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942Y1 - 도로의 비탈면 보호를 위한 다단계시설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도로의 비탈면 보호를 위한 다단계시설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942Y1
KR200402942Y1 KR20-2005-0025687U KR20050025687U KR200402942Y1 KR 200402942 Y1 KR200402942 Y1 KR 200402942Y1 KR 20050025687 U KR20050025687 U KR 20050025687U KR 200402942 Y1 KR200402942 Y1 KR 200402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shaped side
brackets
earth
side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용
Original Assignee
(주)한국해외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해외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한국해외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5-0025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9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9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비탈면에 계단식 화단을 조성하여 토사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비탈면 보호를 위한 다단계시설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하 양단에 체결공(50a)(50b)이 형성된 복수의 L형측면브래킷(50)(52)(54)을 좌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트(66)와 너트(68)에 의해 비탈면(80)을 따라 평행하게 연결하고, 옹벽(30)의 상단에 고정된 T형브래킷(56)(58)을 최하단에 위치한 L형측면브래킷(50)의 하단에 연결하며, 비탈면(80) 상측에 고정된 상부고정앵커(60)를 최상단에 위치한 L형측면브래킷(54)의 상단에 연결하고, L형측면브래킷(50)(52)(54)에 장공(50h)(52h)(54h)을 형성하여 토사유실차단판(40)(42)(44)을 장공(50h)(52h)(54h)에 끼워 토사유실차단판(40)(42)(44) 배후에 식물(72) 식재를 위한 화단(70)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의 비탈면 보호를 위한 다단계시설 설치구조{Earth Slip Protection Step Structure for Road Side of Slope}
본 고안은 도로의 비탈면 보호를 위한 다단계시설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비탈면에 계단식 화단을 조성하여 토사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비탈면 보호를 위한 다단계시설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옆의 비탈면에는 비탈면 보호시설을 두어 토압력에 의한 지반 붕괴를 막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종래 비탈면 보호시설은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탈면(24) 밑에 옹벽(20)을 설치하여 도로(22)를 만들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비탈면 보호시설은 비탈면(24)의 높이가 높은 경우 옹벽(20)이 낮게 되어 비탈면(24)이 외부로 노출되어 우천시 붕괴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우천시 유동성이 증가하면서 붕괴된 토사(26)가 도로(22)에 쌓이면서 도로 소통에 지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도로의 비탈면 붕괴를 방지할 수 있고, 비탈면을 보다 쾌적한 식생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는 도로의 비탈면 보호를 위한 다단계시설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하 양단에 체결공이 형성된 복수의 L형측면브래킷을 좌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트와 너트에 의해 비탈면을 따라 평행하게 연결하고, 옹벽의 상단에 고정된 T형브래킷을 최하단에 위치한 L형측면브래킷(50)의 하단에 연결하며, 비탈면 상측에 고정된 상부고정앵커를 최상단에 위치한 L형측면브래킷의 상단에 연결하고, L형측면브래킷에 장공을 형성하여 토사유실차단판을 장공에 끼워 토사유실차단판 배후에 식물 식재를 위한 화단를 형성하여 도로의 비탈면 보호를 위한 다단계시설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양단에 체결공(50a)(50b)이 형성된 복수의 L형측면브래킷(50)(52)(54)을 좌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트(66)와 너트(68)에 의해 비탈면(80)을 따라 평행하게 연결하고, 옹벽(30)의 상단에 고정된 T형브래킷(56)(58)을 최하단에 위치한 L형측면브래킷(50)의 하단에 연결하며, 비탈면(80) 상측에 고정된 상부고정앵커(60)를 최상단에 위치한 L형측면브래킷(54)의 상단에 연결하고, L형측면브래킷(50)(52)(54)에 장공(50h)(52h)(54h)을 형성하여 토사유실차단판(40)(42)(44)을 장공(50h)(52h)(54h)에 끼워 토사유실차단판(40)(42)(44) 배후에 식물(72) 식재를 위한 화단(70)를 형성한다.
