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010Y1 -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010Y1
KR200372010Y1 KR20-2004-0026946U KR20040026946U KR200372010Y1 KR 200372010 Y1 KR200372010 Y1 KR 200372010Y1 KR 20040026946 U KR20040026946 U KR 20040026946U KR 200372010 Y1 KR200372010 Y1 KR 200372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prefabricated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화
최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현
윤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현, 윤종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현
Priority to KR20-2004-0026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0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2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corru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절토 및 성토면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옹벽관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옹벽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는 옹벽 벽체를 이루는 옹벽관에 앵커 역할을 하는 보강띠를 설치함으로써 옹벽 배면의 수직토압을 이용하여 옹벽의 안정을 유도하고, 설치가 간단하여 작업성이 높으며, 적은 재료량으로 옹벽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인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에 관한 고안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는 다수개의 판이 조립되어 일정직경 및 높이를 갖게 되며, 내부에 토사가 채워지는 다수개의 옹벽관이 좌우 연결되어 일렬로 설치되는 벽체로, 상기 옹벽관은 좌우 외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연결플랜지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플랜지에는 연결볼트가 삽입되는 연결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옹벽 벽체; 및 상기 옹벽 벽체의 옹벽관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설치되는 띠로, 상기 띠는 옹벽관의 연결플랜지를 사이에 두고 옹벽 벽체의 전면에 위치되어 옹벽관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전방띠와 상기 전방띠와 결합되며 옹벽 벽체의 후면 지중을 향해 일정길이 돌출되어 매립 설치되는 후방띠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 설치되는 보강띠;를 특징적인 구성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Assembly typ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structure}
본 고안은 다수개의 옹벽관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옹벽관에 앵커의 역할을 하는 보강띠가 설치되어 있어 별도의 앵커 설치작업을 요하지 않으며 옹벽 배면의 수직토압을 이용하여 옹벽의 안정을 유도할 수 있고, 설치가 간단하여 작업성이 높으며, 적은 재료량으로 옹벽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인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자연적으로 형성된 경사면이나 도로 및 철도 공사, 택지개발 등으로 인해 인위적으로 발생된 경사면에서, 구조물을 지지하고 있는 토압이 연약하여 구조물 파괴의 우려가 있는 경우 또는 부동침하가 예상되는 경우에 시공되어지는 지지기반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체이다. 이러한 종래의 옹벽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의 일부분을 깍아내고 그 부분에 잡석층(11)을 뒷채움시킨 다음, 그 잡석층(11)의 전방에 배수구(12)를 형성시킨 대형 콘크리트 옹벽(10)을 설치함으로서 콘크리트 옹벽(10)에 의하여 배면의 토압이 지지되도록 시공하는 것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암기나 보링기를 사용하여 경사면에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시키고, 이와 같이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락앵커나 쏘일네일(21)을 삽입시킴과 동시에 구멍을 통하여 삽입된 락앵커나 쏘일네일(21)의 외측에 레진 또는 몰탈층(22)을 그라우팅에 의하여 형성시킨 다음, 락앵커나 쏘일네일(21)의 선단부가 돌출되는 경사면상에 숏크리트(20, shotcrete)를 일정한 두께로 타설함으로서, 경사면의 일부 토사를 하나의 보강단위체로 형성시켜 배면의 토압을 지지하도록 시공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옹벽(10)은 경사면을 따라 비교적 대형의 콘크리트 옹벽(10)을 설치하여야 함으로 현장으로의 자재운반이 어려우며, 연약 지반에서는 기초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 후 옹벽(10)이 충분히 굳어지기 전까지 빗물에 의한 표면유실, 하중이나 충격에 의한 콘크리트의 파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엄격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옹벽(10) 시공 후에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10)의 균열현상을 수시로 점검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보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함으로, 