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830Y1 -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830Y1
KR200321830Y1 KR20-2003-0015185U KR20030015185U KR200321830Y1 KR 200321830 Y1 KR200321830 Y1 KR 200321830Y1 KR 20030015185 U KR20030015185 U KR 20030015185U KR 200321830 Y1 KR200321830 Y1 KR 200321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brush
grain
transfer path
gr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영섭
Original Assignee
차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영섭 filed Critical 차영섭
Priority to KR20-2003-0015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8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8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세정시 물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이용하여 세정할 수 있도록 된 곡물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일측 상단에 곡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호퍼를 갖고 모(毛)형태로 된 브러쉬로 곡물을 세정할 수 있도록 된 제1 세정단계와, 수세미형태의 브러쉬로 곡물을 세정할 수 있도록 된 제2 세정단계와, 일측에서 곡물에 미세분무 스프레이 함과 동시에 면포브러쉬로 닦도록 하는 제3 세정단계와, 제3 세정단계를 통과한 곡물을 드라이 건조 함과 동시에 면포 브러쉬로 닦아내는 제4 세정단계를 거쳐 토출구를 통하여 곡물이 토출되도록 세정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물로 세척한 것보다 더욱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으며, 세척시 곡물끼리 마찰이 생기지 않으므로 곡물 눈 등의 영양소 파기가 없으며, 특히 쌀 등의 곡물을 물로 세척하지 않고 모 브러쉬, 수세미형태의 브러쉬, 면포 브러쉬와 공기만으로 세정함으로서 세정후 건조시 발생되는 결미 현상과 수분 증발을 막아 맛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윤기나고 맛이 향상된 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The equipment polish cereals use air}
본 고안은 곡물세정시 물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이용하여 세정할 수 있도록 된 곡물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쌀, 보리, 콩, 조, 팥 등의 곡물을 세정시 세정이송로에 공기를 불어넣어 곡물이 이송되면서 모(毛)형태로된 브러쉬 세정단계, 수세미형태의 브러쉬 세정단계, 스프레이 분무와 면포브러쉬 세정단계, 드라이 건조와 면포브러쉬 단계를 거치면서 곡물을 세정함과 동시에 곡물의 영양소를 파기하지 않고 깨끗하게 닦을 수 있도록 한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밥을할 경우 쌀을 물로 세척한 후 밥을 짓게되는데 이때 후하여 하거나 기존에는 곡물을 세정시 물을 사용하여 곡물을 세정할 때 곡물끼리 비벼서 세정함으로써, 쌀눈 등이 떨어져 영양소가 손실되는 동시에 세정물을 수돗물로 사용하기 때문에 소독약인 염소가 곡물의 영양소인 비타민 B군을 100%로 파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곡물세정시 물의 오염도에 따라서 대장균등의 오염요소가 발생되며, 특히 곡물은 물을 이용하여 세정 후 건조하는 과정에서 갈라지는 결미현상이 발생되고, 물에 세정하는 과정에서 곡물의 맛과 향, 영양소등이 물에 씻겨나가게 되며, 세정후에는 반드시 건조하여 일정단위로 포장하여 판매하게 되므로 건조시 발생되는 수분증발과 표면이 갈라지는 결미 현상이 발생하여 쌀의 경우 밥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일측 상단에 곡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호퍼를 갖고 모(毛)형태로된 브러쉬로 곡물을 세정할 수 있도록 된 제1 세정단계와, 수세미형태의 브러쉬로 곡물을 세정할 수 있도록 된 제2 세정단계와, 일측에서 곡물에 미세분무 스프레이함과 동시에 면포브러쉬로 닦도록하는 제3 세정단계와, 제3 세정단계를 통과한 곡물을 드라이 건조함과 동시에 면포브러쉬로 닦아내는 제4 세정단계를 거쳐 토출구를 통하여 곡물이세 토출되도록 세정장치를 구성한 것으로 본 고안은 물로 세척한 것보다 더욱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으며, 세척시 곡물끼리 마찰이 생기지 않으므로 곡물 눈등의 영양소 파기가 없으며, 특히 쌀 등의 곡물을 물로 세척하지 않고 모 브러쉬, 수세미형태의 브러쉬, 면포 브러쉬와 공기만으로 세정함으로서 세정후 건조시 발생되는 결미 현상과 수분 증발을 막아 맛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윤기나고 맛이 향상된 쌀을 제공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세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세정장치의 세정이송로 단면 구성도,
도3a는 본 고안의 곡물 세정 단계에 따른 모 브러쉬부의 내부구성도.