여기서 T형브래킷(56)(58)은 좌측과 우측에 각각 두 개씩 겹으로 설치하고, 옹벽(30) 상단에 걸고 비탈면(80)에 박아서 고정하며, 중앙에 체결공(56h)(58h)을 형성하여 L형측면브래킷(50)과 함께 볼트(62)와 너트(64)에 의해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부고정앵커(60)는 "L"형으로 절곡된 것을 이용하며, 하단에는 원추형의 첨부(69)를 형성하여 비탈면(80) 속에 박힐 때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볼트(61)와 너트(63)에 의해 최상단에 위치한 L형측면브래킷(54)과 연결한다.
상기 T형브래킷(56)(58)과 L형측면브래킷(50)(52)(54)은 내식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스텐레스스틸로 가공하거나 크롬도금된 철판이나 폴리우레탄수지가 코팅된 철판을 이용하며, 볼트(62)(66)와 너트(64)(68)는 스텐레스스틸로 가공된 것을 이용하여 녹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72는 도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하는 과정은 옹벽(30) 상단에 좌우측에 두겹으로 된 T형브래킷(56)(58)을 토사유실차단판(40)(42)(44)의 길이보다 약간 짧은 거리로 간격을 두고 걸친 다음 옹벽(30) 배후토에 T형브래킷(56)(58)을 박게 되면, T형브래킷(56)(58)이 고정된다.
이후 T형브래킷(56)(58)의 후단부 사이로 L형측면브래킷(50)의 하단을 끼워 T형브래킷(56)(58)에 형성된 체결공(56h)(58h)과 L형측면브래킷(50)에 형성된 체결공(50a)의 구멍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62)를 체결공(56h)(58h)(50a)으로 삽입한 후 너트(64)와 결합하여 조이게 되면, L형측면브래킷(50)이 T형브래킷(56)(58)에 연결된다.
그 다음 또 다른 볼트(66)와 너트(68)에 의해 L형측면브래킷(50)(52)(54)을 비탈면(80)을 따라 길게 연결한 다음 비탈면(80) 상측에 상부고정앵커(60)를 박아서 고정한 후 최상단에 위치한 L형측면브래킷(54)을 상부고정앵커(60)에 볼트(61)와 너트(63)로 연결하게 되면, L형측면브래킷(50)(52)(54)이 고정된다.
이때 좌우측의 L형측면브래킷(50)(52)(54)에 형성된 장공(50h)(52h)(54h)으로 토사유실차단판(40)(42)(44)의 양단을 끼우게 되면, 토사유실차단판(40)(42)(44)의 배후에 식물(72)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에 흙을 채우게 되면, 계단형의 화단(70)이 형성된다.
한편, 위와 같이 화단(70)에 식물(72)이 활착된 상태에서 비가 내리면, 식물(72) 뿌리의 수분흡수작용에 의해 토사의 유동성 증가를 막아 비탈면(80) 붕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식물(72) 뿌리에 의해 비탈면(80) 토사의 응집력이 증가하여 토사붕괴가 방지된다.
또한, 토사유실차단판(40)(42)(44)은 비탈면(80)을 따라 상하로 설치되어 있는 L형측면브래킷(50)(52)(54)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L형측면브래킷(50)(52)(54)은 상부고정앵커(60)에 의해 비탈면(80)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토압에 저항하는 토사유실차단판(40)(42)(44)의 저항력은 크게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비탈면에 설치되어 있는 토사유실차단판에 의해 비탈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토사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욱이 토사유실차단판이 상부고정앵커에 고정된 L형측면브래킷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토압에 견디는 힘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고, 비탈면에 형성된 계단형 화단에 의해 비탈면을 쾌적한 식생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고안은 볼트와 너트에 의해 L형측면브래킷을 조립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토사유시차단판을 L형측면브래킷에 형성된 장공에 단순히 끼워넣는 것에 의해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도로의 비탈면에 설치된 옹벽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비탈면 보호를 위한 다단계시설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비탈면 보호를 위한 다단계시설 설치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30 : 옹벽 40,42,44 : 토사유실차단판
50,52,54 : L형측면브래킷 50a,50b : 체결공
50h,52h,54h : 장공 56,58 : T형브래킷
60 : 상부고정앵커 66 : 볼트
68 : 너트 70 : 화단
72 : 식물 80 : 비탈면

Claims (1)

  1. 상하 양단에 체결공(50a)(50b)이 형성된 복수의 L형측면브래킷(50)(52)(54)을 좌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트(66)와 너트(68)에 의해 비탈면(80)을 따라 평행하게 연결하고, 옹벽(30)의 상단에 고정된 T형브래킷(56)(58)을 최하단에 위치한 L형측면브래킷(50)의 하단에 연결하며, 비탈면(80) 상측에 고정된 상부고정앵커(60)를 최상단에 위치한 L형측면브래킷(54)의 상단에 연결하고, L형측면브래킷(50)(52)(54)에 장공(50h)(52h)(54h)을 형성하여 토사유실차단판(40)(42)(44)을 장공(50h)(52h)(54h)에 끼워 토사유실차단판(40)(42)(44) 배후에 식물(72) 식재를 위한 화단(70)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비탈면 보호를 위한 다단계시설 설치구조.
