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978Y1 - 정화조 보호용 조립식 콘크리트 구축물 - Google Patents

정화조 보호용 조립식 콘크리트 구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978Y1
KR200318978Y1 KR20-2003-0010759U KR20030010759U KR200318978Y1 KR 200318978 Y1 KR200318978 Y1 KR 200318978Y1 KR 20030010759 U KR20030010759 U KR 20030010759U KR 200318978 Y1 KR200318978 Y1 KR 200318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tic tank
concrete
construction
panel
concre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수학
김경달
Original Assignee
신수학
김경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수학, 김경달 filed Critical 신수학
Priority to KR20-2003-0010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9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9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화조보호용 조립식 콘크리트구축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합성수지제 탱크구조물로 이루어진 정화조를 매립하였을때 정화조가 토압등으로 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콘크리트구축물을 설치하되 콘크리트판넬을 연결조립하는 수단으로 구축물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콘크리트구축물(20)을 설치하여 합성수지제 정화조(10)를 토압으로 부터 보호하는 것에 있어서, 소정크기의 콘크리트판넬(21)을 구비하고 이를 연결조립하여 구축물(20)을 설치하되 콘크리트판넬(21)일측의 주연부내측에 앵커볼트(23)를 소정간격으로 각각 설치하고 상기 앵커볼트(23)에 결합구멍(25)을 가진 앵글(24)을 끼워 너트(26)고정하는 수단으로 다수의 콘크리트 판넬을 일직선 및 직교로 연결조립하여 설치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보호용 조립식 콘크리트 구축물이다.

Description

정화조 보호용 조립식 콘크리트 구축물{STRUCTURES OF BUILT-UP CONCRETE FOR SEPTIC TANK PROTECTION}
본 고안은 정화조보호용 조립식 콘크리트구축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합성수지제 탱크구조물로 이루어진 정화조를 매립하였을때 정화조가 토압등으로 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콘크리트구축물을 설치하되 콘크리트판넬을 연결조립하는 수단으로 구축물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제 탱크구조물로 이루어진 정화조를 매립하기전에 정화조를 토압으로 부터 파손이나 변형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정화조의 설치공간내에 바닥면과 측벽을 이루도록 콘크리트거푸집형태의 정화조보호구축물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정화조 설치공간은 지면에서 지하로 파헤쳐서 상향개구된 상태이기 때문에 그 설치공간에서 바닥면과 측벽을 갖는 콘크리트거푸집을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땅을 파헤친 설치공간은 상향개구되어 있어서 공기소통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양생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었다.
또한, 땅을 파헤친 설치공간에 수분이 있으면 콘크리트가 제대로 양생되지 않게 되어 견고성이 크게 떨어지므로 토압방지기능을 제대로 발휘할수 없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정크기의 콘크리트판넬을 연결조립하여 정화조 보호구축물을 설치하되 콘크리트판넬 일측면의 주연부내측에 앵커볼트를 매입형태로 설치하여 결합구멍을 가진 앵글을 앵커볼트에 끼워 너트결합으로 측벽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는 구축물을 설치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축물 설치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판넬의 전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화조 20 : 구축물
20a : 측벽 20b : 바닥면
21 : 콘크리트판넬 22 : 연결구멍
23 : 앵커볼트 24 : 앵글
25 : 결합구멍 26 : 너트
합성수지제 정화조(10)를 매립하기 전에 정화조설치공간내에 콘크리트구축물(20)을 설치하여 정화조를 토압으로 부터 보호할수 있게 한 것에 있어서, 소정크기의 콘크리트판넬(21)을 다수 구비하고 이를 연결조립하여 구축물(20)을 설치하되 콘크리트판넬(21)일측의 주연부내측에 매입시켜 고정하게 되는 앵커볼트(23)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앵커볼트(23)에 결합구멍(25)을 가진 앵글(24)을 끼워 너트(26)으로 고정하는 수단으로 측벽(20a)과 바닥면(26b)으로 이루어진 구축물(20)을 설치한다.
상기 콘크리트판넬(21)의 앵커볼트(23)는 소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이를 앵글(24)의 결합구멍(25)에 끼워 고정할때 콘크리트판넬(21)을 일직선 또는 직교로 연결조립할수 있게 한다.
앵글(24)의 결합구멍(25)은 장방형으로 형성하여 앵커볼트(23)의 설치간격이 가변되더라도 쉽게 고정할수 있게 한다.
그리고 콘크리트판넬(21)의 중심부는 연결구멍(22)을 형성하여 비교적 중량체인 콘크리트 판넬(21)을 포크레인등의 중장비로 운반할때 중장비의 운반도구가 끼워지도록 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정화조(10)를 매립하기 전에 정화조설치공간에 콘크리트구축물(20)을 설치하게 될때 소정크기로 구비된 다수의 콘크리트판넬(21)을 연결조립하여 측벽(20a)과 바닥면(20b)으로 이루어진 구축물(20)을 설치할수 있게 된다.
즉, 콘크리트판넬(21)중심부의 연결구멍(22)에 중장비의 연결도구를 끼워 콘크리트판넬을 설치공간으로 운반한 다음 콘크리트판넬(21)의 앵커볼트(23)가 내측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앵커볼트(23)에 앵글(24)의 결합구멍(25)을 각각 끼우고 너트(26)결합으로 고정하는 수단으로 콘크리트판넬(21)이 직선상및 직교로 연결조립되어 구축물(20)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콘크리트판넬(21)에 의해 설치된 구축물(20)이 바닥면(20b)에 흙을 채워 앵커볼트(23)결합부분이 노츨되지 않게 소정높이로 다진 다음 정화조(10)를 안치시키고 구축물(20)의 측벽(20a)부분과 정화조(10)측부사이를 흙으로 채움으로서 정화조(10)의 매립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판넬(21)의 크기나 갯수등은 정화조(10)의 크기등을 고려하여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정화조를 매립설치하기 전에 정화조설치공간에 설치되는 구축물을 콘크리트판넬의 조립에 의해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하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정화조설치공간이 수분등이 있더라도 견고성을 유지하게 되어 토압방지를 효과적으로 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콘크리트구축물(20)을 설치하여 합성수지제 정화조(10)를 토압으로 부터 보호하는 것에 있어서, 소정크기의 콘크리트판넬(21)을 구비하고 이를 연결조립하여 구축물(20)을 설치하되 콘크리트판넬(21)일측의 주연부내측에 앵커볼트(23)를 소정간격으로 각각 설치하고 상기 앵커볼트(23)에 결합구멍(25)을 가진 앵글(24)을 끼워 너트(26)고정하는 수단으로 다수의 콘크리트 판넬을 일직선 및 직교로 연결조립하여 설치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보호용 조립식 콘크리트 구축물
  2. 제1항에 있어서, 앵글(24)의 결합구멍(25)을 장방형으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보호용 조립식 콘크리트 구축물
  3. 제1항에 있어서, 콘크리트판넬(20)중심부에 연결구멍(22)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보호용 조립식 콘크리트 구축물
KR20-2003-0010759U 2003-04-09 2003-04-09 정화조 보호용 조립식 콘크리트 구축물 KR200318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759U KR200318978Y1 (ko) 2003-04-09 2003-04-09 정화조 보호용 조립식 콘크리트 구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759U KR200318978Y1 (ko) 2003-04-09 2003-04-09 정화조 보호용 조립식 콘크리트 구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978Y1 true KR200318978Y1 (ko) 2003-07-04

