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723Y1 - 낙석방지책의 보강 및 수리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고정편 - Google Patents
낙석방지책의 보강 및 수리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고정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7723Y1 KR200327723Y1 KR20-2003-0020478U KR20030020478U KR200327723Y1 KR 200327723 Y1 KR200327723 Y1 KR 200327723Y1 KR 20030020478 U KR20030020478 U KR 20030020478U KR 200327723 Y1 KR200327723 Y1 KR 20032772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ed
- fixing piece
- bracket
- reinforcing member
- shap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낙석방지책에 있어서, '
'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의 연결부는 보강부재 또는 기초볼트에 체결되기 위하여 'U'형 또는 홈이 형성되고, 하부의 개방부는 빔의 횡간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ㄷ'형으로 이루어지는 낙석방지책의 보강 및 수리용 고정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낙석방지책의 보강 및 수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지책의 보강구조를 도입하여 낙석이 도로에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방지책이 손상되는 경우 손상부분만을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는 낙석방지책의 고정편 및 구조적 수리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낙석은 산이나 언덕과 같은 지형을 절개하여 시설물 또는 도로 등을 시공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데 국토의 70%가 산악지형인 대한민국의 지형적 특성상 산을 관통한 도로가 특히 많이 준설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장소는 비탈진 절개면의 손상(강우 또는 절개면의 안전조치 미흡 등)으로 낙석 또는 산사태 등의 위험요소가 항상 내재되어 있어 도로의 손상뿐만 아니라 주행중인 차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인명손실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번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절개면의 안정화 공사가이루어지며 2차적으로 도로 가장자리에 낙석방지책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방지책은 지면으로부터 일정길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I 빔을 설치히고 상기 지주에 두 개의 결합공을 형성시켜 일정 길이만큼 이격되게 형성하고 다음 상기 결합공 사이에 와이어를 위치시키고 그 위에 능형망(철망)을 고정시켜 설치한 것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낙석이 발생되는 경우 실제 상기 방지책의 하부 특히 하단부로 하중이 집중되어 손상 발생이 일어나는 부분도 특정부분에 한정될 뿐만 아니라 와이어 등으로 보강이 이루어지나 보강력이 낙석의 낙하되는 힘보다 강하지 못한 경우가 많아 도로에 낙석이 유실되고 하자 보수시에도 다수의 빔에 결쳐 형성된 와이어, 망, 빔을 모두 제거하여야함으로 홰손된 방지팩이 신속히 보수되지 못하고 방치되고 있고 또한 보수에 과다한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낙석방지책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예방목적을 전혀 달성하고 있지 못하였다.
결국 종래의 구조에서 임시적이라도 간이하게 보수할 수 있는 구조가 시급히 요청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개발이 소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낙석방지책의 보강 및 수리구조로서 와이어 또는 기초볼트를 빔에 고정밀착시키는 고정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낙석에 의해 방지책이 손상된 경우 손상된 부분만을보수할 수 있어 보수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리구조 및 고정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낙석방지책에 병설하여 설치될 수 있는 낙석방지책의 수리구조 및 고정편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낙석방지책에 있어서, '
'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의 연결부는 보강부재 또는 기초볼트에 체결되기 위하여 'U'형 또는 홈이 형성되고, 하부의 개방부는 빔의 횡간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ㄷ'형으로 이루어지는 낙석방지책의 보강 및 수리용 고정편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정편가 와이어형 또는 판형 중 어느 한 형으로 이루어지는 고정편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낙석방지책에 있어서, 일 말단은 볼트체결을 위하여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타 말단은 빔의 횡간과 연결되기 위하여 '??'형으로 형성된 보강부재와 상기 고정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부재에서 '??'형으로 절곡된 부분은 일 빔의 횡간에 체결되고 타 말단의 나사선이 형성된 부분은 고정편의 연결부에 삽입되고 고정편의 개방부는 인접 빔의 횡간에 체결된 후 상기 보강부재는 고정편과 너트 및 와셔에 의해 체결되는 낙석방지책의 보강 및 수리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구조가 다수의 빔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연결부재는 고정편의 연결부의 외측 에 위치하고 고졍편이 체결된 빔의 타 횡간에 연속적으로 체결되는 연결부재는 고정편의 연결부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구조를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낙석방지책에 있어서, 빔에 'U'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래킷이 고정되고, L형 기초볼트는 일 빔의 브래킷과 다음 빔의 브래킷에 삽입되며, 기초볼트의 L형 절곡부는 브래킷의 외주면에 결착고정되고, 나산선이 형성된 나사부는 인접한 브래킷에 너트로 체결고정되며, '
'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U'형 또는 홈이 형성된 연결부는 상기 기초볼트의 나사부에 체결되고 'ㄷ'형으로 이루어진 개방부는 빔의 횡간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낙석방지책의 보강 및 수리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고졍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판형 고정편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판형 고정편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편의 체결상태도.
