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039Y1 - 살균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 카펫, 소파,이불을 위한 살균 및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살균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 카펫, 소파,이불을 위한 살균 및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039Y1
KR200323039Y1 KR20-2003-0014177U KR20030014177U KR200323039Y1 KR 200323039 Y1 KR200323039 Y1 KR 200323039Y1 KR 20030014177 U KR20030014177 U KR 20030014177U KR 200323039 Y1 KR200323039 Y1 KR 200323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erilization
cleaning
steriliz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춘
Original Assignee
이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춘 filed Critical 이상춘
Priority to KR20-2003-0014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0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0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트리스, 카펫, 소파, 이불이 수납되어 살균되는 살균케이스에 있어서, 살균용 공기가 주입되는 주입구(222); 상기 주입구(22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라인(224); 및 내부로 살균 대상물을 수납가능하게 하는 개폐수단(230)을 포함하되, 내열원단으로 제직되며 공기의 주입 및 배출에 의해 팽창 및 수축되는 에어백식 살균케이스(200)와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 카펫, 소파, 이불을 위한 살균 및 청소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살균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 카펫, 소파, 이불을 위한 살균 및 청소 장치{STERILIZING CASE AND STERILIZING AND CLEANING APPARATUS FOR MATTRESS, CARPET, SOFA AND BEDCLOTHES}
본 고안은 매트리스, 카펫, 소파, 이불 등의 살균 및 청소를 위해 사용되는 살균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 소파, 카펫, 이불 등을 위한 살균 및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면서도 다수의 매트리스, 카펫, 소파, 이불을 동시에 살균하고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는 매트리스, 카펫, 소파, 이불을 위한 살균 및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사람들이 활동하기에 적합한 실내온도 및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냉난방설비 및 장치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런 주거문화의 변화로 인하여 사람은 주택 및 아파트 내에서 최적의 생활환경 속에서 쾌적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그러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거주인은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교류를 차단하여야 하며 그로 인해 환기부족과 충분한 상대습도 등의 환경조건이 지속되면서, 실내는 세균, 곰팡이 및 진드기 같은 유해물질이 서식하기에도 좋은 환경이 된다.
이러한 세균, 곰팡이 및 진드기 등은 가정내의 이불, 카펫, 매트리스 등의 직물지에 주로 서식하면서, 사람들에게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각종 피부질환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정에서는 소형 침구류 등은 세척을 하고, 부피가 큰 매트리스 등은 태양광선에 살균시키거나 청소기 등을 이용하여 청소를 하고 있으나,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 주택단지에서는 이러한 일을 할 장소도 마땅치 않을 뿐 아니라, 태양광선에 살균시키는 것만으로는 부피가 큰 침규류, 매트리스 등에 기생하는 세균, 곰팡이, 진드기 등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근래에는 가정에서 살균 및 청소하기 힘든 침구류, 카펫, 소파, 매트리스 등을 청소하는 업체들이 있으나, 완전살균이 안되며 약품사용 등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비사용시에는 접어서 보관가능하게 구성되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여 가정내로 용이하게 반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이상의 매트리스, 소파, 카펫, 이불 등을 동시에 살균할 수 있는 살균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살균케이스를 이용하여 매트리스, 카펫, 소파, 이불을 완전 살균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는 이동이 간편한 매트리스, 소파, 카펫를 위한 살균 및 청소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살균 및 청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a 및 도 3b 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50; 청소용호스 100; 살균청소기
122; 외부공기흡입구 124; 청소공기흡입구
