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582Y1 - 스텐망 용기 - Google Patents

스텐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582Y1
KR200321582Y1 KR20-2003-0014577U KR20030014577U KR200321582Y1 KR 200321582 Y1 KR200321582 Y1 KR 200321582Y1 KR 20030014577 U KR20030014577 U KR 20030014577U KR 200321582 Y1 KR200321582 Y1 KR 200321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steel container
present
upper edge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국
Original Assignee
김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국 filed Critical 김종국
Priority to KR20-2003-0014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5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5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야채나 과일 등의 세척이나 탈수가 용이하도록 다공망 형태로 이루어진 스텐망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스텐망 용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스텐망 용기(100)는, 수용부(110)로만 다공(120)이 형성되고, 이 수용부(110)에 대하여 상부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테두리(130)로는 다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텐망 용기(100)의 상부 테두리로는 다공(多孔)(120)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작함으로서 상부 테두리 처리를 위한 벤딩 작업 등의 추가 공정이 전혀 불필요하여 제작 공정의 단축을 통한 제품의 생산성 향상 및 제작 단가의 절감이 가능하고, 제품의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텐망 용기{Stain net courage}
본 고안은 각종 야채나 과일 등의 세척이나 탈수가 용이하도록 다공망 형태로 이루어진 스텐망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텐망 용기의 상부 테두리로는 다공(多孔)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작함으로서 상부 테두리 처리를 위한 벤딩 작업 등의 추가 공정이 전혀 불필요하여 제작 공정의 단축을 통한 제품의 생산성 향상 및 제작 단가의 절감이 가능하고, 제품의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스텐망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망 용기는 주로 각종 야채나 과일 등의 식품을 물에 세척하거나 또는 세척한 후 물기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물기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미세한 구멍이 무수히 형성된 다공망 형태를 이루고 있다.
도1은 종래 주로 사용되고 있는 스텐망 용기(1)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텐망 용기(1)는 다공이 무수히 형성된 스텐판의 용기 성형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다음 절단된 소재를 소정의 용기 모양으로 프레싱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수용부(10)와 상부 테두리(20)로는 다공(30)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질 수 밖에 없고, 상부 테두리(20)로는 이에 형성된 다공 및 가장자리 절단면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밴드(40)가 감싸진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 스텐망 용기(1)의 구조에 의하면, 상부 테두리(20)로 형성된 다공 내지는 가장자리 절단면을 밴드(40)로 감싸기 위한 후처리 작업이 필수적으로 추가될 수 밖에 없는 구조로서 제품의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었고, 또한 부품의 추가 공정으로 인한 제작 단가의 상승이 초래되었을 뿐 아니라 밴드(40)로 감싸진 상부 테두리(40)의 경계면은 이에 형성된 다공(30)을 통해 유입된 각종 이물질의 세척이 용이하지 못하여 각종 세균의 번식 우려 등 매우 비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를 구성하는 상부 테두리로는 다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수용부와 일체로 프레스 제작함으로서, 별도의 밴드 작업이 전혀 불필요한 스텐망 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1은 종래 스텐망 용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텐망 용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텐망 용기의 다른 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텐망 용기의 제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스텐망 용기 110: 수용부
120: 다공 130: 상부 테두리
140: 받침편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텐망 용기의 기술적 특징은, 스텐망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스텐망 용기는, 수용부로만 다공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상부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테두리로는 다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일체로 구성된 점에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수용부의 바닥 하부로는 배수의 원활을 위한 받침편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텐망 용기(100)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망 용기(10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소정 형태의 수용부(110)와, 이 수용부(110)에 대하여 상부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된 상부 테두리(1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용부(110)로는 배수를 위한 무수한 다공(120)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공(120)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것이며, 특정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수용부(110)의 바닥 저면으로는 배수의 원활을 위한 받침편(140)이 용착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받침편(140)은, 수용부(110)의 바닥부가 일직선 형태일 경우에 적합하고, 종래 도1과 같이 바닥부의 높이가 다르게 절곡 형성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구비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스텐망 용기(100)는 도2와 같이 수용부(110)의 높이가 높은 형태의 용기, 또는 도3과 같이 비교적 낮은 형태의 용기 등 다양한 형태로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텐망 용기(100)의 제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스텐망 용기(10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용기 성형 소재인 스텐 판(A)의 일부에 대하여, 예컨대 수용부(110)가 형성되는 부분 만큼만 다공(120)이 분포 형성된 스텐 판(A)으로부터 상부 테두리(130)를 감안한 크기(점선부분 참조)로 용기소재(B)를 절단해 낸다.
그런 다음, 절단된 용기소재(B)를 본 고안의 스텐망 용기(100)의 성형이 가능하도록 사전에 가공된 양 형틀(C)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이를 일정한 압력으로 프레싱함으로서, 다공(120)이 형성된 수용부(110)와 다공이 형성되지 않은 상부 테두리(130)가 일체로 구분 형성된 스텐망 용기(100)가 얻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공정 순서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용기소재(B)를 스텐 판(A)으로부터 먼저 절단해 내지 않고 프레싱 한 다음 절단하여 스텐망 용기(100)를 제작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전에 수용부(110)로만 다공(120)이 형성되도록 용기 소재(B)를 마련하 다음 이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해 상부 테두리(130)로는 다공이 전혀 형성되지 않은 스텐망 용기(100)의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상부 테두리 보호를 위한 별도의 밴딩 작업이 전혀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어서, 제작 공정의 단축을 통한 제품의 다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품의 품질 향상은 물론 추가 공정의 절감을 통한 제조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용기(100)를 지면에 놓더라도 수용부(110)의 바닥 하부로 설치된 받침편(140)에 의해 지면과의 일정 높이가 유지되어 설령 수용부(110)의 바닥면이 직선 형태라 하더라도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수용부로만 다공이 형성되도록 제작함으로서, 제작 공정의 단축을 통한 생산성의 향상과 더불어 제작 단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상부 테두리를 별도로 가공하지 않더라도 미려한 외관의 제공이 가능하고 상부 테두리로는 이물질이 끼일 염려가 전혀 없어 세균 번식등의 우려 없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 및 품질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은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다공망 형태의 스텐망 용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스텐망 용기(100)는, 수용부로(110)만 다공(120)이 형성되고, 이 수용부(110)에 대하여 상부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테두리(130)로는 다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망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10)의 바닥 하부로는 받침편(14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망 용기.
KR20-2003-0014577U 2003-05-12 2003-05-12 스텐망 용기 KR200321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577U KR200321582Y1 (ko) 2003-05-12 2003-05-12 스텐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577U KR200321582Y1 (ko) 2003-05-12 2003-05-12 스텐망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582Y1 true KR200321582Y1 (ko) 2003-07-28

