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071Y1 - 납땜장치의 노즐 - Google Patents

납땜장치의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071Y1
KR200321071Y1 KR20-2003-0010487U KR20030010487U KR200321071Y1 KR 200321071 Y1 KR200321071 Y1 KR 200321071Y1 KR 20030010487 U KR20030010487 U KR 20030010487U KR 200321071 Y1 KR200321071 Y1 KR 200321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older
hinge
soldering apparatus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엠
Priority to KR20-2003-0010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0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46Solder baths
    • B23K3/0653Solder baths with wave generating means, e.g. nozzles, jets, foun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B23K3/087Soldering or brazing jigs, fixtures or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ten Solder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린트기판의 납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1 및 제2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융용납으로 프린트기판의 하부를 자동으로 납땜하는 납땜장치의 노즐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제2노즐의 측벽에 설치된 가변날개를 승강시키기 위한 판형태의 작동대가 설치되어 분출되는 융용납의 높낮이를 편리하게 미세 조정 할 수 있어서, 프린트기판의 납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작동대가 판형태로 형성되어 가변날개의 하부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변날개의 자유로운 높낮이 조절에 의하여 땜납의 미세한 찌거기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납땜장치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납땜장치의 노즐{A NOZZLE OF SOLERING EQUIPMENT}
본 고안은 프린트기판의 납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땜납조의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융용납으로 프린트기판의 하부를 자동으로 납땜하는 납땜장치의 노즐에 관한 것으로, 제2노즐의 측벽에 설치된 가변날개에 의하여 분출되는 융용납의 높낮이를 편리하게 미세 조정 할 수 있어서, 프린트기판의 납땜품질을 향상시킬 수있고, 또한 상기 제2노즐의 높낮이 조절에 의하여 땜납의 미세한 찌거기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납땜장치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트기판을 납땜할 때에는, 납땝공정 전에 별도의 선 공정에서 납땜할 부위에 용제(flux)를 도포한 다음, 후속하는 납땜공정에서는 그 부위에 납땜을 실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용제는 납땜시 열에 의하여 분해되어 가스를 발생시키므로 이 가스가 칩 부품등에 축적되어 땜납의 접속을 불량하게 하고, 또한 조밀한 부품 랜드간에 있어서는 땜쇼트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반송되는 프린트기판에 제1,2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융용납으로 납땜을 실시함에 있어 발생되는 가스축적 및 땜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장치들중의 하나로 대한민국 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85-0000167호에 게시된 납땜장치는, 전기 전자부품이 설치된 프린트 기판상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순서대로 나란히 설치한 납땜장치에 있어서, 제1노즐에는 프린트기판의 반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땜납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소구경의 노즐을 프린트기판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하고, 제2노즐에는 제1노즐의 땜납흐름보다 약한 땜납흐름을 발생시키는 큰 분출구를 프린트기판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하고, 제1, 2 노즐 하부에 공통으로 땜납흐름을 공급하도록 땜납흐름 발생장치를 설치하여 제1, 2 노즐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납땜을 행하는 납땜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납땜장치에서는 납땜작업시 발생되는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프린트기판을 약 2~6°의 경사상태로 반송시키게 되고, 이에 납이 분출되는 제1,2 노즐도 약 2~6°의 경사를 갖고 설치되어, 리드선의 부품이 조밀하게 삽입되어 랜드가 작은 프린트기판의 납땜시에는 땜납이 부품의 리드선과 랜드에 접속될 때 표면장력을 크게 작용시켜, 부품 리드선간에 브리징(bridging)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품이 크고 넓게 삽입되어 랜드가 큰 프린트기판을 납땜할 때는 프린트기판에 땜납이 