그 시공 및 유지관리에 매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공할 수 있는 콘크리트 옹벽(10)의 높이에도 제한을 받기 때문에 경사면의 높이가 높을수록 콘크리트 옹벽(10)을 시공하기가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숏크리트(20) 보강공법은 경사면에 숏크리트(20)를 일정한 두께로 타설하는 작업과 착암기나 보링기를 사용하여 락앵커나 쏘일네일(21)을 삽입시키기 위한 구멍을 경사면에서 천공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위험할 뿐만 아니라, 지반의 침하나 침투수의 예방을 위하여 고가의 숏크리트(20)를 최소 10cm 이상의 두께로 경사면에 취부시켜야 하기 때문에 시공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누수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숏크리트(20)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고, 숏크리트(20)와 경사면의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하여 작은 충격에도 숏크리트(20)가 쉽게 파손 및 함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기존 옹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92722호 "파형옹벽축조구조"를 선출원하여 등록 받은 바 있다. 상기 "파형옹벽축조구조"는 다수개의 파형관을 조립식으로 축조하여 옹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경량으로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고 시공 또한 용이하며 신속한 작업으로 공기가 단축되고 파형관 자체에 충분한 강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기초처리가 불필요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파형옹벽축조구조"는 파형관 옹벽의 구조적 안정을 위해 관 하부에 바닥판을 두어 바닥판과 관 옹벽 구체를 강결시키게 되나 바닥판과 관 옹벽의 연결 작업이 복잡하고 용이하지 않으며, 바닥판 역시 강성이 큰 것을 사용해야 함으로 비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파형옹벽축조구조"는 옹벽의 사면 안정을 위하여 별도의 앵커를 설치하여야 하나 바닥판과 관 옹벽과의 연결작업이 복잡하고 용이하지 않으며, 지중에 설치하기 위해서 별도의 다단계의 공정을 거쳐야함으로 공기가 늘어나게 되고 공비 또한 증가하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는 옹벽 벽체를 이루는 옹벽관에 앵커 역할을 하는 보강띠를 설치함으로써 옹벽 배면의 수직토압을 이용하여 옹벽의 안정을 유도할 수 있고, 별도의 앵커 설치작업이 생략되어 공기 및 공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설치가 간단하여 작업성이 높고, 적은 재료량으로 옹벽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인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옹벽축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c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파형옹벽축조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의 옹벽관과 보강띠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의 옹벽관과 보강띠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2c는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의 옹벽관과 보강띠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또다른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의 보강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의 연결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의 일 시공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b는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의 다른 시공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의 일 시공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00, 100a :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 110 : 옹벽 벽체
111, 111a : 옹벽관 112 : 연결플랜지
113 : 연결볼트공 114 : 연결볼트
120, 120a : 보강띠 121 : 전방띠
122 : 후방띠 123 : 유동용 고리
130, 130a : 연결판 131 : 결합공(연결판)
140 : 콘크리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는 다수개의 판이 조립되어 일정직경 및 높이를 갖게 되며, 내부에 토사가 채워지는 다수개의 옹벽관이 좌우 연결되어 일렬로 설치되는 벽체로, 상기 옹벽관은 좌우 외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연결플랜지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플랜지에는 연결볼트가 삽입되는 연결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옹벽 벽체; 및 상기 옹벽 벽체의 옹벽관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설치되는 띠로, 상기 띠는 옹벽관의 연결플랜지를 사이에 두고 옹벽 벽체의 전면에 위치되어 옹벽관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전방띠와 상기 전방띠와 결합되며 옹벽 벽체의 후면 지중을 향해 일정길이 돌출되어 매립 설치되는 후방띠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 설치되는 보강띠;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는 옹벽 벽체를 이루는 옹벽관에 앵커 역할을 하는 보강띠를 설치함으로써 옹벽 배면의 수직토압을 이용하여 옹벽의 안정을 유도할 수 있고, 별도의 앵커 설치작업이 