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981Y1 - 휴대폰 - Google Patents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981Y1
KR200319981Y1 KR20-2003-0013236U KR20030013236U KR200319981Y1 KR 200319981 Y1 KR200319981 Y1 KR 200319981Y1 KR 20030013236 U KR20030013236 U KR 20030013236U KR 200319981 Y1 KR200319981 Y1 KR 2003199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window
mobile phone
cover
present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현
Original Assignee
김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현 filed Critical 김창현
Priority to KR20-2003-0013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9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9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9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본체의 일측에 덮개수용홈을 형성하여 그 바닥면에 표시창을 구비하고, 이 덮개수용홈에 수용되는 표시창보호덮개를 휴대폰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표시창을 보호할 수 있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시 또는 표시창이 외부로 노출된 경우 표시창을 보호할 수 있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사용중에는 표시창이 외부로 노출되게 되며, 특히,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폴더형 휴대폰의 경우 통화시에는 송화부 및 수화부를 비롯한 휴대폰본체(H)의 내측면 전체가 사용자의 귀와 입 사이의 얼굴에 접촉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은 통화시 표시창(D)이 사용자의 얼굴이 접촉됨으로써 표시창(D)에 사용자의 얼굴에서 분비되는 피지나 땀 또는 화장품이나 여러 가지 이물질등이 묻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휴대폰 사용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원인이 되며, 특히, 휴대폰의 표시창(D)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표시창(D)을 닦을 경우 표시창(D)의 곳곳에 흠집이 생기게 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휴대폰을 이용한 통화시 또는 휴대폰의 표시창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표시창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표시창 또는 액정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본체의 표시창에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본체의 표시창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표시창 또는 액정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폰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덮개수용홈 20 ; 표시창보호덮개
H ; 휴대폰본체 D ; 표시창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은 휴대폰본체; 상 기 휴대폰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덮개수용홈; 상기 휴대폰본체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덮개수용홈에 수용되어 표시창을 보호하는 표시창보호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덮개수용홈의 바닥면에 표시창이 구비되며,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창 보호덮개의 내측 판면에 표시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은 크게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가능한 일반적인 휴대폰본체(H); 휴대폰본체(H)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표시창보호덮개(20); 휴대폰본체(H)의 일측에 형성되며, 표시창보호덮개(20)를 수용가능한 덮개수용홈(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수용홈(10)은 휴대폰본체(H)의 일측 판면에 함몰형성되며, 그 내측 바닥면에는 표시창(D)이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폴더형 휴대폰의 경우에는 휴대폰본체 (H)의 덮개부 내측면에 덮개수용홈(10)이 함몰형성되어 그 바닥면에 표시창(D)이 구비되며, 플립형 또는 그 외의 휴대폰의 경우에는 전면 일측의 판면이 함몰형성되어 그 바닥면에 표시창(D)이 구비된다. 그리고, 덮개수용홈(10)은 상향개구되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상향개구되게 형성함과 동시에 덮개수용홈(10)의 양측이 개구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휴대폰본체(H)의 일측에는 표시창보호덮개 (2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표시창보호덮개(20)는 덮개수용홈(10)의 일측 연부에 일단 또는 일측 연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표시창보호덮개(20)가 덮개수용홈(10)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표시창(D)을 보호하여 충격에 의해 표시창(D) 또는 액정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며, 반대로 표시창보호덮개(20)가 회동되어 덮개수용홈(10)이 개방되면 사용자가 표시창(D)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표시창보호덮개 (20)가 덮개수용홈(10)에 수용된 상태로 통화를 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에서 분비되는 피지나 땀 또는 화장품이나 여러 가지 이물질이 표시창(D)에 묻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표시창보호덮개(20)의 회동과 