많이 접속되어 충분한 필릿(fillet)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상기 제2노즐은 반송되는 프린트기판의 경사각과 일치되며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프린트기판의 이송각도는 변화를 가질수 없으므로 납땜중 납이 흘러내려 납땜중 납이 흘러내려 납량 과소 현상으로 제품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종래의 기술에는 본원 출원인에 의하여 기출원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3131호에 게시된 "납땜장치의 노즐"이 있으며,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납땜장치의 노즐은, 히터가 내측 둘레에 설치된 땜납조의 내측에 설치된 제1땜납조와 제2땜납조의 노즐을 나란히 프린트기판의 반송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땜납조의 하부에 땜납을 공급하도록 모터와 연결된 임펠러를 설치하며, 상기 제2땜납조의 내부에는 정류판이 마련되어 있는 납땜장치에 사용되는 납땜장치의 노즐에 있어서, 상기 제2땜납조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소공(161)이 천공된 정류판(160)이 외부로 돌출된 축(190)에 고정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정류판(160)의 길이방향의 다른 쪽은 상기 제2노즐(130)의 내측에 형성된 턱에 걸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땜납조의 제2노즐(130)의 선단 후측에는 분출되는 땜납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가변판(170)이 회동 가능하게 경첩(171)으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가변판(170)의 하향절곡된 선단에는 땜납의 분출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판(173)이 볼트에 의하여 부착하며, 전방하측에 회동봉(112)의 일단이 끼워지는 고리(172)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봉(112)의 타단을 중심에 고정시킨 웜기어(115)와, 웜기어(115)에 맞물려 회전되는 핸들(113)을 갖는 웜(114)으로 이루어진 조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납땜장치의 노즐은 반송되는 프린트기판의 수평 또는 경사각의 변화에 상기 조정장치의 핸들(113)을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회동봉(112)이 작동되어 상기 가변판(170)이 수평상때 또는 경사지게 상승되어 제2땜납조의 제2노즐(130)로부터 분출되는 납의 분출 높이가 조정된다. 이때 상기 가변판(170)을 위치이동시키는 회동봉(112)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수평봉이 두번의 절곡에 형성되어 일단은 웜기어(115)에 고정되고, 타단은 가변판(170)에 형성된 고리(172)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봉(112)에 의해 상기 가변판(170)은 분출되는 땜납을 지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땜납이 과도하게 흐를경우 상기 회동봉(112)이 가변판(170)을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는, 상기 회동봉(112)의 절곡형태에 의하여 가변판(170)이 경사지게 상승될 때는 상기 회동봉(112)의 전체 길이 중 절곡된 일측부위가 가변판(170)을 지지하면서 상승시키고, 상기 가변판(170)이 경사지게 하강될 때는 나머지 일측부위가 상기 가변판(170)을 지지한 상태이므로,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분출되는 땜납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노즐에 설치된 가변날개가 판형태로 형성된 작동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가변날개가 구조적으로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작동대가 제2노즐의 측벽과 조정장치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가변날개는 상부, 하부 또는 수평위치의 이동이 견고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납땜장치의 노즐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납땜장치의 노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은 본 고안에 따른 납땜장치의 노즐에 의하여 경사진 상태로 반송되는 프린트 기판이 납땜되는 상태를 도시한 납땜장치의 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납땜장치 노즐의 가변판을 하강시켜 땜납이 가변판으로 흐르는 상태를 도시한 납땜장치의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납땜장치의 노즐의 제2노즐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납조 2:제1노즐
3:제2노즐 4,4':모터
5,5':임펠러 6:땜납
7:프린트기판 8:기어박스
23,23':측벽 24:고정날개
31:전면벽 31'가이드홈
32:후면벽 32':관통공
33:일측벽 34:타측벽
40:땜납분출부 41:고정날개
42:가변날개 43:상면
44:고정단 45:경첩
46:이동단 47:상부관통공
48:조절판 50:승강부
51:작동경첩 52:경첩
53:상면 53':상부관통공
54:절곡단 55:결합구
56:작동대 57:중앙공
58:고정구 59:이동구
60:승강제어부 61:핸들
62:제1기어 63:제2기어