도 5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편 및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낙석방지책이 수리된 구조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편의 체결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편이 체결되어 수리되는 브래킷과 기초볼트의 체결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20, 30 : 고정편 12 : 개방부
14 : 연결부 18 : 연결홈
16 : 보강부재 40 : 브래킷
42 : 만곡부 50 : 기초볼트(L 형)
52 : 나사부 54 : 절곡부
56 : 와셔 58 : 너트
60 : 빔 62 : 횡간
70 : 능형망 80 : 와이어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편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고정편은 '
'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고정편(10, 20)은 하부에 'ㄷ'형으로 이루어져빔에 체결고정되는 개방부(12)와 상부에 보강부재(16) 또는 기초볼트(50)에 체결되기 위하여 'U'형 또는 장공이 형성된 연결부(1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개방부(12)는 빔(60)의 횡간(62)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연결부(14)는 후술할 보강부재(16) 또는 기초볼트에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편(10, 20)은 도 1과 같이 와이어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고정편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판상에 연결부(14)에 형성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그 형상은 'U'형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는 다수의 빔에 연속적인 설치보수를 요할 경우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편(30)은 도 3과 같이 연결부(14)에 연결홈(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단일 보강수리구조에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편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다수의 빔에 보강 및 수리를 요하는 예중 2개의 빔을 예로서 도시한 것이다. 빔(60)간에 연결된 와이어 (80)및 능형망(70)이 낙석에 의해 홰손되어 있어 이를 보강부재(16)와 고정편(10, 20)으로 수리하는 것이다. 보강부재(16)는 기초볼트일 수 있으며 일 말단은 볼트체결을 위하여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타 말단은 빔(60)의 횡간(62)과 연결되기 위하여 'ㄷ'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ㄷ'형으로 절곡된 부분은 일 빔의 횡간에 체결되고 타 말단의 나사선이 형성된 부분은 고정편의 연결부(14)에 삽입되고 고정편의 개방부(12)는 인접 빔의 횡간(62)에 체결된 후 보강부재(16)는 고정편(10, 20)과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가 다수의 빔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기 위해서는 연결부재(16)는 고정편의 연결부(14)의 외측 즉 'U'형의 만곡부에 위치하고 고졍편이 체결된 빔의 타 횡간에연속적으로 체결되는 연결부재는 고정편의 연결부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는 상기 고정편과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손상된 낙석방지책을 보강·수리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손상된 부분에 따라 기존 손상된 설비의 철거없이도 일 이상의 설치가 임의적으로 가능하다는 점에서 방지책을 손쉽게 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편(10, 20)을 이용한 낙석방지책의 수리구조를 설명하는 것으로 빔(60)에는 일 이상의 'U'형 브래킷(40)이 빔(60)상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방식은 나사방식등 다양한 방식이 도입될 수 있으나 빔 상에 나사체결을 위하여 삽입공을 별도로 형성시키는 경우 빔의 강도 저하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용접결합방식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40)은 통상 설치되는 와이어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설치 간격의 1/2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 빔(60)에 브래킷(40)이 설치되면 인접 빔간의 거리만큼의 길이를 갖는 L형 기초볼트(50)가 일 빔의 브래킷과 인접 빔의 브래킷들에 삽입된다. 기초볼트(50)는 일 말단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부(52)와 타 말단에 L형 절곡부(54)가 형성된 것이다. 다음 브래킷에 삽입된 기초볼트(50)는 나사부(52)가 와셔(56)와 너트(58)로서 체결 고정되고, 절곡부(54)는 일 브래킷의 외주면에 걸치는 구조로 형성된다. 기초볼트의 연속체결형태는 도 6과 같이 기초볼트(50)의 나사부(52)는 브래킷(40)의 만곡부(42)에 위치하고 절곡부(52)는 브래킷의 내측에 위치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빔(60)의 횡간(62)에 고정편(10)의 개방부(12)가 삽입 고정되고, 기초볼트(50)의 나사부(52)에 고정편(10)의 연결부(12)가 삽입된 후 와셔(54)와 볼트(56)로 고정됨으로서 고정편(10)은 낙석방지책에 설치된다.
