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508A - 오목한 꼭지부분의 세척이 가능한 과일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오목한 꼭지부분의 세척이 가능한 과일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508A
KR20170135508A KR1020160067529A KR20160067529A KR20170135508A KR 20170135508 A KR20170135508 A KR 20170135508A KR 1020160067529 A KR1020160067529 A KR 1020160067529A KR 20160067529 A KR20160067529 A KR 20160067529A KR 20170135508 A KR20170135508 A KR 20170135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brush
roller
clean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서
장창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이슬마루
에스엠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이슬마루, 에스엠씨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이슬마루
Priority to KR1020160067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5508A/ko
Publication of KR20170135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combined with subsequent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23N12/02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for wash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로울러 상에서 과일이 일정한 방향으로만 굴러가면서 이송되는 것이 아니라 360도 방향을 바꿔가면서 이송되도록 하고, 일부 브러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세척수를 여러 방향으로 살수해 줌으로써 과일의 표면은 물론 오목한 꼭지 및 꽃받침 부위까지 빈틈없이 세척할 수 있는, 오목한 꼭지부분의 세척이 가능한 과일세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목한 꼭지부분의 세척이 가능한 과일세척장치{Fruit washing machine capable of concave surface washing}
본 발명은 과일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로울러 상에서 과일이 360도 방향을 바꿔가면서 이송되도록 하고, 일부 브러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과, 배 등과 같은 과일의 표면은 물론 꼭지 및 꽃받침 부위의 오목한 부분까지 빈틈없이 세척할 수 있는, 오목한 꼭지부분의 세척이 가능한 과일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일 재배시 과일 표면에 먼지나 흙, 농약, 미생물 및 해충 등의 오염물질이 부착 또는 잔류하고 있기 때문에 상품성 제고를 위해 과일의 표면 세척처리가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세척처리에 사용했던 과일세척장치를 살펴보면, 복수개의 세척조를 마련하고 각각의 세척조 내부 바닥면에 공기방울 세척, 초음파 세척, 전해수 세척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 관체를 설치하여 과일 표면을 세척하도록 하는 장치가 많이 사용되었었으나, 최근에는 이송로울러에 의해 이송되는 과일에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고정 설치된 브러쉬를 회전시켜 과일의 외피를 세척하는 과일세척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과일세척장치를 예로 들면, 실용신안등록 제160432호 "과일세척기"는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침수조 양측 벽면에 다수의 브러쉬로울러와 타올로울러를 설치한 구조이고, 실용신안등록 제321630호 "과일세척장치"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의 후방 하부와 양 측방에 브러쉬를 설치하여 이송로울러 상으로 이송되는 과일을 브러쉬로 세척하도록 된 구조이다. 하지만, 상기 기술들은 과일의 표면은 세척할 수 있으나 꼭지 및 꽃받침 부위와 같이 오목한 부분은 세척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과일을 세척하더라도 과일의 꼭지 및 꽃받침 부위에 견고히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는 매우 어려워서 소비자에게는 구매시 위생 및 품질상 불만 요인으로 작용하고, 생산자 측면에서는 과일 판매시 소비자로부터 품질이 낮게 평가됨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과일의 오목한 부위에는 부패 미생물 및 해충 등이 묻어 있을 수 있어서, 수확하여 저장 중에는 물론 유통 중에 이들의 번식으로 인한 상품성 저하 또는 손실이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출현한 기술이 특허등록 제1511218호 "과일세척기"인데, 상기 특허는 이송로울러가 설치된 바닥과 양 측면에 모(毛) 길이가 다른 제1 내지 제3브러쉬를 각각 장착하여, 이송로울러 상을 지나는 과일이 각 브러쉬에 닿게 되면서 꼭지 및 꽃받침 부위까지 세척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상기 특허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하부와 양 측부에 설치된 제1 내지 제3브러쉬는 모(毛) 길이가 일정한 브러쉬끼리 모아서 배치되어 있고, 모(毛) 길이가 서로 다른 제2 및 제3브러쉬가 세척기의 양 측벽에 각각 설치되어, 이송되는 과일이 제2 및 제3브러쉬에 동시에 닿을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이송되는 과일이 로울러 상에서 일정한 방향으로만 굴러가면서 이송되기 때문에 브러쉬가 닿게 되는 과일 외피의 일정한 부분만 세척되고 꼭지 및 꽃받침 부위와 같이 오목한 부분까지 세척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둘째, 일정한 압력과 일정한 방향으로만 세척수를 분사해 주기 때문에 세척효율이 떨어지고 과일의 크기가 모두 균일한 것이 아니므로 과일마다 세척되는 정도가 다르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로울러 상에서 과일이 일정한 방향으로만 굴러가면서 이송되는 것이 아니라 360도 방향을 바꿔가면서 이송되도록 하고, 일부 브러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세척수를 여러 방향으로 살수해 줌으로써 과일의 표면은 물론 오목한 꼭지 및 꽃받침 부위까지 빈틈없이 세척할 수 있는, 오목한 꼭지부분의 세척이 가능한 과일세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목한 꼭지부분의 세척이 가능한 과일세척장치는, 물을 저장하며 상방이 개방된 저수조를 구비하고, 상기 저수조의 일측에서 출구측을 향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고압분사부를 