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127Y1 - 유아용 포대기 - Google Patents
유아용 포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2127Y1 KR200302127Y1 KR20-2002-0030224U KR20020030224U KR200302127Y1 KR 200302127 Y1 KR200302127 Y1 KR 200302127Y1 KR 20020030224 U KR20020030224 U KR 20020030224U KR 200302127 Y1 KR200302127 Y1 KR 20030212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by
- thigh
- bag
- legs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아기다리의 위치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아기를 업을 수 있도록 개선된 유아용 포대기에 대해 개시한다. 이 포대기는 아기의 등부분과 엉덩이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10)와 엉덩이받이(20)를 가지는 포대기몸체 및 이들을 어깨에 멜 수 있는 어깨멜빵(41)(42)을 구비한다. 포대기몸체는 엉덩이받이(20)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두갈래로 연장되어 아기의 허벅지부분을 지지하는 제1,2허벅지받이(31)(32)를 구비하며, 어깨멜빵(41)(42)은 그 양단이 제1,2허벅지받이(31)(32)의 단부와 등받이(10) 상단에 각각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제1,2허벅지받이(31)(32) 사이에는 아기의 양다리가 위치될 수 있는 하부공간(7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어깨멜빵(41)(42)과 포대기몸체 사이에는 아기의 양다리가 각각 위치될 수 있는 측부공간(61)(6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포대기는 허벅지받이(31)(32)를 경계로 하부공간(70)과 측부공간(61)(62)을 형성시킴으로써, 아기를 업을 때에 아기다리의 위치에 관계없이 다양한 형태로 아기를 안정적으로 업을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서 이용자로 하여금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아기를 업을 때에 아기의다리 위치에 관계없이 아기를 업을 수 있도록 하며, 아기의 성장에 따른 신체크기변화에 대응하여 아기를 원하는 형태로 업을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아기를 업을 때 사용하는 전통적인 포대기는 아기와 아기 엄마의 몸을 동시에 감싸줄 수 있는 크기의 덮개와 이 덮개의 양측으로 연결되어 결속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결속끈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포대기는 아기가 아기 엄마에게 밀착되어 아기 엄마가 아기를 비교적 적은 힘으로 편안하게 업을 수 있으나, 사용시 덮개로 아기를 감싸서 결속끈으로 아기 엄마의 허리를 감아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며, 아기를 업는 순간에 아기가 아기 엄마의 등에서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출원인은 이를 위해서 한국 특허출원번호 제2000-20843호에 배낭 겸용 아기포대기를 개시한 바 있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아기포대기는 아기의 등부분이 지지되는 등받이(112)와 이로부터 연장되어 아기의 엉덩이부분이 지지되는 바닥면(114) 및 사용자의 어깨에 걸치기 위한 어깨멜빵(152a)(152b) 및 안전벨트(156a)(156b)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아기포대기는, 아기엄마가 아기를 업은 상태에서 어깨멜빵(152a)(152b)과 아기의 하중에 의해 등받이(112)와 바닥면(114)에 인장력이 작용하여 현수곡선을 형성시킴으로써 아기의 하중이 분산되므로 아기엄마의 하중부담감을 대폭 경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아기포대기는 이를 바닥에 펼쳐 놓은 상태에서 아기를 업고자할 경우에 아기의 다리를 어떠한 위치에 놓은 상태에서 업어야 할지를 이용자가 쉽게 알 수 없게 한다.