생략되어 공기 및 공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설치가 간단하여 작업성이 높고, 적은 재료량으로 옹벽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이게 되는 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전술한 사항들 이외에 본 고안이 가지는 또 다른 기술적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하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에게 더욱 확실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100, 100a)의 옹벽관(111)과 보강띠(12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이며, 도 2b는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100, 100a)의 옹벽관(111a)과 보강띠(12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이며, 도 2c는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100, 100a)의 옹벽관(111)과 보강띠(120a)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또다른 실시예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100, 100a)의 보강띠(12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100, 100a)의 연결판(130, 130a)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100)의 일 시공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b는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100a)의 다른 시공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100a)의 일 시공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기준으로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100, 100a)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100, 100a)의 옹벽 벽체(110)는 내부에 토사가 채워지는 다수개의 옹벽관(111, 111a)이 좌우 연결되어 일렬로 설치되며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옹벽 벽체(110)를 이루는 옹벽관(111, 111a)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판이 조립되어 일정직경 및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옹벽관(111, 111a)은 시공 시 간편한 공정과 설비에 의한 조립만으로 단기간에 옹벽축조가 가능하게 되며, 경량으로 분할 제작되어 산악 현장에서도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옹벽관(111, 111a)은 옹벽 시공 시 시공현장의 경사면의 옹벽설치높이에 비례하여 관(111, 111a)의 직경이 조절되어 조립 형성되며, 상기 관(111, 111a)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판은 옹벽설치방향에 따라 외부를 향하는 전면과 토류를 향하는 후면의 판의 두께가 달리되어 조립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옹벽관(111, 111a)은 좌우 외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연결플랜지(112)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플랜지(112)에는 연결볼트(113)가 삽입되는 연결볼트공(114)이 형성되어 있어 시공 시 연결볼트(113)의 단순조립으로 옹벽관(111, 111a)끼리의 결합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100, 100a)에서 상기 옹벽 벽체(110)를 이루는 옹벽관(111, 111a)은 도 2a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관(111)이 사용될 수 도 있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관(111a)이 사용될 수 도 있다. 관의 종류 선택은 시공상황에 따라 택일되어도 무방하다.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100, 100a)에서 보강띠(120)는 도 2a, 도 2b, 도 2c, 도 5a, 도 5b,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옹벽 벽체(110)의 옹벽관(111, 111a)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설치되고, 보강띠(120)의 일부는 지중에 매설된다. 즉 상기 보강띠(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관(111, 111a)의 전면에설치되는 전방띠(121)와 옹벽관(111, 111a)의 배면에 설치되는 후방띠(122)로 구성되는데, 전방띠(121)는 옹벽 벽체(110)의 전면에 위치되어 옹벽관(111, 111a)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후방띠(122)는 상기 옹벽관(111, 111a)의 연결플랜지(112)를 사이에 두고 전방띠(121)와 결합되며 옹벽 벽체(110)의 후면 지중을 향해 일정길이 돌출되어 지중에 매립 설치된다. 이때 전방띠(121)와 후방띠(122)는 연결볼트(113)와 같은 결합장치로 결합될 수 있으며, 또 도면에는 상기 보강띠(120)가 한 개만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보강띠(120)는 시공현장 상황에 따라 다수개 설치될 수 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보강띠(120)는 별도의 앵커 설치작업 없이 시공 후 앵커와 같은 역할을 하며 옹벽 배면의 수직토압을 이용하여 옹벽의 안정을 유도하며, 기존의 옹벽 시공에서 시행되던 복잡한 앵커 설치작업 대신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보강띠(120)가 설치됨으로 앵커의 효과는 그대로 유지되면서 공기 및 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높은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보강띠(120)에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띠(122) 부분에 후방띠(122)의 움직임이 유연하도록 유동용 고리(123)를 설치 할 수 있다. 