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409Y1 -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 - Google Patents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409Y1
KR200321409Y1 KR20-2003-0012549U KR20030012549U KR200321409Y1 KR 200321409 Y1 KR200321409 Y1 KR 200321409Y1 KR 20030012549 U KR20030012549 U KR 20030012549U KR 200321409 Y1 KR200321409 Y1 KR 200321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correction liquid
roller
liquid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오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의진 filed Critical 오의진
Priority to KR20-2003-0012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4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4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18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with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 B43L19/0075Hand-held holders of the pencil type

Landscapes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진되어 있는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은, 수정액이 충진되는 수정액충진부 및 충진된 수정액이 유출되는 수정액유출부를 갖는 수정액충진체와; 일측이 수정액에 접촉되고 타측이 수정부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표면에 묻어있는 수정액을 수정부에 도포하는 롤러와; 롤러가 소정의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롤러를 잡아주고, 수정액유출부를 경유하여 유출된 수정액이 롤러의 일측 표면에 전달되도록 하는 수정액유입구를 갖는 수정액전달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을 사용하면,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적정량 배출되고, 수정부에 얇게 도포됨으로써 도포된 수정액의 건조가 빠르고 사용이 간편한 것은 물론 깨끗한 수정상태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THE AMENDMENT PEN THAT EFFUSES PAINT WITH ROLLER}
본 고안은 문서 등의 일부분을 수정하기 위하여 수정하고자 하는 부분에 수정액을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수정펜에 관한 것이다.
문서 등에 기재된 내용 중 지워지지 않는 내용을 수정할 때는 그 수정할 부분에 바탕색과 동일, 유사한 색상을 갖는 수정액을 도포하거나 얇은 수정테잎을 도포한 후 볼펜 등을 사용하여 올바른 내용을 기재한다.
수정액을 도포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1995-0019965호(수정펜)에 제시된 것과 같이 수정액이 충진되어 있는 수정펜을 가압하여 충진되어 있는 수정액을 문서의 수정부분에 배출시켜 도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정펜들은 수정액배출구의 직경이 크고, 배출되는 수정액의 양을 조절하기가 어려워 수정액을 고르게 도포할 수 없어 깨끗한 수정상태를 가질 수 없었다.
또한, 적정량을 도포하는 것이 어려울 뿐 아니라 수정액이 수성이어서 도포된 수정액이 건조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상의 볼펜과 같이 볼베어링이 회전하면 수정액이 배출되도록 한 "수정액 펜"(한국 특허출원 제10-1997-0709673호, 출원일 1997.12. 23) 등이 안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정펜으로부터의 수정액 배출상태는 볼펜에서 잉크가 배출되는 것과 같이 수정액이 가늘게 배출되는 것이어서 수정액을 도포하기 위해서는 볼베어링을 수정부에 여러 번 이동시켜야 하였다.
이는, 볼베어링과의 반복된 접촉으로 종이가 찢어지는 결과와 수정부가 깨끗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 수정부에 얇은 수정테잎을 도포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이 수정테잎을 도포하는 기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국 특허등록 제0226030호(수정테잎용 리필)에 제시된 것과 같이 일측에 접착성분이 도포되어 있고 타측에 바탕색과 동일, 유사한 색이 도포되어 있는 수정테잎을 문서의 수정부분에 붙이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정테잎을 사용한 수정방법은 수정테잎이 사용 중에 잘 끊어지고 적정한 힘으로 눌러주어야 하므로 사용이 쉽지 않았으며, 도포된 수정테잎과 수정부와의 경계가 쉽게 구별되어 깨끗한 수정상태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적정량 배출되고, 수정부에 얇게 도포됨으로써 도포된 수정액의 건조가 빠르고 사용이 간편한 것은 물론 깨끗한 수정상태를 얻을 수 있는,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수정액전달체가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된 또 하나의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의 개략도
A : 부분 사시도
B :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수정액전달체가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된 또 다른 하나의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의 개략도
A : 부분 사시도
B :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수정액전달체가 회전된 후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정액충진체 11. 수정액충진부
12. 수정액유출부 13. 결합돌기
20. 롤러 30. 수정액전달체
31. 수정액유입구 40. 볼베어링
50. 홈 55. 돌기
본 고안은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수정펜으로부터 적정량의 수정액이 유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볼펜과 같이 회전체가 회전될 때 수정액이 회전체의 표면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수정부에 수정액을 도포할 때 회전체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덧칠할 필요가 없도록 유출되는 수정액이 넓은 면을 통해 유출되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회전체는 원통형과 같이 폭이 넓은 롤러의 형상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은,
수정액이 충진되는 수정액충진부 및 충진된 수정액이 유출되는 수정액유출부를 갖는 수정액충진체와;
수정액을 도포할 부분에 접촉되어 회전함으로써 수정액을 수정부에 도포하는 롤러;를 갖는다.