도 8은 상기 낙석방지책에 고정편이 설치된 정면도로서 A 구역은 낙석에 의해 훼손된 와이어와 능형망을 나타낸 것이고 B 구역은 본 고안에 의한 고정편(10)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B 구역에서 손상된 와이어(80)의 대용으로 기초볼트(50)가 형성되고 여기에 고정편(10)이 체결되어 방지책에 수리가 이루어진 구조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고정편은 파손되지 아니한 구조에서도 보강구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빔, 브래킷, 기초볼트, 고정편이 서로 일체를 이루게되는 구조가 되어 낙석에 의한 하중이 분산되어 방지책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책의 고정편은 종래 방지책의 구조에서 손상된 설비를 전면적으로 철거하지 않고도 수리할 수 있으므로 간이한 구조로서 파손된 방지책을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빔 단위로 체결되는 보강부재를 사용함으로서 훼손단위 별로 보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손상되지 아니한 부분까지 보수 및 철거 작압이 이루어지던 종래 방식에 비해 보수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구조를 방지책이 손실된 경우 외에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이러한경우 빔, 브래킷, 보강부재(기초볼트), 능형망, 고정편 모두 낙석의 하중이 분산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낙석이 도로에 유실됨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인명사고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5)
- 낙석방지책에 있어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의 연결부는 보강부재 또는 기초볼트에 체결되기 위하여 'U'형 또는 홈이 형성되고, 하부의 개방부는 빔의 횡간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ㄷ'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책의 보강 및 수리용 고정편.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정편은 와이어형 또는 판형 중 어느 한 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편.
- 낙석방지책에 있어서,일 말단은 볼트체결을 위하여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타 말단은 빔의 횡간과 연결되기 위하여 'ㄷ'형으로 형성된 보강부재와제1항 또는 제2항에 의한 고정편으로 이루어지되,상기 보강부재에서 'ㄷ'형으로 절곡된 부분은 일 빔의 횡간에 체결되고 타 말단의 나사선이 형성된 부분은 고정편의 연결부에 삽입되고 고정편의 개방부는 인접 빔의 횡간에 체결된 후 상기 보강부재는 고정편과 너트 및 와셔에 의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책의 보강 및 수리구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구조가 다수의 빔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연결부재는 고정편의 연결부의 외측 에 위치하고 고졍편이 체결된 빔의 타 횡간에 연속적으로 체결되는 연결부재는 고정편의 연결부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 낙석방지책에 있어서,빔에 'U'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래킷이 고정되고,L형 기초볼트는 일 빔의 브래킷과 다음 빔의 브래킷에 삽입되며, 기초볼트의 L형 절곡부는 브래킷의 외주면에 결착고정되고, 나산선이 형성된 나사부는 인접한 브래킷에 너트로 체결고정되며, ''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U'형 또는 홈이 형성된 연결부는 상기 기초볼트의 나사부에 체결되고 'ㄷ'형으로 이루어진 개방부는 빔의 횡간에 삽입되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책의 보강 및 수리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0478U KR200327723Y1 (ko) | 2003-06-27 | 2003-06-27 | 낙석방지책의 보강 및 수리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고정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0478U KR200327723Y1 (ko) | 2003-06-27 | 2003-06-27 | 낙석방지책의 보강 및 수리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고정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7723Y1 true KR200327723Y1 (ko) | 2003-09-22 |
Family
ID=49415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0478U KR200327723Y1 (ko) | 2003-06-27 | 2003-06-27 | 낙석방지책의 보강 및 수리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고정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7723Y1 (ko) |
-
2003
- 2003-06-27 KR KR20-2003-0020478U patent/KR20032772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52823B2 (en) | Purlin bracing system for metal building roof | |
US7748681B2 (en) | Support post assembly with hinge plate and mounting bracket assembly | |
KR100671429B1 (ko) | 전단벽 수평지지 구조 | |
KR100946212B1 (ko) | 교통시설물 설치용 가로보의 설치구조 | |
KR200327723Y1 (ko) | 낙석방지책의 보강 및 수리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고정편 | |
KR200230916Y1 (ko) | 방호시설장치 | |
KR20060135582A (ko) | 분리형 와이어 로프를 가지는 낙석방지망 | |
WO2020157074A1 (en) | Road restraint system with elements for anchorage of the poles to improve performance | |
KR101706561B1 (ko) | 보수가 가능한 낙석 방지망 | |
KR100647219B1 (ko) |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의 후크볼트 | |
KR200397552Y1 (ko) | 고강도 낙석방지책 | |
KR101036910B1 (ko) | 볼트형 고장력 경강선을 이용한 낙석 방지책 | |
KR200409296Y1 (ko) | 펜스 고정구 | |
KR200332949Y1 (ko) | 낙석방지책의 와이어 고정구 | |
KR200327653Y1 (ko) | 낙석방지책의 보강구조 | |
JP2013147797A (ja) | 防護柵 | |
KR200197289Y1 (ko) | 낙석방지책 | |
KR200346218Y1 (ko) |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조임장치 | |
JP6449945B2 (ja) | 車線分離体、及びその車線分離体の施工方法 | |
KR200346219Y1 (ko) | 수직형 낙석방지책 | |
KR20060053030A (ko) | 네트형 슬래브 외부 강선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 |
KR100597776B1 (ko) | 고강도 낙석방지책 | |
KR200329004Y1 (ko) | 낙석방지책의 와이어 고정구조 | |
KR100440622B1 (ko) | 교량빔의 보강공법 및 그 장치 | |
JP3875516B2 (ja) | 外装パネルの落下防止構造とその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915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