KR20-2005-0025687U 2005-09-06 2005-09-06 도로의 비탈면 보호를 위한 다단계시설 설치구조 KR200402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687U KR200402942Y1 (ko) 2005-09-06 2005-09-06 도로의 비탈면 보호를 위한 다단계시설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687U KR200402942Y1 (ko) 2005-09-06 2005-09-06 도로의 비탈면 보호를 위한 다단계시설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942Y1 true KR200402942Y1 (ko) 2005-12-09

Family

ID=43703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687U KR200402942Y1 (ko) 2005-09-06 2005-09-06 도로의 비탈면 보호를 위한 다단계시설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94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066B1 (ko) 2006-08-31 2006-11-29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용 비탈면 슬라이딩 차단시설
KR100697638B1 (ko) * 2007-01-15 2007-03-20 김형준 건축단지 비탈면 슬라이딩 차단시설
KR100731930B1 (ko) * 2007-03-23 2007-06-25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도로 비탈면의 슬라이딩 방지시설
CN114457757A (zh) * 2022-03-18 2022-05-10 哈尔滨理工大学 水利工程预制化边坡护砌及其平坡层和支撑层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066B1 (ko) 2006-08-31 2006-11-29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용 비탈면 슬라이딩 차단시설
KR100697638B1 (ko) * 2007-01-15 2007-03-20 김형준 건축단지 비탈면 슬라이딩 차단시설
KR100731930B1 (ko) * 2007-03-23 2007-06-25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도로 비탈면의 슬라이딩 방지시설
CN114457757A (zh) * 2022-03-18 2022-05-10 哈尔滨理工大学 水利工程预制化边坡护砌及其平坡层和支撑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658B1 (ko)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02942Y1 (ko) 도로의 비탈면 보호를 위한 다단계시설 설치구조
KR200397877Y1 (ko) 사면 보호와 녹화를 위한 계단식 보강 장치
KR102141237B1 (ko) 조립식 식생 수로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20040078090A (ko) 도로 옹벽의 조경시설 설치구조
KR100581756B1 (ko) 조경용 화단
US7308776B2 (en) Pole anchor footing system
KR100790387B1 (ko) 친환경적인 도로용 비탈면 보호시설
KR200369422Y1 (ko) 도로 옹벽의 조경시설 설치구조
KR100659926B1 (ko) 계단식 사면안정화 보강용 구조물
KR100384111B1 (ko) 의자가 부설된 가로수 보호대
KR20140110326A (ko) 중앙분리대용 화분모듈
JP4851501B2 (ja) 斜面崩落防止構造
KR100590403B1 (ko) 건축단지와 인접한 친환경적인 옹벽 시설물
KR100542617B1 (ko) 담장 벽면 및 사면 녹화용 조립식 콘크리트 식생옹벽과그의 시공방법
KR100562225B1 (ko)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 구조물
KR200197467Y1 (ko) 의자가 부설된 가로수 보호대
KR100504361B1 (ko) 친환경적인 도로용 옹벽
KR200354767Y1 (ko) 도로의 법면 보호공 구조
KR100505996B1 (ko) 건축용 법면보호시설
KR100731930B1 (ko) 도로 비탈면의 슬라이딩 방지시설
KR200328603Y1 (ko) 도로 경사면 암절취부 보호용 콘크리트 녹화 구조물
KR100675520B1 (ko) 건축단지 내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구조물
CN216339314U (zh) 一种生态边坡防护挡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