도3b는 본 고안의 곡물 세정 단계에 따른 수세미 형태의 부러쉬 내부구성도.
도3c는 본 고안의 곡물 세정 단계에 따른 면포 브러쉬의 내부 구성도.
도3d는 본 고안의 곡물 세정 단계에 따른 건조 면포 브러쉬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세정장치 2:호퍼
3:토출구 4:세정이송로
5:몸체 6a:모 브러쉬
6b:수세미 브러쉬 6b,6d:면포 브러쉬
7:블로워 8:분무탱크
9:분무노즐 10:히터블로워
11:메타 게이지 11:망체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 상단에 곡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호퍼(2)를 갖고 타측 말단부에는 세정된 곡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3)를 갖는 다단계의 세정이송로(4)로 이루어진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1)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정이송로(4)는 모(毛)형태로된 모 브러쉬(6a)로 곡물을 세정할 수 있도록 된 제1 세정단계(a)와,
수세미형태의 수세미브러쉬(6b)로 곡물을 세정할 수 있도록 된 제2 세정단계(b)와,
일측에서 곡물에 미세분무 스프레이함과 동시에 면포브러쉬(6c)로 닦도록하는 제3 세정단계(c)와,
제3 세정단계(c)를 통과한 곡물을 드라이 건조함과 동시에 면포브러쉬(6d)로 닦아내는 제4 세정단계(d)를 거쳐 토출구(3)를 통하여 곡물이세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세정이송로(4)는 각 기능을 갖는 브러쉬를 갖는 몸체(5)가 나선형 권선되어 원통관형태로 이루어지고 몸체(5)와 몸체(5)는 서로 밀착되고 공기가 유통되지 않도록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몸체(5)와 몸체(5) 사이는 최대한 밀착시킨 후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로 실링하여 기밀을 유지한다.
상기 세정이송로는 모(毛)형태로 이루어진 모브러쉬(6a)를 갖는 제1 세정단계(a)의 세정이송로(4)와 헝겊으로 이루어진 면포 브러쉬(6c)를 갖는 제3 세정단계(c)의 세정이송로(4) 일측에 공기를 불어주는 블로워(7)를 각각 설치하여 세정이송로 내의 곡물을 토출구(3)측으로 이송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면포 브러쉬(6c)로 이루어진 제3 세정단계(c)의 세정이송로(4) 상단 일측에는 분무탱크(8)가 구비되고, 이의 분무탱크(8)는 세정이송로 내부에 설치된 분무노즐(9)과 연결되어 세정이송로 내부를 통과하는 곡물에 미세분무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면포 브러쉬(6d)로 이루어진 제4 세정단계(d)의 세정이송로(4) 일측에 더운 공기를 주입토록 일측에 히터브로워(10)가 설치되어 세정된 곡물을 드라이 건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세정이송로(4) 말단 토출구(3) 상부에는 토출되는 곡물의 양을 체크할 수 있도록 메타 게이지(11)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 세정이송로를 통과하면서 세정되는 각 공정단계에 따른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한다.
본 고안에서 곡물이라 함은 정미된 쌀, 보리, 현미 또는 콩등 모든 알곡의 곡식을 말하는 것으로 어느 하나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세정이라 함은 곡물을 브러쉬로 닦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물을 사용하는 세척은 아님을 밝혀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곡물중 쌀을 실시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쌀을 세정하기 위해 먼저 세정장치(1)의 일측 상부에 설치된 호퍼(2)에 정미된 쌀(12)을 투입한다.
상기 호퍼(2)에 투입된 쌀은 호퍼(2)단에 설치된 스크류(2a)에 의해 쌀이 일정양씩 세정장치(1)의 세정이송로(4)내부로 뿌려지듯이 투입된다.