구비하며, 저수조에 투입된 과일이 물에 떠서 출구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수조(水槽)부; 덕트 형상이고 상기 수조부의 출구측에 설치되며,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샤프트에 타원 형상의 받침링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샤프트가 승강하게 되는 승강벨트와, 상기 승강벨트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하게 되며 샤프트의 외주면에 부드러운 천이 설치되어 구성된 이송브러쉬가 설치되어 구성된 이송부; 덕트 형상이고 상기 이송부의 출구측에 설치되며, 덕트의 바닥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로울러의 상부에 과일이 얹혀져 이송되면서 상부에 설치된 브러쉬가 회전하면서 과일 외피를 세척하고, 덕트의 천장에 설치된 분사노즐에서 고압으로 살수(撒水)하여 외피가 세척된 과일을 헹구며, 송풍팬에서 세척된 과일에 송풍하여 건조시키는 세척 및 건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송부는 수조부의 출구측으로부터 20∼40°상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조부에서 떠내려 온 과일이 받침링에 얹혀진 상태로 승강벨트가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덕트의 양측 바닥면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과일을 이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세척 및 건조부의 바닥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로울러는 이송로울러와 스폰지로울러이며, 이송로울러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모(毛)가 장착되어 구성되고, 스폰지로울러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스폰지가 끼워져서 구성되며, 세척 및 건조부의 입구측으로부터 3∼5개의 이송로울러가 설치된 후, 3∼5개의 스폰지로울러가 설치된 다음, 이송로울러가 출구측까지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브러쉬는 스폰지로울러가 설치된 부분까지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브러쉬는 덕트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세척브러쉬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수직브러쉬로 구성되며, 세척브러쉬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모(毛)가 장착되어 구성되고, 수직브러쉬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봉(棒) 형상의 로드(rod)와, 로드의 상단부분을 수용하는 수용케이스와, 로드의 상단과 수용케이스의 천장면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과, 로드의 외주면에 장착된 모(毛)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브러쉬는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면서 과일의 오목한 꼭지 및 꽃받침 부위를 세척해 주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세척장치는, 이송로울러 상에서 과일이 일정한 방향으로만 굴러가면서 이송되는 것이 아니라 360도 방향을 바꾸어 회전하면서 이송되도록 하고, 브러쉬를 설치된 자리에서만 회전하는 브러쉬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브러쉬로 구분하고 구역에 따라 움직임이 다른 브러쉬를 설치했기 때문에 과일의 외피는 물론 꼭지 및 꽃받침 부위와 같이 오목하게 들어간 미세한 부분까지 빈틈없이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살수(撒水) 노즐을 여러 방향으로 설치하여 세척할 때 여러 방향에서 살수해 주며, 헹굼 시에도 일정한 압력의 물을 분사해 주지 않고 고압과 저압을 번갈아서 분사해 주기 때문에 골고루 세척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세척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2는 이송부에 설치된 승강벨트와 승강로울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세척 및 건조부에 설치된 로울러와 브러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세척 및 건조부에 설치된 로울러와 송풍팬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배치도와 세척 및 건조부에 설치된 수직브러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세척장치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이송로울러 상에서 과일이 360도 방향을 바꿔가면서 이송되고, 일부 구역에 설치되는 브러쉬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브러쉬를 설치하며, 세척시 여러 방향에서 살수(撒水)해 주고, 헹굼시 고압과 저압의 물을 번갈아서 분사함으로써 과일의 표면은 물론 꼭지 및 꽃받침 부위까지도 빈틈없이 세척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세척장치는 수조(水槽)부(10)와, 이송부(20)와, 세척 및 건조부(3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수조(水槽)부(10)는, 상방이 개방된 물탱크이며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11)를 구비하고, 저수조(11)의 일측에서 출구측을 향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고압분사부(12)를 구비하는데, 저수조(11)에 투입되어 떠있는 과일(40)이 고압분사부(12)에서 분사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출구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송부(20)는 덕트 형상이고 수조부(11)의 출구측에 설치되며, 승강벨트(21)와 이송브러쉬(23)를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이송부(20)는 수조부(10)의 출구측으로부터 20∼40°상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승강벨트(21)는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샤프트(211)에 타원 형상이고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 받침링(212)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덕트의 양측 바닥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샤프트(211)가 승강하게 되는데, 승강벨트(21)는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샤프트(211)가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받침링(212) 사이에 얹힌 과일을 이송하게 된다.