130; 송풍부 150; 히터부
162;청소공기배출구 164; 살균공기배출구
172, 174, 176, 178; 통로개폐수단 200; 살균케이스
222; 주입구 224; 배출라인
230; 개폐수단 300; 고정기
a; 살균용공기 b; 청소공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매트리스, 소파, 카펫, 이불이 수납되어 살균되는 살균케이스에 있어서, 살균용 공기가 주입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라인; 및 내부로 살균 대상물을 수납가능하게 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되, 내열원단으로 제직되며 공기의 주입 및 배출에 의해 팽창 및 수축되는 에어백식 살균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체케이스 및 상기 본체케이스 내에 형성된 공기통로를 구비한 살균청소기로서, 상기 공기통로는 청소용호스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필터를 경유한 청소공기가 흡입되는 청소공기흡입구와,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부공기유입구와, 상기 청소공기흡입구 및 상기 외부공기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 송풍시키는 모터팬이 장착되는 송풍부와, 상기 송풍부에서 송풍되는 살균용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와, 상기 송풍부에서 송풍되어 상기 히터부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살균용공기가 배출되는 살균공기배출구와, 상기 송풍부에서 송풍된 청소공기가 배출되는 청소공기배출구와, 상기 청소공기흡입구로 유입된 청소공기)는 상기 청소공기배출구로 배출되고 상기 외부공기유입구로 유입된 살균용공기는 상기 히터부로 유입되도록 통로를 개폐하는 통로개폐수단을 포함한 살균청소기; 및 상기 살균청소기 살균공기배출구에 연결되는 주입구와,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라인과, 수납을 위한 개폐수단이 마련되고, 내부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부착된, 내열원단으로 제직되며 공기의 주입 및 배출에 의해 팽창 및 수축되는 에어백식 살균케이스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카펫, 소파, 이불을 위한 살균 및 청소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살균 및 청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청소기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a 및 도 3b 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살균을 위한 열풍을 발생시키고 먼지, 곰팡이, 진드기 등을 흡입할 수 있는 청소기 기능을 겸비한 살균청소기(100)와, 공기에 의해 팽창 및 수축가능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며 매트리스, 카펫, 소파 등을 내부에 수납하여 상기 살균청소기에서 토출되는 열풍에 의해 상기 수납물이 살균 및 청소되게 하는 살균케이스(2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살균케이스(200) 내에 매트리스, 카펫 등을 배치하는 것을 보조하는 고정기(300)를 더 포함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청소기(100) 본체케이스(110)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부공기흡입구(122)와 청소공기흡입구(124)로 이루어진 공기흡입구(120)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공기흡입구(122) 및 청소공기흡입부(124)와 연통되며 본체케이스(110) 내부에 형성된 공기통로상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송풍시키는 모터팬(미도시)이 설치되는 송풍부(130)가 마련된다. 모터팬에 의해 송풍부(130)에서 송풍된 공기통로상에서 살균용공기(a)와 청소공기(b)로 구분되는 2 가지 공기흐름을 가지는 바, 청소공기(b)는 송풍부(130)에 설치된 모터팬의 회전에 의해 청소공기흡입구(124)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 청소공기(b)가 배출되는 공기통로에 청소공기배출구(162)가 구비된다. 살균용공기(a)는 외부공기흡입구(122)를 통해 모터팬의 구동에 의해 송풍부(130)에 의해 흡입 송풍된 공기를 지칭하는 것으로, 진드기 곰팡이 등을 살균하기 위한 고온의 공기를 형성하기 위해 공기통로상에는 공기에 열에너지를 부여하는 히터부(150)와, 히터부(150)를 통과하여 고온으로 가열된 살균용공기가 배출되는 살균공기배출구(164)가 형성된다. 또한, 공기통로에는 청소공기(b)와 살균용 공기(a)를 제어하기 위하여, 외부공기흡입구(122)를 개폐하는 제1 통로개폐수단(172)과, 청소공기흡입구(124)를 개폐하는 제2 통로개폐수단(174)과, 송풍부와 히터부 사이 통로를 개폐하는 제3 통로개폐수단(176)과, 청소공기배출구를 개폐하는 제4 통로개폐수단(178)이 설치된다. 통로개폐수단은 일반적인 밸브 등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살균청소기(100) 외부에는 온오프스위치 및 온도조절기, 타이머 등을 포함한 제어판넬(198)이 설치된다. 또한, 청소공기흡입구(124)에는 착탈가능한 청소용호스(50)가 연결된다. 도면부호 196 은 제어판넬(198)에 연결된 컨틀로박스(196)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살균청소기(100)는 진드기, 곰팡이 등을 살균할 수 있는 고온의 살균용공기를 형성하는 기능과, 모터팬의 구동에 의한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청소용 호스(50)를 통해 매트리스, 소파, 카펫 이불 등(이하 '대상물')의 표면에 부착된 곰팡이, 진드기 등을 흡입하는 청소공기를 형성하는 기능을 겸비한다. 따라서, 별도로 청소기 등을 사용함이 없이 간단하게 구성된 살균청소기만으로 살균 및 청소를 동시에 할 수 있다.