상기 호퍼 저부에 설치된 스크류(2a)는 일측에 모터 또는 벨트에 연결되어 스크류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스크류의 회전속도는 모터와 연결된 컨트롤부(모터를 컨트롤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하는 전기적인 장치는 통상적인 것으로 도시를 생략함) 전기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세정장치 일측면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브로워(7)가 설치되어 관로를 통하여 세정이송로(4)내의 쌀을 토출구(3)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공기를 불어주도록 설치된다.
본 고안의 도1에 도시된 일측의 블로워(7)는 반듯이 세정장치(1)일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은 아니며, 설치 환경에 따라서 이격설치후 바람을 관로를 통하여 세정이송로(4)로 불어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어느 한 형태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호퍼를 통하여 세정장치(1) 세정이송로(4)내로 인입된 쌀은 일측의 블로워(7)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힘에 의해 토출구(3)측으로 날아서 이송된다.
이때 이송되는 쌀은 세정장치(1) 몸체(5) 내에 모(毛)로 이루어진 모 브러쉬(6a)에 의해 쌀의 표면을 닦게되는 제1 세정단계(a)를 거치게된다.
상기 모 브러쉬(6a)는 세정이송로(4)의 제1 세정단계(a)를 실시하는 구역 의 몸체 내면과 중앙부에 직교되도록 도3a와 같이 설치되어 통과하는 쌀(12)을 세정하게된다.
상기 제1 세정단계(a)를 거친 쌀은 표면이 1차 세정된 상태에서 쌀과 겨등의 미세한 먼지와 함께 제2 세정단계(b)인 세정이송로(4)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2 세정단계(b)의 세정이송로(4) 몸체(5) 내면에는 수세미 형태수세미형태로 이루어진 수세미부러쉬(6c)가 형성되어 제1 세정단계(a)를 거친 쌀의 표면을 2차로 세정하게 된다.
상기 제2 세정단계(b)를 실시하는 세정이송로(4)를 구성하고 있는 브러쉬는 도3b와 같이 내주면에 수세미 형태의 수세미브러쉬(6b)를 설치하고 중앙부에 브러쉬가 서로 직교되도록 설치되어 쌀이 통과하면서 수세미브러쉬(6b)와 마찰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2 세정단계(b)를 통과한 쌀은 다시 제3 세정단계(c)를 통과하면서 표면이 세정되나 이때는 세정 효과 보다는 세정된 쌀과 함께 통과하는 미세 먼지 또는 쌀겨를 제거하기 위한 단계로서, 상부에 분무탱크(8)를 설치하고 세정이송로(4) 내부 천장에는 분무탱크(8)와 연결된 분무노즐(9)을 설치하여 물을 안개와 같이 미세분무시켜 겨와 미세먼지를 제거한다.
이때 분무되는 물은 물방울이 형성되지 않는 정도로 미세분무 함으로 쌀은 젖지 않고 표면에 습기가 약간 있는 상태이나 차후 제4 세정단계(d)에서 완전건조된다.
상기 제3 세정단계(c)인 세정이송로(4)의 몸체(5) 내면에는 헝겊으로된 면포브러쉬(6c)가 형성되어 스프레이된 쌀표면을 닦을 수 있도록 된다.
상기 면포 브러쉬(6c)는 도3c와 같이 몸체의 내주면과 중앙부에 직교되도록 설치되어 블로워(7)에서 발생된 공기에 의해 세정이송로(4)를 따라서 날라가는 쌀과 마찰되도록 하여 스프레이된 표면을 닦게된다.
또한 상기 분무탱크(8)에 저장되는 물을 일반식용수가 아닌 지장수를 내장시켜 분무토록 하면 기능성을 갖는 지장수 쌀을 만들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제3 세정단계(c)에서 분무스프레이된 제4 세정단계(d)의 세정이송로를 통과하면서 드라이 건조된다.
즉, 드라이 건조되는 제4 세정단계(d)가 진행되는 세정이송로(4)의 몸체(5) 내면은 도3d와 같이 몸체 내주면에는 헝겊으로된 면포 브러쉬(6d)로 이루어지고 통로 중앙부에는 면포 브러쉬(6d)가 직교되도록 설치되어 쌀 표면에 접촉된 수분과 습기등을 닦는다.
