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672Y1 - 가열용기 - Google Patents
가열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1672Y1 KR200321672Y1 KR20-2003-0014543U KR20030014543U KR200321672Y1 KR 200321672 Y1 KR200321672 Y1 KR 200321672Y1 KR 20030014543 U KR20030014543 U KR 20030014543U KR 200321672 Y1 KR200321672 Y1 KR 20032167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body
- heating
- handle
- lid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열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상향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내부에는 일정량의 가열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구비되며, 내측면에는 동일 수평선상에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걸림턱(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의 걸림턱(11)은 소정의 간극만큼 이격되도록 하여 수직으로 복수의 층을 이루는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경보다는 미세하게 작은 외경을 가지며, 외주연 끝단부에는 상기의 용기 본체(10)의 내측면에 형성한 걸림턱(11)을 수용하면서 상기 걸림턱(11)에 대응되는 위치와 갯수로 가이드 홈(21)을 형성하고, 판면에는 수직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관통공(22)이 형성되며, 상기 판면의 중앙에는 소정의 직경으로 상향 돌출되게 하여 손잡이(23)를 형성한 격리판부재(20)와: 상향 개방한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중앙에는 일정높이로 상향 돌출되게 관형상으로 손잡이(31)를 형성하되 상기 손잡이(31)는 내부가 수직으로 관통되어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면서 상단부는 캡(32)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비한 뚜껑(30)으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내부에 수용한 가열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보다 신속하게 가열시킬 수가 있도록 하는 동시에 굴뚝효과를 이용한 외부공기의 유입으로 거품을 소멸시키도록 함으로써 가열 중 내용물 및 거품의 넘침으로 인한 가열 수단의 소화 위험을 방지할 수가 있도록 하므로 열효율 및 안전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가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 중 발생되는 거품을 소멸시키고 발생증기의 실내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조리 또는 빨래를 삶을 때는 일정한 용량의 가열용기를 사용한다. 가열용기는 단순히 열전도율과 내열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내부에는 음식물이나 빨래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정도의 공간이 구비되도록 하는 형상이다.
가열용기는 음식물 또는 빨래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함께 이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동시에 구비한다.
이러한 가열용기는 이미 다양한 구성으로 제안된 바 있다. 즉 국내공개실용신안 제1998-24983호(음식물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와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9955호(빨래삶는 용기) 및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80600호(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를 통해 다양하게 알려진 바 있다.
이들 가열용기는 열을 용기 본체에 가하게 될 때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증기 및 거품을 발생시키면서 이들 증기와 거품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구성적 특징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해 가열용기의 용기 본체에 음식물이나 빨래 등을 넣고 뚜껑을 닫은 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게 되면 내부에서는 다량의 증기와 함께 거품이 발생 팽창하게 되어 용기와 뚜껑 사이로 또는 증기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넘쳐 흐르게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9955호에서는 빨래를 삶는 용기에 대해서 제안하고 있는 바 이는 도 1에서와 같다.
즉 용기 본체(1)의 내부에는 중앙이 원형으로 상향 돌출되게 하여 원통부(2a)를 이루고, 하부는 외측으로 직경이 확장되게 하여 스커트부(2b)를 이루는 보조통(2)이 구비되도록 하면서 원통부(2a)의 상측 외주면에는 다수의 배출공(2c)이 형성되도록 하며, 보조통(2)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1)의 상향 개방된 상부는 뚜껑(3)에 의해서 커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특히 보조통(2)은 용기 본체(1)의 내부에 삽입되어 바닥에 스커트부(2b)의 외주연 단부가 안치되게 내장되도록 하는 것인 바 이러한 상태에서 보조통(2)의 스커트부(2b) 상측으로 이미 비눗물과 함께 섞인 빨래를 넣고 뚜껑(3)을 덮은 상태에서 열을 가하게 되면 물이 끊으면서 빨래가 삶아지게 되는데 이때 스커트부(2b)의 가장자리가 용기 본체(1)의 바닥면으로부터 간헐적으로 들리면서 그 부위를 통해 보조통(2)의 내부로 가열되는 물이 유입된다.
