백미러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전방차양막(120)에는 상기 차량의 백미러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백미러구멍(1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미러구멍(125)이 형성된 전방차양막(120)을 설치할 경우 상기 백미러구멍(125)을 통해 상기 차량의 백미러를 외부로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전방 유리창에 상기 전방차양막(120)이 밀착될 수 있어 상기 전방 유리창의 커버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겨울철에 외부 냉기가 상기 차량과 전방차양막(12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상기 본네트차양막(110)과 중앙차양막(13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16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부재(160)는 상기 본네트차양막(110)과 연결되고,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부재(160)는 상기 중앙차양막(130)과 연결된다.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일측에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차양막(120)이 상기 전방 유리창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전방밴딩(128)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방밴딩(128)은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일측에 다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방 유리창의 길이에 따라 늘어날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밴딩(128)으로 인해 상기 전방차양막(120)과 상기 전방 유리창 사이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전방밴딩(128)이 구성된 전방차양막(120)의 일측을 상기 전방 유리창의 길이방향에 따라 늘려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백미러구멍(125)에 상기 차량의 백미러를 끼움으로써 상기 늘어난 전방밴딩(128)이 다시 수축하려는 힘으로 인해 상기 전방차양막(120)이 상기 전방 유리창과 밀착되어 상기 전방차양막(120)과 상기 전방 유리창 사이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타측은 상기 루프판넬의 일부를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타측이 상기 루프판넬의 일부를 커버함으로써 상기 전방차양막(120)이 상기 전방 유리창의 경사로 인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타측은 상기 루프판넬의 1/4 또는 1/3을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타측이 상기 루프판넬의 일부를 커버함으로써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타측 연결부재(160)에 상기 중앙차양막(130)이 적층되어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백미러를 상기 백미러구멍(125)에 용이하게 도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방차양막(120)에는 상기 차량에 블랙박스가 설치될 경우 주차된 차량 외부를 감시하도록 차량 내부에 설치된 블랙박스가 차량 외부를 촬영하기 위해 상기 블랙박스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블랙박스 구멍(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백미러구멍(12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백미러를 커버하기 위한 백미러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미러커버는 상기 백미러를 감쌀 수 있도록 주머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은 상기 백미러를 인입하기 위해 개구된 개구부위가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개구부위는 밴딩되어 상기 인입된 백미러에서 상기 백미러커버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방차양막(120)을 상기 차량에 단독으로 설치할 경우 상기 전방 유리창에 위치시킨 상기 전방차양막(120)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전방차양막(120)에 보조고정걸이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걸이는 상기 전방차양막(120)에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량의 앞문 손잡이 등에 걸려 상기 전방차양막(120)을 상기 전방 유리창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차량에 상기 전방차양막(120)을 설치함으로써 직사광선과 자외선이 가장 많이 유입되는 상기 차량의 전방 유리창을 통해 직사광선과 자외선이 유입되어 상기 차량의 내부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추후 차량을 탑승하기 위한 탑승자가 차량 내부의 열기로 인한 불쾌감을 대폭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타측에는 상기 차량의 루프판넬과 앞문과 뒷문을 커버하기 위한 중앙차양막(130)이 연결된다.
상기 중앙차양막(130)은, 일측이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부재(160)와 연결되어 상기 루프판넬과 앞문과 뒷문을 커버하기 위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앙차양막(130)은 적어도 루프판넬 및 상기 앞문과 뒷문의 유리창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중앙차양막(130)은 상기 앞문과 뒷문의 유리창을 커버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앞문과 뒷문의 유리창 뿐만 아니라 상기 앞문과 뒷문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중앙차양막(130)은 상기 차량의 루프판넬에 위치되기 위한 루프판넬차양부(132)와, 상기 차량의 우측 앞문과 우측 뒷문에 위치되기 위한 우측문차양부(131)와, 상기 차량의 좌측 앞문과 좌측 뒷문에 위치되기 위한 좌측문차양부(133)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루프판넬차양부(132)의 일측에는 상기 전방차양막(120)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재(160)가 형성되고, 상기 루프판넬차양부(132)의 타측에는 상기 후방차양막(140)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재(160)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중앙차양막(130)은 상기 차량의 루프판넬에 상기 루프판넬차양부(132)가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우측문차양부(131)를 상기 차량의 우측 앞문과 우측 뒷문 방향으로 꺾어 커버하고 상기 좌측문차양부(133)를 상기 차량의 좌측 앞문과 좌측 뒷문 방향으로 꺾어 커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창양막(130)에는 내측에 차양막공간(101)이 형성되며 상기 차량의 우측문과 좌측문 방향의 양측이 개구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차양막공간(101)에는, 상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막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과 자외선에서 발생하는 열이 차량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가 통하도록 