유동용 고리(123)는 후방띠(122)의 몸체 중 후방띠(122)와 전방띠(121)가 결합되는 결합부분에 가깝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유동용 고리(123)는 설상가상으로 연약지반에서 침하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보강띠(120)의 후방띠(122)가 지반의 변동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임으로써 후방띠(122)에만 영향을 미치게 되고 옹벽 전체에는 손상을 극소화시켜 옹벽의 구조적인 안정을 도모한다. 상기 유동용 고리(123)가 설치된 보강띠(120)는 연약지반에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시공현장 상황에 따라 선택되어 시행되어도 무방하다.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100, 100a)는 연결판(130, 130a)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130, 130a)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 벽체(110)를 이루는 옹벽관(111, 111a)과 옹벽관(111, 111a) 사이에 위치되어 죄우측에 위치되는 옹벽관(111, 111a)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판(130, 130a)에는 좌측 및 우측 단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연결볼트(114)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결합공(131)이 형성되어 있어 옹벽관(111, 111a)과 용이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판(130, 130a)은 일정 폭과 높이를 가지는 판재로, 소정의 내구성을 갖고 있는 강판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 판 또는 파형 판 중 시공상황에 맞는 것이 선택되어 제작 및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판(130, 130a)은 옹벽관(111, 111a)과 옹벽관(111, 111a)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비교적 높이가 높지 않은 옹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 및 도 6을 기준으로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100, 100a)의 바람직한 시공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시공예에서는 일반 판재로 이루어지는 연결판(130)이 설치되며, 옹벽관(111)은 원형관인 옹벽 축조구조(1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시공현장 여건에 맞게 구조 계산된 분할된 판을 제작하여 시공현장으로 운반한다. 이후, 시공 위치에 터파기 및 바닥고르기를 한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분할된 판을 일정직경을 갖는 옹벽관(111)이 되도록 절곡시킨다. 이때 옹벽관(111)을 이루는 판은 구조계산에 의해, 외부를 향하는 전면의 판과 토압을 직접적으로 받는 토류를 향하는 후면의 판의 두께를 달리하여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경사면의 옹벽 높이에 따른 각각의 토압 및 상부하중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개개의 옹벽관(111)의 직경을 적절히 조절되며 조립 설치될 수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은 옹벽관(111) 다수개를 제작한 후, 적절한 시공 위치에 상기 옹벽관(111)을 일렬로 배치한다. 이때 상기 옹벽관(111)과 옹벽관(111) 사이에는 연결판(130)을 위치시켜 시공상황에 맞게 옹벽관(111)과 옹벽관(111)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옹벽관(111)과 연결판(130)을 배치시킨 후, 상기 옹벽관(111)과 연결판(130)을 상호결합시킨다. 이때 옹벽관(111)과 연결판(130)의 결합은 옹벽관(111)의 연결플랜지(112)에 형성된 연결볼트공(113)과 연결판(130)의 결합공(131)을 관통하는 연결볼트(114)로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이때 상기와 같은 옹벽관(111)에는 도 5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관(111)의 연결플랜지(112)를 사이에 두고 옹벽관(111)의 전면에는 보강띠(120)의 전방띠(121)를 위치시키고, 옹벽관(111)의 배면에는 후방띠(122)를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위치되는 보강띠(120)의 전방띠(121)와 후방띠(122)는 옹벽관(111)의 연결플랜지(112)를 관통하는 연결볼트(114)로 상호결합된다.
또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보강띠(120)는 추후 시공 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띠(122)가 지중에 매설되게 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상기 보강띠(120)가 앵커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보강띠(120)는 기존의 복잡한 앵커 설치작업 대신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옹벽관에 설치되어 옹벽 배면의 수직토압을 이용하여 옹벽의 안정을 유도하며 앵커 설치 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하고, 별도의 앵커 설치작업을 생략하게 함으로 공기 및 공기를 절감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킨다.
이후 상기와 같이 보강띠(120)가 설치된 다수개의 옹벽관(111)과 연결판(130)으로 이루어지는 옹벽 벽체(110)를 형성한 후, 옹벽 벽체(110)의 옹벽관(111) 내부에 토사를 채운다.
