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942Y1 -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 - Google Patents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942Y1
KR200327942Y1 KR20-2003-0020812U KR20030020812U KR200327942Y1 KR 200327942 Y1 KR200327942 Y1 KR 200327942Y1 KR 20030020812 U KR20030020812 U KR 20030020812U KR 200327942 Y1 KR200327942 Y1 KR 200327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ow
crane
hanger
p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정
Original Assignee
신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정 filed Critical 신현정
Priority to KR20-2003-0020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9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9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the whol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8Tow ropes, chains or the like
    • B60D1/187Tow ropes, chain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to the towing vehicle or to the tra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60P1/54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견인차량의 측면위치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픽업용 크레인을 이용하여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탑재할 수 있고 탑재된 견인차량의 4바퀴를 받침 목으로 고정시킴으로써 견인차의 운행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유압시스템에 의해 360°자유롭게 회전되고 암(14)이 신축되는 통상의 픽업용 크레인(16)을 구비하는 견인차에 있어서, 상기 픽업용 크레인(16)의 암(14) 끝단에 360°회전되는 회전실린더(18)가 설치되고 이 회전실린더(18)의 축에는 하부로 연장된 수직부재(20)의 끝단에 좌우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행거(22)가 장착되고 이 행거(22)에 그 좌우로 이동되면서 핀(26)을 중심으로 접히는 2개의 포크(24)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scare truck for Parking violation}
본 고안은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위반차량의 측면에 근접 정지시킨 상태에서 들어올려 탑재한 후 운반하는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견인차는 주차금지구역에 주차된 차량을 차량의 전후방에서 견인하거나 탑재하여 견인차량보관소로 견인한 후 보관한다.
이러한 견인차는 무수히 많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들은 대부분이 차량의 전후방에서 차체프레임을 걸고리 등으로 걸고 리프트로 들어올려 견인하는 것인바 여러 대가 줄지어 주차된 차량 중에서 중간위치의 차량이 주차위반이라고 한다면 상기 주차위반차량의 전후에 위치한 차량을 이동시킨 후라야 가능했고, 또 주차위반차량의 도어를 강제로 열어야 하므로 차량의 손상은 물론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특히, 특수키로 된 차량의 경우는 도어를 열지 못하여 주차위반차량임에도 불구하고 견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킨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94-311호에는 유압에 의해 동작되는 픽업용 크레인이 구비된 견인차에 있어서, 상기 픽업용 크레인의 선단에 행거를 설치하고 그 행거의 양단에는 제1 견인차량의 타이어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와이어로 연결 설치하며, 데크의 후단부 저면에는 상하 전후로 이동 가능한 언더리프트를 구비하여 클램프로 제2 견인차량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공개특허공보의 견인차에 있어서는, 제1 견인차량을 견인하기 위해선 픽업용 크레인을 회전 및 연장시켜 행거 양단의 와이어를 제1 견인차량의 4바퀴에 하나씩 걸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너무 번거롭고 안정적이지 못하며, 또 제1 견인차량을 데크 상에 탑재시켰을 때 제1 견인차량은 단순 주차상태로서 견인차량보관소를 향하여 견인차의 운행시 급속 출발이나 급제동시 견인차의 데크에서 전/후방으로 이동되기 쉽고 이로 인하여 대형사고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견인차량의 측면위치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픽업용 크레인을 이용하여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탑재할 수 있고 탑재된 견인차량의 4바퀴를 받침 목으로 고정시킴으로써 견인차의 운행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1요부인 행거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행거에 대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클램프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견인차 12: 데크
14: 암 16: 픽업용 크레인
18: 회전실린더 20: 수직부재
22: 행거 24: 포크
26: 핀 28: 고무시트
30: 클램프장치 32: 레일
34: 받침목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는, 유압시스템에 의해 360°자유롭게 회전되고 암이 신축되는 통상의 픽업용 크레인을 구비하는 견인차에 있어서, 상기 픽업용 크레인의 암 끝단에 360°회전되는 회전실린더가 설치되고 이 회전실린더의 축에 좌우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행거가 장착되고 이 행거에 그 좌우로 이동되면서 핀을 중심으로 접히는 2개의 포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견인차의 데크에는 이 데크 위에 탑재된 견인차량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견인차의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설치되고 이 레일에 소정위치에서 세팅시킬 수 있는 받침목이 설치된 클램프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1요부인 행거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클램프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견인차(10)의 데크(12)에는 유압시스템에 의해 360°자유롭게 회전되고 다수의 암(14)이 각각의 실린더(15)에 의해 신축기능을 갖는 통상의 픽업용 크레인(16)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픽업용 크레인(16)의 암(14) 끝단에 360°회전되는 회전실린더(18)가 설치되어있고 이 회전실린더(18)의 축에서 하부로 연장된 수직부재(20)의 하단에는 좌우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수평부재인 행거(22)가 장착되어있다.