폴대(2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폴대(200)는 다수개의 마디로 형성되어 각 마디 사이를 연결하는 고무밸트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폴대(200)는 다수개의 마디로 형성되어 각 마디 사이를 연결하는 고무밸트에 의해 다수개의 마디가 접혀지는 접철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대(200)는 다수개의 마디로 형성되어 각 마디를 인입출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안테나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폴대(200)에는 상기 차양막공간(101)에 고정될 수 있도록 수후크(2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후크(250)가 형성된 폴대(200)를 상기 중앙차양막(130)에 설치할 경우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내측에는 상기 차양막공간(101)에 상기 폴대(2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폴대(200)의 수후크(250)가 걸림되도록 암후크(10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차양막공간(101)에 상기 폴대(200)를 설치할 경우,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우측문차양부(131)와 좌측문차양부(133)가 꺾이지 않도록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하면서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중앙에도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 폴대(200)로 인해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우측문차양부(131)와 좌측문차양부(133)가 꺾이지 않아 상기 차량의 우측문과 좌측문 방향으로 그늘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폴대(200)를 설치함으로 인해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막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직사광선과 자외선이 조사된 차양막에서 발생되는 열이 차량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여름철에 상기 차량의 내부온도를 낮춰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우측문차양부(131)와 좌측문차양부(133)에는 상기 앞문과 뒷문의 손잡이에 각각 걸림되어 상기 중앙차양막(13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걸이(170)를 구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우측문차양부(131)와 좌측문차양부(133)에 구성된 고정걸이(170)는 신축가능한 연결줄(175)을 매게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에 상기 중앙차양막(130)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앞문과 뒷문의 손잡이에 각각 걸림된다.
이때, 상기 연결줄(175)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고정걸이(17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연결줄(175)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걸이(170a,170b)가 연결되어 상기 우측문차양부(131)와 좌측문차양부(133)의 꺾임여부에 따라 상기 중앙차양막(13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우측문차양부(131)와 좌측문차양부(133)에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차양막(130)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차량의 손잡이에 상기 고정걸이(170a,170b)를 걸 수 있도록 상기 연결줄(175)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우측문차양부(131)와 좌측문차양부(133)의 상기 차량의 앞문과 뒷문에 인접한 면에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걸이(170a, 170b)가 연결된 연결줄(175)을 통과시킨다.
상기 고정걸이(170a, 170b)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차량의 앞문과 뒷문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우측문차양부(131)와 좌측문차양부(133)를 꺾어 설치할 경우 상기 고정걸이(170a)를 상기 차량의 손잡이 방향으로 당긴 후 상기 차량 손잡이에 걸어 상기 중앙차양막(130)을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차량에 그늘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우측문차양부(131)와 좌측문차양부(133)이 꺾이지 않도록 설치될 경우 상기 고정걸이(170b)를 상기 차량의 손잡이 방향으로 당겨 상기 고정걸이(170a)가 상기 차양막공간(101)으로 인입시킨 후 상기 차량의 손잡이에 걸어 상기 중앙차양막(13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차양막공간(101)으로 상기 고정걸이(170a)가 인입될 경우 상기 우측문차양부(131)와 좌측문차양부(133)의 내측에 고정걸이(170a)가 고정될 수 있도록 암후크 등과 같은 고정부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타측에 연결되는 후방차양막(140)은, 상기 차량의 후방 유리창을 커버할 수 있도록 적어도 상기 후방 유리창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차양막(140)은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부재(16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후방차양막(140)의 폭방향 일측에 형성된 연결부재(160)는 상기 루프판넬차양막(130)에 연결되고 상기 후방차양막(140)의 폭방향 타측에 형성된 연결부재(160)는 상기 트렁크차양막(150)과 연결되며 상기 후방차양막(140)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된 연결부재(160)는 각각 상기 뒷문차양막(150)과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차양막(140)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후방차양막(140)을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후방차양막(14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보조고정걸이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걸이는 신축가능한 보조연결줄을 매게로 상기 후방차양막(140)에 구성되어 상기 후방차양막(140)이 상기 후방 유리창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뒷문 손잡이에 걸려진다.
또한, 상기 보조고정걸이는 상기 후방차양막(140)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차양막(140)에서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차양막(140)이 설치되어 직사광선과 자외선이 차량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는 후방 유리창을 커버함으로써 차량 실내 내부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방차양막(140)의 폭방향 타측에 연결되는 트렁크차양막(150)은, 상기 차량의 트렁크를 커버하기 위해 일정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렁크차양막(150)은 상기 후방차양막(140)과 연결되기 위해 일측에 연결부재(160)를 형성하게 되며, 타측에 상기 트렁크를 감싸면서 설치되기 위한 트렁크밴딩(155)이 형성된다.