살균청소기(100)의 구조를 공기유동의 측면에서 보다 자세히 살펴본다. 먼저, 살균용공기의 유동측면에서 고찰하면, 외부공기는 외부공기흡입구(122)를 통해 모터팬의 회전에 흡입되어, 히터부(15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살균공기배출구(164)로 배출된다. 이러한 공기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제1 통로개폐수단(172) 및 제3 통로개폐수단(176)는 열리고, 제2 통로개폐수단(174) 및 제4 통로개폐수단(178)은 닫힌다.
청소공기흐름 측면에서 살펴보면, 대상물의 살균전이나 살균 후에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먼지, 진드기, 곰팡이 등)을 제거하기 위해 모터팬의 회전에 의한 흡입력을 이용 청소용호스(50)를 이용 청소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공기흐름으로, 제1통로개폐수단(172) 및 제3 통로개폐수단(176)은 닫히고, 제2통로개폐수단(174) 및 제4통로개폐수단(178)은 열린 상태에서 모터팬(130)이 구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청소공기흡입구(124)에는 필터(184)가 장착되어, 청소용호스(5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포함하고 있는 이물질을 걸러 청소공기배출구(162)를 통해서는 여과된 공기가 배출되게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청소공기배출구(162) 측에도 필터(184)를 장착하여 이중 여과방식으로 더욱 깨끗한 공기가 배출되게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매트리스, 카펫 등을 가정내에서 살균 및 청소가능하게 되므로, 가정내에서 이러한 작업들을 하는 경우 실내에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므로 오염된 공기에 의해 실내에 있는 사람들의 건강이 해손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은 청소공기흡입구(124)와 외부공기흡입구(122)를 별개로 구비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하나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즉, 살균공기를 형성하는 경우 청소용 호스를 분리시킨 상태로 사용하고, 청소공기를 형성하는 경우 동일 공기흡입구(120)에 청소용호스를 끼워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필터(182)의 관리측면에서 별개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경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청소기(100)의 본체케이스(110) 내에 별도의 수납공간(115)이 마련되게 구성된다. 살균청소기(100)가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비사용시에 수축된 살균케이스(200)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청소용호스(50)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실내에서 매트리스, 카펫, 소파 등을 청소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를 운반하는 경우 살균청소기(100)만을 운반하면 되므로, 작업을 준비하는 과정이 간단하여 작업의 편리성이 도모된다. 살균청소기(100)의 하면에 바퀴(117)가 장착되는 바 이동이 보다 용이해진다.
살균청소기(100)의 본체케이스(110) 외면에는 살균청소기(100)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넬이 부착된다. 컨틀로박스(196) 및 제어판넬(198)이 함께 제어부를 구성한다. 제어부에는 하술할 살균케이스(200)에 부착된 온도센서(210)의 정보를 입력받아 살균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온도조절기, 타이머 등과 함께 히터 및 모턴팬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 등이 부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살균청소기 내부의 각 통로개폐수단(172, 174, 176, 178) 예컨대 밸브의 여닫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 등과, 필터의 상태를 체크하여 필터교환시기를 알려주는 필터상태표시기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종래에 공지된 요소로서, 이러한 제어부의 구성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이러한 제어부의 구성에 의해 제한받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살균케이스(200)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살균케이스는 상술된 살균청소기외 다른 살균 및 청소를 위한 장치와 결합되어 사용가능하다. 살균케이스(200)는 히터부(150)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에 견딜 수 있는 내열원단으로 제직되며, 공기의 흡배기에 의해 팽창 및 수축되는 에어백식 구성을 구비한다. 즉, 살균케이스(200)는 일 측면으로 형성된 주입구(222)에 연결된 살균공기배출구(164)를 통해 고온의 공기가 주입되면 대략 사각형상으로 팽창하여 내부의 수납된 대상물을 살균가능하게 하고,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수축되어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사용시 보관 및 운반이이 용이하게 된다.
