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448Y1 - 포대기 - Google Patents

포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448Y1
KR200320448Y1 KR20-2003-0010611U KR20030010611U KR200320448Y1 KR 200320448 Y1 KR200320448 Y1 KR 200320448Y1 KR 20030010611 U KR20030010611 U KR 20030010611U KR 200320448 Y1 KR200320448 Y1 KR 2003204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bag
present
hips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국현
Original Assignee
남국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국현 filed Critical 남국현
Priority to KR20-2003-0010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4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4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4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 아기를 업을 때 사용하는 포대기에 있어서, 아기를 둘러 쌀 수 있는 포대부와, 상기 포대부에 형성된 아기의 등과 엉덩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요홈형태의 안착부과, 상기 포대부에 업혀진 아이가 떨어지지 않게 결박할 수 있게 한 결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아기의 처짐과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통풍성이 좋으며, 업힌 아기의 엉덩이 부위에 쿠션을 주어 업힌 아기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대기{baby's bedding}
본 고안은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기의 처짐과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통풍성이 좋으며, 업힌 아기의 엉덩이 부위에 쿠션을 주어 업힌 아기에게 편안함을 주도록 하기 위한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를 업을 때 사용하는 포대기는 아기를 둘러 쌀 수 있는 포대부와 포대부에 업혀진 아이가 떨어지지 않게 결박할 수 있게 한 결박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포대기는 아기를 등에 업고 포대기로 덮은 후 아이가 떨어지지 않게 결박부로 아기의 몸과 엉덩이를 결박하여 업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포대기는 결박부에 의하여 아기의 몸과 엉덩이가 압박된 상태로 업혀 있으므로 아기가 몹시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아기가 갑갑하여 움직이게 되면 아기를 결박하고 있는 결박부가 헐거워져 아기가 쳐지게되므로 아기를 업고 있는 엄마가 쉽게 피로하고 지치게되며, 업힌 아기가 등에서 미끄러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아기의 처짐과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통풍성이 좋으며, 업힌 아기의 엉덩이 부위에 쿠션을 주어 업힌 아기에게 편안함을 주도록 하기 위한 포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포대기의 특징은, 아기를 업을 때 사용하는 포대부와 결박부를 구비하며, 상기 포대부에 일정 위치에 아기의등과 엉덩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요홈형태의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있다.
또, 상기 포대부의 안착부는 메쉬(mesh) 재질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는데 있다.
상기 포대부의 안착부의 외측면 일부위에 메쉬(mesh) 재질의 커버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있다.
상기 포대부의 안착부의 외측면 일부위에 폴리우레탄 재질의 커버부가 더 설치된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하는데 있다.
도1a 및 도1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대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1a는 평면도,
도1b는 도1a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2a 및 도2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대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2a는 평면도,
도2b는 도2a의 b-b'선에 대한 단면도,
도3a 내지 도3c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대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3a는 평면도,
도3b는 도3a의 c-c'선에 대한 단면도,
도3c는 도3a의 c-c'선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포대부 130 : 결박부
120,220,320 : 안착부 321,322 : 커버부
(제1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대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a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1a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대기의 구성은 아기를 업을 때 아기를 둘러 쌀 수 있는 포대부(110)와, 상기 포대부(110)에 형성된 아기의 등과 엉덩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요홈형태의 안착부(120)와, 상기 포대부(110)에 업혀진 아이가 떨어지지 않게 결박할 수 있게 한 결박부(130)로 이루어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대기는 사용자가 아기를 등에 업은 후 포대부(110)에 요홈형태로 형성된 안착부(120)에 아기의 등과 엉덩이를맞추어 안착시켜 감싼 뒤 결박부(130)를 이용하여 결박함으로써, 상기 업힌 아기의 등과 엉덩이가 안착부(120)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결박부(130)의 헐거워짐으로 인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2실시예)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대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a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2a의 b-b'선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에 따른 포대기는 상기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 1a 및 도 1b와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되, 안착부(220)가 통풍이 가능한 메쉬(mesh)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대기는 안착부(220)를 통풍이 가능한 메쉬(mesh)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여름철에 사용자의 등에 업힌 아기의 등과 엉덩이 부위에 통풍성을 갖게 되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3실시예)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본 고안의 제1 및 제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대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c-c'선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c-c'선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대기는 상기 본 고안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도 1a 및 도 1b와 도1과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되, 안착부(320)의 외측면 일부위에 도 3b와 같이 통풍이 가능한 메쉬(mesh) 재질의 커버부(321)가 설치되거나 또는 도 3c와 같이 안정감 및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폴리우레탄 재질의 커버부(322)가 더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대기는 안착부(320) 모두 또는 일부위의 외측면 일부위에 통풍이 가능한 메쉬(mesh) 재질의 커버부(321) 또는 안정감 및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폴리우레탄 재질의 커버부(322)를 더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등에 업힌 아기의 등과 엉덩이 부위에 통풍성을 갖게 되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업힌 아기의 등과 엉덩이 부위에 쿠션을 주어 업힌 아기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포대기는 아기의 처짐과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통풍성이 좋으며, 업힌 아기의 엉덩이 부위에 쿠션을 주어 업힌 아기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아기를 업을 때 사용하는 표대부(110)와 결박부(130)를 구비한 포대기에 있어서,
    상기 포대부(110)에 일정 위치에 아기의 등과 엉덩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요홈형태의 안착부(1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부(110)의 안착부(220)는 메쉬(mesh)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부(110)의 안착부(320)의 외측면 일부위에 메쉬(mesh) 재질의 커버부(321)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부(110)의 안착부(320)의 외측면 일부위에 폴리우레탄 재질의 커버부(322)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KR20-2003-0010611U 2003-04-08 2003-04-08 포대기 KR2003204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611U KR200320448Y1 (ko) 2003-04-08 2003-04-08 포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611U KR200320448Y1 (ko) 2003-04-08 2003-04-08 포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448Y1 true KR200320448Y1 (ko) 2003-07-23

Family

ID=4941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611U KR200320448Y1 (ko) 2003-04-08 2003-04-08 포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4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7008B2 (ja) 運搬具
JP5357248B2 (ja) 枕を備える携帯用支持具
KR101493031B1 (ko) 힙 시트 캐리어
US20140231473A1 (en) Baby carrier
US20160051068A1 (en) Comfort apparatus
US11478093B2 (en) Travel pillow apparatus, storage apparatus for the travel pillow apparatu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KR102377913B1 (ko) 멀티 기능 아기띠 패키지
KR101922307B1 (ko) 영아용 속싸개
KR20120032800A (ko) 아기띠
GB2512085A (en) Removable baby car seat liner with carrying handles
KR200320448Y1 (ko) 포대기
KR101123376B1 (ko) 수유용 영아 받침시트
US20070246492A1 (en) Nursing purse and method for converting a purse to a nursing pillow
KR102009033B1 (ko) 유아용 겉싸개
KR200345164Y1 (ko) 조끼형 아기 포대기
JPH11318644A (ja) エアークッションマット
KR200302127Y1 (ko) 유아용 포대기
KR200422898Y1 (ko) 메쉬 포대기겸 아기띠
JP2018089125A (ja) 腕用枕
KR200291528Y1 (ko) 아기포대기
CN209808838U (zh) 一种四瘫患者使用的方便侧卧靠垫
KR200302477Y1 (ko) 베이비슬링
KR200322104Y1 (ko) 수유용 베개 및 쿠션 세트
KR200364173Y1 (ko) 배낭형 유아용 포대기
KR200346089Y1 (ko) 아기 포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