이송브러쉬(23)는 승강벨트(21)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하게 되며 샤프트의 외주면에 일정 길이의 부드러운 천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으로, 수조부(10)에 담궈져 있을 때 과일의 외피에 묻은 이물질이 불려진 상태에서 과일이 이송부(20)의 받침링(212)에 얹혀진 상태로 이송되면서, 상부에서 이송브러쉬(23)가 회전하기 때문에 과일이 이송도 되면서 이송브러쉬(23)에 구비된 부드러운 천에 의해 과일 외피에 묻은 일부 이물질이 1차로 세척도 되게 된다.
세척 및 건조부(30)는 덕트 형상이고, 이송부(20)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이송부(20)로부터 이송되어 온 과일(40)을 세척하고 헹궈서 건조시키는 구성이다. 세척 및 건조부(30)는 덕트의 바닥에 등간격으로 로울러가 설치되어 있고, 로울러가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그 상부에 얹혀진 과일이 순차적으로 세척, 헹굼, 건조과정을 거친 후 깨끗한 상태로 배출시키게 된다.
세척 및 건조부(30)의 바닥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로울러는 이송로울러(31)와 스폰지로울러(32)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송로울러(31)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모(毛)가 장착되어 구성된 것이고, 스폰지로울러(32)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스폰지가 끼워져서 구성되어 과일 외피에 묻은 수분(물기)을 스폰지로 닦아내게 된다. 세척 및 건조부(30)의 바닥에 모두 이송로울러(31)만 설치해도 되지만, 세척 및 건조부(30)의 입구측으로부터 3∼5개는 이송로울러(31)를 설치하고, 이어서 3∼5개의 스폰지로울러(32)를 설치한 다음, 출구측까지 이송로울러(3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울러의 상부에 과일이 얹혀져 이송되면서 그 상부에 설치된 브러쉬가 회전하면서 과일 외피를 세척하게 되는데, 브러쉬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모(毛)가 장착되어 구성된 세척브러쉬(33)만 설치해도 되지만, 과일의 오목한 꼭지 및 꽃받침 부위를 세척하기 위하여 일부에 수직브러쉬(3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브러쉬(33)에 장착된 모(毛)의 길이는 이송로울러(31)에 장착된 모(毛)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해야 하며, 브러쉬는 스폰지로울러(32)가 설치된 부분까지만 설치하고, 스폰지로울러(32)를 지난 다음부터는 헹굼 단계로 들어가게 된다.
세척브러쉬(33)는 덕트의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수직브러쉬(34)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면서 과일의 꼭지 및 꽃받침 부위와 같이 오목한 부위를 세척해 주게 된다. 수직브러쉬(34)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봉(棒) 형상의 로드(rod)(341)와, 로드(341)의 상단부분을 수용하는 수용케이스(342)와, 로드(341)의 상단과 수용케이스(342)의 천장면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343) 및 로드(341)의 외주면에 장착된 모(毛)(344)로 구성된다. 스프링(343)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341)가 상하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기 때문에 로드(341)의 선단(先端)이 오목한 부분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브러쉬를 지난 부분에는 덕트의 천장에 분사노즐(35)을 설치하여 고압으로 물을 살수(撒水)하여 브러쉬에 의해 외피가 세척된 과일을 헹구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헹굼을 위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35)에서는 일정한 수압의 물을 분사하는 것보다 고압과 저압의 물을 번갈아 가면서 분사하도록 제어하고, 분사노즐(35)의 분사방향도 일정한 방향만으로 설치하지 않고 여러 방향으로 설치해 두거나 노즐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세척 및 건조부(30)의 브러쉬가 설치된 부분의 브러쉬 상부에도 물을 분사해 주는 분사노즐(35)을 설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헹굼 과정을 거친 다음에는 과일 외피에 묻은 수분을 제거하고 건조해 주어야 하므로, 덕트의 천장 및 측면에 송풍팬(36)을 설치하여 세척된 과일에 송풍(送風)하여 건조시킨다. 송풍팬(36)이 덕트의 천장에만 설치해도 되지만 천장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설치하여 과일이 회전되면서 건조되게 되어 국소부분까지 수분을 날릴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수조부 11 : 저수조