살균케이스(200)의 타 측면으로는 배출라인(224)이 연통되어 있다. 배출라인(224)을 통해 살균케이스(200) 내에 수납된 대상물(매트리스, 카펫, 소파, 이불)을 살균한 공기가 부유물을 포함한 상태로 배출된다. 배출라인(224)은 가정내에서 대상물을 살균 및 청소하는 경우 살균되어 공기중으로 부유된 이물질을 함유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가능하게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배출라인(224)은 복수개의 라인을 연결하여 연장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원하는 길이만큼 연장시킬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러한 배출라인(224)의 구성에 의해 제한받지 않는다. 즉, 일체로 배출라인(224)을 형성하는 것 뿐만아니라 연결을 통해 연장가능하게 배출라인(224)을 구성하는 것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배출라인(224)의 끝단에는 필터(272)가 설치되어 이물질을 여과한 상태로 공기가 배출되게 구성하는 것이 환경적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살균케이스(200)에는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210)가 부착되어 상술한 제어부의 온도조절부에 연결되어 살균케이스(200) 내의 살균온도가 대상물에 적합한 일정한 상태를 유지가능하게 한다. 온도센서(210)는 주입구 측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살균케이스(200)는 대상물을 수납하기 위한 개폐수단(230)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서는 살균케이스의 상면으로 H 형상의 지퍼를 설치한다.
도 3a 및 도 3b 를 참조하여 살균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고정기(3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소파 등은 별도의 보조수단없이 살균케이스 내로 수납되어 살균 및 청소가능하다. 그러나, 매트리스, 카펫 등을 하나이상 동시에 살균 및 청소를 하는 경우 무정형의 살균케이스 내에 일정한 위치로 배치한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작업을 위한 보조수단으로 매트리스 등이 살균케이스 내에서 일정한 위치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다수의 봉재들로 이루어진 프레임 형태의 고정기(300)을 제공한다.
고정기(300)는 하면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봉형상의 세로봉재들(310)과, 가로바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ㅛ' 형상의 가로봉재(320)들과, 상기 'ㅛ' 형상의 가로봉재의 관내부로 상측으로 끼워지는 역전된 'ㅛ'형상의 상측봉재(330)들을 포함한다. 도 3b 에는 하면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일 세로봉재(310)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는 데, 일측의 직경이 타측직경보다 큰 형상을 구비한다. 따라서, 직경이 작은 일 봉재의 끝단을 타 봉재의 직경이 큰 쪽으로 삽입하여 나사(312)를 이용하여 일정한 길이로 고정되게 구성된다. 세로봉재(310)와 'ㅛ'형상의 가로봉재(32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나사가 세로봉재를 관통하여 가로봉재의 하면과 접촉하여 고정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높낮이와 넓이가 조절가능하게 되어, 수납되는 매트 등의 크기에 맞게 조절가능하며, 또한, 상측봉재에 카펫, 이불들을 널어서 살균케이스내에 수납시킬수 있게 되므로, 한번에 다수의 대상물을 살균 및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변형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고온의 공기로 대상물을 살균하여 대상물에 부착된 진드기, 곰팡이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가능한 바, 약품등의 처리가 없어도 완전히 살균할 수 있어 위생적이면서도 인체에 유익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살균 및 청소에 사용되는 각 기능요소들이 간단한 구성으로 일체화되어 있으며, 특히 본 고안에 의한 살균케이스는 비사용시 간단히 접어 보관할 수 있는 바, 운반 보관이 용이하면서도, 고정기를 이용하여 하나이상의 매트리스, 카펫, 이불등을 동시에 살균 및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1. 매트리스, 카펫, 소파, 이불이 수납되어 살균되는 살균케이스에 있어서, 살균용 공기가 주입되는 주입구(222);
    상기 주입구(22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라인(224); 및
    내부로 살균 대상물을 수납가능하게 하는 개폐수단(230)을 포함하되, 내열원단으로 제직되며 공기의 주입 및 배출에 의해 팽창 및 수축되는 에어백식 살균케이스.