상기 행거(22)에는 수직부재(20)를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하나의 포크(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포크(24)는 좌우로 이동 가능함은 물론 핀(26)을 중심으로 제약 없이 접히는 구성인 슬라이더(23)상에 마련된다.
상기 포크(24)는 행거(22)중앙의 수직부재(20)를 향하여 접힐 때 서로 간섭없이 접히도록 어느 정도의 높이 차를 갖고 마련됨이 좋다. 예를 들어, 차량에서 중량이 많이 나가는 엔진부분 쪽의 포크(24)를 약간 높게 하여 무게중심이 약간 후방으로 이동되므로 균형을 유지시킴에 수월하다. 상기 포크(24)의 상면에는 견인차량의 차체를 들어올릴 때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시트(2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견인차(10)의 데크(12)에는 상기 데크(12) 위에 탑재된 견인차량(c)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견인차량(c)의 바퀴전후방에서 받쳐주는 클램프장치(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프장치(30)는 도 6와 같이, 견인차(10)의 길이방향으로 상면에 세팅용 홈(32a)을 갖는 레일(32)이 설치되어있고 이 레일(32)은 소정위치에서 세팅시킬 수 있는 래치(34a)를 갖는 4개의 받침 목(34)이 설치되어 있다.
부언하면, 상기 받침 목(34)에는 래치(34a)를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레일(3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래치(34a)를 내려놓으면 레일(32)상면의 세팅용 홈(32a)에 삽입되어 잠기도록 수동으로 세팅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 목(34)은 픽업용 크레인(16)측의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를 이용하여 견인차량의 탑재과정을 참고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견인하고자 하는 차량, 즉 견인차량(c)의 측면에 본 고안의견인차(10)를 정지시킨 다음, 픽업용 크레인(16)을 조작하여 견인하고자 하는 견인차량(c)의 측면과 암(14)끝단의 회전실린더(18)의 축에서 연장된 수직부재(20)하단의 행거(22)가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행거(22)를 하강 정지시킨 후엔 행거(22)의 포크(24)를 회전시켜 견인차량(c)의 차체 하부에 위치시키고, 픽업용 크레인(16)을 조작하여 포크(24)가 견인차량(c)의 차체와 닿도록 한 후 균형을 유지시키면서 서서히 들어올려 본 고안인 견인차(10)의 데크(12)위에 탑재한다. 이때, 데크(12)상의 레일(32)에 설치된 받침 목(34)은 래치(34a)를 상부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서로 한 쌍을 이루는 받침 목(34)이 충분히 벌려진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받침 목(34)을 이동시켜 견인차(10)의 데크(12)위에 탑재된 견인차량(c)의 앞/뒷바퀴를 향하여 그 전방과 후방에서 떠받치도록 하여 세팅 고정시킨다. 이때, 받침 목(34)을 견인차량(c)의 앞/뒷바퀴를 향하여 그 전방과 후방에서 떠받치도록 밀 때에는 래치(34a)가 걸리지 않는 상태이므로 래치(34a)를 들어올릴 필요 없이 밀어도 이동된다.
