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430Y1 -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430Y1
KR200326430Y1 KR20-2003-0018166U KR20030018166U KR200326430Y1 KR 200326430 Y1 KR200326430 Y1 KR 200326430Y1 KR 20030018166 U KR20030018166 U KR 20030018166U KR 200326430 Y1 KR200326430 Y1 KR 200326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ulator
core
mold apparatus
runners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구
황성일
Original Assignee
김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구 filed Critical 김선구
Priority to KR20-2003-0018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4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4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8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Office equipment or accessories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구용 레귤레이터의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캐비티가 형성된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가 중간에 설치된 상원판 및 하원판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필기구용 레귤레이터의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8)는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슬라이드코어편(82)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상원판(6)에 다수의 런너(62)를 형성하며, 이 런너(62)에 연통되는 다수의 게이트(64)를 형성시켜서 이루어진 것이며, 제품의 손상이 없이 탈형이 용이하고, 다수의 런너와 게이트를 통해 다수의 캐비티에 동시에 원료를 공급함으로써 온도변화에 따른 불량률을 최소화시키면서 다수의 완제품을 성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 { a mold for aqueous pen's regulator }
본 고안은 필기구용 레귤레이터의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성필기구에 적용되는 레귤레이터를 성형시키기 위한 필기구용 레귤레이터의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필기구는 유성펜과 수성펜, 중성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에는 소비자의 기호가 수성펜으로 바뀌고 있는 실정인 바 수성펜에는 잉크가 항상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레귤레이터가 장착된다.
그런데, 이러한 레귤레이터를 생산하는 종래 금형장치는 부피가 커서 원재료의 소비량 및 가공비가 상승하게 되고, 사출기 장착에 필요한 취부가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레귤레이터 성형을 위한 금형장치를 소형화, 단순화 시키고, 사출시 금형취부가 간단하고, 레귤레이터의 초정밀 성형을 통한 품질향상과 원재료의 소비량을 최소화 함으로써 원가를 절감시킬수 있도록 한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대한 부분절개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도 1에서 상원판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코아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의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수성펜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상판 3 : 고정볼트
4 : 상고정판 5 : 써포트핀
6 : 상원판 8 : 코어부
10 : 하원판 11 : 제2코어
12 : 받침판 14 : 상부 이젝트판
16 : 하부 이젝트판 18 : 이젝트핀
30 : 가이드핀 62 : 런너
64 : 게이트 82 : 슬라이드 코어편
84 : 슬라이드코어 100 : 레귤레이터
820 : 캐비티 820a, 820b : 캐비티용 홈
840 : 안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캐비티가 형성된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갖는 상원판 및 하원판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필기구용 레귤레이터의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슬라이드코어편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상원판에 다수의 런너를 형성하며, 이 런너에 연통되는 다수의 게이트를 형성시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캐비티를 형성하는 다수의 슬라이드코어편이 적층되어 코어부를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손상이 없이 탈형이 용이하며, 다수의 런너와 게이트를 통해 다수의 캐비티에 동시에 원료를 공급함으로써 온도변화에 따른 불량률을 최소화시키면서 다수의 완제품을 성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대한 부분절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도 1에서 상원판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코아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의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A)는, 다수의 서포트핀(5)이 구비된 상판(2)의 하측에 상고정판(4)을 체결시킨 후 그 하측에 상원판(6)을 고정 설치한다.
상기 상원판(6)의 하측에는 하원판(10)이 위치되고, 상기 하원판(10)의 하측에는 받침판(12)이 결합되고, 상기 받침판(12)의 내측에는 상,하부 이젝트판(14,16)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원판(6)과 하원판(10)의 사이에는 코어부(8)가 설치된 채 암,수로 된 복수의 고정볼트(3)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상원판(6)의 상면에는 다수의 런너(62)가 형성되고, 이 런너(62)에 연통되는 다수의 게이트(64)를 형성시켰으며, 게이트(64)의 끝단은 하면의 제1코어(65)와 연결시킴으로써 캐비티(820)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게이트(64)는 경사지게 형성시킴으로써 원료의 투입이 완만하게 이루어져 기포의 발생이 배제되도록 하였다.
상기 코어부(8)는 다수의 슬라이드코어편(82)을 슬라이드코어(84)의 안착부(840)에 적층시킨 후 상,하부측에서 각각 체결볼트(86)로 체결시켜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코어편(82)은 일측에 다수의 캐비티용 홈(820a,820b)이 형성된 것이며, 캐비티용 홈(820a,820b)은 제품(레귤레이터)의 각 부위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사이즈를 달리하여 형성된다.
즉, 레귤레이터(100)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환형돌기(110)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상기 환형돌기(110)를 성형시키기 위해 다수의 슬라이드코어편(82)을 적층시켜서 코어부(8)를 형성시킨 것이다.
상기 하원판(10)의 상면에는 상기 코어부(8)의 캐비티(820)에 연통되는 제2코어(11)가 형성됨으로써 제품(레귤레이터)(100)의 하단부를 성형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비티(820)를 직렬로 4개 형성시키고, 각 캐비티(820)에 대응하도록 게이트(64)와 런너(62)를 형성시켰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캐비티(820)를 병렬로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캐비티(820)를 다수로 형성시킴으로써 일시에 다수의 제품(레귤레이터)(100)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받침판(12)의 내측에는 이젝트핀(18)이 수직으로 장착된 상부 이젝트판(14)과 그 하측의 하부 이젝트판(16)이 설치된다.
상기 상원판(6)에는 복수의 가이드핀(30)이 경사지게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측의 하원판(10)에는 상기 가이드핀(30)이 끼워지는 삽입공(13)이 형성됨으로써 상원판(6)과 하원판(10)이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A)는 사출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런너(62)의 주입공(620)을 통해 원료(200)가 공급되면 상원판(6)의 런너(62)를 타고 이송되다가 게이트(64)를 통해서 다수로 형성된 캐비티(820) 내로 충진된 후 성형이 이루어진다.
성형이 완료되면 상원판(6)과 하원판(10)을 이격시켜서 개방시킨 후 코어부(8)를 양측으로 분리시킴으로써 손상 없이 제품(레귤레이터)을 취출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다수의 슬라이드코어편이 적층되어 코어부를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손상이 없이 탈형이 용이하며, 다수의 런너와 게이트를 통해 다수의 캐비티에 동시에 원료를 공급함으로써 온도변화에 따른 불량률을 최소화시키면서 다수의 완제품을 성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Claims (4)

