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471Y1 - 사출성형용 금형 - Google Patents

사출성형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471Y1
KR200327471Y1 KR20-2003-0019516U KR20030019516U KR200327471Y1 KR 200327471 Y1 KR200327471 Y1 KR 200327471Y1 KR 20030019516 U KR20030019516 U KR 20030019516U KR 200327471 Y1 KR200327471 Y1 KR 2003274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olding
cavity
injection
gate
upp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20-2003-0019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4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4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8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6Moulds having annular mould ca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출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분할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코어와 하코어사이의 내부에 캐비티가 형성되고, 캐비티로 사출되는 용융수지를 흐르도록 상코어 내부에 수직되게 게이트 스프루가 형성되며, 게이트 스프루의 하단과 캐비티를 연통되게 연결하도록 상코어 내부에 핀포인트 게이트가 형성되는 사출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상코어에서 핀포인트 게이트의 형성부위에 하방으로 잔량노출방지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잔량노출방지부가 성형품의 사출잔량의 형성부위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사출잔량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출성형시 성형품에 존재하는 사출잔량이 표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른 제품과의 조립시 걸리거나 긁히지 않으며, 사출잔량 제거를 위한 후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사출성형용 금형{METAL MOLD FOR AN INJECTION MOLDING}
본 고안은 사출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출성형시 성형품에 존재하는 사출잔량이 표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기에 사용되는 금형은 분할가능한 상코어와 하코어를 한쌍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상코어와 하코어 사이의 내부에 성형품의 형상에 상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용융수지가 충전되는 캐비티(cavity)와, 캐비티를 향하여 용융수지를 유동시키는 게이트 스프루(gate sprue)와, 게이트 스프루를 통과한 용용수지를 캐비티 내부로 사출시키는 핀포인트 게이트(pin point gate)가 형성된다.
종래의 사출성형기에 사용되는 금형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사출 완료후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사출성형용 금형(10)은 상코어(11)와 하코어(12)가 서로 분할될 수 있도록 서로 상하로 분리되도록 면접되어 있으며, 상코어(11)의 내부에 캐비티(13)가 형성되며, 게이트 스프루(14)와 핀포인트 게이트(15)는 용융수지를 캐비티(13)의 상부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코어(11)내에 수직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사출성형용 금형(10)은 형틀체결기구에 의하여 체결되어 사출성형하며, 복수개의 성형품(1)을 동시에 얻고자 할 경우에는 복수개의 캐비티(13)를 형성함과 아울러 캐비티(13)들은 게이트 스프루(14)를 통하여 사출성형용 금형(10)의 상단 중앙에 있는 스풀(미도시)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사출성형용 금형(10)을 이용하여 성형을 실시하는 경우에 사출성형용 금형(10)내로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게이트 스프루(14)와 핀포인트 게이트(15)를 통하여 캐비티(13)내로 주입하고, 주입된 용융수지는 캐비티(13)내로 충진됨으로써 성형품(1)을 형성한다.
캐비티(13)내에 성형품(1)이 형성되면 상코어(11)와 하코어(12)를 서로 분리하여 성형품(1)을 캐비티(13)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사출성형용 금형(10)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출완료후 성형품(1)의 표면에 용융수지가 흘러가서 사출잔량(a)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성형품(1)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된 사출잔량(a)은 사용자가 접촉시 자극을 주거나 심지어는 상처를 입힐 뿐만 아니라 다른 제품과의 조립시 걸리거나 긁히게 됨으로써 칼, 끌, 니퍼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후가공 공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과 작업에 따른 시간의 소요를 초래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출성형시 성형품에 존재하는 사출잔량이 표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른 제품과의 조립시 걸리거나 긁히지 않으며, 사출잔량 제거를 위한 후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사출성형용 금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분할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코어와 하코어사이의 내부에 캐비티가 형성되고, 캐비티로 사출되는 용융수지를 흐르도록 상코어 내부에 수직되게 게이트 스프루가 형성되며, 게이트 스프루의 하단과 캐비티를 연통되게 연결하도록 상코어 내부에 핀포인트 게이트가 형성되는 사출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상코어에서 핀포인트 게이트의 형성부위에 하방으로 잔량노출방지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잔량노출방지부가 성형품의 사출잔량의 형성부위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사출잔량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사출 완료후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사출 완료후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상코어 120 : 하코어
130 : 캐비티 140 : 게이트 스프루
150 : 핀포인트 게이트 160 : 잔량노출방지부
이하,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사출 완료후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는, 상코어(110)와 하코어(120)사이의 내부에 캐비티(cavity; 130)가 형성되고, 캐비티(130)로 사출되는 용융수지를 흐르도록 상코어(110) 내부에 수직되게 게이트 스프루(gate sprue; 140)가 형성되며, 게이트 스프루(140)의 하단과 캐비티(130)를 연통되게 연결하도록 상코어(110) 내부에 핀포인트 게이트(pin point gate; 150)가 형성되며, 상코어(110)에서 핀포인트 게이트(150)의 형성부위에 하방으로 잔량노출방지부(160)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잔량노출방지부(160)는 상코어(110) 하단의 캐비티(130)를 이루는 부위에 핀포인트 게이트(150)와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되며, 캐비티(130)내에 위치함으로써성형품(1)의 사출잔량(a)의 형성부위에 홈(b)을 형성한다.
잔량노출방지부(160)는 돌출된 높이(H)가 성형품(1)의 두께를 이상이어서는 안되며, 바람직하게는 0.5mm ∼ 1.0mm 정도이다.
잔량노출방지부(160)는 반구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핀포인트 게이트(150)로부터 용융수지의 사출 및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사출성형용 금형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사출성형용 금형(100)내로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게이트 스프루(140)를 통해 핀포인트 게이트(150)내로 주입하고, 핀포인트 게이트(150)내로 주입된 용융수지는 캐비티(130)내에 충진됨으로써 성형품(1)을 형성한다.
이 때, 잔량노출방지부(160)가 핀포인트 게이트(150)의 형성부위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핀포인트 게이트(150)에 인접하는 성형품(1) 표면에 홈(b)을 형성한다.
캐비티(130)내에 성형품(1)이 형성되어 상코어(110)와 하코어(120)를 서로 분리시 성형품(1)의 표면에 형성되는 사출잔량(a)은 잔량노출방지부(160)에 의해 형성된 홈(b)내에 형성됨으로써 사출잔량(a)은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다른 제품과의 조립시 걸리거나 긁히지 않으며, 사출잔량 제거를 위한 후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잔량노출방지부(160)는 반구형상을 가짐으로써 핀포인트 게이트(150)로부터 캐비티(130)로 용융수지의 사출 및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은 사출성형시 성형품에 존재하는 사출잔량이 표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른 제품과의 조립시 걸리거나 긁히지 않으며, 사출잔량 제거를 위한 후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분할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코어와 하코어사이의 내부에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로 사출되는 용융수지를 흐르도록 상기 상코어 내부에 수직되게 게이트 스프루가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스프루의 하단과 상기 캐비티를 연통되게 연결하도록 상기 상코어 내부에 핀포인트 게이트가 형성되는 사출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코어에서 상기 핀포인트 게이트의 형성부위에 하방으로 잔량노출방지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잔량노출방지부가 성형품의 사출잔량의 형성부위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사출잔량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노출방지부는 반구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
KR20-2003-0019516U 2003-06-20 2003-06-20 사출성형용 금형 KR2003274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516U KR200327471Y1 (ko) 2003-06-20 2003-06-20 사출성형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516U KR200327471Y1 (ko) 2003-06-20 2003-06-20 사출성형용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471Y1 true KR200327471Y1 (ko) 2003-09-19