또, 롤러가 소정의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롤러를 잡아주고, 수정액유출부를 경유하여 유출된 수정액이 롤러의 표면에 전달되도록 하는 수정액유입구를 갖는 수정액전달체;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수정액충진체(10)는 통상의 수정펜에 구비된 수정액충진체와 같이 소정 분량의 수정액을 저장해두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수정액충진체(10)도 통상의 수정펜에 구비된 것과 같이 수정액이 충진되는 수정액충진부(11) 및 충진된 수정액이 유출되는 수정액유출부(12)를 갖는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롤러(20)는 서류 등의 수정부에 도포되기 위해 유출되는 수정액이 최종적으로 경유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롤러(20)는 수정부와 접촉된다.
그런데, 본 고안에서는 수정액이 적정량 유출되고 수정부에 고르게 도포됨으로써 도포된 수정액이 빠르게 건조되는 동시에 깨끗한 수정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그러므로 유출되는 수정액은 롤러(20)를 고르게 경유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볼펜에서 잉크가 적정량 유출되도록 한 것과 같은 기술방식을 채택한다.
즉,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롤러(20)는 일측이 수정액에 접촉되고 타측이 수정부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고, 롤러(20)가 회전할 때 롤러(20)의 표면에 수정액이 적정량 묻어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롤러(20)의 표면 중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는 항상 적정량의 수정액이 묻어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 상기와 같이 롤러(20)의 표면에 묻어있는 수정액이 롤러(20)의 회전시 수정부에 도포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수정액전달체(30)는 롤러(20)가 소정의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 가능하도록 롤러(20)를 잡아주는 것이다.
또, 수정액충진체(10)의 수정액유출부(12)를 경유하여 유출된 수정액이 롤러(20)의 일측 표면에 전달되도록 하여 롤러(20)의 일측 표면이 항상 수정액과 접촉되어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정액전달체(30)에는 롤러(20)의 일측 표면이 항상 수정액과 접촉되도록 수정액유출부(12)를 경유한 수정액이 유입되는 수정액유입구(31)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수정액전달체(30)의 측면에는, 도 2와 같이 일측이 유입된 수정액과 항상 접촉되고 타측은 수정부에 접촉되어 회전 가능한 볼베어링(40)을 설치할 수 있다.
즉, 통상의 볼펜에 구비된 볼베어링과 같은 볼베어링(40)을 추가로 구비하여 볼베어링(40)을 회전시킬 경우 볼펜에서 잉크가 유출되듯이 수정액이 얇게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정액충진체(10)에 외압이 작용하여 충진된 수정액이 압력을 받거나 수정액충진체(10)의 수정액유출부(12)가 하부를 향하도록 놓여있는 조건에서는 충진된 수정액이 수정액유출부(12)를 경유하여 수정액전달체(30)에 도달하게 된다.
또, 수정액전달체(30)의 수정액유입구(31)를 경유하여 롤러(20)에 전달된다.
그러나, 롤러(20)와 수정액전달체(30) 사이의 틈새가 미세하기 때문에 롤러(20)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롤러(20)의 일측에 접촉된 수정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한다.
이와 같은 현상에 의하여 수정액이 굳는 것이 방지된다.
즉, 수정액이 외부로 유출되면 유출된 수정액이 공기와 접촉됨으로써 굳어져 수정액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없게된다.
또, 본 고안과 같이 롤러(20) 구비된 경우에 수정액이 유출되어 굳으면 롤러(20)가 움직이지 않게 되는 등 수정펜을 사용할 수 없게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사용하지 않을 때 수정액이 유출되지 않고 공기와 접촉되지 못하므로 수정액이 굳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롤러(20)의 일측에 수정액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롤러(20)의 타측을 수정부에 접촉시켜 이동시키면 롤러(20)가 회전하게 되면서 롤러(20)의 표면에 얇게 묻어있는 수정액이 수정부에 도포된다.
이때, 롤러(20)는 계속 회전됨으로써 롤러(20)에는 항상 수정액이 묻어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수정액전달체(30)는 도 2및 도 3과 같이 측면이 전방에 위치하고 정면이 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정액전달체(30)의 측면이 전방에 위치하고 정면이 측방향에 위치하도록 하면 롤러(20)를 보호하기 위하여 외측에 씌우는 마개(도시하지 않음)의 형상을 롤러(20)의 폭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 롤러(20)의 측면에 볼베어링(40)이 구비된 경우에는 볼베어링(40)이 선단(先端)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어 볼펜으로 글씨를 쓰듯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20)의 좌, 우 회전각도는 45°∼ 90°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수정액전달체(30)의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와 같이 수정액유출부(12)는 좌, 우로의 움직임이 가능한 관체로 구성하고, 수정액전달체(30)와 수정액충진체(10)와의 연결방식은 수정액전달체(30)의 좌, 우 회전이 가능한 방식을 채택하는 방법이 있다.
