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267Y1 -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 - Google Patents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267Y1
KR200319267Y1 KR20-2003-0003795U KR20030003795U KR200319267Y1 KR 200319267 Y1 KR200319267 Y1 KR 200319267Y1 KR 20030003795 U KR20030003795 U KR 20030003795U KR 200319267 Y1 KR200319267 Y1 KR 2003192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uter rim
lower container
hin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남
Original Assignee
이종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남 filed Critical 이종남
Priority to KR20-2003-0003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2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2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267Y1/ko
Priority to US10/642,241 priority patent/US6978791B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1Features of the hinge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 등이 수용되는 콤팩트 케이스에서 하부 하용기와 힌지축으로 결합된 상용기의 타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이러한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요홈이 탄력을 지닌 외주테에 내입되어 형성되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외주테를 가압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개폐되게 됨으로써 돌출되지 않은 매끄러운 외관을 가지며 간편한 개폐가 가능한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힌지 체결을 위한 귀부(41)를 갖춘 하용기(40); 상기 하용기(40)의 상측면에 끼워지며, 요홈(31)이 형성된 부위에서 내경측으로의 외부 가압에 대해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외주테(30); 상기 외주테(3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부에 테두리 날개(21)가 형성되는 중용기(20); 및 상기 중용기(20) 및 외주테(30)의 상측을 덮으며, 상기 외주테(30)의 요홈(31)과 맞물리는 걸림돌기(12)가 형성되고 상기 하용기(40)의 귀부(41)와 힌지 돌출구(11)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되는 상용기(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STRUCTURE OF CONTAINER}
본 고안은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등이 수용되는 콤팩트 케이스에서 하부 하용기와 힌지축으로 결합된 상용기의 타측에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이러한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요홈이 탄력을 지닌 외주테에 내입되어 형성되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외주테를 가압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개폐되게 됨으로써 돌출되지 않은 매끄러운 외관을 가지며 간편한 개폐가 가능한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팩트 케이스의 구조는 화장품과 퍼프등의 화장용구가 수납되는 수납홈을 가지는 본체와, 이의 본체의 후단에 힌지축을 지지점으로 회동작동되고 그 내면에 거울등이 갖추어져 있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단과 뚜껑의 전단에는 뚜껑을 본체에 개폐할 경우 뚜껑을 괘, 해정하도록 하는 체결구조가 필연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었고, 이러한 뚜껑 체결구조는 지금까지도 여러종류가 다양하게 알려져 실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일반적인 콤팩트 게이스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본체(2)와, 그 후단의 힌지축(3)을 지점으로 회동하면서 본체(2)의 상부로 개폐작동하는 뚜껑(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내부에는 퍼프(5) 및 화장품을 수납하는 별도의 내용기(6)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콤팩트 케이스는 상기 본체(2)에서 뚜껑(4)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구조를 갖고 있는바, 주로 본체(2)의 선단에 걸림턱(2a)의 선단에 걸림턱(2a)을 형성하고, 뚜껑(4)의 선단에는 상기 걸림턱(2a)에 착탈되는 걸림편(4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개폐구조는 뚜껑을 개방하고자하는 경우에, 상기 본체(2)와 뚜껑(4)의 맞닿는 전방 사이로 손가락을 집어 넣어 뚜껑(4)을 파지한 상태로 상부로 외력을 가하거나, 걸림턱(2a)과 걸림편(4a)를 이탈시키기 위한 별도의 버튼식 기구물을 구성해야만 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상기 본체(2)와 뚜껑(4)의 전방이 걸림턱(2a)과 걸림편(4a)으로 상호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본체(2)와 뚜껑(4)의 맞닿은 사이를 벌려 뚜껑(4)을 파지하는 작동이 용이하지 않고 버튼식 기구물의 경우 조립성 및 