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330Y1 - 스타일러스 펜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330Y1
KR200328330Y1 KR20-2003-0014787U KR20030014787U KR200328330Y1 KR 200328330 Y1 KR200328330 Y1 KR 200328330Y1 KR 20030014787 U KR20030014787 U KR 20030014787U KR 200328330 Y1 KR200328330 Y1 KR 200328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holder
cap body
tip
n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신
Original Assignee
김중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신 filed Critical 김중신
Priority to KR20-2003-0014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3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3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2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DA 또는 휴대용 전화기에 수반되는 메모장 등에 필기시 사용되는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으로서, 밀폐단(32)과 개방단(34)을 갖는 원통형 캡본체(30)와, 상기 캡본체(30)내부의 밀폐단(32)측에 회전이 제한되도록 삽입되며 일측이 개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홀더(40)와, 상기 홀더(40)에 축방향으로 압입되며, 선단에는 팁(15)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암나사(17)가 형성되는 펜촉(10)과, 상기 캡본체(30)에 길이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선단이 펜촉(10)과 나사결합하는 펜(20)으로 이루어진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여, 스타일러스 펜과 일반 필기구를 공용토록함으로서 일반 필기구를 별도로 보유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나아가 스타일러스 펜을 일반 필기구와 같이 포켓 등에 꽂을 수 있도록 하여 보관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등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본 고안은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PDA 또는 휴대용 전화기에 수반되는 메모장 등에 필기를 위해 사용되는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이동통신기술의 발달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휴대용 통신장비들이 개발 시판되고 있다. PDA는 개인용이나 업무용으로 계산이나 정보저장 및 검색을 비롯한 통신기능을 갖춘 손바닥 크기의 소형장치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스케줄 캘린더와 주소록 정보 등을 관리하는데 많이 쓰인다. 이러한 일련의 통신제품들 중 전자감응식 패드를 이용한 제품들은 키보드를 이용하지 않고 정보를 입력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필요로 한다. 스타일러스 펜은 주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선단에 뾰족한 팁이 제공되어 이 팁부분을 이용하여 패드상에 글씨를 쓰거나 또는 터치하여 정보의 입력 및 출력등을 담당하게 된다.본 고안은 이러한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은 PDA본체의 후단이나 측면에 마련되는 홀더에 의해 보관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상기와 같은 PDA와는 별도로 필기구를 휴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같이 스타일러스펜과 일반 필기구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관리가 번거로운 문제를 갖고 있다. 특히, 스타일러스 펜은 잦은 사용으로 인해 PDA 본체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구조를 갖고 있음으로 분실의 우려가 높아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스타일러스펜과 일반 필기구를 겸용토록하여 일반 필기구를 별도로 보유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나아가 스타일러스 펜을 일반 필기구와 같은 형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의 편리성을 증대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제1 실시예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제1 실시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에 적용된 펜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에 적용된 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에 적용된 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에 적용된 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홀더가 캡본체에 일체로 구성된 예를 보인 사시도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에 적용된 캡본체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펜촉 15: 팁
17: 나사 20: 펜
21: 펜본체 25: 펜심
26: 숫나사 30: 캡본체32: 밀폐단 34: 개방단
40: 홀더 222: 슬라이더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밀폐단과 개방단을 갖는 원통형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내부의 밀폐단측에 회전이 제한되도록 삽입되며 축방으로 수용홈을 갖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축방향으로 압입되며, 선단에는 팁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펜촉과, 상기 캡본체에 길이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됨과동시에 선단이 펜촉과 나사결합하는 펜으로 이루어진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캡내에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펜은 개방단과 밀폐단을 갖으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끼움개구가 형성되는 펜본체와, 밀폐단으로부터 펜본체의 축선을 따라 개방단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펜심이 내장되고 선단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펜심홀더로 구성된다.
