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691A - 세척 용기 - Google Patents

세척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691A
KR20200129691A KR1020190054479A KR20190054479A KR20200129691A KR 20200129691 A KR20200129691 A KR 20200129691A KR 1020190054479 A KR1020190054479 A KR 1020190054479A KR 20190054479 A KR20190054479 A KR 20190054479A KR 20200129691 A KR20200129691 A KR 20200129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container
sieve
wat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2521B1 (ko
Inventor
이명걸
Original Assignee
이명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걸 filed Critical 이명걸
Priority to KR1020190054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52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2Kitchen sif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 대상물을 세척함에 있어서 적은 물로도 쉽게 세척이 가능하고, 세척 후 배수와 찌꺼기 처리가 용이한 세척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은 망체와 탈착수단을 갖는 탈착거름망, 탈착거름망이 안치되는 안치턱을 갖는 관통된 거름망결합부가 형성된 배수통, 배수통과 결합하면 배수통에 담긴 물이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고, 배수통과 분리하면 배수통의 물을 받는 집수통, 배수통과 집수통이 서로 수분에 의해 달라붙는 것을 방지토록 사이에 형성된 이격돌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 후의 찌꺼기를 분리배출하기 용이하여, 물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수도요금이 절감되며, 배수가 편리하여 반복 세척하기 편리하다. 또한 용도에 따라 망체의 공극 크기가 다른 거름망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세척 용기만으로도 다양한 용도에 맞춰서 사용이 가능함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세척 용기{Wash bowl}
본 발명은 세척 용기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주방에서 그릇 또는 야채 등의 세척 대상물을 세척함에 있어서 적은 물로도 쉽게 세척이 가능하고, 세척 후 세척 대상물을 꺼낸 후 배수와 함께 세척 찌꺼기를 쉽게 수거할 수 있으며, 집수통에 담긴 물을 재사용할 수도 있는 세척용기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는 설거지를 할 때 그릇 내지 수저를 세척하거나 또는 야채, 과일 등의 표면 이물질 제거를 위한 세척을 하는 경우가 잦다.
싱크대에서 흐르는 물에 세척하면 물의 낭비가 심하며, 싱크대의 배수구를 마개로 막고 세척하면 싱크대의 용적에 비례하여 역시 많은 물이 소모되며, 흐르는 물에 씻든 마개로 막든 세척에 따른 찌꺼기가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된 거름망에 모이게 된다.
배수구에서 오랫동안 사용하고 있는 거름망은 지저분한 경우가 많아 거름망을 비우는 것 자체를 꺼리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싱크대의 거름망에 모인 찌꺼기를 자주 비워주지 않으면 박테리아가 번식하여 악취의 원인이 되어, 악취가 심할 경우 주방 내지 주방과 연결된 공간을 불쾌한 환경으로 만들 우려가 있다.
세척대상물보다는 크고, 싱크대보다는 작은 측면과 하면이 막힌 용기에 세척대상물을 담아 세척하는 경우도 있다.
막힌 용기에 세척하면 작은 부피에서도 세척이 가능하여 물의 낭비는 줄일 수 있으나, 세척 중 물을 헹구기 위해 막힌 용기를 기울여서 물을 비우는 과정에서 작은 세척대상물(포도와 같은 작은 과일 알갱이, 또는 수저 등)이 의도치 않게 빠져나가는 경우도 있으며, 특히 별도로 분리하여 수거코자하는 세척 찌꺼기가 물에 같이 빠져나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코자 세척대상물을 세척 한 뒤 찌꺼기를 싱크대 거름망보다 앞서 걸러내는 세척용 용기가 개발되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21582호(2003년 07월 28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스텐망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스텐망 용기는 수용부로만 다공이 형성되고 이 수용부에 대하여 상부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테두리로는 다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텐망 용기의 상부 테두리로는 다공(多孔)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작함으로서, 흐르는 물에 세척을 해야 하므로 물의 낭비가 심하고, 다공의 크기가 한가지로 통일되어 배출될 찌꺼기의 크기에 따른 사용 용도가 한정되며, 다공된 부분이 광범위하여 세척 찌꺼기가 한곳에 모이지 않고 군데군데 끼어 남으므로 찌꺼기를 모아서 버리기 힘들게 되며, 금속재질의 본체에 다공이 형성된 것이므로 자칫 세척 중 손을 다칠 우려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강구되는 실정이다.