내구성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더군다나, 상기 걸림턱(2a)과 걸림편(4a)으로 상호 맞물려 있는 부분을 외력으로 강제로 벌리는 충격에 의해 내부의 화장품이 엎어지거나 흔들려 외부로 튀어나오므로 화장품의 손실 및 청결의 유지가 곤란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케이스는 외부로 각종 조립부 및 걸림부가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항시 소지하게 되는 이러한 케이스가 옷이나 가방내의 다른 물건과 얽히게 되어 옷의 손상이나 케이스의 파손이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형으로 형성된 상용기과 하용기를 일측에서 힌지축으로 연결하고 상용기의 타측에서 그 원주 내측으로 형성된 걸림돌기가 탄성을 지닌 외주테에 형성된 요홈에 맞물리도록 하여 외부에서 사용자가 외주테를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원형의 판인 상용기 및 하용기의 사이에 중용기를 함유하는 원형 테두리로서 형성된 외주테를 상용기와 하용기의 결합부위로 갈수록 외면이 수렴되도록 구성킴으로써 전체적인 외관이 매끄러운 곡선을 가져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주고 사용이나 보관시 돌출부위가 없어 여타 물질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수용기 케이스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수용기 케이스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용기 11 : 힌지 돌출구
12 : 걸림돌기 13 : 힌지 결합부
20 : 중용기 21 : 테두리 날개
21a : 제 1 절개면 30 : 외주테
31 : 요홈 31a : 제 2 절개면
40 : 하용기 41 : 귀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는 힌지 체결을 위한 귀부(41)를 갖춘 하용기(40); 상기 하용기(40)의 상측면에 끼워지며, 요홈(31)이 형성된 부위에서 내경측으로의 외부 가압에 대해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외주테(30); 상기 외주테(3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부에 테두리 날개(21)가 형성되는 중용기(20); 및 상기 중용기(20) 및 외주테(30)의 상측을 덮으며, 상기 외주테(30)의 요홈(31)과 맞물리는 걸림돌기(12)가 형성되고 상기 하용기(40)의 귀부(41)와 힌지 돌출구(11)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되는 상용기(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용기(20)의 테두리 날개(21)에 형성된 제 1 절개면(21a)과, 상기 외주테(31)의 요홈(31) 부위에 형성된 제 2 절개면(31a)은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용기(10)의 상부로 드러나는 외측면은 곡면 형성되고 측면으로 드러나는 상기 외주테(30)는 원형의 띠 형태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외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은 원형의 상용기 및 하용기를 일측에서 힌지축으로 연결하고 이러한 상용기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상용기 및 하용기의 사이의 원형의 탄성 외주테의 내측에 형성된 요홈에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외주테를 가압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전체적으로 매끈한 외관을 가지는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수용기 케이스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이 적용된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는 원형으로 형성된 상용기(10) 및 하용기(40)와, 상기 상용기(10) 및 하용기(40)의 사이에서 내용물이 수용되는 원형의 중용기(20)와, 상기 중용기(20)의 외곽으로 형성되는 탄성력을 가진 외주테(30)로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용기(10)는 소정 면적을 갖는 원형의 플레이트로서, 그 외측면은 매끄러운 곡면을 가지며, 내측면은 절곡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그 중심에는 본 고안이콤팩트 케이스에 적용되는 경우에 거울 등이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상용기(10)의 내측면에서 그 일측에는 힌지 핀이 삽입될 수 있는 힌지공이 구비된 힌지 돌출구(11)가 구비되고, 그러한 힌지 돌출구(11)의 반대편에는 걸림돌기(12)가 형성된다.
상기 하용기(40)는 소정 면적을 갖는 원형의 플레이트로서, 상기 상용기(10)의 힌지 돌출구(11)가 끼워져 하나의 힌지 핀으로 결합되는 귀부(41)가 형성되어, 이러한 귀부(41)는 결합되는 하용기(40)를 향하여 상기 상용기(10)에서 돌출된 힌지 돌출구(11)와 함께 힌지 결합부(13)로 구성되어 힌지 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용기(10)를 회동시키도록 하는 축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중용기(20)는 상기 상용기(10) 및 하용기(40)의 사이에 구비되어 이러한 케이스에 수용되는 수용물을 담을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며, 이러한 중용기(20)에서 상기 상용기(10)와 맞닿는 접촉면에는 원형의 테두리 날개(2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외주테(30)는 상기 중용기(20)를 외곽에서 둘러싸는 띠 형태의 테두리로서, 원주의 외부에서 원중심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부의 압력에 대한 소정의 탄성을 가지게 되며, 상기 중용기(20)의 테두리 날개(21)와 상기 하용기(40)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하용기(40)에 고정된다.