이때 제4 세정단계(d)의 세정이송로(4) 일측에는 히터 블로워(10)가 설치되어 더운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여 쌀을 드라이 건조 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제4 세정단계(d)의 세정이송로(4) 바닥부 몸체의 소정부위에는 망체(13)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제2, 제3 세정단계에서 발생된 미세 먼지와 쌀겨를 분리 배출시키도록 한다.
상기 망체(14)에는 흡입관이 연결되어 미세 먼지와 쌀겨를 흡입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 2, 3, 4 세정단계를 통과한 쌀은 세정장치(1)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3)을 통하여 배출도록하며, 토출구(3) 상부에는 메타 게이지(11)가 설치되어 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쌀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하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고안의 단계별 실시 예를 간단히 요약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호퍼(2)에 쌀투입 →스크류(2a)에 의한 쌀투입량 조절 →모 브러쉬(6a)에 의한 제1 세정단계(a) →수세미 브러쉬(6b)에 의한 제2 세정단계(b) →스프레이및 면포 브러쉬(6c)에 의한 제3 세정단계(c) →드라이 건조및 면포 브러쉬(6d)에 의한 제4 세정단계(d) →토출구(3)를 통한 쌀 배출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곡물 세정장치의 세정이송로는 호퍼측보다 토출구측이 약간 하향으로 기울어져 쌀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세정장치 몸체 일측에는 문이 설치되어 사람이 인 입출할 수 있도록하여 내부청소 또는 고장수리등의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통상적인 문의 설치로서 도면을 생략하였다.
상기 곡물 세정장치의 세정이송로의 직경은 제작시 2m, 3m, 4m등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그 크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브로워 역시 크기에 따라서 모터의 마력과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세정이송로를 청소시에는 일측에 설치된 브로워를 작동시켜 공기를 불어주어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세정이송로의 길이 역시 곡물의 처리 용량에 따라서 길이를 선택적으로 한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설치환경, 곡물의 용량, 세정의 상태에 따라서 설치시 조절할 수 있게된다.
본 고안의 세정장치에 설치되는 블로워는 각 세정단계마다 설치할 수 있으는 것으로 이 역시 설치환경의 조건에 따라서 개수와 불어주는 블로워 또는 흡입하는 블로워를 설치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4단계를 거쳐 쌀을 세정함으로서 쌀의 외면이 반들반들하게 세정됨은 물론 지장수를 이용한 지장수 쌀등으로 기능성을 부과 할수 있게된다.
본 고안에서 지장수 스프레이할 경우 쌀을 부드럽게 하며 맛을 향상시키고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항상신선함을 유지하는 동시에 포장 유통시 쌀의 건조를 막아 밥을 지을 때 끈기를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시 되는 본 고안은 곡물을 세정하여 일정단위로 포장시켜 소비자가 곡물을 별도로 세척하지 않고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곡물을 물로 세척하지 않으므로 물로 세척시 발생하는 영양소 파기와 세척후 건조로 인한 수분증발과 표면이 갈라지는 결미현상을 방지하여 향상된 품질의 곡물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쌀등의 곡물세척시 물을 사용하지 않고 고운먼지를 완전하게 제거하여 물로 세척한 것보다 더욱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으며, 세척시 곡물끼리 마찰이 생기지 않으므로 곡물 눈등의 영양소 파기가 없으며, 특히 쌀 등의 곡물을 물로 세척하지 않고 모 브러쉬, 수세미형태의 브러쉬, 면포 브러쉬와 공기만으로 세정함으로서 세정후 건조시 발생되는 결미 현상과 수분 증발을 막아 맛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윤기나고 맛이 향상된 쌀을 제공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일측 상단에 곡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호퍼(2)를 형성하고, 타측 말단부에는 세정된 곡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3)를 갖는 다단계의 세정이송로(4)와;
    상기 세정이송로(4)에는 다수의 블로워(7)와 분무 탱크(8) 및 분무노즐(9) 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순차적으로 모브러쉬(6a), 수세미브러쉬(6b), 면포브러쉬(6c)(6d)가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세정장치(1)로 이루어져 곡물을 세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이송로(4)는, 모(毛)형태로된 모 브러쉬(6a)로 곡물을 세정할 수 있도록 된 제1 세정단계(a)와,