상기 펜은 출입공이 형성되는 개방단과 마개에 의해 개폐되는 밀폐단을 갖으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내면에 다수의 걸림홈을 갖는 끼움개구가 형성되는 펜본체와, 펜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더와, 후단이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선단이 출입공을 통해 펜본체로부터 출몰하는 펜심 홀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끼움개구상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작동노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펜본체의 선단은 개방되고, 끼움개구는 이 개방단까지 연장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캡 내부 홀더등의 내용물에 대응하는 측면 벽체에는 상기 내용물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개방공이 형성된다.
본 고안은 밀폐단과 개방단을 갖는 원통형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내부에 회전이 제한되도록 압입되며 후단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펜촉과, 상기 캡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착탈됨과 동시에 선단에 펜촉과 나사결합하는 숫나사가 형성되는 펜본체로 이루어진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A와 도 2B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제 1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밀폐단(32)과 개방단(34)을 갖는 원통형 캡본체(30)와, 캡본체(30)에 삽입되는 홀더(40), 홀더(4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타일러스용의 펜촉(10) 그리고 펜(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캡본체(30)는 통상의 펜뚜껑과 같이 일측에 걸림고리(16)가 형성된다. 홀더(40)는 상기 캡본체(30)내부의 밀폐단(32)측에 회전이 제한되도록 삽입된다. 상기 홀더는 고무등과 같은 신축성과 끈적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매벽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미그럼 방지용 돌기(48) 또는 홈(48')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펜촉(10)은 스타일러스 펜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중공 원뿔형으로 구성되어 일단에 팁(15)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암나사(17)가 형성된다. 이 펜촉(10)은 주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몸통 외벽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개 이상의 미끄럼방지용 돌기(18)가 형성되거나 몸통이 각면으로 둘러 싸일 수도 있다.
상기 펜(20)은 캡본체(30)에 길이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의 펜본체(21)를 포함하며, 펜본체(21)의 선단에 필기용의 펜심(25)이 구성되며 그 내단에 상기 펜촉(10)의 암나사(17)와 나사결합하는 숫나사(26)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상의 펜본체(21)와 펜촉(10)의 결합 또는 분리시에 너무 많은 회전을 이루게 되면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암나사과 숫나사의 나사산의 수는 가능한 적게하여 펜촉(10)과 펜본체(42)의 나사결합시 회전수를 줄이는 것이 사용상 유리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휴대시에는 도 2A도시된 바와같이 홀더(40)가 캡본체(30)에 결합되어 있고, 펜촉(10)이 홀더(40)에 삽입되고, 또한, 펜(20)이 캡본체(30)에 삽입됨과 동시에 펜촉(10)에 나사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걸림고리(16)를 이용하여 포켓 등에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게된다.
한편, 이러한 본 고안을 스타일러스 펜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펜본체(42)를 후방(도면상 우측)으로 잡아당기면 펜(20)과 펜촉(10)이 나사결합된 채로 캡본체(30)로부터 분리되도록 한후 스타일러스 펜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기구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2A와 같은 상태에서 펜(20)을 암나사(17)와 숫나사(46)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펜촉(10)은 홀더(30)의 돌기(22)들에 의해 의해 회전이 제한된 상태를 유지하게되므로 펜(20)만이 회전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회전이 지속되면 펜(20)은 펜촉(10)으로부터 해방되므로 손쉽게 후방으로 분리가 가능하게 되고, 사용자는 통상의 필기구로서 펜(2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홀로 남게 되는 펜촉(10)은 홀더(40)내에 압입된 채로 끼움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도 3에는 펜(100)을 신문 고정용 클립기능을 부여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적용된 펜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개방단(134)과 밀폐단(132)을 갖으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끼움개구(154)가 형성되는 펜본체(121)를 구성하고, 밀폐단(132)으로부터 펜본체(121)의 축선을 따라 개방단(134)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펜심(125)이 내장되고 선단에 숫나사(126)가 형성되는 펜심홀더(150)를 일체로 구성하여 상기 캡본체(30) 및 홀더(40) 그리고 펜촉(110)과 함께 적용하는 것에 의해 역시 스타일러스 펜 및 필기구용 펜으로서의 호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물론 신문 고정용 