이와 같이 견인차(10)의 데크(12)위에 견인차량(c)을 탑재하여 세팅 고정시킨 상태에서 운송 견인하는 것이므로 견인차량(c)에 어떠한 손상의 염려 없이 안전하고도 간편함은 물론 신속하게 견인차량보관소까지 견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견인차(10)의 데크(12)에 견인차량(c)을 탑재하여 목적지까지 이동한 후 픽업용 크레인(16)을 조작하여 견인하고자 하는 견인차량(c)의 측면과 암(14)끝단의 회전실린더(18)의 축에서 연장된 수직부재(20)하단의 행거(22)가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행거(22)를 하강 정지시킨 후엔 행거(22)의 포크(24)를 회전시켜 견인차량(c)의 차체 하부에 위치시키고, 픽업용 크레인(16)을 조작하여 포크(24)가 견인차량(c)의 차체와 닿도록 한 후 균형을 유지시키면서 서서히 들어올렸다가 본 고안인 견인차(10)의 데크(12)위에서 내려놓으면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는, 견인차량의 측면위치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픽업용 크레인을 이용하여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탑재할 수 있고 탑재된 견인차량의 4바퀴를 받침 목으로 고정시킴으로써 견인차의 운행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유압시스템에 의해 360°자유롭게 회전되고 암(14)이 신축되는 통상의 픽업용 크레인(16)을 구비하는 견인차에 있어서,
    상기 픽업용 크레인(16)의 암(14) 끝단에 360°회전되는 회전실린더(18)가 설치되고 이 회전실린더(18)의 축에는 하부로 연장된 수직부재(20)의 끝단에 좌우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행거(22)가 장착되고 이 행거(22)에 그 좌우로 이동되면서 핀(26)을 중심으로 접히는 2개의 포크(24)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차(10)의 데크(12)에는 이 데크(12) 위에 탑재된 견인차량(c)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견인차(10)의 길이방향으로 레일(32)이 설치되고 이 레일(32)에 소정위치에서 세팅시킬 수 있는 받침 목(34)이 설치된 클램프장치(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
KR20-2003-0020812U 2003-06-30 2003-06-30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 KR200327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812U KR200327942Y1 (ko) 2003-06-30 2003-06-30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812U KR200327942Y1 (ko) 2003-06-30 2003-06-30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539A Division KR100545031B1 (ko) 2003-06-30 2003-06-30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942Y1 true KR200327942Y1 (ko) 2003-09-26

Family

ID=49415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812U KR200327942Y1 (ko) 2003-06-30 2003-06-30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9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3082B2 (en) Wheel lift with laterally movable, rotatable swivel arm wheel scoops
US3542413A (en) Apparatus for storing spare wheels under vehicles
US20040105746A1 (en) Wheel lift with laterally movable, rotatable swivel arm wheel scoops
US7063494B2 (en) Truck bed design for automotive and equipment delivery
US4087007A (en) Cargo platform system
CN103434434B (zh) 多功能清障车
CN105691277B (zh) 隧道清障车
KR100545031B1 (ko)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
CN206254988U (zh) 叉车式移车器
KR200327942Y1 (ko)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
US6698996B2 (en) Truck bed design for automotive and equipment delivery
KR20200021847A (ko)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
US20060284393A1 (en) Truck bed design for automotive and equipment delivery
US2808160A (en) Vehicle hoisting and towing dolly
US3912099A (en) Spare tire carrier means
CN108609062B (zh) 具有稳定系统的分拆式污泥运输车及其方法
JPH0114485Y2 (ko)
CN212458887U (zh) 一种汽车侧翻试验台
KR200217839Y1 (ko) 견인차량
JP3034305U (ja) 車載リフト
JP3060280B2 (ja) 道路走行車輌の荷役用移動リフト積載装置
CN213676535U (zh) 一种可倾式自行车架
KR200284543Y1 (ko) 견인차량의 전륜 리프팅장치
JPH01132435A (ja) 車輌運搬方法
US20240083395A1 (en) Flat tire bud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