보조통(2)으로 유입되는 물은 외부의 수위와 일치되면서 더 이상 수위 상승은 일어나기 않게 되고, 단지 빨래가 삶아지는 과정에서 세제거품이 생기게 되는데 통상 보조통(2) 내부의 물온도가 외부의 물온도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보조통(2) 내부에서 세제거품이 상승하여 배출공(2c)을 통해 배출되며, 이렇게 배출되는 세제거품은 빨래가 있는 보조통(2) 외측으로 유동하면서 온도가 저하되어 거품이 사라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구성에서는 빨래감과 비눗물이 분리되면서 용기의 가열에 의해 빨래감을 삶는 효율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다.
즉 빨래감을 효율적으로 삶기 위해서는 비눗물을 가열하면서 이 비눗물이 빨래감에 흡수 및 탈수를 반복하여 유동하는 작용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나 상기한 용기는 오직 비누거품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데에 구성적 특징이 있으므로 실제적인 빨래의 세탁력은 보다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가열 중 발생되는 거품이나 증기를 소멸시켜 외부로 넘치지 않게 하는 동시에 세제 증기 등 인체에 유해한 냄새가 실내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면서 빨래의 세탁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빨래의 상측으로 격리판부재를 씌워 열효율을 극대화시키므로서 빨래를 삶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열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열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본체의 바닥면에 요철면을 형성한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 손잡이에 증기 유도관이 연결된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외기 유입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용기 본체에 격리판부재를 조립하는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외기 유입 수단을 통한 외기의 유입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본체 11 : 걸림턱
20 : 격리판부재 21 : 가이드 홈
22 : 관통공 23 : 손잡이
30 : 뚜껑 31 : 손잡이
32 : 캡 40 : 증기 유도관
61 : 돌기 62 : 끼움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향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내부에는 일정량의 가열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구비되며, 내측면에는 동일 수평선상에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걸림턱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의 걸림턱은 소정의 간극만큼 이격되도록 하여 수직으로 복수의 층을 이루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경보다는 미세하게 작은 외경을 가지며, 외주면 끝단부에는 상기의 용기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한 걸림턱을 수용하면서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는 위치와 갯수로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판면에는 수직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판면의 중앙에는 소정의 직경으로 상향 돌출되게 하여 손잡이를 형성한 격리판부재와: 상향 개방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중앙에는 상향 돌출되게 관형상으로 손잡이를 일정 높이로 형성하되 내부가 수직으로 관통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면서 상단부는 캡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뚜껑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크게 용기 본체(10)와 격리판부재(20)와 뚜껑(30)으로서 이루어진다.
용기 본체(10)는 상향 개방되도록 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용기 본체(10)는 실질적으로 가열하고자 하는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내부로 충분한 공간을 가지며, 이러한 내부 공간의 체적에 의해 가열 내용물 용량이 결정된다.
용기 본체(10)에는 내측면의 동일 수평선상에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걸림턱(11)이 안쪽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되 이러한 걸림턱(11)은 소정의 높이를 이격하면서 수직으로 복수의 층으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걸림턱(11)은 동일 수평선상에서 3~5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격리판부재(20)는 용기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하 공간을 나누는 칸막이이다. 즉 격리판부재(20)는 외경이 용기 본체(10)의 내경보다는 미세하게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용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수직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판면의 외주연 끝단부에는 용기 본체(10)의 내측에 형성한 걸림턱(11)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그와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서 가이드 홈(21)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격리판부재(20)는 미세한 두께로서 외주연 단부측이 상향 만곡지면서 내주연부는 만곡진 상태에서 평면을 이루도록 하며, 이러한 상향 만곡지도록 한 판면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소정의 직경으로서 복수의 관통공(22)이 형성되도록 한다.