클립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때 상기 펜촉(110)은 펜심(125)으로부터의 잉크액 증발을 막아주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 4에는 펜(220)을 펜본체(221)와 펜심홀더(250)로 분리구성하고 펜심홀더(250)를 펜본체(221)에 대해 출몰식으로 구성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적용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펜은, 펜본체(221)와 슬라이더(222) 및 펜심홀더(250)로 구성되는바, 펜본체(221)는 출입공(229)이 형성된 마개를 갖는 개방단(234)과 개폐가능한 밀폐단(232)을 갖으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내면에 다수의 걸림홈(254a)을 갖는 끼움개구(218)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222)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펜본체(22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펜심홀더(250)는 후단이 슬라이더(222)에 고정되고 선단이 출입공(229)을 통해 펜본체(221)로부터 출몰하며 중앙부에 펜심(225)이 고정되고 그 내측에 숫나사(22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222)에는 슬라이더(222)에 이동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끼움개구(254)상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작동노브(223)가 일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펜의 다른 실시예는 작동에 있어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가 동일하나, 펜심홀더(250)가 펜본체(221)에 대해 출몰가능하게 구성되므로 펜(220)인출후 스타일러스 펜용이나 혹은 필기구용으로 사용시에 길이를 원터치로 신속히 확장할 수 있어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콤팩트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펜(320)의 변형된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펜본체(321)의 출입공이 형성된 개방단(334)은 완전히 개방되고, 끼움개구(354)는 이 개방단까지 연장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펜심홀더(350)를 충분히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위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신문용 클립으로서의 기능이 주어지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상 열거한 펜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펜본체는 밀폐단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커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캡본체와의 결합시 진입깊이가 깊어질수록 결합력이 더욱 커지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구성은 도3 및 도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적용될 경우에는 슬라이더가 전진할수록 펜본체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필기구로서 사용할 때의 유격을 최소화 하여 안정된 필기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위 도1에서 예시한 바 있는 홀더(40)가 별도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크게 캡본체(430)와, 펜촉(410)그리고 펜(420)으로 구성된다. 캡본체(430)는 밀폐단(432)과 개방단(434)을 갖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통상의 걸림고리를 갖추고 있다.
상기 펜촉(410)은 원뿔형으로 형성되며 캡본체(430)내벽에 밀착, 임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압입케 되는 굵기로 몸통을 갖추고 후단에는 암나사(417)가 형성된다.
상기 펜(420)은 캡본체(430)에 길이방향으로 착탈됨과 동시에 선단에 펜촉(410)과 나사결합하는 숫나사(426)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는 펜(420)을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펜(420)과 함께 펜촉(410)이 캡본체(430)로부터 분리되므로 스타일러스 펜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펜(420)만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펜(420)을 회전시키면 펜촉(410)과의 나사결합부가 풀리게 된다. 이때 한손으로는 캡본체(430)의 외곽을 가압, 내벽을 펜촉(410)에 대해 밀착시켜 펜촉(410)의 회전을 억제시키는 것에 의해 펜(420)만이 원할하게 회전하여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펜(420)만을 이용하여 필기구로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이때 분리된 펜촉(410)은 상기 캡본체(430) 벽체(441)상의 내벽에 밀착되 SCO로 임시 보관케되고, 동시에 상기 벽체(441)관은 상기 펜촉(410)에 대한 홀더(440)가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540)를 캡본체(530)내에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주로 사출 성형되는 캡본체(530)의 가공시에 일체로 제작가능한 것으로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본체(630)의 홀더등이 위치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측면벽체 상으로 홀더 등 내용물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공(65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방공(651)은 펜과 펜촉과의 결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등을 손끝의 접촉을 통해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상태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가능케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일반 필기구를 공용토록하여 고안되어 일반 필기구를 별도로 보유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나아가 스타일러스 펜을 일반 필기구와 같이 포켓 등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특히, 슬라이더 형태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파지부 확보가 용이하고 현대인의 취향에 맞도록 콤팩트한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신문용클립에도 적용할 수 있는 등 유용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7)