한편, 이러한 외주테(30)의 일측에는 상기 중용기(20)에서 테두리 날개(2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 즉, 상용기(10)의 걸림돌기(12)가 지나는 부분에서 상기 상용기(10)와 직접 맞닿게 되는 소정 공간의 평면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평면에는상기 상용기(10)의 걸림돌기(12)가 맞물려 삽입되게 되는 요홈(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주테(30)의 외부로 드러나는 측면의 테 두께는 상기 요홈(31)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가장 두껍고, 그 반대측으로 갈수록 차츰 수렴되는 두께를 가지게 된다.
이때, 이러한 요홈(31)이 형성되는 외주테(30)의 평면에서 상기 중용기(20)의 테두리 날개(21)와 마주하게 되는 제 2 절개면(31a)과 중용기(20)의 테두리 날개(21)에 형성된 제 1 절개면(21a)은 소정 공간 이격되어 형성되는데, 따라서 상기 상용기(10)의 걸림돌기(12)가 삽입되어 케이스가 잠긴 상태에서 상기 힌지 결합부(13)의 반대쪽 면에서 외주테(30)를 원의 중심방향으로 사용자가 소정의 압력을 가하게 되면, 탄력을 가진 외주테(30)는 상기 제 1 절개면(21a) 및 제 2 절개면(31a)의 이격된 거리만큼 내측으로 휘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12)가 요홈(31)으로부터 이탈되어 케이스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 내부의 수용물을 사용하고자 사용자가 케이스의 상용기(10)를 개방하는 동작에서 원심방향에 대해 탄성을 가지는 상기 외주테(30)의 부드러운 수축이완 동작을 이용하여 걸림돌기(12)가 요홈(31)으로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간결한 동작만으로 상용기(10)의 개방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수용기 케이스에서 외부로 드러나는 외관의 형상에 있어서, 케이스의 상면부에서는 매끄러운 곡선으로 형성되는 상기 상용기(10)의 외측면이 드러나고, 측면부에서는 띠 형태로 형성되어 중용기(20)의 측면을 원형으로 감싸는 외주테(30)의 측면이 드러나고, 그리고 하면부에서는 하용기(40)의 평평한 바닥면이 드러나게 되어, 전체적인 외형이 미려한 유선형의 외관을 가지게 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고, 이러한 케이스의 보관이나 파지시에 날카롭게 돌출된 부분이 없어 다른 물품이나 사용자 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나타난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는 원형으로 형성된 상용기와 하용기를 일측에서 힌지 결합부로 연결하고 상용기의 타측에서 그 원주 내측으로 형성된 걸림돌기가 탄성을 지닌 외주테에 내입된 요홈에 맞물리도록 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외주테를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게되는 한편, 개폐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져 내부 수용물이 쏟아지거나 튀어나가는 등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기존의 스프링을 사용하여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던 방식에 비하여 탄성을 가진 외주테를 사용함으로써 스프링으로 인한 잔고장을 제거하며 그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형의 판인 상용기 및 하용기의 사이에 중용기를 함유하는 원형 테두리로서 형성된 외주테를 상용기와 하용기의 결합부위로 갈수록 외면의 두께가 수렴되도록 구성킴으로써 전체적인 외관이 매끄러운 곡선을 가져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주고 케이스의 사용이나 보관시 돌출부위가 없어 여타 물질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힌지 체결을 위한 귀부(41)를 갖춘 하용기(40);
    상기 하용기(40)의 상측면에 끼워지며, 요홈(31)이 형성된 부위에서 내경측으로의 외부 가압에 대해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외주테(30);
    상기 외주테(3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부에 테두리 날개(21)가 형성되는 중용기(20); 및
    상기 중용기(20) 및 외주테(30)의 상측을 덮으며, 상기 외주테(30)의 요홈(31)과 맞물리는 걸림돌기(12)가 형성되고 상기 하용기(40)의 귀부(41)와 힌지 돌출구(11)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되는 상용기(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용기(20)의 테두리 날개(21)에 형성된 제 1 절개면(21a)과, 상기 외주테(31)의 요홈(31) 부위에 형성된 제 2 절개면(31a)은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기(10)의 상부로 드러나는 외측면은 곡면 형성되고 측면으로 드러나는 상기 외주테(30)는 원형의 띠 형태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외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
KR20-2003-0003795U 2003-02-10 2003-02-10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 KR2003192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795U KR200319267Y1 (ko) 2003-02-10 2003-02-10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