격리판부재(20)의 판면에는 중앙에 소정의 높이로 손잡이(23)가 상향 돌출되도록 하여 격리판부재(20)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며, 이때 손잡이(23)는 열전달 효율이 낮은 재질 특히 합성수지로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뚜껑(30)은 상향 개방되게 구비되는 용기 본체(10)의 상단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인 바 뚜껑(30)에는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형상으로 손잡이(31)를 형성하고, 이 손잡이(31)는 용기 본체(10)의 내부와 외부가 상호 연통되게 함으로써 굴뚝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상향 돌출되도록 하며, 이 손잡이(31)의 상단부는 캡(32)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 용기 본체(10)의 바닥면은 도 3에서와 같이 요철면(12)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가열면적이 증대되도록 열효율을 극대화시키는데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 본체(10)의 측면에서 상하층 걸림턱(11)간 간격은 격리판부재(20)의 두께보다는 미세하게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뚜껑(30)의 손잡이(31)에는 캡(32)을 제거한 상태에서 도 4에서와 같이 수직의 관부재인 증기 유도관(40)이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즉 용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상측은 거품수용공간(13)을 이루게 되는데 이 거품수용공간(13)에 포집되는 거품을 소멸시키기 위한 외부공기의 유입이 충분하도록 내경과 길이를 갖도록 배기 덕트(50)에 상단부가 근접하도록 증기 유도관(40)을 뚜껑(30)의 손잡이(31)에 결합되도록 하여 굴뚝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구성에서 용기 본체(10)의 상단부와 뚜껑(30)의 외주연 끝단부간에는 외기 유입 수단이 형성되게 할 수도 있는 바 외기 유입 수단은 도 5에서와 같이 용기 본체(10)와 뚜껑(30)의 서로 접하는 면간 서로 맞물리게 복수의 돌기(61)와 끼움홈(62)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뚜껑(30)을 회전시킴에 의해 끼움홈(62)으로부터 돌기(61)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돌기(61)이 높이만큼 용기 본체(10)와 뚜껑(30)의 접촉면간이 이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작용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특별히 거품이 생성되지 않는 내용물인 경우에는 격리판부재(20)를 삽입시킬 필요가 없다.
즉 단순한 물을 끊일 때와 같이 특별히 심한 거품 생성이나 증기 발생이 우려되지 않은 내용물을 가열하는 경우에는 격리판부재(20)를 제거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격리판부재(20)는 거품 생성이 많은 내용물인 경우 내부의 압력 증강에 따른 내용물의 팽창을 최소화시킬 수가 있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빨래를 삶기 위해 비눗물과 함께 빨래를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소정의 높이로 채운 후 이에 근접한 높이에 격리판부재(20)를 끼워 고정시키게 되면 비록 용기 본체(10)의 가열에 의해 거품이 다량으로 발생되더라도 일단 격리판부재(20)에 의해 빨래가 내부의 압력 팽창에 의해 위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격리판부재(20)는 도 7에서와 같이 외주연 끝단부의 가이드 홈(21)이 용기 본체(10) 내주면에 형성한 걸림턱(11)을 따라 끼워지게 한 후 소정의 각도로 격리판부재(20)를 회전시켜 걸림턱(11)에 어긋나도록 가이드 홈(21)이 위치되도록 하면 상하 걸림턱(11)의 사이에서 격리판부재(20)는 이탈 방지되도록 끼워진다.
