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493Y1 - 와이어 당김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당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493Y1
KR200328493Y1 KR20-2003-0016654U KR20030016654U KR200328493Y1 KR 200328493 Y1 KR200328493 Y1 KR 200328493Y1 KR 20030016654 U KR20030016654 U KR 20030016654U KR 200328493 Y1 KR200328493 Y1 KR 200328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ire
shaft
pull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우
Original Assignee
김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광 filed Critical 김무광
Priority to KR20-2003-0016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4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4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 당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과 타단이 마주보도록 굴곡되며, 그 일단과 타단이 각각 관통된 걸림관통공이 형성되며, 와이어가 걸리는 와이어걸림부재와; 안쪽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되어 굴곡되며, 상기 와이어걸림부재와 연결되며, 제1회동관통공과 이격된 위치에 제2회동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1회동관통공은 상기 와이어걸림부재가 위치된 방향에 형성되는 푸싱부재와; 상기 푸싱부재와 연결되며, 원호형상의 곡면부를 가지며, 그 곡면부에는 본체관통공을 가지며 그 타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본체부재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그 일단이 관통된 축관통공을 가지는 당김축부재와; 상기 와이어걸림부재의 걸림관통공과 상기 푸싱부재의 제1회동관통공과 상기 당김축부재의 축관통공을 각각 관통하여 체결되며, 상기 본체부재의 곡면부와 접촉되는 제1힌지축; 및 상기 본체부재의 본체관통공과 상기 푸싱부재의 제2회동관통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힌지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당겨서 고정시킴으로써 와이어의 체결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한 와이어 당김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당김장치{Wire pull apparatus}
본 고안은 와이어 당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기능과 손잡이기능을 갖는 당김축부재의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당겨서 고정시킴으로써 와이어의 체결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한 와이어 당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 대상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와이어를 체결하는 장치로는 턴버클(turn buckel)이 이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턴버클은 주물(鑄物) 또는 단조(鍛造)로 성형되며, 구조물의 받침막대, 받침강철로프, 강철막대 또는 로프, 와이어(6) 등을 팽팽하게 당길 때, 중간에 턴버클을 넣고 회전시킴으로써 팽팽하게 당길 수가 있다.
이러한 턴버클(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암나사식 관형 슬리브(2)및 걸개(5)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2)의 각 단부는 결합 수나사식 로드부재(3)를 수용하는 암나사부(4,4')를 갖는다.
하나의 슬리브 단부와 그것의 결합로드(3)는 왼손나사를 가지며, 다른 슬리브 단부와 그것의 결합로드(3')는 오른손나사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2)가 회전함에 따라 양 로드(3,3')는 슬리브(2)의 회전방향에 의존하여 슬리브(2)로 조여들게 되거나 슬리브(2)로부터 풀려나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턴버클(1)은 와이어를 연결시킨 후 슬리브(2)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회전시키다보니 특히, 힘이 많이 들고 소요시간이 많이 들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턴버클 방식 이외에 유압식 또는 공압식을 이용한 와이어 당김장치는 비용이 비쌀뿐만 아니라 부피가 큰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턴버클을 사용하지 않고도 손잡이기능과 잠금기능을 갖는 당김축부재의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당겨서 고정시킴으로써 와이어의 체결 및 해제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와이어 당김장치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당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당김축부재의 회동에 의해 와이어 당김장치가 작동되어지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4는 종래의 와이어 당김장치(턴버클)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와이어걸림부재 20. 푸싱부재
30. 본체부재 40. 당김축부재
50. 제1힌지축 60. 제2힌지축
70. 와이어 110. 걸림관통공
120. 고정돌기 210. 제1회동관통공
220. 제2회동관통공 310. 곡면부
320. 본체관통공 330. 회동관통공
340. 걸개 350. 지지판
410. 축관통공 420. 잠금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당김장치는 일단과 타단이 마주보도록 굴곡되며, 그 일단과 타단이 각각 관통된 걸림관통공이 형성되며, 와이어가 걸리는 와이어걸림부재와; 안쪽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되어 굴곡되며, 상기 와이어걸림부재와 연결되며, 제1회동관통공과 이격된 위치에 제2회동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1회동관통공은 상기 와이어걸림부재가 위치된 방향에 형성되는 푸싱부재와; 상기 푸싱부재와 연결되며, 원호형상의 곡면부를 가지며, 그 곡면부에는 본체관통공을 가지며 그 타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본체부재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그 일단이 관통된 축관통공을 가지는 당김축부재와; 상기 와이어걸림부재의 걸림관통공과 상기 푸싱부재의 제1회동관통공과 상기 당김축부재의 축관통공을 각각 관통하여 체결되며, 상기 본체부재의 곡면부와 접촉되는 제1힌지축; 및 상기 본체부재의 본체관통공과 상기 푸싱부재의 제2회동관통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힌지축;을 포함하여, 상기 당김축부재를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와이어걸림부재가 위치된 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당김축부재의 일면이 상기 푸싱부재를 밀어서 상기 푸싱부재가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푸싱부재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제1힌지축이 상기 본체부재의 곡면부를 따라 상기 와이어걸림부재가 위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와이어를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본체부재는 타단에 회동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관통공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걸개와; 지면에 고정되며, 상면 내측에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걸개를 삽입시켜 지지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당김축부재의 양측면에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고정편을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걸림부재의 일단과 타단이 마주보는 내측에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편과 고정돌기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당김축부재의 당김상태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당김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당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당김축부재의 회동에 의해 와이어 당김장치가 작동되어지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와이어 당김장치는본체부재(30)에 연결된 와이어걸림부재(10)와, 푸싱부재(20)와, 당김축부재(40)와, 제1힌지축(50)과, 제2힌지축(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걸림부재(10)는 와이어(70)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일단과 타단이 마주보도록 굴곡되며, 그 일단과 타단에 각각 관통된 걸림관통공(110)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와이어걸림부재(10)에 체결되는 와이어(70)는 체인, 로프 등 다를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 푸싱부재(20)는 안쪽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되어 굴곡되며, 제1회동관통공(210) 및 이격된 위치에 제2회동관통공(220)을 가진다.
