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411Y1 - 공작기계용 공구 홀더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공구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411Y1
KR200329411Y1 KR20-2003-0020258U KR20030020258U KR200329411Y1 KR 200329411 Y1 KR200329411 Y1 KR 200329411Y1 KR 20030020258 U KR20030020258 U KR 20030020258U KR 200329411 Y1 KR200329411 Y1 KR 2003294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lever
insert
tip
too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0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4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4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4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5/00Fixation of cutting inserts in holders
    • B23B2205/04Fixation screws, bolts or pins of particular form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기계용 공구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선공작기계에 물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 공구 홀더 본체; 상기 공구 홀더 본체에 결합되어 공구 팁을 수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 상에서 공구 팁이 설치되는 인서트; 및 상기 인서트 상에서 공구 팁을 고정시키는 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레버는 소정 각도 굽어진 봉 부재로 형성되어, 그 일단은 상기 인서트 상에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인서트 및 상기 카트리지를 관통하여 형성된 스크류 홀 내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류 홀 내에 레버 스크류를 삽입하여 조이면, 상기 레버의 양단부 사이의 굽어지는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레버가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인서트 상에서 상기 공구 팁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공작기계용 공구 홀더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소재를 황삭 가공할 때, 가공해야할 소재마다 다른 가공 여유를 고려하여 작업의 횟수를 줄일 수 있도록 공구 팁을 복수 개 설치하여 가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공작기계용 공구 홀더 {Tool Holder for Machine Tools}
본 고안은 공작기계용 공구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삭량이 많은 가공 공정에서도 비교적 작은 공구 팁을 여러 개 장착하여 한번에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 홀더에 관한 것이다.
엔진 등에 사용되는 크랭크 샤프트와 연결되는 부품인 크랭크쓰로우(CRANK THROW)의 제작 과정을 예로 들어 종래의 기술과 그 문제점을 설명하겠다.
크랭크 쓰로우는 단조로 만들고 결합부위는 치수 정밀도를 맞추기 위해 별도로 가공 공정을 거친다.
종래에는 단조 상태의 크랭크 쓰로우 소재를 가우징(GOUGING)하고, 마킹(MARKING)한 후, 내면의 부위를 VTL(Vertical Throw Lathe)로 길이가 40mm인 팁을 사용하여 가공하였다.
이 경우, 내면 가공여유가 가공면 당 30mm 이하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면 40mm팁을 이용하여 1회 가공으로 내면 가공을 완료할 수 있으나 소재 제작 기술과 가우징 기술의 문제로 가공여유를 30mm이하로 확보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과다한 가공여유로 인하여 절삭 가공 횟수가 증가하여 가공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일반화하여 설명하면, 한번에 많은 양을 절삭하면 공구 팁에 무리가 생겨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고, 공구 팁에 무리가 가지 않는 정도로 절삭 작업을 수행하면 절삭 작업 가공 횟수가 늘어나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생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두 개 이상의 공구 팁을 부착하여 절삭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한번에 많은양을 절삭할 수 있는 공작기계용 공구 홀더를 개발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삭 가공용 공구의 도면.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공구 홀더 본체 2: 카트리지
3: 인서트 4: 공구 팁
5: 레버 6: 레버 스크류
10: 공작기계용 공구 홀더
본 고안에 의하면, 공작기계에 물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 공구 홀더 본체; 상기 공구 홀더 본체에 결합되어 공구 팁을 수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 상에서 공구 팁이 설치되는 인서트; 및 상기 인서트 상에서 공구 팁을 고정시키는 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레버는 소정 각도 굽어진 봉 부재로 형성되어, 그 일단은 상기 인서트 및 상기 카트리지를 관통하여 형성된 스크류 홀 내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류 홀 내에 레버 스크류를 삽입하여 조이면, 상기 레버의 양단부 사이의 굽어지는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레버가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인서트 상에서 상기 공구 팁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공작기계용 공구 홀더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공구 팁이 설치되는 인서트가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레버는 하나의 팁을 고정하기 위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선삭 가공용 공구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삭 가공용 공구는 공구 홀더 본체(body)(1), 카트리지(cartridge)(2), 인서트(insert)(3), 레버(lever)(5) 및 레버 스크류(lever screw)(6)로 구성되고, 두 개의 팁(tip)(4)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에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인서트(3)에는 상기 레버(5)가 끼워질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5)는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3) 상의 구멍에 끼워지면 상기 레버(5)의 하단부를 누르는 깊이에 따라 그 꺾이는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레버(5)의 하단부가 가장 깊이까지 눌려지면, 상기 레버(5)의 상단부에 끼워진 상기 팁(4)은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레버(5)의 하단부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팁(4)은 착탈 가능하다.