  2. 본체케이스(110) 및 상기 본체케이스(110) 내에 형성된 공기통로를 구비한 살균청소기(100)로서, 상기 공기통로는 청소용호스(50)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필터(184)를 경유한 청소공기가 흡입되는 청소공기흡입구(124)와,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부공기유입구(122)와, 상기 청소공기흡입구(124) 및 상기 외부공기유입구(122)를 통해 공기를 흡입 송풍시키는 모터팬이 설치되는 송풍부(130)과, 상기 송풍부(130)에 서 송풍되는 살균용공기(a)를 가열하는 히터부(150)와, 상기 송풍부(130)에서 송풍되어 상기 히터부(15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살균용공기(a)가 배출되는 살균공기배출구(164)와, 상기 송풍부(130)에서 송풍된 청소공기(b)가 배출되는 청소공기배출구(162)와, 상기 청소공기흡입구(124)로 유입된 청소공기(b)는 상기 청소공기배출구(162)로 배출되고 상기 외부공기유입구(122)로 유입된 살균용공기(a)는 상기 히터부(150)로 유입되도록 통로를 개폐하는 통로개폐수단(172, 174, 176, 178)을 포함한 살균청소기(100); 및
    상기 살균청소기(100)의 살균공기배출구(164)에 연결되는 주입구(222)와,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라인(224)과, 수납을 위한 개폐수단(230)이 마련되고, 내부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210)가 부착된, 내열원단으로 제직되며 공기의 주입 및 배출에 의해 팽창 및 수축되는 에어백식 살균케이스(200)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카펫, 소파, 이불을 위한 살균 및 청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케이스(200)는 매트리스, 카펫, 이불이 하나 이상 배치가능하도록 프레임 형태의 고정기(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카펫, 소파, 이불을 위한 살균 및 청소장치.
KR20-2003-0014177U 2003-05-07 2003-05-07 살균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 카펫, 소파,이불을 위한 살균 및 청소 장치 KR200323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177U KR200323039Y1 (ko) 2003-05-07 2003-05-07 살균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 카펫, 소파,이불을 위한 살균 및 청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177U KR200323039Y1 (ko) 2003-05-07 2003-05-07 살균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 카펫, 소파,이불을 위한 살균 및 청소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019A Division KR20040096166A (ko) 2003-05-07 2003-05-07 살균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 카펫, 소파,이불을 위한 살균 및 청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039Y1 true KR200323039Y1 (ko) 2003-08-14

Family

ID=4941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177U KR200323039Y1 (ko) 2003-05-07 2003-05-07 살균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 카펫, 소파,이불을 위한 살균 및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0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743A (ko) 2020-05-27 2021-12-06 서진원 매트리스 자동 살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743A (ko) 2020-05-27 2021-12-06 서진원 매트리스 자동 살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47234A (ja) エアマットレス
KR20130076159A (ko) 에어 샤워 장치
JP2000070055A (ja) 衣服収納ロッカー
KR20150012960A (ko) 대형 침구와 의류용 살균 및 건조장치
KR20130019755A (ko) 열풍살균 침구청소기
JPS647774B2 (ko)
JP3207118U (ja) 寝具
KR200323039Y1 (ko) 살균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 카펫, 소파,이불을 위한 살균 및 청소 장치
KR100929715B1 (ko) 먼지 털이 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치
KR20040096166A (ko) 살균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 카펫, 소파,이불을 위한 살균 및 청소 장치
KR100430480B1 (ko) 침대 매트리스의 살균시스템 및 그 살균방법
KR20100043910A (ko) 이불 살균 및 먼지 제거장치
PT773717E (pt) Processos e aparelhos para a desnaturacao de alergenos dos acaros no po domestico
CN210382373U (zh) 一种被褥除螨仪
KR102084998B1 (ko) 침구류 청소장치
CN209933279U (zh) 免收纳医用床罩
KR100763243B1 (ko) 집먼지진드기 제거장치
JP7062821B1 (ja) 寝具や衣類の乾燥消毒装置
KR20030085952A (ko) 침구류 자동 살균세척 장치
KR200247513Y1 (ko) 침대 매트리스의 살균기 및 그 살균시스템
JP2010220932A (ja) 布団の清浄装置
KR101596877B1 (ko) 섬유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12880198U (zh) 一种民宿生活用品消毒装置
CN213663093U (zh) 用于宠物的皮毛处理一体机及皮毛处理系统
CN220630789U (zh) 消毒除螨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