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249Y1 - 봉걸레용 걸레 고정구 - Google Patents

봉걸레용 걸레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249Y1
KR200328249Y1 KR20-2003-0020718U KR20030020718U KR200328249Y1 KR 200328249 Y1 KR200328249 Y1 KR 200328249Y1 KR 20030020718 U KR20030020718 U KR 20030020718U KR 200328249 Y1 KR200328249 Y1 KR 200328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support
fixture
fixing plat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헌
Original Assignee
김진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헌 filed Critical 김진헌
Priority to KR20-2003-0020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2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2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걸레용 걸레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정구에 걸레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회전점을 중심으로 각도가 가변되는 지지대 고정구와 지지대를 형성하여, 걸레 고정판에 걸레를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핀으로 의해 지지대 고정구와 지지대의 각도가 가변되어 걸레 고정판이 쉽게 개방되므로, 사용자가 걸레 고정판에 걸레를 고정하거나 분리하는데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Description

봉걸레용 걸레 고정구{fixed for the mop}
본 고안은 봉걸레용 걸레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회전핀에 의하여 각도가 가변되어 걸레를 쉽게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지지대와 지지대 고정구를 형성한 걸레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걸레 고정구는 용수철 형태의 스프링에 결합된 손잡이가 스프링을 탄발을 이용하여 고정구에 걸레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스프링을 탄발 시키는 힘이 없는 어린이나 노약자는 사용이 힘든 문제점이 있으며, 스프링에 고전된 지지대와 고정구의 간격이 협소하여, 걸레를 상기 공간에 내입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걸레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스프링에 손이 끼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므로, 사용하는데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정구에 걸레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회전점을 중심으로 각도가 가변되는 지지대 고정구와 지지대를 형성하여, 걸레 고정판에 걸레를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서 지지대가 개방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지지대의 사용상태를 설명한 평면도로서
a는 지지대가 고정구에 결합된 상태
b는 지지대가 고정구에서 이탈된 상태
도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봉 내입구 2; 고정구 3; 걸림구 삽입부 4; 지지대 고정구
5,5'; 회전핀 6; 걸림구 7; 요홈부 8; 지지대
9; 고정돌기 10; 걸레 고정판 11; 봉 12; 걸레
봉 내입구(1)가 형성된 고정구(2)에 걸림구 삽입부(3)가 형성된 지지대 고정구(4)를 회전핀(5)으로 고정하고, 타 측에는 걸림구(6)와 요홈부(7)가 형성된 지지대(8)를 회전핀(5')으로 고정하며, 고정구(2) 전면에는 고정돌기(9)를 가지는 걸레 고정판(10)을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사용을 설명하면, 고정구(2)에 형성된 봉 내입구(1)에 손잡이로 사용될 일정길이의 봉(11)을 삽입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구(2)에 형성된 지지대 고정구(4)에 형성된 회전핀(5)을 이용하여, 지지대 고정구(4)의 각도를 회전핀(5)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지지대 고정구(4)의 걸림구 삽입부(3)에서 지지대(8)의 요홈부(7)와 걸림구(6)가 순차적으로 이탈되도록 하고, 지지대(8)를 고정하고 있는 회전핀(5')을 중심으로 지지대(8)를 회전하여, 걸레 고정판(10)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핀(5)(5')을 중심으로 회전된 지지대 고정구(4)와 지지대(8)를 개방한 상태에서, 고정구(2)에 결합될 걸레(12)의 중심부를 걸레 고정판(10)에 밀착한 상태에서, 지지대(8)와 지지대 고정구(4)를 처음 위치로 회전시켜, 지지대(8)의 요홈부(7)가 지지대 고정구(4)의 걸림구 삽입부(3)에 내입될 수 있도록 하고, 지지대(8)의 걸림구(6)가 지지대 고정구(4)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걸레 고정판(10)에 형성된 고정돌기(9)는, 걸레(12)가 걸레 고정판(10)과 지지대(8) 사이에 고정될 때에, 걸레 고정판(10)에 고정돌기(9)가 걸레(12)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지지대 고정구(4)와 지지대(8)를 결합하고 있는 회전핀(5)(5')은 리벳 방식으로 고정구(2)에 지지대 고정구(4)와 지지대(8)를 결합한 방법으로, 회전핀(5)(5')은 지지대 고정구(4)와 지지대(8)를 고정하는 수단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회전점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지지대(8)는 걸레(12)의 결합과 지지대 고정구(4)의 결합을 용이할 수 있도록 약간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된 것이며, 걸림구(6) 일면에는 만곡면을 형성하여, 지지대 고정구(4)와 지지대(8)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점(5)(5')에 의해 각도가 회전되는 지지대 고정구(4)와 지지대(8)를 형성한 본 고안은, 회전핀(5)(5')으로 의해 지지대 고정구(4)와 지지대(8)의 각도가 가변되어 걸레 고정판(10)이 쉽게 개방되므로, 사용자가 걸레 고정판(10)에 걸레(12)를 고정하거나 분리하는데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봉 내입구(1)가 형성된 고정구(2)에 걸림구 삽입부(3)가 형성된 지지대 고정구(4)를 회전핀(5)으로 고정하고, 타 측에는 걸림구(6)와 요홈부(7)가 형성된 지지대(8)를 회전핀(5')으로 고정하며, 고정구(2) 전면에는 고정돌기(9)를 가지는 걸레 고정판(10)을 결합하여서 된 봉걸레용 걸레 고정구.`
KR20-2003-0020718U 2003-06-30 2003-06-30 봉걸레용 걸레 고정구 KR200328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718U KR200328249Y1 (ko) 2003-06-30 2003-06-30 봉걸레용 걸레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718U KR200328249Y1 (ko) 2003-06-30 2003-06-30 봉걸레용 걸레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249Y1 true KR200328249Y1 (ko) 2003-09-26

Family

ID=49416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718U KR200328249Y1 (ko) 2003-06-30 2003-06-30 봉걸레용 걸레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2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3096Y1 (ko) 한 손으로 체결가능한 귀걸이
JP2000509506A (ja) 腕時計に時計バンドを取り付ける装置
KR200328249Y1 (ko) 봉걸레용 걸레 고정구
KR200453382Y1 (ko) 혁대용 버클
JP2002262921A (ja) 携帯品装着用の取付装置
US4528726A (en) Cuff link
JP3043338B1 (ja) 首飾りの装飾物固定環
JP6074238B2 (ja) ファスナー部材
USD455337S1 (en) Cord fastener
AU2010206091B2 (en) A Single-Hand Tablet Computer Manipulation Device
KR200409098Y1 (ko)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KR20110004275U (ko) 허리띠용 버클
JP2007209529A (ja) 磁石による連結具
JP2007209529A5 (ko)
CN210909613U (zh) 双柄式手工具
KR200261943Y1 (ko) 흡착판 달린 손잡이
JP3079143U (ja) 着脱把手構造
JP3094034U (ja) 装身具用連結構造
KR20100008345U (ko) 허리띠용 버클
TWI353223B (ko)
KR200220431Y1 (ko) 목걸이 잠금장치
KR200375213Y1 (ko) 열쇠
JP2007190328A (ja) モップ糸取付台
KR200418687Y1 (ko) 귀걸이
JPS5942910Y2 (ja) 装身具用の止め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