이렇게 용기 본체(10)를 임의의 시간 동안 가열하게 되면 내용물이 가열되면서 용기의 바닥에서부터 다량의 증기와 거품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다량의 증기와 거품은 빨래 사이를 용솟음치며 빠져나가면서 위로 상승, 격리판부재(20)의 판면에 형성한 다수의 관통공(22)을 통해 격리판부재(20) 상측의 용기 본체(10) 내의 상부에 형성된 거품수용공간(13)에 채워지게 된다. 이때 뚜껑(30)의 손잡이(31)에 형성한 캡(32)만을 분리시키게 되면 거품수용공간(13)에 채워져 있는 다량의 거품과 증기가 함께 손잡이(31)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면서 넘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손잡이(31)를 통해서는 거품과 증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기능만 하므로 이 거품과 증기의 방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서로 분리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별도로 외부로부터 저온의 공기를 거품수용공간(13)으로 유입시켜야만 하는 바 도 5에서와 같이 외기 유입 수단인 돌기(61)와 끼움홈(62)을 이용하여 뚜껑(30)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8에서와 같이 뚜껑(30)의 외주연 끝단부가 용기 본체(10)의 상단부로부터 소정의 높이 즉 외기 유입 수단인 돌기(61)의 높이만큼 뚜껑(30)을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31)에 형성된 수직의 통로와 증기유도관(40)을 통해 굴뚝효과에 의해서 고온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외기 유입 수단을 통해서는 외기가 내부로 유도되도록 하여 외기에 의해 거품이 소멸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외기 유입 수단은 용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충분히 내용물이 가열된 직후 뚜껑(30)측 손잡이(31) 상단으로부터 캡(32)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뚜껑(30)을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 본체(10)의 내부로 소정량의 내용물을 채운 후 그 직상부를 일단 격리판부재(20)로서 커버한 상태에서 가열시키게 되면 최소한의 가열 공간에서 내용물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가열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가열된 직후 발생되는 고온의 증기와 거품은 격리판부재(20)에 의해 눌려져 있는 빨래들 사이로 용솟음치면서 빠져나가게 되고, 이때 거품은 격리판부재(20)에 의해 거의 그 하부에 머물게 되는데 반해 고온의 증기는 격리판부재(20)의 관통공(22)을 통해 조금씩 상향 이동하게 되므로 격리판부재(20)의 하부 공간에서 보다 열효율을 높이게 되므로 더욱 향상된 세탁력을 발휘하게 되고, 격리판부재(20)를 빠져나오게 되는 거품은 거품수용공간(13)에서 뚜껑(30) 상부의 손잡이(31)에 형성된 일정 높이와 내경을 갖는 통로를 통해 배출이 되는데 이때 손잡이(31)측 통로의 진공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진공현상의 발생과 함께 캡(32)의 분리와 함께 뚜껑(30)을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외기 유입 수단에 의해 뚜껑(30)을 용기 본체(10)와의 접촉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하면 뚜껑(30)의 손잡이(31)를 통해서는 내부의 증기가 방출되는데 반해 이렇게 이격시킨 용기 본체(10)와 뚜껑(30)과의 사이로는 외기가 용기의 거품수용공간(13) 내부로 유입되면서 거품을 소멸시키게 되므로 내용물의 넘침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거품 및 내용물의 넘침을 방지시키게 되면 가열 중 가열 수단의 불꽃이 꺼지게 되면서 가스가 누출되는 심각한 위험으로부터 가열 용기를 취급하게되는 사람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게 되며, 내용물의 지나친 낭비를 줄임과 동시에 특히 뚜껑(30) 손잡이(31)에 증기 유도관(40)을 연결하게 되면 좀더 원활한 굴뚝효과를 발휘하면서 거품이 다량으로 발생시에 더욱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냄새 및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피할 수가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 본체(10)와 격리판부재(20)를 통해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용한 가열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보다 신속하게 가열시킬 수가 있도록 하는 동시에 뚜껑(30)의 손잡이(31) 및 이를 통해서 고온의 증기가 배출되면서 발생하는 굴뚝효과를 이용하여 외기 유입 수단인 돌기(61)에 의해 형성된 틈새로 외기를 유입시켜 거품을 소멸시킴으로서 가열 중 내용물 및 거품의 넘침으로 인한 가열 수단의 소화 위험을 방지할 수가 있도록 하면서 인체 및 정밀기기에 유해한 성분의 실내확산을 방지하게 되는 동시에 열효율 및 안전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 상향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내부에는 일정량의 가열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구비되며, 내측면에는 동일 수평선상에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걸림턱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의 걸림턱은 소정의 간극만큼 이격되도록 하여 수직으로 복수의 층을 이루는 용기 본체와;상기 용기 본체의 내경보다는 미세하게 작은 외경을 가지며, 외주연 끝단부에는 상기의 용기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한 걸림턱을 수용하면서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는 위치와 갯수로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판면에는 