64:승강봉 65:결합홈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반송되는 프린트기판을 납땜하기 위한 납땜장치의 노즐에 있어서, 제2노즐(3)과; 상기 제2노즐(3)의 일측벽(33)에 부착되는 고정날개(41), 및 상기 제2노즐(3)의 타측벽(34)에 경첩(45)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가변날개(42)로 구성된 땜납분출부(40); 상기 가변날개(42)의 외측 끝단부에 부착되는 작동경첩(51)과, 상기 작동경첩(51)과 결합되고 일단에는 고정구(58)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이동구(59)가 형성된 작동대(56)로 구성된 승강부(50); 및 상기 작동대(56)의 이동구(59)와 결합되는 승강봉(64)과, 상기 승강봉(64)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2기어(63) 및 상기 제2기어(63)와 맞물려 회전시키는 제1기어(62)로 이루어진 승강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장치의 노즐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경첩(51)은 상기 가변날개(42)에 부착되는 상면(43)과, 상기 상면(43)과 경첩(52)에 의해 연결된 절곡단(5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납땜장치의 노즐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대(56)의 고정구(58)와 이동구(59) 사이에는 가로폭이 넓은 중앙공(57)이 형성되어 작동경첩(51)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장치의 노즐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대(56)의 이동구(59)는 중앙공(57)의 가로폭과 동일한 가로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장치의 노즐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납땜장치의 노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납땜장치는 일차적으로 납땜할 부위에 용제(flux)를 도포하고, 건조된 상태에서 반송되는 프린트기판(7)을 납땜하도록 땜납(6)을 용융시키는 히터가 내측둘레에 설치된 납조(1)의 내측에 제1노즐(2)과 제2노즐(3)이 프린트기판(7)의 반송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노즐(2) 및 제2노즐(3)로 땜납(6)을 공급하도록 각각의 모터(4,4')와 임펠러(5,5')가 설치된 상태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납땜장치의 노즐을 분해한 사시도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2노즐(3)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제2노즐(3)은 땜납분출부(40), 승강부(50) 및 승강제어부(60)로 구성된다.
상기 제2노즐(3)의 땜납분출부(40)는 고정날개(41)와 가변날개(42)로 이루어져 제2노즐을 통해 분출되는 땜납(6)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노즐(3)의 전면벽(31)과 후면벽(32) 사이에는 한쌍의 측벽(33,34)이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일측벽(33)에는 부채꼴 형태로 형성된 고정날개(41)가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타측벽(34)에는 자유롭게 승강운동을 할 수 있는 가변날개(42)가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어, 상기 땜납조(1)의 내부에서 융용된 땜납(6)이 상기 제2노즐(3)의 고정날개(41)와 승강가능한 가변날개(42)를 통해 외측으로 분출된다.
상기 가변날개(42)는 상기 제2노즐(3)의 타측벽(34)에 고정설치되어 작동대(56)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수직운동하여 분출되는 땜납(6)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상기 가변날개(42)의 상면(43)은 소정의 폭을 갖고 상기 제2노즐(3)의 측벽(33,34)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상면(43)의 일측에는 가변날개(42)를 상기 제2노즐(3)의 타측벽(34)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면(43)에 대하여 하향으로 수직절곡된 고정단(44)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단(44)은 상기 상면(43)의 끝단에서 경첩(45)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면(43)의 타측에는 땜납(6)의 분출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조절판(48)이 고정되도록 상면(43)의 끝단에서 하향으로 수직절곡된 이동단(46)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가변날개(42)의 고정단(44)이 상기 제2노즐(3)의 타측벽(34)에 고정되면, 상기 고정단(44)과 경첩(45)에 의해 연결된 상기 가변날개(42)의 상면(43) 및 이동단(46)은 상기 고정단(44)를 축으로 하여 경사각을 갖으면서 상하로 수직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날개(42)의 상면(43) 타측 가장자리 즉, 상기 상면(43)의외측 끝단부 중앙에는 상부관통공(47)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관통공(47)으로는 후술되는 승강부(50)의 동작을 전달하기 위한 작동경첩(51)이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작동경첩(51)이 상하로 이동되면 상기 가변날개(42)는 상기 제2노즐(3)의 타측벽(34)에 고정된 고정단(44)를 축으로 하여 경사지게 상하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승강부(50)는 승강제어부(60)의 동작을 땜납분출부(40)로 전달하는 수단으로, 상기 승강제어부(60)와 연결된 작동대(56) 및 