KR 20-0321582 Y1 (2003.07.28.)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세척 용기의 구조를 개선시켜 기존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적은 물로도 세척이 가능하고, 세척 후 세척 대상물을 꺼낸 후 배수와 함께 세척 찌꺼기를 쉽게 수거할 수 있으며, 집수통에 담긴 물을 재사용할 수도 있는 세척용기를 제공코자 함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이와 함께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를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과제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세척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망체와 탈착수단을 갖는 탈착거름망, 탈착거름망이 안치되는 안치턱을 갖는 관통된 거름망결합부가 형성된 배수통, 배수통과 결합하면 배수통에 담긴 물이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고, 배수통과 분리하면 배수통의 물을 받는 집수통, 배수통과 집수통이 서로 수분에 의해 달라붙는 것을 방지토록 사이에 형성된 이격돌기가 포함되도록 한다.
추가로 집수통에서 측방으로 물이 빠지도록 둘레방향으로 관통되는 망체를 형성하고, 망체에 의해 대분되는 집수통의 상하부가 서로 연결대와 보강힘살로 이어지게 형성된 환형거름망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탈착수단은 탈착거름망의 측면에 둘레방향으로 패킹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이 가압되는 결합면이 거름망결합부에 형성되어 대응 결합토록 하며, 탈착거름망의 상면에 형성된 당김손잡이로 분리토록 한 것이 더 포함되도록 한다.
또는 거름망결합부와 탈착거름망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탈착수단은 탈착거름망의 측면에 둘레방향으로 수나사가 형성되고, 거름망결합부에 상기 수나사에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여, 탈착거름망의 상면에 형성된 돌림손잡이를 회전하여 탈착거름망을 결합 또는 분리토록 한 것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는 거름망결합부와 탈착거름망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탈착수단은 거름망결합부의 내측에 결합편이 내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탈착거름망의 측면에 상기 결합판이 상하로 통과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결합홈에 결합판에 대응되는 결합편이 형성되어, 탈착거름망을 거름망결합부에 삽입하고 탈착거름망의 상면에 형성된 돌림손잡이를 소폭 회동하여 결합판과 결합편이 서로 마주보게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는 탈착수단은 탈착거름망과 안치턱에 각각 자석과 상기 자석에 대응하여 인력(引力)을 발생시키는 자력대응부가 형성되어 대응 결합토록 하며, 탈착거름망의 상면에 형성된 당김손잡이로 분리토록 한 것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세척 후의 찌꺼기를 분리배출하기 용이하다.
세척 용기를 사용하면 물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수도요금이 절감되어 가정이나 식당 등의 경제성이 높아진다.
배수가 편하므로, 여러 번 반복 세척하기 편리하다.
용도에 따라 망체의 공극 크기가 다른 거름망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세척 용기만으로도 다양한 용도에 맞춰서 사용이 가능하다.
거름망, 배수부, 집수부가 서로 완전히 분리될 수 있어서 세척 용기를 구석구석 씻기 용이하여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하여 수명이 증대되어 세척 용기를 여러 개 구비하는 낭비를 줄일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된 상태의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된 상태의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서 탈착거름망의 제1실시예
도 4b는 본 발명에서 탈착거름망의 제2실시예
도 4c는 본 발명에서 탈착거름망의 제3실시예
도 4d는 본 발명에서 탈착거름망의 제4실시예
도 4e는 본 발명에서 탈착거름망의 제5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환형거름망이 추가된 상태의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환형거름망이 추가된 상태의 단면도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작용을 보인 측단면도
본 발명은 세척 용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하기에서 도면들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하며,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용어들 역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용어에 국한되어 해석해서는 아니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세척 용기(1)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거름망(4)이 결합되는 배수통(2)과 집수통(3)이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배수통(2)은 내부에 세척대상물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가 오목한 용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 테두리에 상부파지부(2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탈착거름망(4)을 결합할 수 있는 거름망결합부(22)가 관통 형성된다.