Family

ID=4941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577U KR200321582Y1 (ko) 2003-05-12 2003-05-12 스텐망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5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1825A1 (de) * 2015-07-21 2017-01-26 Himenviro Deutschland Gmbh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 Staubfilter
KR20200129691A (ko) 2019-05-09 2020-11-18 이명걸 세척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1825A1 (de) * 2015-07-21 2017-01-26 Himenviro Deutschland Gmbh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 Staubfilter
KR20200129691A (ko) 2019-05-09 2020-11-18 이명걸 세척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281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oulded fibre packaging and moulded fibre food packaging
NO751240L (ko)
KR200321582Y1 (ko) 스텐망 용기
JPH05279998A (ja) 抄造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1380C (zh) 全降解一次性餐具的成型方法及其模具结构
JP3187074U (ja) 巻き寿司用調理器具
CN104970325B (zh) 被切断的棵状泡菜制作方法
CN105619881A (zh) 一种水果包装盒的制作方法
JP2001233318A (ja) パルプモウルド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820215A (zh) 用于豆类胚芽的取出方法
CN2358695Y (zh) 一种夹心豆腐加工机
KR20130078442A (ko) 클램프에 의해 메쉬틀이 장착되는 메쉬팔렛을 이용한 펄프 몰드 성형품 제조방법
KR101805456B1 (ko) 누룩 성형기와 누룩 성형방법
CN205284861U (zh) 一种豆干成型模具
CN211746610U (zh) 一种凹型内容物式豆腐的成型模具
CN205052726U (zh) 豆干压制底模
KR20200000576U (ko) 김밥 성형틀
KR102279810B1 (ko) 표면 문양을 갖는 시루떡 제조구
KR20070000053U (ko) 입체의 성형 틀이 조형된 시루 밑판
KR20140004442U (ko) 발효음식의 맛을 향상토록 하기 위한 누름판
CN111074693B (zh) 一种消除纸浆模塑制品表面缺陷的二次吸浆补偿技术方法
JPH05279999A (ja) 抄造容器
JP4264097B2 (ja) 干絲の製造方法
JPH06313300A (ja) 抄造成形品の製造方法
JP3084788U (ja) 紙漉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