    수세미형태의 수세미브러쉬(6b)로 곡물을 세정할 수 있도록 된 제2 세정단계(b)와,
    일측에서 곡물에 미세분무 스프레이함과 동시에 면포브러쉬(6c)로 닦도록하는 제3 세정단계(c)와,
    제3 세정단계(c)를 통과한 곡물을 드라이 건조함과 동시에 면포브러쉬(6d)로 닦아내는 제4 세정단계(d)를 거쳐 토출구(3)를 통하여 곡물이 세정될 수 있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정 단계는, 몸체(5) 내부에 모(毛)가 내향되도록 설치된 모 브러쉬(6a)로 세정 이송로(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정단계는, 몸체(5) 내부에 수세미 형태로된 수세미 브러쉬(6b)로 세정이송로(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세정단계는, 몸체(5) 내부일측에 분무 노즐이 구비되고 면포부러쉬(6c)로 세정이송로(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세정단계는, 몸체(5) 내부 일측에 히터블로워와 연결된 드라이 건조 노즐이 구비되고, 면포 브러쉬(6d)로 세정이송로(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세정장치는 세정이송로(4) 말단 토출구(3) 상부에는 토출되는 곡물의 양을 체크할 수 있도록 메타 게이지(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이송로(4)는 각 기능을 갖는 브러쉬를 갖는 몸체(5)가 나선형 권선되어 원통관형태로 이루어지고, 몸체(5)와 몸체(5)는 서로 밀착되어 공기가 유통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이송로의 몸체는, 내부에 브러쉬를 갖는 몸체(5)와 몸체(5) 사이의 기밀을 유지 하기 위해 합성수지 실리콘으로 실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
KR20-2003-0015185U 2003-05-16 2003-05-16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 KR200321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185U KR200321830Y1 (ko) 2003-05-16 2003-05-16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185U KR200321830Y1 (ko) 2003-05-16 2003-05-16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999A Division KR100527858B1 (ko) 2003-05-15 2003-05-15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830Y1 true KR200321830Y1 (ko) 2003-08-02

Family

ID=4941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185U KR200321830Y1 (ko) 2003-05-16 2003-05-16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8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758B1 (ko) 구근류 세척 및 건조장치
KR100634668B1 (ko) 착색단고추 열수세척장치
CN205673327U (zh) 一种便于消毒和烘干的玻璃瓶洗瓶机
KR101825322B1 (ko) 스팀 세척장치
WO2004078353A1 (ja) 粒体処理装置
KR101580396B1 (ko) Pcb기판 제조공정 중 세척 후 건조공정에서의 이물질 제거방법 및 그 장치
CN104437716A (zh) 降低碎米率的大米加工系统
JP4224770B2 (ja) 穀物洗浄機およびそれに接続される乾燥機
KR200321830Y1 (ko)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
CN107646742B (zh) 滚筒式洗蛋器
KR100527858B1 (ko) 공기를 이용한 곡물 세정장치
CN105314174A (zh) 一种食品包装用清洁设备
KR100401953B1 (ko)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
TWM536985U (zh) 自動容器外部清洗系統
US20060096470A1 (en) Apparatus for peeling outer skins of garlic using wet process
KR100436236B1 (ko) 지장수 스팀과 오존을 이용한 곡물 세척 방법 및 장치
KR200412096Y1 (ko) 자동 골프채 세척기
CN208494405U (zh) 一种谷物除尘烘烤研磨一体机
KR100499590B1 (ko) 물을 사용하지 않는 브러쉬 세척 및 지장수 곡물 형성 장치
KR200336449Y1 (ko) 쌀 세척 및 건조장치
CN209527536U (zh) 一种用于打蛋清洗设备的鸭蛋洗刷装置
KR102085546B1 (ko) 자동차용 매트 청소장치
CN208462707U (zh) 一种基于鸡蛋包装用清洗装置
KR200307739Y1 (ko) 물을 사용하지 않는 브러쉬 세척 및 지장수 곡물 형성 장치
JPH1132616A (ja) 卵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2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