12 : 고압분사부
20 : 이송부 21 : 승강벨트
211 : 샤프트 212 : 받침링
23 : 이송브러쉬
30 : 세척 및 건조부 31 : 이송로울러
32 : 스폰지로울러 33 : 세척브러쉬
34 : 수직브러쉬 341 : 로드(rod)
342 : 수용케이스 343 : 스프링
344 : 모(毛)
35 : 분사노즐 36 : 송풍팬
40 : 과일

Claims (4)

  1. 물을 저장하며 상방이 개방된 저수조를 구비하고, 상기 저수조의 일측에서 출구측을 향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고압분사부를 구비하며, 저수조에 투입된 과일이 물에 떠서 출구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수조(水槽)부;
    덕트 형상이고 상기 수조부의 출구측에 설치되며,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샤프트에 타원 형상의 받침링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샤프트가 승강하게 되는 승강벨트와, 상기 승강벨트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하게 되며 샤프트의 외주면에 부드러운 천이 설치되어 구성된 이송브러쉬가 설치되어 구성된 이송부;
    덕트 형상이고 상기 이송부의 출구측에 설치되며, 덕트의 바닥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로울러의 상부에 과일이 얹혀져 이송되면서 상부에 설치된 브러쉬가 회전하면서 과일 외피를 세척하고, 덕트의 천장에 설치된 분사노즐에서 고압으로 살수(撒水)하여 외피가 세척된 과일을 헹구며, 송풍팬에서 세척된 과일에 송풍(送風)하여 건조시키는 세척 및 건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송부는 수조부의 출구측으로부터 20∼40°상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조부에서 떠내려 온 과일이 받침링에 얹혀진 상태로 승강벨트가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덕트의 양측 바닥면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과일을 이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한 꼭지부분의 세척이 가능한 과일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및 건조부의 바닥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로울러는 이송로울러와 스폰지로울러이며,
    이송로울러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모(毛)가 장착되어 구성되고,
    스폰지로울러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스폰지가 끼워져서 구성되며,
    세척 및 건조부의 입구측으로부터 3∼5개의 이송로울러가 설치된 후, 3∼5개의 스폰지로울러가 설치된 다음, 이송로울러가 출구측까지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브러쉬는 스폰지로울러가 설치된 부분까지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한 꼭지부분의 세척이 가능한 과일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모(毛)가 장착되어 구성된 세척브러쉬이고, 세척브러쉬에 장착된 모(毛)의 길이가 이송로울러에 장착된 모(毛)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한 꼭지부분의 세척이 가능한 과일세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덕트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세척브러쉬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수직브러쉬로 구성되며,
    세척브러쉬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모(毛)가 장착되어 구성되고,
    수직브러쉬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봉(棒) 형상의 로드(rod)와, 로드의 상단부분을 수용하는 수용케이스와, 로드의 상단과 수용케이스의 천장면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과, 로드의 외주면에 장착된 모(毛)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브러쉬는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면서 과일의 오목한 꼭지 및 꽃받침 부위를 세척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한 꼭지부분의 세척이 가능한 과일세척장치.