이 때, 상기 제1회동관통공(210)은 상기 와이어걸림부재(10)가 위치된 방향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걸림부재(10)의 걸림관통공(110) 및 후술될 당김축부재(40)의 축관통공(410)을 제1힌지축(50)으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본체부재(30)는 일단에 본체관통공(320)이 형성된 원호형상의 곡면부(310)를 가지며, 타단은 지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재(30)의 본체관통공(320)은 상기 푸싱부재(20)의 제2회동관통공(220)과 제2힌지축(60)으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부재(30)는 타단에 회동관통공(330)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관통공(33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걸개(340)와, 지면에 고정되며, 상면 내측에 결합홈(355)을 구비하여 상기 걸개(340)를 삽입시켜 지지되는 지지판(35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재(30)의 회동관통공(330)은 상기 걸개(340)와 힌지핀(332) 및 고정볼트(334)를 이용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당김축부재(4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그 일단이 관통된 축관통공(410)과 타단에 손잡이(400)를 가진다.
상기 당김축부재(40)의 축관통공(410)은 후술할 제1힌지축(50)과 결합되며, 제1힌지축(50)이 회전의 중심축이 되므로 손잡이(400)와의 거리가 멀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손잡이(400)를 회동시키는 작은 힘에도 제1힌지축(50)에 미치는 힘은 크게 작용된다.
상기 제1힌지축(50)은 상기 와이어걸림부재(10)의 걸림관통공(110)과 상기 푸싱부재(20)의 제1회동관통공(210)과 상기 당김축부재(40)의 축관통공(410)을 각각 관통하여 체결되어 힌지핀(502) 및 고정볼트(504)로 조립된다.
상기 제1힌지축(50)은 본체부재(30)의 곡면부(310)와 접촉되어 있어 상기 당김축부재(40)의 회동시 상기 본체부재(30)의 곡면부(310)를 따라 미끄럼운동하게 된다.
상기 제2힌지축(60)은 상기 본체부재(30)의 본체관통공(320)과 상기 푸싱부재(20)의 제2회동관통공(220)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당김축부재(40)의 회동에 의해 와이어 당김장치가 작동되어지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당김축부재(40)는 상기 제1힌지축(50)을 회전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와이어걸림부재(10)가 위치된 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당김축부재(40)의 일면이 상기 푸싱부재(20)를 밀어서 상기 푸싱부재(20)가 상기 제2힌지축(60)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싱부재(20)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제1힌지축(50)이 상기 본체부재(30)의 곡면부(310)를 따라 상기 와이어걸림부재(10)가 위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미끄러져 상기 와이어걸림부재(10)와 체결된 와이어(70)를 당기게 된다.
즉, 본 고안은 본체부재(30)에 형성되어 있는 걸개(340)를 지지판(350)의 걸림홈(355)에 삽입하고, 와이어(70)를 와이어걸림부재(10)에 체결한 후 당김축부재(40)를 와이어걸림부재(10) 방향으로 당기면 걸개(340)가 지지판(350)의 걸림홈(355)에 지지되고, 당김축부재(40)를 당기는 힘이 제1힌지축(50)을 회전축으로 하여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와이어걸림부재(10)에 전달이 되어 이로 인해 와이어(70)는 팽팽하게 당겨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와이어(70)가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 당김축부재(40)의 중앙에 구비된 고정편(420)을 상기 와이어걸림부재(10)의 고정돌기(120)에 체결하여 당김축부재(40)가 회동되지 않도록 함을 물론 와이어(70)의 유동이 방지토록 한다.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와이어(70)의 탈거시 상기 고정편(420)을 상기 와이어걸림부재(10)의 고정돌기(120)에서 제거한 후 당김축부재(40)를 와이어걸림부재(10)가 위치된 방향과 반대편으로 당기면 상기 푸싱부재(20)가 회동되어 본체부재(30)의 걸개(340)가 지지판(350)의 걸림홈(355)에서 지지되는 힘이 풀리게 되어 와이어(70)가 분리된다.