US10/642,241 US6978791B2 (en) 2003-02-10 2003-08-18 Structure of a compact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795U KR200319267Y1 (ko) 2003-02-10 2003-02-10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267Y1 true KR200319267Y1 (ko) 2003-07-07

Family

ID=3282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795U KR200319267Y1 (ko) 2003-02-10 2003-02-10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78791B2 (ko)
KR (1) KR20031926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099B1 (ko) 2012-01-05 2013-04-10 (주)연우 콤팩트 용기
KR101581111B1 (ko) 2014-03-20 2016-01-12 주식회사 태성산업 콤팩트 케이스의 내뚜껑
KR20210050891A (ko) *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두코 일체형 가압버튼에 의한 개폐구조의 콤팩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1971A1 (en) * 2007-04-30 2010-02-11 Minna Catherine Ha Cosmetic container
CN101407263B (zh) * 2007-10-09 2011-11-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盖体与本体的连接结构
US8215320B2 (en) * 2008-05-30 2012-07-10 L'oreal Usa Products, Inc. Cosmetic compact incorporating an applicator holder
JP6407572B2 (ja) * 2014-06-02 2018-10-17 花王株式会社 化粧用コンパクトケース及び保護シート
KR101565774B1 (ko) * 2015-04-06 2015-11-05 (주)연우 화장용 파우더 용기
CN112161847B (zh) * 2020-09-28 2023-03-17 成都西核仪器有限公司 一种气溶胶和碘取样仪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7189A (en) * 1954-10-11 1956-03-06 Morningstar Otto Loose cosmetic powder compact
US4454889A (en) * 1983-09-21 1984-06-19 Contreras Sr Joseph P Compact with air tight closure
FR2744099B1 (fr) * 1996-01-30 1998-04-03 Qualipac Sa Procede de fermeture etanche d'un boitier, en particulier pour produits cosmetiques et boitier correspondant
FR2767119B1 (fr) * 1997-08-11 1999-10-01 Lir France Sa Boitier a charniere debrayable et a levre autojointante
US5908037A (en) * 1997-11-04 1999-06-01 Pierson Industries Compact with hermetic sealing assembl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099B1 (ko) 2012-01-05 2013-04-10 (주)연우 콤팩트 용기
WO2013103209A1 (ko) * 2012-01-05 2013-07-11 (주)연우 콤팩트 용기
KR101581111B1 (ko) 2014-03-20 2016-01-12 주식회사 태성산업 콤팩트 케이스의 내뚜껑
KR20210050891A (ko) *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두코 일체형 가압버튼에 의한 개폐구조의 콤팩트
KR102266877B1 (ko) * 2019-10-29 2021-06-18 주식회사 두코 일체형 가압버튼에 의한 개폐구조의 콤팩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78791B2 (en) 2005-12-27
US20040154634A1 (en) 200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238B1 (ko) 화장료용기
US8434640B2 (en) Release system for container
KR200319267Y1 (ko) 수용기 케이스의 구조
US10973302B2 (en) Compact container having tension part integrally formed therein
JP5258235B2 (ja) コンパクト容器
WO2019223371A1 (zh) 弹跳镜面口红
JP3838703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6898278B2 (ja) 化粧料容器
KR200402605Y1 (ko) 콤팩트케이스
JP2023530317A (ja) ボタンの分離構造を有する化粧品容器
KR200264628Y1 (ko) 물티슈용 포대의 덮개
JPS6330330Y2 (ko)
JP3305890B2 (ja) 気密コンパクト
JP3792754B2 (ja) コンパクト容器
KR101725604B1 (ko) 화장품 용기
JP7083384B2 (ja) 内容物が外部から見える化粧品容器
JPH053147Y2 (ko)
JPH0535791Y2 (ko)
JP2003116627A (ja) 化粧料容器
JPS6037323Y2 (ja) 振出し容器
JP4093350B2 (ja)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JPS6322963Y2 (ko)
KR200144100Y1 (ko) 화장품 용기의 덮개 개방구조
JPH053146Y2 (ko)
JPH0668606U (ja) コンパクト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