KR1020160067529A 2016-05-31 2016-05-31 오목한 꼭지부분의 세척이 가능한 과일세척장치 KR20170135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529A KR20170135508A (ko) 2016-05-31 2016-05-31 오목한 꼭지부분의 세척이 가능한 과일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529A KR20170135508A (ko) 2016-05-31 2016-05-31 오목한 꼭지부분의 세척이 가능한 과일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508A true KR20170135508A (ko) 2017-12-08

Family

ID=6091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529A KR20170135508A (ko) 2016-05-31 2016-05-31 오목한 꼭지부분의 세척이 가능한 과일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5508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0091A (zh) * 2018-03-16 2018-08-21 唐海涛 一种物料冲洗去水烘干一体装置
CN108541972A (zh) * 2018-06-21 2018-09-18 湖州览春酒业有限公司 一种烘干水果的装置
CN109757750A (zh) * 2019-03-18 2019-05-17 福建太铭鑫工业科技有限公司 一体式水果清洗吸水风干机
CN110122901A (zh) * 2019-06-21 2019-08-16 徐士钦 一种自动化甘蔗清洗去泥设备
CN110720647A (zh) * 2019-11-25 2020-01-24 兴化市统全生物科技有限公司 清洗机
CN111789269A (zh) * 2020-07-16 2020-10-20 宁波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榨菜加工的清洗切片装置
CN112170327A (zh) * 2020-08-13 2021-01-05 李海燕 一种高效中药加工用清洗装置
CN112535304A (zh) * 2020-12-07 2021-03-23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基于曲线运移路径的马铃薯清杂去土机
CN115039895A (zh) * 2022-06-21 2022-09-13 王远方 一种种植园用且用绿叶保留功能的水果采摘小车
CN116618367A (zh) * 2023-07-21 2023-08-22 太原优鲜多歌供应链有限公司 一种预包装食品加工的食品原料清洗装置
CN116807031A (zh) * 2023-08-28 2023-09-29 云南邦纳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松露酒的松露萃取物制备工艺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0091A (zh) * 2018-03-16 2018-08-21 唐海涛 一种物料冲洗去水烘干一体装置
CN108541972A (zh) * 2018-06-21 2018-09-18 湖州览春酒业有限公司 一种烘干水果的装置
CN109757750A (zh) * 2019-03-18 2019-05-17 福建太铭鑫工业科技有限公司 一体式水果清洗吸水风干机
CN110122901A (zh) * 2019-06-21 2019-08-16 徐士钦 一种自动化甘蔗清洗去泥设备
CN110720647A (zh) * 2019-11-25 2020-01-24 兴化市统全生物科技有限公司 清洗机
CN111789269A (zh) * 2020-07-16 2020-10-20 宁波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榨菜加工的清洗切片装置
CN112170327A (zh) * 2020-08-13 2021-01-05 李海燕 一种高效中药加工用清洗装置
CN112535304A (zh) * 2020-12-07 2021-03-23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基于曲线运移路径的马铃薯清杂去土机
CN112535304B (zh) * 2020-12-07 2022-04-19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基于曲线运移路径的马铃薯清杂去土机
CN115039895A (zh) * 2022-06-21 2022-09-13 王远方 一种种植园用且用绿叶保留功能的水果采摘小车
CN115039895B (zh) * 2022-06-21 2024-03-26 南京维单巴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种植园用且用绿叶保留功能的水果采摘小车
CN116618367A (zh) * 2023-07-21 2023-08-22 太原优鲜多歌供应链有限公司 一种预包装食品加工的食品原料清洗装置
CN116618367B (zh) * 2023-07-21 2023-09-22 太原优鲜多歌供应链有限公司 一种预包装食品加工的食品原料清洗装置
CN116807031A (zh) * 2023-08-28 2023-09-29 云南邦纳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松露酒的松露萃取物制备工艺
CN116807031B (zh) * 2023-08-28 2023-11-10 云南邦纳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松露酒的松露萃取物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5508A (ko) 오목한 꼭지부분의 세척이 가능한 과일세척장치
KR100827758B1 (ko) 구근류 세척 및 건조장치
CN106035132B (zh) 一种浸泡、摩刷、喷淋组合式鲜鸭蛋清洗机
JP2007097529A (ja) 長尺根菜類の洗浄装置
KR101384244B1 (ko) 운반용 박스 세척기
KR101825322B1 (ko) 스팀 세척장치
CN108207706A (zh) 一种自调节的自动清洗机
CN109007906A (zh) 可连续工作的水果清洗设备
JP4224770B2 (ja) 穀物洗浄機およびそれに接続される乾燥機
US11178854B2 (en) Vertical egg washer and dryer such as integrated into an egg processing line
KR100759328B1 (ko) 배추세척장치
CN107646742B (zh) 滚筒式洗蛋器
KR101254916B1 (ko) 골프공 세척장치
KR20160135923A (ko) 대상체 내외부면 세정 장치
KR20120026931A (ko) 과일세척장치
JP4168175B2 (ja) 鶏卵あるいは球状果菜類の表面付着物除去装置
KR200412096Y1 (ko) 자동 골프채 세척기
KR20170091431A (ko) 볼풀장용 볼 세척장치
JP3289104B2 (ja) 履物洗浄装置
JP2010084969A (ja) 食品運搬薄型容器洗浄後の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KR20230000716A (ko) 식판 세정 시스템
KR101056645B1 (ko) 감귤용 습식 및 건식 겸용 세척장치
JP3131484U (ja) シートパレット洗浄装置
KR20170022811A (ko) 신발 연속세척시스템
CN207443975U (zh) 滚筒式洗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