한편, 와이어(70)의 길이에 따라 본체부재(30)의 걸개(340)가 걸리는 지지판(350)의 걸림홈(355)의 위치를 다르게 하여 선택되어진다.
이처럼 당김축부재(40)를 이용하여 와이어(70)를 고정시킴으로써 와이어(70)의 고정력이 증대되고, 또한 와이어(70)의 체결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당김장치에 의하면, 턴버클을 사용하지 않고도 손잡이기능과 잠금기능을 갖는 당김축부재의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당겨서 고정시킴으로써 와이어의 체결 및 해제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Claims (3)

  1. 일단과 타단이 마주보도록 굴곡되며, 그 일단과 타단이 각각 관통된 걸림관통공(110)이 형성되며, 와이어(70)가 걸리는 와이어걸림부재(10);
    안쪽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되어 굴곡되며, 상기 와이어걸림부재(10)와 연결되며, 제1회동관통공(210)과 이격된 위치에 제2회동관통공(220)을 가지며, 상기 제1회동관통공(210)은 상기 와이어걸림부재(10)가 위치된 방향에 형성되는 푸싱부재(20);
    상기 푸싱부재(20)와 연결되며, 원호형상의 곡면부(310)를 가지며, 그 곡면부(310)에는 본체관통공(320)을 가지며 그 타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본체부재(30);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그 일단이 관통된 축관통공(410)을 가지는 당김축부재(40);
    상기 와이어걸림부재(10)의 걸림관통공(110)과 상기 푸싱부재(20)의 제1회동관통공(210)과 상기 당김축부재(40)의 축관통공(410)을 각각 관통하여 체결되며, 상기 본체부재(30)의 곡면부(310)와 접촉되는 제1힌지축(50); 및
    상기 본체부재(30)의 본체관통공(320)과 상기 푸싱부재(20)의 제2회동관통공(22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힌지축(60);을 포함하여,
    상기 당김축부재(40)를 상기 제1힌지축(50)을 중심으로 상기 와이어걸림부재(10)가 위치된 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당김축부재(40)의 일면이 상기 푸싱부재(20)를 밀어서 상기 푸싱부재(20)가 상기 제2힌지축(60)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푸싱부재(20)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제1힌지축(50)이 상기 본체부재(30)의 곡면부(310)를 따라 상기 와이어걸림부재(10)가 위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와이어(70)를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당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30)는
    타단에 회동관통공(330)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관통공(33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걸개(340)와;
    지면에 고정되며, 상면 내측에 결합홈(355)을 구비하여 상기 걸개(340)를 삽입시켜 지지되는 지지판(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당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축부재(40)의 양측면에 가이드홈(422)을 따라 이동되는 고정편(420)을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걸림부재(10)의 일단과 타단이 마주보는 내측에 고정돌기(120)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편(420)과 고정돌기(120)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당김축부재(40)의 당김상태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당김장치.
KR20-2003-0016654U 2003-05-28 2003-05-28 와이어 당김장치 KR200328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654U KR200328493Y1 (ko) 2003-05-28 2003-05-28 와이어 당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654U KR200328493Y1 (ko) 2003-05-28 2003-05-28 와이어 당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493Y1 true KR200328493Y1 (ko) 2003-09-29

Family

ID=49338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654U KR200328493Y1 (ko) 2003-05-28 2003-05-28 와이어 당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4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1170A (en) Portable locking device
US7802768B2 (en) Telescoping pole mount
JP4326879B2 (ja) ロッパー
US6023927A (en) Shackle with a kant loose pin
US4422218A (en) Lever-type load binder
US6868587B2 (en) Strap tensioner
JPS5848475B2 (ja) 持ち上げ用クランプ
JPS60252808A (ja) ポータブルビームクランプ
US20170189725A1 (en) High load descender with adaptive release linkage
AU2016244823A1 (en) High load descender with adaptive release linkage
WO1985000546A1 (fr) Extracteur a griffes
AU2008280798A1 (en) Cleat holding device
JP3620885B2 (ja) 足場要素を連結する継手
EP1734281B1 (en) Rope tensioner
KR200328493Y1 (ko) 와이어 당김장치
US11118655B2 (en) Assembling structure for timely and securely locking and releasing a rope
JP3154674U (ja) 梯子固定装置
KR200439267Y1 (ko) 턴버클 회전장치
US3486206A (en) Quickly-openable snatch block
JP2999140B2 (ja) サーフボード用フォークビーム
JP3055439U (ja) ロープ張設装置
JPH083807Y2 (ja) 下水道管等の挿入治具
JP3074617U (ja) キック・ボードの折畳み構造
AU694221B2 (en) Portable locking device
GB2323120A (en) Cord grip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