  1. 밀폐단(32)과 개방단(34)을 갖는 원통형 캡본체(30)와,
    상기 캡본체(30)내부의 밀폐단(32)측에 회전이 제한되도록 삽입되며 일측이 개방되는 중공형의 홀더(40)와,
    상기 홀더(40)에 축방향으로 압입되며, 선단에는 팁(15)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암나사(17)가 형성되는 펜촉(10)과,
    상기 캡본체(30)에 길이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선단이 펜촉(10)과 나사결합하는 펜(20)으로 이루어진 스타일러스 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펜은,
    개방단과 밀폐단을 갖으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끼움개구(154)가 형성되는 펜본체(121)와,
    밀폐단으로부터 펜본체(121)의 축선을 따라 개방단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펜심(125)이 내장되고 선단에 숫나사(126)가 형성되는 펜심홀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펜은,
    출입공(229)이 형성된 마개(231)를 갖는 개방단과 개폐가능한 밀폐단을 갖으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내면에 다수의 걸림홈(254a)을 갖는 끼움개구(254)가 형성되는 펜본체(221)와,
    펜본체(22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더(222)와,
    후단이 슬라이더(222)에 고정되고 선단이 출입공(229)을 통해 펜본체(221)로부터 출몰하는 펜심홀더와,
    상기 슬라이더(222)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끼움개구(254)상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작동노브(2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펜본체의 출입공이 형성된 개방단(334)은 완전개방되고, 끼움개구(354)는 이 개방단까지 연장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내 밀폐단측 일정공간이 상기 펜촉(410)을 압입수용 가능케 되는 홀로 구성되고,
    상기 홀을 구성하는 일정부위의 벽체(441)관이 상기 펜촉(410)에 대한 홀더로 구비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캡본체내에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에 내장된 홀더 등에 대응하거나 홀더가 위치하는 벽체상 일정부위에는,
    상기 홀더 등의 내용물 부분을 외부로 노출 가능케 한 개 이상의 개방공(6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KR20-2003-0014787U 2003-05-03 2003-05-03 스타일러스 펜 KR200328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787U KR200328330Y1 (ko) 2003-05-03 2003-05-03 스타일러스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787U KR200328330Y1 (ko) 2003-05-03 2003-05-03 스타일러스 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330Y1 true KR200328330Y1 (ko) 2003-09-29

Family

ID=49416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787U KR200328330Y1 (ko) 2003-05-03 2003-05-03 스타일러스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3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1992B1 (en) Writing instrument
JP3192349B2 (ja) タッチ入力ペン
JP3398679B2 (ja) 筆記具用グリップ
US6664953B2 (en) Method and receptacle for receiving and releasing a pen
US20020158854A1 (en) Stylus pen for personal digital mobile device
EP2442211A1 (en) Computing device with stylus having a deformable elastic fixing device
JP2023040304A (ja) 筆記具
US6659673B1 (en) Writing instrument with combination pocket clip and stylus assembly
US20110227880A1 (en) Telescoping styl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328330Y1 (ko) 스타일러스 펜
JP2023054261A (ja) ペン型コンパス
JP5065773B2 (ja) 複合筆記具
JP3864838B2 (ja) 入力ペン内蔵筆記具
KR200397282Y1 (ko) 쉬트 디스펜서가 구비된 필기구
US6702500B1 (en) Writing instrument with combination pocket clip and stylus assembly
JPH10307643A (ja) タッチペンのロック装置
US6254295B1 (en) Dual-purpose pen
US20210094339A1 (en) Multi Pen Dry Erase Marker
KR100663123B1 (ko) 미니 볼펜
US20020021290A1 (en) Input pen
KR200366074Y1 (ko) 손가락에 끼워 쓰는 펜
JP7096412B2 (ja) タッチペン付き筆記具
WO2018193812A1 (ja) 2軸ボールペン
KR200232197Y1 (ko) 다용도 스타일러스 펜
KR200294779Y1 (ko) 캡 분리가 용이한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