작동경첩(5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경첩(51)은 상기 작동대(56)의 동작에 의해 상하운동되어 가변날개(42)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작동경첩(51)의 상면(53)은 상기 가변날개(42)의 상면(43)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작동경첩(51)의 상면(53)에는 상기 가변날개(42)의 상부관통공(47)과 동일크기 및 위치를 갖는 상부관통공(53')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경첩(51)이 상기 가변날개(42)의 상면(43) 하부면에 접하면 상기 작동경첩(51)의 상부관통공(53')은 가변날개(42)의 상부관통공(47)과 일체가 되어 볼트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경첩(51)에는 상기 상면(53)에서 하향으로 수직절곡된 역삼각형 형태의 절곡단(54)이 경첩(52)에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절곡단(54)의 끝단에는 작동대(56)와 결합되도록 결합구(5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대(56)는 승강제어부(60)의 작동에 의해 승강운동하여 작동대(56)에 연결된 가변날개(42)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노즐(3)의 측벽(33,3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노즐(3)의 타측에서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작동대(56)의 일측 끝단에는 고정구(58)가 형성되어 상기 후면벽(32)에 형성된 관통공(32')에 볼트에 의해 고정결합되고, 상기 작동대(56)의 타측 끝단에는 이동구(59)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벽(31)의 외면에 설치된 승강제어부(60)의 승강봉(64)에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작동대(56)의 중앙부위에는 중앙공(57)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경첩(51)의 절곡단(54)에 형성된 결합구(55)에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후술되는 승강제어부(60)의 작동에 의해 승강봉(64)이 승강운동하게 되면 상기 후면벽(32)의 관통공(32')에 고정된 작동대(56)의 일단을 축으로 타단과 중앙부위가 함께 상하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구(59)와 중앙공(57)은 좌우직경이 넓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제어부(60) 승강봉(64)의 상하운동에 따라 함께 작동대(56)가 수평으로 위치이동 되면서 상하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대(56)의 이동범위를 한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2노즐(3)의 전면벽(31)의 하부에는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가이드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대(56)의 세로폭은 상기 가이드홈(31)의 길이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작동대(56)가 상기 가이드홈(31)에서 승강될 때, 상기 작동대(56)가 이동되는 범위를 한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대(56)는 중앙부위가 둔각을 갖는 삼각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작동경첩(51)이 결합되는 작동대(56)의 중앙부위 세로폭이 넓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가변날개(42)으로 흐르는 땜납(6)의 하중을 더욱 안전하게 지지하게 되어, 제2노즐(3)이 구조적으로 견고한 상태가 된다.
상기 승강제어부(60)는 작동대(56)를 승하강시키는 동력수단으로, 핸들(61)이 일측에 고정된 제1기어(62)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기어박스(8)의 내부에 고정되고, 승강봉(64)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2기어(63)는 상기 제1기어(62)에 맞물려진 상태로 상기 기어박스(8)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봉(64)의 하단에는 결합홈(65)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대(56)의 이동구(59)와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져, 상기 핸들(61)을 회전시키면 제1기어(62)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2기어(63)는 승강봉(64)과 함께 승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기어(91) 및 제2기어(63)로는 톱니가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된 헬리컬 기어가 사용되는데, 상기 헬리컬 기어는 접촉선의 길이가 길어서 큰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웜기어나 베벨기어 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납땜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납조(1)에 설치된 히터를 가동하여 땜납(6)을 융용시킨 상태에서 각 모터(4,4')를 가동하여 임펠러(5,5')에 의하여 융용된 땜납(6)이 제1 및 제2노즐(2,3)로 분출되기 시작하면, 플럭스(fulx)가 미리 도포된 프린트기판(7)을 반송시켜 순차적으로 설치된 상기 제1 및 제2노즐(2,3)로부터 분출되는 땜납(6)으로 상기 프린트기판(7)의 하부에 납땜이 행해진다.