즉, 상기 인서트(3)에 상기 레버(5)를 끼우고, 상기 인서트(3) 밖으로 돌출되는 상기 레버(5)의 상단부에 상기 팁(4)을 맞춰 끼우고, 상기 레버 스크류(6)를 회전시켜 상기 레버(5)의 하단부를 누르면, 상기 팁(4)이 상기 공구 홀더 본체(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시 반대방향으로 상기 레버 스크류(6)를 회전시키면 상기 팁(4)을 착탈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선삭 가공용 공구를 선반에 장착하고 선삭 가공을 하는 경우, 예를 들어 가공 여유가 30mm 이상인 경우 길이가 40mm인 공구 팁으로 2번에 걸쳐서 절삭을 하여야 한다면, 두 개의 길이가 40mm인 공구 팁을 장착하고 한번에 원하는 만큼 작업할 수 있어, 공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50mm 팁을 사용하여 한번에 원하는 절삭 양만큼을 작업할 수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도, 50mm 팁을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팁에 40mm 팁을 두 개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팁의 파손이 더 적어, 잦은 팁 교체에 의한 제작비용 증가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소재를 황삭 가공할 때, 가공해야할 소재마다 다른 가공 여유를 고려하여 작업의 횟수를 줄일 수 있도록 공구 팁을 복수 개 설치하여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큰 팁으로 한번에 많은 양을 절삭할 때, 팁이 자주 파손되어 자주 교체해야하는 경우가 생기기 쉬우나, 절삭 양을 고려하여 팁을 적정 개수만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이러한 잦은 교체의 불편을 덜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공작기계에 물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 공구 홀더 본체;
    상기 공구 홀더 본체에 결합되어 공구 팁을 수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 상에서 공구 팁이 설치되는 인서트; 및
    상기 인서트 상에서 공구 팁을 고정시키는 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레버는 소정 각도 굽어진 봉 부재로 형성되어, 그 일단은 상기 인서트 및 상기 카트리지를 관통하여 형성된 스크류 홀 내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류 홀 내에 레버 스크류를 삽입하여 조이면, 상기 레버의 양단부 사이의 굽어지는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레버가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인서트 상에서 상기 공구 팁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팁이 설치되는 인서트가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 홀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팁을 고정하는 레버가 공구 팁 하나 당 2개 이상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 홀더.
KR20-2003-0020258U 2003-06-26 2003-06-26 공작기계용 공구 홀더 KR2003294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258U KR200329411Y1 (ko) 2003-06-26 2003-06-26 공작기계용 공구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258U KR200329411Y1 (ko) 2003-06-26 2003-06-26 공작기계용 공구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411Y1 true KR200329411Y1 (ko) 2003-10-17

Family

ID=4941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258U KR200329411Y1 (ko) 2003-06-26 2003-06-26 공작기계용 공구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4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229B1 (ko) * 2011-11-08 2013-10-07 현진소재주식회사 크랭크스로우 내면 절삭용 더블 컷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229B1 (ko) * 2011-11-08 2013-10-07 현진소재주식회사 크랭크스로우 내면 절삭용 더블 컷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3962B2 (ja) バイトとそれを用いた櫛刃型旋盤
JP2009527368A (ja) 切削工具
US4843709A (en) Shell-type milling cutter and method for attaching the same
KR200329411Y1 (ko) 공작기계용 공구 홀더
US4087194A (en) Cutting tool
JP3143890U (ja) 面取りカッター
US7341411B2 (en) Tool holder structure
JPH01216709A (ja) ドリル孔周縁部位の切削工具
JP5790566B2 (ja) 切削ヘッドの締結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ヘッド交換式切削工具
CN210125761U (zh) 一种复合铣刀
KR20090108205A (ko) 절삭가공용 테이퍼홀더
CN208495902U (zh) 一种铣刀盘
JPH0258043B2 (ko)
JP2008114340A (ja) 工作機械用ワーク取り付け治具
KR200490382Y1 (ko) 선반의 래비린스 시일 가공용 바이트구조체
CN208913273U (zh) 一种工业缝纫机主轴孔加工用刀具
KR101064753B1 (ko) 절삭공구용 홀더의 연결장치
JP2009291858A (ja) 穴加工工具
JP3081797B2 (ja) ホ―ルソ―脱着装置
CN210939356U (zh) 带倒角的卡簧槽刀具
CN212398255U (zh) 可拆卸式铣刀
JPH0611708Y2 (ja) 組立てリーマ
JPH1158108A (ja) Cnc旋盤用の刃物保持治具
CN213469735U (zh) 一种铣刀刀柄换刀架
US2813558A (en) Rotatable cutting tool with detachable bl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