동시에 화면이 ON 또는 OFF 될 수 있도록 휴대폰본체(H)를 구성할 수도 있고, 표시창보호덮개(20)의 일부분을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 통화시 수신번호 또는 발신번호를 확인하거나 화면에 표시되는 시계를 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의 제 2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서는 표시창(D)이 표시창보호덮개(20)의 내측 판면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창보호덮개(20)를 덮개수용홈(10)에 수용시키면 표시창(D)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반대로 덮개수용홈(10)에 수용된 표시창보호덮개(20)를 회동시켜 덮개수용홈(10)을 개방하게 되면 표시창(D)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표시창보호덮개(20)가 덮개수용홈(10)에 수용된 상태로 통화를 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에서 분비되는 피지나 땀 또는 화장품이나 여러 가지 이물질이 표시창(D)에 묻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서도 표시창보호덮개(20)의 회동과 동시에 화면이 ON 또는 OFF 될 수 있도록 휴대폰본체(H)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덮개수용홈(10)의 바닥면에 표시창(D)이 구비되고, 제 2 실시예에서는 표시창보호덮개(20)의 내측 판면에 표시창(D)이 구비되어 있으나, 덮개수용홈(10)의 바닥면과 표시창보호덮개(20)의 내측 판면에 동시에 표시창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한 쌍의 표시창을 휴대폰본체(H)에 구비하게 되면 휴대폰본체(H)의 사용시 화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본체(H)를 이용한 화상통화시에는 다수의 상대자와 통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은 휴대폰본체의 일측에 덮개수용홈을 형성하고, 이 덮개수용홈에 수용되는 표시창보호덮개를 휴대폰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휴대폰의 표시창에 사용자의 얼굴에서 분비되는 피지나 땀 또는 화장품이나 여러 가지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표시창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표시창 또는 액정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휴대폰본체(H);
    상기 휴대폰본체(H)의 일측에 형성되는 덮개수용홈(10);
    상기 휴대폰본체(H)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덮개수용홈(10)에 수용되어 표시창(D)을 보호하는 표시창보호덮개(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수용홈(10)의 바닥면에는 표시창(D)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보호덮개(20)의 내측 판면에는 표시창(D)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KR20-2003-0013236U 2003-04-29 2003-04-29 휴대폰 KR2003199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236U KR200319981Y1 (ko) 2003-04-29 2003-04-29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236U KR200319981Y1 (ko) 2003-04-29 2003-04-29 휴대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981Y1 true KR200319981Y1 (ko) 2003-07-12

Family

ID=49410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236U KR200319981Y1 (ko) 2003-04-29 2003-04-29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9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185589A (ja) 折畳式携帯電話機
KR200381964Y1 (ko) 덮개 일부가 슬라이딩 개폐되는 휴대폰 단말기용보호케이스
CN101873773A (zh) 便携式电子装置
EP1483619B1 (en) Impact resistant liquid crystal display arrangement
WO2002054509A1 (en) A device with a loudspeaker and an ear piece cover
KR200319981Y1 (ko) 휴대폰
JP4277499B2 (ja) 折り畳み型携帯電子機器
US7454014B2 (en) Device with a loudspeaker and an ear piece cover
KR1005012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보호장치
WO1998023077A1 (en)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radiotelephone
KR200399014Y1 (ko)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20050054517A (ko) 디스플레이 화면 클리너가 구비된 슬라이드형이동통신단말기
JP4584094B2 (ja) 携帯電子機器
JPH0879355A (ja) 携帯形電話機
KR100393806B1 (ko) 카메라 보호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영상 단말기
KR20110001075U (ko) 밀폐형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06780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KR20030021003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엘씨디 모듈 보호장치
CN218734426U (zh) 一种手机套
KR200182504Y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문자 및 영상 데이터 표시용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JP2007174044A (ja) 携帯端末
KR200247589Y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210044612A (ko) 휴대폰 보호필름 구조체
KR200172531Y1 (ko) 이중 플립형 화상통신 단말기
KR200330984Y1 (ko) 액정표시부가 제공된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