상기 트렁크밴딩(155)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신축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트렁크차양막(150)이 상기 트렁크를 감싸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트렁크차양막(150)의 타측에는 상기 차량의 아랫부분이나 리어판넬에 걸림되어 상기 트렁크차양막(150)을 상기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이상의 고정걸이(170)가 구성된다.
상기 고정걸이(170)는 연결줄(175)을 매게로 상기 트렁크차양막(150)의 타측에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렁크차양막(150)의 일측에는 바람 등에 상기 트렁크차양막(150)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양봉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차양막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60)는, 상기 차량 부위별로 커버하기 위해 상기 차량 부위별로 형성된 차양막을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부착시킬 수 있도록 벨크로, 후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60)가 벨크로로 형성될 경우 상기 차량 부위별 차양막에 형성되어 서로 중첩되어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60)는 암벨크로와 수벨크로가 서로 동일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고정걸이(170)는 상기 차량에 걸 수 있도록 후크형상 등으로 형성되며, 신축가능한 연결줄(175)을 매게로 상기 차양막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줄(175)은 일측에 상기 고정걸이(170)를 연결하고 타측에 상기 차양막을 연결하게 되며, 신축성을 갖는 끈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걸이(170)를 걸기 위한 차량 부위에 상기 고정걸이(170)가 위치되도록 도와주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걸이(170)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걸이(170)가 걸림되는 차량 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차량과 접촉되는 부분에 고무 등과 같이 부드러운 재질이 덧씌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차양막(130) 뿐만 아니라 상기 본네트차양막(100)과, 상기 전방차양막(120)과, 상기 후방차양막(140)과, 상기 트렁크차양막(150)에도 내측에 차양막공간(1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양막공간(101)이 형성된 차양막에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막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과 자외선에서 발생하는 열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거나 차량 내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재(300)를 더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차양막의 차양막공간(101)에 상기 단열재(300)를 삽입함으로써 여름철에는 차양막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과 자외선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단열재(300)가 흡수하여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차량의 내부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겨울철에는 차량 내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내부온도가 대폭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람 등에 의해 차양막이 차량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차양장치는, 상기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 부위별로 형성된 차양막에 형성된 연결부재(160)를 통해 각 차양막을 연결한 후 상기 본네트차양막(110)의 고정걸이(170)를 상기 차량의 프론트판넬 방향인 아랫부분에 걸고, 상기 트렁크차양막(150)의 고정걸이(170)를 상기 차량의 리어판넬 방향인 아랫부분에 걸어 고정하며, 상기 중앙차양막(130)에 구성된 고정걸이(170)를 각각 앞문 손잡이와 뒷문 손잡이에 각각 걸어 고정시켜 사용한다.
이때, 여름철에는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백미러구멍(125)이 형성된 양측이 상기 차량의 앞문 유리창과 인접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며, 겨울철에는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우측문차양부(131)와 좌측문차양부(133)가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백미러구멍(125)이 형성된 양측에 중첩되어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고정걸이(170)를 차량의 앞문과 뒷문 손잡이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전방차양막(120)이 바람 등으로 인해 차량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사용자가 선택한 부위에만 차양막을 설치할 경우 선택된 차양막에 상기 보조고정걸이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차양장치는 직사광선과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차양막을 차량 부위별로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설치가 가능하게 되며 차량의 모든 부위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과 설치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름철 직사광선과 자외선으로 인한 차량 내부온도의 상승을 방지하여 차량 내부의 부품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겨울철 눈이 쌓이거나 전후방 유리창에 성에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상기 유리창에 쌓인 눈이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거나 상기 눈이나 성에를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해 와이퍼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차양막 101: 차양막공간
102: 암후크 110: 본네트차양막
115: 본네트밴딩 120: 전방차양막
125: 백미러구멍 128: 전방밴딩
130: 중앙차양막 131: 우측문차양부
132: 루프판넬차양부 133: 좌측문차양부
140: 후방차양막 150: 트렁크차양막
155: 트렁크밴딩 160: 연결부재
170: 고정걸이 175: 연결줄
200: 폴대 250: 수후크
300: 단열재

Claims (5)