배수통(2)의 저면에는 내부가 오목한 용기 형태의 집수통(3)이 배수통(2)과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집수통(3)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부파지부(21)에 접하는 복수개의 하부파지부(31)가 돌출 형성되며, 집수통(3)의 내측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이격돌기(32)가 돌출 형성되어 집수통(3)에 결합되는 배수통(2)을 받치며, 집수통(3)의 하부에는 지면받침(33)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파지부(21)와 하부파지부(31)는 만곡지게 형성되어 돌출 형성된 하부파지부(31)가 상부파지부(21)의 내측에 내입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파지부(21)와 하부파지부(31)가 수평의 디스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맞닿게 구성될 수 있다.
집수통(3)과 배수통(2)이 분리 되었을 때도 상부파지부(21)와 하부파지부(31)가 각각 파지용 손잡이의 역할이 되며, 결합 되었을 때도 상부파지부(21)와 하부파지부(31)가 겹쳐진 상태로 파지되므로 역시 파지를 위한 손잡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탈착거름망(4)은 다양한 실시예가 있으며, 도 3 내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수단(41)의 제1실시예부터 설명한다.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지면받침(33)을 갖는 집수통(3)의 상면에, 배수통(2)에 형성된 거름망결합부(22)가 접하여 집수통(3)에 담기는 세척대상물의 하중을 배수통(2)과 집수통(3)이 분산하여 지지토록 한다.
배수통(2)의 외측면은 집수통(3)의 내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수개의 이격돌기(32)에 접하여 안치되므로, 배수통(2)의 외면과 집수통(3)의 내면이 면과 면끼리 서로 직접 맞닿아 수분에 의해 밀착되어 분리되지 않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배수통(2)의 거름망결합부(22)는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배수통(2)에 담긴 물이 잘 빠질 수 있도록 하되, 관통공의 안치턱(44)을 내향 돌출토록 형성하여 거름망결합부(22)에 결합되는 탈착거름망(4)이 안치되도록 한다.
탈착거름망(4)은 내측에 망체(F)가 테두리부와 인서트사출 등으로 결합되며, 탈착거름망(4)의 테두리의 측면에 둘레방향으로 패킹(4a1)이 결합형성되어, 거름망결합부(22)의 안치턱(44)에 탈착거름망(4)이 안치될 때 동시에 거름망결합부(22)의 내측의 결합면에 패킹(4a1)이 가압되어 탈착거름망(4)이 거름망결합부(22)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망체(F)는 세척대상물의 크기와 세척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찌꺼기의 크기를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로 실시될 수 있으며, 탈착거름망(4)의 상단보다 높이가 낮도록, 배수통(2)의 내면보다 높이가 낮도록 망체(F)가 형성되므로 찌꺼기가 탈착거름망(4)의 내측에 쉽게 모이게 된다.
탈착거름망(4)의 외측 상면에는 배수통(2)으로부터 소폭 이격된 당김손잡이(43)를 형성하여 당김손잡이(43)를 아래에서 위로 당겨주는 것만으로 탈착거름망(4)을 쉽게 분리시킬 수도 있다.
탈착거름망(4)이 안치되는 안치턱(44)의 내측으로 받침살(45)을 추가로 형성 할 수 있다.
세척 대상물이 무거운 경우에 탈착거름망(4)에 강한 하중이 주어지더라도 안치턱(44)과 함께 받침살(45)에 탈착거름망(4)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토록 하여 더욱 견고해지며, 탈척거름망(4)의 망체(F)에 하향으로 강하게 눌림을 받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받침살(45)이 망체(F)를 받쳐주어 망체(F)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탈착수단(41)의 제2실시예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름망결합부(22)와 탈착거름망(4)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거름망결합부(22)의 내측면에 암나사(4b2)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4b1)를 탈착거름망(4)의 외측면에 둘레방향으로 형성하고, 탈착거름망(4)의 상측면 외측에 돌림손잡이(42)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한다.