이때 상기 제1노즐(2)을 통해 분출되는 땜납(6)은 제1노즐(2)에 고정된 고정날개(24)에 의하여 양측으로 고르게 분출되어져 프린트기판(7)의 하부를 납땜하게 되어, 브리지나 고드름 등의 납땜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노즐(2)을 거쳐 반송되는 프린트기판(7)은 제2노즐(3)로 반송되는데, 이때 상기 상태에서 전자부품이 크고 넓게 삽입되어 납땜되는 랜드가 큰 프린트기판(7)을 수평상태로 반송하여 납땜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노즐(3)로부터 분출되는 땜납(6)이 수평상태로 넓게 분출되어야 하므로, 우선 제2노즐(3)의 땜납분출부(40)로 분출되는 땜납(6)의 높이를 조정하는 승강제어부(60)의 핸들(6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기어(62)는 회전되면서 상기 제1기어(62)에 맞물린 제2기어(63)는 회전하면서 하강되고, 상기 제2기어(63)와 일체로 형성된 승강봉(64)이 하강되며, 상기 승강봉(64)과 볼트에 의해 결합된 작동대(56)가 하강된다. 이때 상기 작동대(56)에 형성된 고정구(58)는 후면벽(32)에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작동대(56)는 고정구(58)를 축으로 하여 하강되고, 상기 작동대(56)와 가변날개(42)의 연결수단인 작동경첩(51)도 함께 하강된다. 따라서, 일측은 상기 제2노즐(3)의 타측벽(34)에 고정되고, 타측은 작동경첩(51)에 고정된 상기 가변날개(42)는 상기 작동경첩(51)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면서 상기 타측벽(34)에 고정된 가변날개(42)의 고정단(44)을 축으로 하여 프린트기판(7)의 수평상태에 일치되도록 조정되어, 상기 제2노즐(3)을 통해 분출되는 땜납(6)은 가변날개(42)로 편평하게 흐르게 되어 상기 프린트기판(7)에 납땜이 행해지며, 납땜하고 남은 융용땜납(6)은 다시 납조(1)로 회수되어 상기 제1 및 제2노즐(2,3)로 공급된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부품이 작고 좁게 삽입되어 납땜되는 랜드가 작은 프린트기판(7)을 경사진 상태로 반송하여 납땜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제2노즐(3)로부터 분출되는 땜납(6)의 높이를 높여야 하므로, 승강제어부(60)의 핸들(6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기어(62)는 회전되면서 상기 제1기어(62)에 맞물린 제2기어(63)는 상승되고, 상기 제2기어(63)와 일체로 형성된 승강봉(64)이 상승되며, 상기 승강봉(64)과 볼트에 의해 결합된 작동대(56)가 상승된다. 그러면, 상기 작동대(56)에 고정된 작동경첩(51)이 상승되면서 가변날개(42)는 상기 제2노즐(3)의 타측벽(34)에 고정된 고정단(44)을 축으로 하여 ∠0°이상의 상측방향으로 위치이동되므로, 경사지게 반송되는 프린트기판(7)에 원하는 납땜필릿을 얻게 된다.