또한, 이러한 포대기는 급속히 성장되는 아기의 신체변화에 따라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아기의 엉덩이 및 허벅지부분은 바닥면(114)에 안착지지되게 되는데, 아기의 허벅지부분이 성장하는 경우 바닥면(114)에 신체부분이 점유하는 비율이 적어지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업을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아기를 업을 때에 아기다리의 위치에 관계없이 다양한 형태로 아기를 안정적으로 업을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포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아기의 성장에 따른 신체변화에 대응하여 아기를 편안하게 업을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포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포대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 포대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 포대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 포대기를 다른 방법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 포대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도 5의 요부 단면도,
도 7은 도 3의 포대기를 이용하여 아기를 업은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4의 포대기를 이용하여 아기를 업은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등받이 20...엉덩이받이
31,32...허벅지받이 41,42...어깨멜빵
51,52...보강띠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아기의 등부분과 엉덩이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엉덩이받이를 가지는 포대기몸체 및 이들을 어깨에 멜 수 있는 어깨멜빵을 구비하는 유아용 포대기에 있어서,
상기 포대기몸체는 상기 엉덩이받이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두갈래로 연장되어 아기의 허벅지부분을 지지하는 제1,2허벅지받이를 구비하며,
상기 어깨멜빵은 그 양단이 상기 제1,2허벅지받이의 단부와 상기 등받이 상단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와 엉덩이받이의 양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1,2허벅지받이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쿠션재가 내장된 보강띠가 형성되어서, 아기가 안정된 자세로 포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2허벅지받이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각각 싸개부를 더 구비하여서 아기의 다리부분을 떠 감쌀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각 싸개부를 상기 제1,2허벅지받이에 대하여 접어서 제1,2허벅지받이의 배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부착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포대기는 아기의 다리를 상기 제1,2허벅지받이 사이의 공간에 위치시켜서 업음으로써 전통적인 포대기와 같은 방식으로 아기를 업을 수 있으며, 또한 아기의 다리를 제1,2허벅지받이의 상부위치에 위치시켜서 아기를 의자식으로 앉은 상태로 업힘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용자는 아기의 다리 위치에 관계없이 아기를 업을 수 있으므로 그 이용이 편리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유아용 포대기는 아기엄마가 아기를 포대기에 뉘인 상태에서 아기다리의 위치에 관계없이 아기를 업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포대기를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아기의 등부분과 엉덩이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10)와 엉덩이받이(20)를 가지는 포대기몸체 및 이들을 어깨에 멜 수 있는 어깨멜빵(41)(42)을 구비한다.
상기 포대기몸체는 상기 엉덩이받이(20)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두갈래로 연장되어 아기의 허벅지부분을 지지하는 제1,2허벅지받이(31)(32)를 구비하며, 상기 어깨멜빵(41)(42)은 그 양단이 상기 제1,2허벅지받이(31)(32)의 단부와 상기 등받이(10) 상단에 각각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2허벅지받이(31)(32)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의 양다리가 위치될 수 있는 하부공간(7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깨멜빵(41)(42)과 포대기몸체 사이에는 아기의 양다리가 각각 위치될 수 있는 측부공간(61)(62)을 형성한다.
상기 등받이(10)와 엉덩이받이(20)의 양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1,2허벅지받이(31)(32)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쿠션재가 내장된 보강띠(51)(52)가 형성되어서, 아기가 안정된 자세로 포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허벅지받이(31)(32)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각각 싸개부(31a)(32a)를 더 구비하여서 아기의 다리부분을 떠 감쌀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각 싸개부(31a)(32a)를 상기 제1,2허벅지받이(31)(32)에 대하여 접어서 제1,2허벅지받이(31)(32)의 배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부착제(81)(8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부착제(81)(82)로는 매직테이프 또는 스냅단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유아용 포대기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다리를 제1,2허벅지받이(31)(32)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어깨멜빵(41)(42)을 아기엄마의 어깨에 메게 되면, 아기의 등부분과 엉덩이부분은각각 등받이(10)와 엉덩이받이(20)부분에 지지됨과 동시에 아기의 허벅지부분은 제1,2허벅지받이(31)(32)에 지지되게 된다. 이때 제1,2허벅지받이(31)(32)는 아기의 허벅지 상단 일부분만을 지지하게 되므로 아기의 신체크기에 관계없이 일정 연령의 유아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깨멜빵(41)(42)과 연결된 제1,2허벅지받이(31)(32)중 아기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아래부분은 아기가 업혔을 때에 하방으로 자연스럽게 접히게 되므로 실제로 아기의 허벅지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즉, 아기의 허벅지에 허벅지받이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자국을 대폭 경감시킨다.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 다리를 상기 측부공간(61)(62)을 통과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업게 되면, 아기의 허벅지부분은 제1,2허벅지받이(31)(32)에 의해서 감싸지게 되므로 더욱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아기의 허벅지부분을 받치면서 아기를 업다가, 아기가 성장하면서 허벅지부분이 길어지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아기를 업는다.