거름망결합부(22)에 탈착거름망(4)을 결합하여 돌림손잡이(42)를 돌리면 암나사(4b2)와 수나사(4b1)가 대응 결합되어 탈착거름망(4)이 안치턱(44)에 안치되며, 탈착거름망(4)이 거름망결합부(22)에 결합되어 있을 때 돌림손잡이(42)를 반대로 돌리면 암나사(4b2)와 수나사(4b1)가 풀려서 거름망결합부(22)가 탈착거름망(4)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탈착수단(41)의 제3실시예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름망결합부(22)와 탈착거름망(4)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거름망결합부(22)의 내측면에 결합편(4c2)을 내향되게 돌출 형성하고, 상기 결합편(4c2)이 통과할 수 있는 결합홈(4c1)이 탈착거름망(4)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결합홈(4c1)의 일측에 결합편(4c2)과 대응되도록 결합돌기(4c3)를 외측으로 돌출 형성토록 하며, 탈착거름망(4)의 상측면 외측에 돌림손잡이(42)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한다.
거름망결합부(22)의 안치턱(44)에 탈착거름망(4)을 안치될 때 거름망결합부(22)의 결합편(4c2)이 탈착거름망(4)의 결합홈(4c1)에 내입되며, 결합편(4c2)과 결합돌기(4c3)는 서로 엇갈린 상태가 된다.
탈착거름망(4)이 안치된 상태에서 탈착거름망(4)의 돌림손잡이(42)를 돌리게 되면 결합편(4c2)과 결합돌기(4c3)가 서로 마주보게 접하면서, 결합돌기(4c3)가 결합편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되므로 거름망결합부(22)에 탈착거름망(4)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탈착거름망(4)을 거름망결합부(22)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순서와 반대로 돌림손잡이(42)를 반대 방향으로 돌려 결합편(4c2)과 결합돌기(4c3)가 접하지 않도록 서로 엇갈린 상태로 돌린 뒤, 돌림손잡이(42)를 파지하여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탈착거름망(4)이 거름망결합부(22)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이다.
탈착수단(41)의 제4실시예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거름망(4)이 안치되는 안치턱(44)과 탈착거름망(4)에 각각 자석(4d1)을 내입형성하거나, 또는 일측은 자석(4d1)을 내입하고 타측은 자석(4d1)에 대응되는 인력이 작용하는 자성체인 자력대응부(4d2)가 내입 형성하며, 탈착거름망(4)을 거름망결합부(22)의 안치턱(44)에 안치하는 것만으로 쉽게 자력 고정이 된다.
자력대응부(4d2)는 예를 들어 철판과 같이 자력을 갖고 있지 않지만 자석에 대응하여 인력(引力)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극성이 다르도록 마주보는 자석(4d1)으로 구성되어 인력을 발생 시키며, 각 자석(4d1)과 자력대응부(4d2)는 수분에 노출되어 부식되거나 깨지는 것을 방지토록하기 위해 인서트 사출을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탈착거름망(4)의 외측 상면에는 배수통(2)으로부터 소폭 이격된 당김손잡이(43)를 형성하여 당김손잡이(43)를 아래에서 위로 자력보다 강한 힘으로 당겨주는 것만으로 탈착거름망(4)을 분리시킬 수도 있다.
탈착수단(41)의 제5실시예는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턱(44)의 상면과 상기 안치턱(44)에 안치되는 탈착거름망(4)의 하면 중 일측은 환형의 삽입돌기(4e2)가 상향 돌출되고, 타측에는 삽입돌기(4e2)에 대응되는 삽입홈(4e1)이 형성되어, 삽입돌기(4e2)와 삽입홈(4e1)의 결합으로 탈착거름망(4)이 안치턱(44)에 끼움결합되도록 한다.
탈착거름망(4)의 외측 상면에는 배수통(2)으로부터 소폭 이격된 당김손잡이(43)를 형성하여 당김손잡이(43)를 아래에서 위로 당겨주는 것만으로 탈착거름망(4)을 쉽게 분리시킬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통(2)의 측면에 둘레방향으로 환형거름망(5)을 형성할 수 있다.