또, 도 3과 같이 수정액전달체(30)의 수정액유입구(31)에 수정액충진체(10)의 결합돌기(13)가 끼워져 수정액전달체(30)가 회전 가능한 연결방식을 사용하고, 수정액이 상기 결합돌기(13)의 내측 공간을 통해 수정액전달체(30)에 전달되도록하는 방법도 있다.
상기와 같이 수정액전달체(30)가 좌, 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된 경우 롤러(2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었을 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 중에 수정액전달체(30)가 좌, 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고정수단을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도 2 및 도 3과 같이 회전된 수정액전달체(30)가 삽입되는 홈(50)을 형성하되 홈(50)의 입구부분에 돌기(55)를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수정액전달체(30)가 돌기(55)를 지날 때에는 강하게 밀어 홈(50)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홈(50)의 내측에 수정액전달체(30)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강한 힘으로 수정액전달체(30)를 밀지 않는 상태에서는 수정액전달체(30)가 홈(50)으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고정수단의 다른 예로는 수정액전달체(3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별도의 도구를 사용해 수정액충진체(10)에 고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도시하지 않음)
본 고안에 충진되는 수정액의 색상은 통상 흰색이지만 검은 색이나 빨강, 노랑, 초록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할 수 있다.
즉, 최근에는 개성을 중시하여 빨간 색 종이에 흰색 글씨를 쓰거나 검은 색 종이에 흰색 글씨를 쓰는 등 글씨를 쓰는 종이의 색상이 다양하므로 종이에 도포되는 수정액의 색상을 종이의 색상과 같도록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또한, 수정액은 통상의 수정액과 같이 수성의 재료를 사용 할 수도 있지만 유성의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적정량 배출되고, 수정부에 얇게 도포됨으로써 도포된 수정액의 건조가 빠르고 사용이 간편한 것은 물론 깨끗한 수정상태를 얻을 수 있는,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롤러가 회전되지 않으면 수정액이 유출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수정액이 유출되어 공기와 접촉됨으로써 수정액이 굳어서 못쓰게 되던 현상도 발생되지 않는다.
또, 수정액의 재료로 유성인 것을 사용할 경우 수정액이 굳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으며, 롤러의 폭이 넓어 수정액이 넓게 도포될 수 있으므로 수정액의 색을 다양한 색으로 구성하면 그림을 그리기 위한 그림펜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4)

  1. 문서 등의 일부분을 수정하기 위하여 수정액을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수정펜에 있어서,
    수정액이 충진되는 수정액충진부 및 충진된 수정액이 유출되는 수정액유출부를 갖는 수정액충진체와;
    일측이 수정액에 접촉되고 타측이 수정부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표면에 묻어있는 수정액을 수정부에 도포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가 소정의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롤러를 잡아주고, 수정액유출부를 경유하여 유출된 수정액이 롤러의 일측 표면에 전달되도록 하는 수정액유입구를 갖는 수정액전달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액전달체의 측면에는 일측이 유입된 수정액과 접촉되고 타측이 수정부에 접촉되어 회전 가능한 볼베어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액전달체는 측면이 전방에 위치하고, 정면이 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좌, 우로 45°∼ 90°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액전달체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었을 때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
KR20-2003-0012549U 2003-04-23 2003-04-23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 KR200321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549U KR200321409Y1 (ko) 2003-04-23 2003-04-23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549U KR200321409Y1 (ko) 2003-04-23 2003-04-23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523A Division KR20040091873A (ko) 2003-04-22 2003-04-22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409Y1 true KR200321409Y1 (ko) 2003-07-31

Family

ID=4941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549U KR200321409Y1 (ko) 2003-04-23 2003-04-23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4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734B1 (ko) 대상 표면상에 유동성 수정 매체물을 도포하는 핸드-헬드디스펜서
US5056949A (en) Correction fluid dispenser with ball valve
US7237970B2 (en) Marker pens
BR112019003538B1 (pt) Dispositivo dispensador de líquido retrátil
JP4812623B2 (ja) 太−細の複数の幅のマーキング具
AU2005240408B2 (en) Colouring apparatus
US20080145136A1 (en) Reversible nib
EP1833682B1 (en) Colouring apparatus
KR200321409Y1 (ko)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
KR20040091873A (ko)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
WO2021001463A1 (en) Marker for variable shading under pressure
JP2584540B2 (ja) 塗布具
US20060210348A1 (en) Writing instruments
JP3368089B2 (ja) 筆記具又は塗布具
JP3760620B2 (ja) 先端弁型弁付塗布具
JPH067824Y2 (ja) 加圧式塗布具
JP4929163B2 (ja) 着色装置
JP2601283Y2 (ja) 修正液塗布器
JP2005047109A (ja) 塗布具
JPH0520470Y2 (ko)
EP2100749A1 (en) Correction fluid applicator with foam tip
JPH0353914Y2 (ko)
JPH08118897A (ja) 両頭式修正液ペン
JP3736019B2 (ja) 先端弁型弁付塗布具
JP2000247090A (ja) 塗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