수직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판면의 중앙에는 소정의 직경으로 상향 돌출되게 하여 손잡이를 형성한 격리판부재와:상향 개방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중앙에는 일정한 높이로 상향 돌출되게 관형상으로 손잡이를 형성하되 상기 손잡이는 내부가 수직으로 관통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면서 상단부는 캡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비한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가열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은 요철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가열면적이 증대되도록 하는 가열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손잡이에는 캡을 분리한 후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방출되는 증기를 배기 덕트에 가까이 근접하도록 증기 유도관이 연결되도록 하는 가열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뚜껑의 외주연 끝단부간에는 서로 접하는 면간 서로 맞물리게 복수의 돌기와 끼움홈으로 이루어지는 외기 유입 수단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뚜껑을 회전시킴에 의해서 상기 용기 본체와 뚜껑의 접촉면간이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하는 가열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4543U KR200321672Y1 (ko) | 2003-05-12 | 2003-05-12 | 가열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4543U KR200321672Y1 (ko) | 2003-05-12 | 2003-05-12 | 가열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1672Y1 true KR200321672Y1 (ko) | 2003-07-31 |
Family
ID=49411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4543U KR200321672Y1 (ko) | 2003-05-12 | 2003-05-12 | 가열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1672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6819B1 (ko) | 2009-08-07 | 2011-11-29 | 김은정 | 조리용 깔끔 기름 제거기 |
WO2012118339A3 (ko) * | 2011-03-03 | 2012-11-15 | Oh Jae-Tak |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 |
KR101391008B1 (ko) * | 2012-07-27 | 2014-04-30 | 한국니트산업연구원 | 인피섬유로부터 펄프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
-
2003
- 2003-05-12 KR KR20-2003-0014543U patent/KR20032167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6819B1 (ko) | 2009-08-07 | 2011-11-29 | 김은정 | 조리용 깔끔 기름 제거기 |
WO2012118339A3 (ko) * | 2011-03-03 | 2012-11-15 | Oh Jae-Tak |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 |
KR101391008B1 (ko) * | 2012-07-27 | 2014-04-30 | 한국니트산업연구원 | 인피섬유로부터 펄프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017793A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liquid | |
JP2020501744A (ja) | 容器内に入れられた食物を蒸気加熱および/または蒸気調理するためのモジュラースチーマ付属品 | |
US20180110373A1 (en) | Food processor with improved steam channel structure | |
KR20190099019A (ko) | 용기 내에 수용되는 식품을 스팀-가열 및/또는 스팀-조리하기 위한 개선된 스티머 액세서리 | |
KR200321672Y1 (ko) | 가열용기 | |
KR20060096881A (ko) | 찜구이기 | |
KR102130609B1 (ko) |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 |
KR101964559B1 (ko) |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 |
KR200319825Y1 (ko) | 자동압력 중탕기용 중탕전용용기 | |
KR0129673Y1 (ko) | 세탁물 삶는 장치 | |
KR102656506B1 (ko) |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 | |
KR200361213Y1 (ko) | 전기압력밥솥의 안전증기배출장치 | |
KR200209955Y1 (ko) | 빨래삶는 용기 | |
KR200339705Y1 (ko) | 찜용기 | |
KR200199902Y1 (ko) |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전기밥솥의 속뚜껑 | |
KR200169252Y1 (ko) |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및 이의 수납용기 | |
KR100448192B1 (ko) | 조리용기 | |
KR200284463Y1 (ko) | 빨래 삶는 용기 | |
KR200342402Y1 (ko) | 넘침 방지 냄비뚜껑 | |
KR200276240Y1 (ko) | 찜.온습기용 증기분출구의 구조 | |
KR101686531B1 (ko) | 비복귀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중탕기 | |
KR101137599B1 (ko) | 입체가열식 조리기구 | |
KR101244276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중탕기 | |
KR200143281Y1 (ko) | 세탁물 삶는 장치 | |
KR200295860Y1 (ko) | 다용도 찜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713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