환형거름망(5)이 집수통(3)이 상부와 하부로 대분되게 되므로, 집수통(3)의 내구성과 환형거름망(5)의 고정성을 높이기 위해 집수통(3)의 상부와 하부를 상하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대(51)를 형성하며, 각 연결대(51)의 외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의 보강힘살(52)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환형거름망(5)을 형성하면 배수통(2)에서 물의 배출을 더욱 빠르게 할 수 있고, 찌거기가 많이 배출되는 경우에 탈착거름망(4)에 찌꺼기가 몰리는 것을 방지하여 필터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보강힘살(52)은 이격돌기(32)만큼 돌출되되 이격돌기(32)와는 엇갈리도록 하여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며, 보강힘살(52)는 집수통(3)에 맞닿아 배수통(2)과 집수통(3)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구성을 도 7a 내지 7b에 도시된 도면을 바탕으로 작용을 설명한다.
배수통(2)의 거름망결합부(22)에는 탈착거름망(4)을 결합한다.
탈착거름망(4)에 형성된 망체(F)의 공극은 세척코자 하는 대상물의 크기와 세척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찌꺼기에 따라 필요한 크기를 미리 다양하게 준비해두었다가 필요에 따라 골라서 탈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 용기(1)에서 쌀을 씻는 용도라면 세척대상물의 크기가 작으므로 망체(F)는 쌀알보다 더욱 조밀해야 할 것이며, 설거지를 하는 경우에는 그릇에 묻은 양념 등은 망체(F)를 쉽게 통과하면서도 분리해서 배출코자 하는 음식물 찌꺼기는 걸리도록 망체(F)의 공극은 상대적으로 듬성듬성해도 될 것이므로, 용도에 맞는 망체(F)를 선택할 수 있다.
탈착거름망(4)이 결합된 배수통(2)을 집수통(3)에 포개어 내입 결합하여 세척 용기(1)로써 세척을 준비한다.
세척대상물과 물을 세척 용기(1)에 담고, 세척대상물을 세척하게 된다.
배수통(2)에 담긴 물은 극소량이 집수통(3)으로 빠질 수는 있으나, 대부분의 물은 막혀있는 집수통(3)에 의해 배수통(2)에 담겨있으므로 불필요하게 많은 물을 담지 않아도 충분히 세척이 용이하게 된다.
세척 후 세척대상물로부터 물을 제거하기 위해 집수통(3)은 놔둔 채, 하부파지부(31)를 잡지 않고 상부파지부(21)만 손으로 잡아 들어 올리면, 배수통(2)이 상승함과 동시에 중력에 의해 배수통(2)에 담겨있던 물이 배수통(2)의 탈착거름망(4)과 환형거름망(5)의 망체(F)를 통과하여 집수통(3)으로 빠지게 된다.
세척대상물과 세척대상물로부터 분리수거하고자 하는 찌꺼기는 배수통(2)의 탈착거름망(4)에 남고, 물에 녹아 싱크대의 거름통을 통과할 정도의 미소한 찌꺼기와 물은 집수통(3)에 고이게 되므로, 집수통(3)만 기울여 싱크대의 배수구로 부어주면 간단히 세척 용기(1)에서 물을 비워낼 수 있다.
집수통(3)과 배수통(2)이 분리되지 않는 일반적인 용기는 물을 비우기 위해 용기를 적당한 각도로 기울여서 물을 따르는데, 의도치 않게 용기에 남겨야할 대상물이 물과 함께 빠져나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설거지의 경우 수저가 빠져나거나, 야채나 채소를 씻는 중 포도와 같은 작은 알갱이가 떨어져 빠져나가거나, 분리 배출코자 하는 찌꺼기가 물과 함께 빠져나가는 경우가 그러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세척 용기(1)는 물을 거름망(4,5)에 걸러 손쉽게 배출하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집수통(3)에 세척대상물이 담긴 배수통(2)을 결합하고 다시 물을 받아 반복 세척할 수도 있고, 중성세재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세척 후 물이 빠진 집수통(3)에 담긴 세척대상물은 별도의 용기나 보관소로 옮기고, 탈착거름망(4)에 남은 찌꺼기는 별도로 분리배출토록 한다.
분리배출시 단순히 집수통(3)을 뒤집어서 찌꺼기를 털어도 되지만, 탈착거름망(4)만 별도로 분리시켜 배출시킬 수도 있다.