Family

ID=49415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516U KR200327471Y1 (ko) 2003-06-20 2003-06-20 사출성형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4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033B1 (ko) * 2011-03-10 2013-08-05 에이테크솔루션(주) 경사진 내측 측면들을 지닌 사출압축성형 금형
KR101562773B1 (ko) * 2008-09-17 2015-10-22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사이드뷰 led 패키지 및 그것의 몸체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 세트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773B1 (ko) * 2008-09-17 2015-10-22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사이드뷰 led 패키지 및 그것의 몸체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 세트 및 방법
KR101293033B1 (ko) * 2011-03-10 2013-08-05 에이테크솔루션(주) 경사진 내측 측면들을 지닌 사출압축성형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78376A1 (en) Injection mold device
KR200327471Y1 (ko) 사출성형용 금형
JP2006096025A (ja) 厚肉成形品の射出成形方法
CN211842949U (zh) 放大镜模具结构
US20060292260A1 (en) Gating structure for mold
KR100370537B1 (ko) 합성수지용 사출금형
KR200194537Y1 (ko) 사출금형의 절단형 런너 게이트구조
KR100658203B1 (ko) 사출금형의 게이트 구조
CN212072799U (zh) 一种伺服器开关按键模具
KR100465719B1 (ko) 세탁기 리드의 후크 구조
CN214324000U (zh) 一种用于咖啡机控制盘的注塑模具
CN106426774A (zh) 具有冷却装置的汽车前门用注塑模具
CN214000418U (zh) 一种铜排注塑模具的侧抽芯结构
CN208392548U (zh) 一种盲镶式牛角进浇口
CN213006361U (zh) 一种挂壁式三角置物架生产用模具
JP2652254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製造方法
KR200270248Y1 (ko) 필기구용 러버 사출금형구조
CN205572890U (zh) 一种指甲油瓶肩注塑模板
CN206953450U (zh) 用于注塑双金属绝缘嵌件的模具滑块结构
JP2005297466A (ja) プラスチック成形金型及びプラスチック成形方法
JP4209663B2 (ja) 射出成形方法及び装置
KR100906816B1 (ko) 언더컷 처리용 핫 런너 사출금형
JPS60161123A (ja) 筒状厚肉樹脂成形品の射出成形用金型
JPH07314499A (ja) 射出成形金型
JP2003211498A (ja) 二色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