더욱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싸개부(31a)(32a)가 형성된 경우에는 동절기에 아기를 외기(外氣)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며, 하절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싸개부(31a)(32a)를 뒤로 접어서 엉덩이받이(20)등에 매직테이프(81)(82)로 부착시켜 놓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본 고안 포대기는 아기의 다리를 상기 제1,2허벅지받이(31)(32) 사이의 공간 즉, 하부공간(70)에 위치시켜서 업음으로써전통적인 포대기와 같은 방식으로 아기를 업을 수 있으며, 또한 아기의 다리를 제1,2허벅지받이(31)(32)의 상부위치 즉, 측부공간(61)(62)에 위치시켜서 아기를 의자식으로 앉은 상태로 업힘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용자는 아기의 다리 위치에 관계없이 아기를 업을 수 있으므로 그 이용이 편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 말 할 것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허벅지받이(31)(32)를 경계로 하부공간(70)과 측부공간(61)(62)을 형성시킴으로써, 아기를 업을 때에 아기다리의 위치에 관계없이 다양한 형태로 아기를 안정적으로 업을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서 이용자로 하여금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아기를 업음이 가능하므로 아기의 성장에 따른 신체변화에 대응하여 아기를 편안하게 업을 수 있다.
셋째, 보강띠를 형성함으로써, 아기의 처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아기가 편안한 상태로 업힐 수 있게 한다.
Claims (4)
- 아기의 등부분과 엉덩이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엉덩이받이를 가지는 포대기몸체 및 이들을 어깨에 멜 수 있는 어깨멜빵을 구비하는 유아용 포대기에 있어서,상기 포대기몸체는 상기 엉덩이받이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두갈래로 연장되어 아기의 허벅지부분을 지지하는 제1,2허벅지받이를 구비하며,상기 어깨멜빵은 그 양단이 상기 제1,2허벅지받이의 단부와 상기 등받이 상단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와 엉덩이받이의 양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1,2허벅지받이의 상단 가장자리에 쿠션재가 내장된 보강띠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허벅지받이의 상단 가장자리에 각각 싸개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싸개부를 상기 제1,2허벅지받이에 대하여 접어서 제1,2허벅지받이의 배면에 부착시키는 부착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0224U KR200302127Y1 (ko) | 2002-10-10 | 2002-10-10 | 유아용 포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0224U KR200302127Y1 (ko) | 2002-10-10 | 2002-10-10 | 유아용 포대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2127Y1 true KR200302127Y1 (ko) | 2003-01-24 |
Family
ID=49399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30224U KR200302127Y1 (ko) | 2002-10-10 | 2002-10-10 | 유아용 포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2127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04498U (ko) | 2014-06-09 | 2015-12-17 | 임지연 |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 |
KR200480036Y1 (ko) | 2014-11-14 | 2016-04-05 | 권대한 | 아기캐리어 커버 |
-
2002
- 2002-10-10 KR KR20-2002-0030224U patent/KR20030212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04498U (ko) | 2014-06-09 | 2015-12-17 | 임지연 |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 |
KR200480036Y1 (ko) | 2014-11-14 | 2016-04-05 | 권대한 | 아기캐리어 커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503552B2 (ja) | 向上された移動の自由度を伴う調節可能チャイルドキャリア | |
US6409060B2 (en) | Child carrier with enhanced back and shoulder support and retractable infant seat | |
US6061854A (en) | Adjustable nursing pillow assembly | |
US20100072236A1 (en) | Multifunctional child carrier | |
KR200473013Y1 (ko) | 힙시트 캐리어 세트 | |
KR200459539Y1 (ko) |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 | |
JP2010524605A (ja) | 運搬具 | |
US11202520B2 (en) | Baby carrier | |
CN102281779A (zh) | 哺乳垫 | |
JP2002105713A (ja) | ベビーキャリアー | |
WO2002098263A1 (en) | Child support device | |
KR20120032800A (ko) | 아기띠 | |
KR200320194Y1 (ko) | 아기 포대기 | |
KR200302127Y1 (ko) | 유아용 포대기 | |
US20060208018A1 (en) | Adjustable infant carrier | |
KR101558175B1 (ko) | 포대기 | |
KR960002929Y1 (ko) | 다기능 유아용 포대기 | |
JP2005288107A (ja) | 子守帯 | |
KR200212061Y1 (ko) | 배낭 겸용 아기포대기 | |
KR200291529Y1 (ko) | 아기포대기 | |
KR200346812Y1 (ko) | 유아용 포대기 | |
KR200291528Y1 (ko) | 아기포대기 | |
KR200332214Y1 (ko) | 아기 포대기 | |
KR100494057B1 (ko) | 아기포대기 | |
JP4739543B2 (ja) | 介護用衣服及びその支持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02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