  1.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캐비티가 형성된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가 중간에 설치된 상원판 및 하원판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필기구용 레귤레이터의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8)는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슬라이드코어편(82)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상원판(6)에 다수의 런너(62)를 형성하며, 이 런너(62)에 연통되는 다수의 게이트(64)를 형성시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8)는 다수의 슬라이드코어편(82)을 슬라이드코어(84)의 안착부(840)에 적층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코어편(82)은 일측에 다수의 캐비티용 홈(820a,820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64)는 경사지게 형성시킴으로써 원료의 투입이 완만하게 이루어져 기포의 발생이 배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
KR20-2003-0018166U 2003-06-10 2003-06-10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 KR200326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166U KR200326430Y1 (ko) 2003-06-10 2003-06-10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166U KR200326430Y1 (ko) 2003-06-10 2003-06-10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430Y1 true KR200326430Y1 (ko) 2003-09-19

Family

ID=49338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166U KR200326430Y1 (ko) 2003-06-10 2003-06-10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4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22697A (zh) 手机保护壳及其模具
US20050163883A1 (en) Molding device for forming a plastic article having two colors
KR200326430Y1 (ko) 필기구용 레귤레이터를 성형하는 금형장치
KR101905751B1 (ko) 분할형 캐비티와 코어를 구비하는 금형장치
CN201960713U (zh) 注塑局部深型腔塑料件的预先顶出结构
KR20070047160A (ko) 보조 성형부가 구비된 3단 사출금형
CN203691462U (zh) 手机保护壳及其模具
CN2936682Y (zh) 注射模
CN211542144U (zh) 模具
CN209079095U (zh) 一种插针件加工用模具
CN112192830A (zh) 托盘吸塑模具
CN206598480U (zh) 滑块组件
CN201136275Y (zh) 可控顶杆出模装置
KR100456785B1 (ko) 사출성형용 카세트 금형에 사용되는 분할코어 조립체
CN214056271U (zh) 一种有细小通孔硅橡胶模具开模结构
CN211763008U (zh) 一种带小嵌件的双色注塑模具
KR200280828Y1 (ko) 원료주입 게이트 기능을 갖는 슬라이더가 구비된 금형장치
CN213648461U (zh) 一种四级插头注塑模具
KR200432932Y1 (ko) 금형조립체의 재료공급구조
CN218803686U (zh) 一种新型注塑模具
CN219236013U (zh) 一种进胶多穴处理治具
CN211467344U (zh) 一种便于脱模的电话机手柄模具
CN219294587U (zh) 多色注塑模具
CN218196378U (zh) 一种大长径比的橡胶塞脱模治具
CN214026961U (zh) 一种便于使用的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