한편, 상기 프린트기판(7)을 반송시켜 연속적으로 납땜을 하면 용융된 땜납(6)으로부터 찌꺼기가 발생되어 상기 제2노즐(3)의 웨이브 윗면에 정체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상기 승강제어부(60)의 핸들(6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승강봉(64)이 완전히 하강되도록 하여 작동대(56)를 하강시키면, 가변날개(42)도 경사를 갖으면서 완전히 하강되어, 상기 제2노즐(3)을 통해 분출되는 땜납(6)의 찌꺼기들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스럽게 위치가 낮은 쪽으로 분출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땜납(6)은 ∠0°이하의 각도로 하강된 가변날개(42)로 흐르게 되어 찌꺼기가 납조(1)로 분출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납땜장치의 노즐에 의하면, 제2노즐에 설치된 가변날개가 판형태의 작동대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면서 상기 작동대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가변날개도 자유롭게 승강되어, 상기 제2노즐로부터 분출되는 땜납의 분출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원하는 납땜의 필릿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또, 상기 작동대가 판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대의 일단이 제2노즐의 측벽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더욱 견고하게 가변판을 지지하게 되어 땜납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가변판을 ∠0°이하의 각도로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제2노즐의 땜납 찌꺼기를 가변판으로 흐로도록 유도시켜, 찌꺼기가 프린트기판에 묻지 않게 되어, 프린트기판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4)

  1. 반송되는 프린트기판(7)을 납땜하기 위해 제1노즐(2)과 제2노즐(3)이 구비된 납땜장치의 노즐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3)의 일측벽(33)에 부착되는 고정날개(41), 및 상기 제2노즐(3)의 타측벽(34)에 경첩(45)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가변날개(42)로 구성된 땜납분출부(40);
    상기 가변날개(42)의 외측 끝단부에 부착되는 작동경첩(51), 상기 작동경첩(51)과 결합되고 일단에는 고정구(58)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이동구(59)가 형성된 작동대(56)로 구성된 승강부(50); 및
    상기 작동대(56)의 이동구(59)와 결합되는 승강봉(64)과, 상기 승강봉(64)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2기어(63), 및 상기 제2기어(63)와 맞물려 회전시키는 제1기어(62)로 이루어진 승강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장치의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경첩(51)은 상기 가변날개(42)에 부착되도록 상부관통공(53')이 형성된 상면(53)과, 상기 상면(53)과 경첩(52)에 의해 하향으로 연결된 절곡단(5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장치의 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대(56)의 고정구(58)와 이동구(59) 사이에는 가로폭이 넓은 중앙공(57)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경첩(51)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장치의 노즐.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대(56)의 이동구(59)는 중앙공(57)의 가로폭과 동일한 가로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장치의 노즐.
KR20-2003-0010487U 2003-04-07 2003-04-07 납땜장치의 노즐 KR200321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487U KR200321071Y1 (ko) 2003-04-07 2003-04-07 납땜장치의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487U KR200321071Y1 (ko) 2003-04-07 2003-04-07 납땜장치의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071Y1 true KR200321071Y1 (ko) 2003-07-22

Family

ID=4933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487U KR200321071Y1 (ko) 2003-04-07 2003-04-07 납땜장치의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0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0765B2 (en) Soldering apparatus
EP1850646B1 (en) Jet solder bath
KR100738499B1 (ko) 프린트 기판의 납땜방법 및 자동 납땜장치
US6431431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wave soldering
KR200321071Y1 (ko) 납땜장치의 노즐
JP2007073786A (ja) はんだ付け方法
JPS63268563A (ja) 印刷配線回路板をはんだでマス結合する装置
JP5660081B2 (ja) 噴流ノズル及び噴流装置
JP4473566B2 (ja) 噴流式はんだ付け装置
JP3867511B2 (ja) 部分半田付け装置
KR200153131Y1 (ko) 납땜장치의 노즐
KR200145549Y1 (ko) 납땜장치
JPS6257428B2 (ko)
JPWO2010087374A1 (ja) 噴流はんだ槽
JPH0555228B2 (ko)
JP3522054B2 (ja) はんだ付け装置
JP4554748B2 (ja) ろう付け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WO2006118138A1 (ja) プリント基板の多機能型はんだ付け装置およびはんだ付け方法
KR930008291B1 (ko) 납땜 및 용제(flux) 도포장치
JP2017042795A (ja) はんだ付け装置
JPH1126926A (ja) 噴流式はんだ付け装置及び方法
JPH0373156B2 (ko)
KR200315473Y1 (ko) 솔더링 머신의 솔더포트 1차분사노즐 구조
JPH0442058Y2 (ko)
JP2002043732A (ja) 噴流はんだ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