탈착거름망(4)이 분리가 되면 비-분리식에 비해 세척 용기(1)를 구석구석 씻기 편하므로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기 용이해진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통(2)과 집수통(3)이 내입 결합된 세척용기(1)에서 세척대상물을 세척 후 세척대상물을 먼저 건져낼 수도 있다.
그 후 배수통(2)을 집수통(3)으로 부터 분리하여 들어올리면, 배수통(2)에 담겨 있던 물은 배수통(2)의 탈착거름망(4)과 환형거름망(5)의 망체(F)를 통과하여 집수통(3)으로 빠지게 된다.
세척 찌꺼기는 배수통(2)의 망체(F)에 걸러저 별도로 손쉽게 배출할 수 있으며, 집수통(3)에 모인 걸러진 물은 재사용 할 수 있게 된다.
세척 용기(1)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탈착거름망(4)이 결합된 배수통(2)을 집수통(3)에 내입되게 겹쳐서 보관하면 되며, 이때 상부파지부(21)와 하부파지부(31)가 겹쳐 하나의 파지용 손잡이의 기능을 하므로 세척 용기(1)를 이동하기도 편리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세척 용기
2:배수통 21:상부파지부 22:거름망결합부
3:집수통 31:하부파지부 32:이격돌기 33:지면받침
4:탈착거름망 41:탈착수단 42:돌림손잡이 43:당김손잡이
44:안치턱 45:받침살
4a1:패킹 4a2:결합면
4b1:수나사 4b2:암나사
4c1:결합홈 4c2:결합편 4c3:결합돌기
4d1:자석 4d2:자력대응부
4e1:삽입홈 4e2:삽입돌기
5:환형거름망 51:연결대 52:보강힘살
F:망체

Claims (7)

  1. 망체(F)를 갖는 탈착거름망(4);
    탈착수단(41)에 의해 탈착거름망(4)이 결합되는 거름망결합부(22)가 형성된 배수통(2);
    배수통(2)과 결합하면 배수통(2)에 담긴 물이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고, 배수통(2)과 분리하면 배수통(2)의 물을 받는 집수통(3);
    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집수통(3)에서 측방으로 물이 빠지도록 둘레방향으로 관통되는 망체(F)가 형성된 환형거름망(5)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탈착수단(41)은 탈착거름망(4)의 측면에 둘레방향으로 패킹(4a1)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4a1)이 가압되는 결합면(4a2)이 거름망결합부(22)에 형성되어 대응 결합토록 하며, 탈착거름망(4)의 상면에 형성된 당김손잡이(43)로 분리토록 한 것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거름망결합부(22)와 탈착거름망(4)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탈착수단(41)은 탈착거름망(4)의 측면에 둘레방향으로 수나사(4b1)가 형성되고, 거름망결합부(22)에 상기 수나사(4b1)에 대응되는 암나사(4b2)가 형성되어, 탈착거름망(4)의 상면에 형성된 돌림손잡이(42)를 회전하여 탈착거름망(4)을 결합 또는 분리토록 한 것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거름망결합부(22)와 탈착거름망(4)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탈착수단(41)은 거름망결합부(22)의 내측에 결합편(4c2)이 내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탈착거름망(4)의 측면에 상기 결합편(4c2)이 상하로 통과할 수 있는 결합홈(4c1)이 형성되며, 결합홈(4c1)에 결합편(4c2)에 대응되는 결합편(4c2)이 형성되어, 탈착거름망(4)을 거름망결합부(22)에 삽입하고 탈착거름망(4)의 상면에 형성된 돌림손잡이(42)를 소폭 회동하여 결합편(4c2)과 결합편(4c2)이 서로 마주보게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탈착수단(41)은 탈착거름망(4)과 거름망결합부(22)에 각각 자석(4d1)과 상기 자석에 대응하여 인력(引力)을 발생시키는 자력대응부(4d2)가 형성되어 대응 결합토록 하며, 탈착거름망(4)의 상면에 형성된 당김손잡이(43)로 분리 가능토록 한 것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탈착수단(41)은 탈착거름망(4)과 거름망결합부(22)에 각각 삽입홈(4e1)과 삽입돌기(4e2)가 형성되어 상하로 끼움 결합토록 하며, 탈착거름망(4)의 상면에 형성된 당김손잡이(43)로 분리 가능토록 한 것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용기.