Family

ID=4941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759U KR200318978Y1 (ko) 2003-04-09 2003-04-09 정화조 보호용 조립식 콘크리트 구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9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537B1 (ko) * 2017-05-10 2017-12-04 이동민 지중 매설용 원통형 저장탱크의 조립식 보호방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537B1 (ko) * 2017-05-10 2017-12-04 이동민 지중 매설용 원통형 저장탱크의 조립식 보호방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1514B1 (en) Permanent prefabricated braced wall
US9909708B1 (en) Preventing disturbances of underground conduit
KR200318978Y1 (ko) 정화조 보호용 조립식 콘크리트 구축물
KR20060069419A (ko) 수밀성 및 가요성을 갖는 철근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박스암거와 이 암거의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KR101804537B1 (ko) 지중 매설용 원통형 저장탱크의 조립식 보호방벽
KR200402942Y1 (ko) 도로의 비탈면 보호를 위한 다단계시설 설치구조
US20040081517A1 (en) Headwall for drain pipe
JP2005248496A (ja) 液状化によるマンホールの浮き上がり防止方法
KR100856660B1 (ko) 강관전주 및 입상관로 설치구조
JP2006152542A (ja) マンホールの地震などによる突上げ浮上の防止構造
KR100619403B1 (ko) 연약지반 침하방지용 안전을 위한 삼각형 상하수도관의설치구조
KR101355884B1 (ko)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 강관의 연결구조
KR100659997B1 (ko) 에이치빔을 이용한 흙막이공법 및 그 에이치빔 구조체
KR101756367B1 (ko) 기초 구조물
JP4834649B2 (ja) 盛土構造物を構築する盛土構造及び盛土構造構成用の擁壁ブロック並びに盛土構造物の構築工法
KR200372010Y1 (ko)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
KR200335066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옹벽시공구조
KR20190081605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설치구조 및 방법
KR101907065B1 (ko) 맨홀 설치용 조립식 구조물
KR200420018Y1 (ko) 흙막이용 에이치빔 구조체
KR102330106B1 (ko) 정화조 구조물 제조방법
KR100582000B1 (ko) 건축물의 외부 차수벽 구조
KR200292722Y1 (ko) 파형옹벽축조구조
KR200464347Y1 (ko) 프리캐스트 암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