시공하고자 하는 옹벽높이까지 상기 전술한 방법을 반복 시공하여 상기 관(111)을 수직 및 수평으로 상호결합시키며 옹벽 벽체(110)를 축조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축조되는 옹벽 벽체(110)의 전면에는 콘크리트(140)를 타설하여 옹벽 벽체(110)를 보호하고 옹벽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며 옹벽이 보다 안정된 구조를 이루게 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140)의 타설여부는 시공현장의 상황에 따라 택일되어 시행되어도 무방하다.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는 옹벽 벽체를 이루는 옹벽관에 앵커 역할을 하는 보강띠를 설치함으로써 옹벽 배면의 수직토압을 이용하여 옹벽의 안정을 유도할 수 있고, 별도의 앵커 설치작업이 생략되어 공기 및 공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설치가 간단하여 작업성이 높고, 적은 재료량으로 옹벽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인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다수개의 판이 조립되어 일정직경 및 높이를 갖게 되며, 내부에 토사가 채워지는 다수개의 옹벽관이 좌우 연결되어 일렬로 설치되는 벽체로, 상기 옹벽관은 좌우 외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연결플랜지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플랜지에는 연결볼트가 삽입되는 연결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옹벽 벽체; 및
    상기 옹벽 벽체의 옹벽관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설치되는 띠로, 상기 띠는 옹벽관의 연결플랜지를 사이에 두고 옹벽 벽체의 전면에 위치되어 옹벽관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전방띠와 상기 전방띠와 결합되며 옹벽 벽체의 후면 지중을 향해 일정길이 돌출되어 매립 설치되는 후방띠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 설치되는 보강띠;
    를 포함하는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옹벽 벽체를 이루는 다수개의 옹벽관의 사이사이에 위치되어 좌우측에 위치되는 각각의 옹벽관과 결합되며, 일정 폭과 높이를 가지는 판재로, 상기 판재는 좌측 및 우측 단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연결볼트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판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
  3. 제1항에서, 상기 보강띠의 후방띠에는 후방띠의 움직임이 유연하도록 유동용 고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
  4. 제1항에서, 상기 옹벽 벽체의 전면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옹벽 벽체를 이루는 옹벽관은 원형관 또는 파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
KR20-2004-0026946U 2004-09-20 2004-09-20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 KR200372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946U KR200372010Y1 (ko) 2004-09-20 2004-09-20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946U KR200372010Y1 (ko) 2004-09-20 2004-09-20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010Y1 true KR200372010Y1 (ko) 2005-01-10

Family

ID=49443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946U KR200372010Y1 (ko) 2004-09-20 2004-09-20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0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5253A (zh) * 2019-01-21 2019-04-30 林书竹 一种生态管柱式挡土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5253A (zh) * 2019-01-21 2019-04-30 林书竹 一种生态管柱式挡土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974B1 (ko) 흙막이 겸용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98878B1 (ko) 강관 버팀보의 와이형 연결구조
KR101640449B1 (ko) 터널 갱구부 개착 구축공법
KR1008629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널말뚝 시공방법
KR100760293B1 (ko) 저토피 구간의 터널 시공방법
KR101149895B1 (ko) 터널 필라부 보강블록
JP2010090608A (ja) 地下空間の構築方法及び地下空間の構造
KR101065017B1 (ko) 아치형 강판파일과 h-파일을 이용한 흙막이공법
KR101141526B1 (ko) 압력 그라우팅공법
KR102223856B1 (ko) 폐기물 매립장 기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70998B1 (ko) 일체형 거푸집과 선행굴착공을 이용한 수직터널의 굴착 및 라이닝콘크리트벽체 시공방법
KR20030064063A (ko) 보강토옹벽 축조공법
KR100862387B1 (ko)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을 위한 긴장용 키트와이를 이용한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 방법
KR200372010Y1 (ko) 조립식 옹벽 축조구조
KR20030029073A (ko) 배수 및 지반보강을 겸한 대구경 강성억지말뚝장치와공법
KR101864857B1 (ko) 보강 케이싱 구조를 갖는 기초말뚝 시공방법
KR100984040B1 (ko) 이중 보강 공법을 통한 절토용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JP6584979B2 (ja) 地下タンク構造の構築方法、地下タンク構造
KR200458388Y1 (ko) 충격완화가 용이한 방호구조물
KR200452368Y1 (ko) 누수 방지가 가능한 파형강판용 베이스 채널
KR102110260B1 (ko)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을 제조하기 위한 몰드 조립체
JP2013023978A (ja) 小規模建築物用基礎の補強工法
KR200292722Y1 (ko) 파형옹벽축조구조
KR100397958B1 (ko) 띠장을 분리하여 설치한 흙막이벽 지보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4834649B2 (ja) 盛土構造物を構築する盛土構造及び盛土構造構成用の擁壁ブロック並びに盛土構造物の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