  1. 차량의 본네트를 커버하기 위한 본네트차양막(110)과, 상기 차량의 전방 유리창과 백미러를 커버하기 위한 전방차양막(120)과, 상기 차량의 루프판넬에 위치되는 루프판넬차양부(132)와 상기 차량의 우측 앞문과 우측 뒷문에 위치되는 우측문차양부(131) 및 상기 차량의 좌측 앞문과 좌측 뒷문에 위치되는 좌측문차양부(133)로 구분되면서 상기 루프판넬차양부(132)에 상기 차량의 앞문과 뒷문 방향의 양측이 개구되어 내측에 차양막공간(101)이 형성된 중앙차양막(130)과, 상기 차량의 후방 유리창을 커버하기 위한 후방차양막(140)과, 상기 차량의 트렁크를 커버하기 위한 트렁크차양막(150)이 포함된 차양막(100)과, 상기 차양막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60)와, 상기 차양막(100)을 상기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걸이(170)를 포함하는 차량용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차양막(120)에는, 상기 전방 유리창의 커버력과 상기 전방차양막(12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차량의 백미러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백미러구멍(125)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차양막공간(101)에는, 상기 차양막(100)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과 자외선에서 발생하는 열이 차량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가 통하면서 상기 차량의 우측문과 좌측문 방향으로 그늘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우측문차양부(131)와 좌측문차양부(133)가 꺽이지 않도록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중앙과 일측과 타측에 설치하기 위한 폴대(200)를 포함하며,
    상기 폴대(200)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마디로 형성되며 상기 차양막공간(101)에 고정되기 위한 수후크(250)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차양막(130)에 설치된 폴대(2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차양막공간(101)의 내측에 상기 폴대(200)의 수후크(250)가 걸림되도록 암후크(10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차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네트차양막(110)에는, 상기 본네트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차양막(120)과 연결되는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본네트밴딩(115)을 포함하고,
    상기 트렁크차양막(150)에는, 상기 트렁크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후방차양막(140)과 연결되는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트렁크밴딩(155)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차양막(120)에는, 상기 전방 유리창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본네트차양막(110)과 연결되는 일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전방밴딩(12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차양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앙차양막(130)의 차양막공간(101)에는, 상기 중앙차양막(130)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과 자외선에서 발생하는 열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거나 차량 내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재(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차양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70087821A 2017-07-11 2017-07-11 차량용 차양장치 KR101967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821A KR101967538B1 (ko) 2017-07-11 2017-07-11 차량용 차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821A KR101967538B1 (ko) 2017-07-11 2017-07-11 차량용 차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743A KR20190006743A (ko) 2019-01-21
KR101967538B1 true KR101967538B1 (ko) 2019-08-13

Family

ID=65277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821A KR101967538B1 (ko) 2017-07-11 2017-07-11 차량용 차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5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4983A (zh) * 2020-12-23 2022-06-24 杭州光力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遮阳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8729Y1 (ko) * 1987-05-07 1989-11-30 박창덕 개스 누출 표시관
JPH03106695U (ko) * 1990-02-20 1991-11-05
KR970074122A (ko) * 1996-05-04 1997-12-10 이귀형 차량용덮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06695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743A (ko) 201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6937A (en) Shield for a vehicle windshield
US5476302A (en) Rain cover for car door
US20120007385A1 (en) Retractable vehicle shade for tropical and cold climates
US20110095561A1 (en) Folding roof cover for vehicles
WO2007134027A2 (en) Convertible top for an all-terrain vehicle
US8479787B1 (en) Motor vehicle snow and ice cover with hand grips
KR101967538B1 (ko) 차량용 차양장치
US5039159A (en) Sun shade/shield panel
KR101262648B1 (ko) 탄성 롤블라인드와 차양각도 조절암이 결합된 모터작동식 차창외부 덮개장치
JP2013199197A (ja) 窓ガラスカバー
KR20090083049A (ko) 차량용 보호덮개
CN201309395Y (zh) 机动车遮阳帘
KR200218498Y1 (ko) 자동차 유리창 차양 및 성에방지 겸용 덮개
AU732512B2 (en) Motor vehicle sunshade
RU140148U1 (ru) Съемный наружный чехол для защиты стеко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160221429A1 (en)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window
CN202716706U (zh) 汽车车窗挡雨带
KR200418210Y1 (ko) 굴다리 연출 차양막
KR200307587Y1 (ko) 햇빛차단 및 성에방지를 위한 자동차 유리덮개
KR200184856Y1 (ko) 자동차 앞유리 가리개 장치
KR200255984Y1 (ko) 자동차 차양막 장치
RU151107U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защитный мини-чехол для защиты стекол легковых автомобилей
KR200299054Y1 (ko) 여행용 자동차 덮개
KR200449350Y1 (ko) 차량용 햇빛 가리개
KR200175480Y1 (ko) 자동차용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