KR1020190054479A 2019-05-09 2019-05-09 세척 용기 KR102252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479A KR102252521B1 (ko) 2019-05-09 2019-05-09 세척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479A KR102252521B1 (ko) 2019-05-09 2019-05-09 세척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691A true KR20200129691A (ko) 2020-11-18
KR102252521B1 KR102252521B1 (ko) 2021-05-17

Family

ID=73698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479A KR102252521B1 (ko) 2019-05-09 2019-05-09 세척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5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496A (ko) * 2020-11-30 2022-06-08 (주)코아이 요리용 기름 부유물 제거 기구
KR200497093Y1 (ko) * 2023-02-24 2023-07-26 백용수 불순물 여과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2109Y1 (ko) * 1983-01-24 1987-06-18 서달근 합성수지제 주방용 다목적 체
KR200309543Y1 (ko) * 2002-12-30 2003-04-03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청국장 제조기
KR200321582Y1 (ko) 2003-05-12 2003-07-28 김종국 스텐망 용기
KR200383322Y1 (ko) * 2005-02-02 2005-05-03 정 민 배 금속제 용기
KR20060099491A (ko) * 2006-08-23 2006-09-19 이재권 탈부착기능을 갖는 채반
KR20090005536A (ko) * 2007-07-09 2009-01-14 김형진 다용도 주방용기
KR20090108270A (ko) * 2008-04-11 2009-10-15 손공주 탈, 부착되는 여과망이 이중으로 설치된 위생안전주전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2109Y1 (ko) * 1983-01-24 1987-06-18 서달근 합성수지제 주방용 다목적 체
KR200309543Y1 (ko) * 2002-12-30 2003-04-03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청국장 제조기
KR200321582Y1 (ko) 2003-05-12 2003-07-28 김종국 스텐망 용기
KR200383322Y1 (ko) * 2005-02-02 2005-05-03 정 민 배 금속제 용기
KR20060099491A (ko) * 2006-08-23 2006-09-19 이재권 탈부착기능을 갖는 채반
KR20090005536A (ko) * 2007-07-09 2009-01-14 김형진 다용도 주방용기
KR20090108270A (ko) * 2008-04-11 2009-10-15 손공주 탈, 부착되는 여과망이 이중으로 설치된 위생안전주전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496A (ko) * 2020-11-30 2022-06-08 (주)코아이 요리용 기름 부유물 제거 기구
KR200497093Y1 (ko) * 2023-02-24 2023-07-26 백용수 불순물 여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521B1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521B1 (ko) 세척 용기
US20140291236A1 (en) Multifunction Strainer and Bowl
US20120279930A1 (en) Grease separation and disposal system
KR101470259B1 (ko)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101469006B1 (ko) 음식물 슬러지의 처리효율을 높인 주방용 싱크볼의 배수장치
KR200410765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069795A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CN206722020U (zh) 水箱洁厕宝投放机构
KR101911741B1 (ko) 음식물 거름망
KR200493925Y1 (ko) 음료 잔반 처리용 쓰레기통
CN213595120U (zh) 具有高效沥水结构的厨余垃圾沥水器
CN211055911U (zh) 一种餐厨垃圾收集装置的进料盖板
KR20130013781A (ko) 배수통 세척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CN212039291U (zh) 一种用于厨余垃圾处理的固液分离装置
CN210000960U (zh) 一种具有预处理功能的垃圾桶
KR200191889Y1 (ko) 음식물 쓰레기 수분 제거용 용기
CN205387740U (zh) 一种厨房水池过滤器
CN212739276U (zh) 一种具有异味阻断功能的厨房垃圾处理装置
JP3198327U (ja) 阻集器用バスケットおよび阻集器
KR20130003885U (ko) 배수통 세척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CN102266187A (zh) 茶叶清洗罐
CN211922862U (zh) 一种带有嵌入式厨余垃圾收储装置的家用水池
CN209966188U (zh) 一种厨房用便于控水的洗菜装置
CN215962405U (zh) 组合式过滤组件及洗菜盆
JP3091977U (ja) 麺料理の食べ残しの処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